KR20130139567A -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567A
KR20130139567A KR1020120063117A KR20120063117A KR20130139567A KR 20130139567 A KR20130139567 A KR 20130139567A KR 1020120063117 A KR1020120063117 A KR 1020120063117A KR 20120063117 A KR20120063117 A KR 20120063117A KR 20130139567 A KR20130139567 A KR 20130139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content
main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국
전찬훈
Original Assignee
㈜인포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밸리 filed Critical ㈜인포밸리
Priority to KR102012006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567A/ko
Publication of KR2013013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되게 함으로써 양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하게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장치를 통하여 표시되는 광고에 대한 수요자의 집중도를 오랜 시간 동안 높일 수 있어, 광고로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요자에게 더욱 선명하게 기억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되게 함으로써 양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하게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는 기업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해 설치, 운용하는 옥내외용 디스플레이, 전광판을 통한 광고 활성화와 병원, 쇼핑 몰, 호텔 등에서 홍보용 수요 증가로 새로운 시장으로 뜨고 있다.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개발비가 발광 다이오드(LED) 광고판의 30% 수준밖에 안 되는데다 PC, 네트워크 등과 연동도 자유로워 급속히 LED 광고판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10050호는, 모바일단말기로 콘텐츠 위치경로정보 전송 서비스에 따른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을 포함하는 양방향 모바일 방송환경에서 제2시청화면을 이용하여 맞춤화된 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단말기에 있어서, 전원 On 또는 채널 전환 진입 시 모바일방송프로그램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1시청화면으로 제공하는 제1시청화면 처리부; 콘텐츠 위치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제2시청화면으로 제공하는 제2시청화면 처리부; 상기 제1시청화면과 제2시청화면을 생성 또는 관리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관리부; 및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모바일단말기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위치경로 정보는 제목, 위치경로, 요약정보, 상세정보, 시청화면지정정보, 인덱스정보, 카테고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 제2시청화면을 이용하여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를 개시하여, 시청화면 리사이즈 또는 세로보기를 할 경우 발생되는 빈 시청영역에 프로그램 연관된 무료/할인쿠폰 또는 정보형 광고 또는 맞춤형 정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주 또는 콘텐츠 제공사는 프로그램 시청률에 정비례하는 광고효과 또는 노출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모바일 방송서비스사업자에게는 광고매출 또는 콘텐츠 매출 증대를 위한 새로운 광고영역 또는 콘텐츠 제공영역과 광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6708호는, 광고 서버와 연결할 수 있는 제1 송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는 제2 송수신부;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1 송수신부를 통하여 광고 내용과 상기 광고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묻는 광고 퀴즈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며, 상기 제2 송수신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광고 퀴즈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광고 퀴즈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광고 퀴즈에 대한 응답을 직접적으로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당첨자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수신된 응답을 상기 광고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쌍방향 광고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광고 내용과 상기 광고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묻는 광고 퀴즈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광고 퀴즈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당첨자를 결정하는 광고 서버; 및 상기 광고 서버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쌍방향 광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쌍방향 광고 장치 각각은 상기 광고 서버와 연결할 수 있는 제1 송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는 제2 송수신부; 상기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며, 상기 제2 송수신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광고 퀴즈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광고 퀴즈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광고 퀴즈에 대한 응답을 직접적으로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당첨자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기 제1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수신된 응답을 상기 광고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쌍방향 광고 시스템을 개시한다. 아울러 광고내용과 상기 광고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묻는 광고 퀴즈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광고 퀴즈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광고 퀴즈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광고 퀴즈에 대한 응답을 직접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당첨자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응답을 광고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당첨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쌍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99939호는, 물리적으로 이격된 N(N은 1보다 큰 정수)개의 셀을 통신 네트워크로 구축한 광역 네트워크 내에서, 벽, 기둥, 통로 및 사람이 지나가거나 기다리는 임의의 지점 중 어느 한 곳 이상으로 선택되는, 상기 셀 내의 물리적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로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컴퓨팅 되지 않는 제1광고 영역;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며 컴퓨팅 되는 제2광고 영역; 및 상기 광고 영역들과 독립된 영역으로 분할된 VoIP 공중 전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광고 영역과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광역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버와 통신하는 전송부;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하우징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결제부; 각 전기적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에 설치된 송수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광고 매체는 대중 공간에 위치하는 임의의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의 데이터의 송수신, 모바일 단말로의 저장 또는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충전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 광고매체의 상기 제2광고 영역은 복수 개의 카테고리 중 어느 1개가 터치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광고매체를 개시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시스템 또는 방법은 수요자에게 광고를 일 방향으로 전달만 하거나, 또는 양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한 경우에도 수요자로부터 아주 간단한 형태의 응답만을 기대할 수 있을 뿐이어서, 해당 광고에 대한 수요자의 집중도를 강화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실시예는 광고의 수요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컨텐츠 제공장치의 입력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수요자의 광고에 대한 노출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참여를 요청하는 광고에 수요자를 더욱 강하게 유인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메인서버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정보를 메인서버나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장치로서, 상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메인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장치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입력제어부, 및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장치와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 컨텐츠의 편성정보, 사용자 정보, 컨텐츠 사용안내 정보, 경품정보 및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기기의 기종, 운영시스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단말정보, 및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입력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입력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장치와의 관계에서 키보드,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으로 기능하고,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위치정보이다.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광고용 컨텐츠 정보, 사용자 정보, 경품정보 및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상기 메인서버로 전달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및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와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는,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활성화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단말입력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메인서버가 판단하여, 상기 광고용 컨텐츠 정보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경품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메인서버는,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참여 안내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위치정보이다.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참여가 요구되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 및 참여 안내정보를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와 함께 메인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제공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입력기능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제공장치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처리되는 결과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결과가 상기 광고용 컨텐츠 정보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경품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메인서버가 해당 사용자의 참여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참여가 가능한 사용자이면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가 사용자 단말의 계속적인 접속을 허용하며 그렇지 않으면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장치를 통하여 표시되는 광고에 대한 수요자의 집중도를 오랜 시간 동안 높일 수 있어, 광고로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요자에게 더욱 선명하게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사이니지(signage)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장치의 활용도를 더 높일 수 있고, 보다 많은 수요자의 반응으로부터 광고주는 더욱 신뢰성 있는 마케팅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방법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이 컨텐츠 제공장치를 제어하는 모습의 일 실시예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가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으며,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고 완벽해짐과 동시에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범위가 완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세한 설명에서, 잘 알려진 구성 및 기술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나타내어지는 실시예의 불필요한 불명확성을 피하게 위해 생략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여기에 사용되는 단수형 "일", "하나", 및 "그" 는 문맥이 명확히 다른 것을 나타내지 않는 이상, 복수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일", "하나" 등의 용어 사용은 양의 한정을 의미하지 않고, 오히려 참조되는 항목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또는 "구성된다" 및/또는 "구성되는"이라는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영역, 정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및/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명시하며, 일 이상의 다른 특징, 영역, 정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컴포넌트, 및 또는 이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이상, 여기에 사용된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는 당업자에 의해 보통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되는 것들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 및 본 개시의 문맥에서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고, 여기에 명확히 정의되지 않는 이상 이상화시키는 의미 또는 전체적으로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이하 컨텐츠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광고용으로 제작된 영상, 이미지, 문자, 음원 등을 일컫는 것이나, 광고에 국한되지 않고 홍보, 알림, 기사, 생활 정보 등 전달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00), 컨텐츠 제공장치(100) 및 메인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무선 데이터망, 이동통신망, 개인휴대통신망, 차세대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동기식/비동기식 무선망 등 다양한 통신 환경을 통해서 작동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모바일 폰(Mobile Phone)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소정의 정보를 컨텐츠 제공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거꾸로 컨텐츠 제공장치(10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300)은 기기의 기종, 운영시스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단말정보, 및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입력정보를 컨텐츠 제공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경품정보 또는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입력정보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의 일부로 되어 있는 이벤트 프로모션에 대한 답변/응답정보, 주민번호, 사용자 이름,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400) 상의 위치정보이다. 즉,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프로그램을 인터넷 상의 해당 위치정보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상기 경품정보는, 사용자의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수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할인쿠폰 등을 포함한다. 상기 경품정보는 바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쿠폰 형태일 수도 있고, 해당 쿠폰을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400) 상의 위치정보일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00)과 컨텐츠 제공장치(100) 사이의 통신은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100)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키보드,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100)의 입력장치로서 활성화될 수 있어, 상기 장치와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장치를 사용자단말의 표시부(105)인 것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아래에 설명하도록 한다.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유/무선 통신네트워크(400)를 통하여 메인서버(200)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이니지(signage)와 같은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DID) 광고매체를 포함하며, 메인서버(200)로부터 광고용 컨텐츠 정보, 컨텐츠의 편성정보, 사용자 정보, 컨텐츠 사용안내 정보를 수신한다.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수신한 광고용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의 편성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표시하며, 컨텐츠 제공장치(10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메인서버(200)로 전달한다.
메인서버(200)는, 광고주로부터 의뢰 받은 광고용 컨텐츠 정보, 해당 컨텐츠 정보의 편성정보, 소정 광고에 수반되는 이벤트 프로모션 정보, 해당 이벤트 프로모션의 참여에 대한 대가로 지급할 경품정보, 이벤트 프로모션에 참가한 사용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의 정보로서 기기의 기종, 운영시스템, 전화번호, 이벤트 프로모션에 대한 답변/응답정보, 주민번호, 사용자 이름, 이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정보,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장치(100)에 대한 접속이력 정보, 컨텐츠 제공장치(100)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 그리고 이벤트 프로모션에 참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컨텐츠 사용안내 정보를 저장하며,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상기 정보 모두 또는 일부를 컨텐츠 제공장치(100)에 제공하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경품제공 및 광고이력 관리 등을 수행한다. 또한, 이벤트 프로모션과 같은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 등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 등에 관한 참여안내 정보를 제공하면서 컨텐츠 제공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여기서 광고용 컨텐츠 정보는, 일반적인 광고/홍보/게시/정보전달용 자료로서의 컨텐츠 이외에 사용자의 참여를 요청하는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차적으로 정의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 컨텐츠와 참여가 요구되는 이벤트 정보로 분리하여 아래에서 표현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100)의 개략 구성도이다.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메인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5), 상기 메인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300)과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107),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장치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입력제어부(103), 및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및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장치와 사용자 단말(300)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관리부(101)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05)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 상기 광고용 컨텐츠 정보가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인 경우에는 해당 참여를 위한 안내정보, 그리고 컨텐츠 제공장치(100)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는 정지화상, 텍스트, 동영상 및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입력제어부(103)는 상기 표시부(105)에서 표시되는 컨텐츠가 사용자의 참여를 요구하는 컨텐츠일 경우에만 동작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100)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300)이 컨텐츠 제공장치(100)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설치된 프로그램이 제공하여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300)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이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입력제어부(103)는 상기 인터페이스에서의 조작으로부터 발생되어 수신되는 신호가 컨텐츠 제공장치(100)의 제어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변환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은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의한 문자의 입력, 마우스 인터페이스에 의한 포인터의 이동, 그리고 조이스틱 인터페이스에 의한 방향키의 조정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입력제어부(103)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300)은 외부 입력장치로 기능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100)를 마치 자신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과 같이 제어하게 된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이 컨텐츠 제공장치(100)를 제어하는 모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장치(100)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사용자 단말(300)에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형상의 인터페이스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복합 되어 활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입력제어부(103)에 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조작에 따라 컨텐츠 제공장치(100) 표시부(105)의 입력란 및 포인터 그리고 이동 가능한 개체들이 제어된다.
상기 메인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300)과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107)는, 무선 데이터망, 이동통신망, 개인휴대통신망, 차세대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동기식/비동기식 무선망 등 다양한 통신 환경 하에 작동 가능할 것이다. 특히 사용자 단말(300)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부(107)는 무선랜 또는 불루투스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및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장치와 사용자 단말(300)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관리부(101)는, 메인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 등을 저장하거나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고, 또한 컨텐츠 제공장치(100) 내부의 통신부(107), 표시부(105), 단말입력제어부(103) 간의 신호 교환을 제어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다.
우선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사용자의 참여가 요구되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 이벤트 정보 및 참여 안내정보를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와 함께 메인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제공장치(100)의 표시부(105)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서버(200)에 등록되고 관리되는 컨텐츠 정보는, 광고주에 의하여 마련된 해당 컨텐츠와 관련한 사용자의 참여가 요구되는 이벤트 프로모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러한 프로모션이 있는 경우에는 컨텐츠의 내용과 더불어 이벤트 정보,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 그리고 참여방법 안내정보 등과 함께 컨텐츠 제공장치(100)로 전달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접속 이벤트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상기 이벤트 프로모션에 참가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장치(100)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입력기능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을 받아 단말에 설치한 후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컨텐츠 제공장치(100)에 접속하게 되면,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조건으로 접속을 허락한다.
즉,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메인서버(200)에 송신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메인서버(200)가 해당 사용자의 참여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를 컨텐츠 제공장치(100)에게 전달하며, 참여가 가능한 사용자이면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100)가 사용자 단말(300)의 계속적인 접속을 허용하며 그렇지 않으면 접속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참여가 가능한지 여부는, 해당 프로모션에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의 참여횟수 제한, 사용자의 경품 수령 여부, 또는 사용자의 참여시간 제한 등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 후 계속적인 접속이 허용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해당 이벤트 프로모션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신호 내지는 정보가 컨텐츠 제공장치(100)에 의하여 수신되면, 해당 정보를 메인서버(20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해당 이벤트 프로모션에 해당하는 컨텐츠(즉, 이벤트 정보)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의 계속적인 접속이 허용되는지 판단을 한 후 컨텐츠 제공장치(100)를 통하여 표시되어도 되고, 상기 허용 여부 판단 이전에 미리 표시를 한 후 접속 가능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표시를 차단하거나 또는 참가가 불가능 하다는 메시지를 표시한 후 종료시킬 수도 있는데 이는 설계자의 선택사항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이 해당 이벤트 프로모션에 대한 응답으로서 보내는 신호 내지는 정보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프로모션 컨텐츠가 퀴즈 또는 설문조사 등인 경우에는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가 응답이 될 것이고, 이벤트 프로모션의 컨텐츠가 게임 등인 경우에는 해당 게임을 완수한 결과 정보가 응답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컨텐츠 제공장치(100)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단말입력제어부(103)를 통해서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메인서버(200)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의 응답결과가 컨텐츠 제공장치(100)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처리된 결과가 해당 광고용 컨텐츠 정보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200)는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300)에게 경품정보를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고용 컨텐츠 정보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다는 것은, 예를 들면 퀴즈의 정답을 전송하거나 또는 게임을 완수한 경우를 말한다.
메인서버(200)는 상기와 같이 경품정보를 전달하면 그 전달 결과나 해당 경품을 수령한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 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컨텐츠 제공장치
101: 제어관리부
103: 단말입력제어부
105: 표시부
107: 통신부
200: 메인서버
300: 사용자 단말
400: 네트워크

Claims (10)

  1.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메인서버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정보를 메인서버나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장치로서,
    상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메인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장치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입력제어부; 및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장치와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 컨텐츠의 편성정보, 사용자 정보, 컨텐츠 사용안내 정보, 경품정보 및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기기의 기종, 운영시스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단말정보, 및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입력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장치와의 관계에서 키보드,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으로 기능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위치정보인, 컨텐츠 제공장치.
  6. 광고용 컨텐츠 정보, 사용자 정보, 경품정보 및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상기 메인서버로 전달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및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와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는,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활성화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단말입력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메인서버가 판단하여, 상기 광고용 컨텐츠 정보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경품정보를 전달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참여 안내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위치정보인, 컨텐츠 제공시스템.
  9. (a) 사용자의 참여가 요구되는 광고용 컨텐츠 정보 및 참여 안내정보를 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와 함께 메인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제공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입력기능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제공장치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처리되는 결과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처리된 결과가 상기 광고용 컨텐츠 정보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경품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및 (c) 단계 사이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메인서버가 해당 사용자의 참여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참여가 가능한 사용자이면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가 사용자 단말의 계속적인 접속을 허용하며 그렇지 않으면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KR1020120063117A 2012-06-13 2012-06-13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39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117A KR20130139567A (ko) 2012-06-13 2012-06-13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117A KR20130139567A (ko) 2012-06-13 2012-06-13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67A true KR20130139567A (ko) 2013-12-23

Family

ID=4998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117A KR20130139567A (ko) 2012-06-13 2012-06-13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95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322A1 (ko) * 2017-03-06 2018-09-13 코아글림 주식회사 다국어 지원 스마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322A1 (ko) * 2017-03-06 2018-09-13 코아글림 주식회사 다국어 지원 스마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7503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dvertising systems
JP5086421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管理装置、広告配信管理方法、及び広告配信管理プログラム
CN103679500A (zh) 广告服务服务器和数字标牌装置
CN105122289A (zh) 便于推广组织内容的技术
KR20090001831A (ko) 지역 광고 기반의 전자상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27830A (ko) 블로그 마케팅 방법 및 장치
KR101289930B1 (ko) 차별적 팔로우잉 구조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US20140188611A1 (en) Combination of multiple advertisements in an ad slot on a network accessible device
KR101513258B1 (ko) 광고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US20120053999A1 (en) Delivering Highly 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a Coupon-Exchanging System
US20150332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ing Slots Before Hyperlink Destination
KR20130139567A (ko) 컨텐츠 제공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2590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849262B1 (ko) 광고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3638A (ko) 커뮤니티 페이지를 사용한 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5300806A (ja) インターネット対応の携帯電話機を利用した広告システム
KR20140035611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TW201316274A (zh) 行動電子裝置互動應用方法以及行動電子裝置互動應用系統
KR20160049554A (ko) 쿠폰 전송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12930A (ko) 인터넷을 통한 맞춤 광고방법 및 광고시스템
KR20140109781A (ko) 단말기, 그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88720B1 (ko) 서비스앱 사용자간 광고방법
KR20150011149A (ko) 쿠폰 전송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23873A1 (en)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data service applying the same
KR20130005932A (ko) 광고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