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411A -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411A
KR20130139411A KR1020120014010A KR20120014010A KR20130139411A KR 20130139411 A KR20130139411 A KR 20130139411A KR 1020120014010 A KR1020120014010 A KR 1020120014010A KR 20120014010 A KR20120014010 A KR 20120014010A KR 20130139411 A KR20130139411 A KR 20130139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tank
washing
vacuum
ri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교
Original Assignee
(주)브이씨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씨티이 filed Critical (주)브이씨티이
Priority to KR102012001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411A/ko
Publication of KR2013013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세척 건조기와 저장탱크로 용제를 공급과 환수하는 드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내부에 진공 상태에서 제품을 세척과 건조를 시행하는 건조기(10); 상기 건조기(10)에 이웃하여 격벽(25)으로 구분되는 세척탱크(22)와 린스탱크(23)를 설치하고, 세척액과 린스액을 공급 또는 환수하여 저장하는 용제탱크(20); 상기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린스탱크(23)의 사이에 분기되어 연결되고, 진공펌프(30)의 압력차에 의해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린스탱크(23)에 세척액과 린스액을 자동 공급 또는 환수하는 드레인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품 표면의 오염물을 세척 건조하는 건조기에서 지상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설치시간 및 관리가 용이하여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진공챔버(건조기) 내로 용제의 공급은 물론 저장탱크들로 환수가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진행되어 효율성과 안전성이 뛰어나고, 유분의 세정력이 탁월하여 세척력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시스템{System for draining dry vacuum cleaner to solvent}
본 발명은 진공 세척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품 표면의 오염물을 세척 건조하는 건조기에서 지상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설치시간 및 관리가 용이하여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진공챔버(건조기) 내로 용제의 공급은 물론 저장탱크들로 환수가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진행되어 효율성과 안전성이 뛰어나고, 유분의 세정력이 탁월하여 세척력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진공 세척 건조기는 기계부품이나 자동차부품, 열처리 전후공정, 전기전자부품 또는 광학부품 등 여러 산업분야에 걸쳐 사용되는 각종 부품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즉 진공 세척 건조기는 각종 산업용 부품 등을 가공 생산한 뒤, 도금이나 코팅 등의 후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탄화수소 등의 세척액(용제)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기계로서 건조기, 세척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펌프 등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통상의 세척 건조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세척하고자 하는 제품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로 세척탱크 내부로 밀어 넣기 때문에 건조기 내부의 양측과 적층된 제품 사이에는 공간이 크게 발생되게 때문에 그 공간으로 인하여 세척액의 공급량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과 함께 세척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세척의 정확성을 기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뚜껑개폐를 인력에 의한 수작업방식으로 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지면서 시간이 과다하게 드는 등 많은 단점이 있다.
즉 다시 말하면, 건조기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다가 수평으로 누운 상태를 유지하고, 내부에 공급될 세척할 제품은 수직으로 다단 적층되기 때문에 건조기 내부에 공급시켰을 때는 세척할 제품과 동체 사이에 공간이 크게 형성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세척액을 공급시켰을 때는 상기 큰 공간에 까지 공급 충진되게 되어 세척액의 소요량이 과다하게 들 수 밖에 없다는 것이며, 이에 따라 세척액 저장탱크의 용량 또한 커져야 하고, 공급량의 과다로 인하여 펌프가동시간 등이 늘어나게 되어 시간손실 또한 매우 커지게 되어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세척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간혹 세척불량 제품이 발생되기도 하여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진공 세척장치를 제안한 바, 이 또한 건조기로 세척액(용제)을 공급 및 환수함에 있어서, 종래의 단점을 부분적으로 보완하고 있기는 하지만 세척액의 공급/환수하는 드레인장치를 고려할 때, 즉 세척액의 공급과 환수에 따른 설비가 지하에 매설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를 지니고 있고, 세척액(용제)을 공급과 함께 저장탱크로 환수할 수 있도록 신속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설계 요소 중의 하나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2049호 "진공 세척장치"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028호 "진공 세척 건조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 표면의 오염물을 세척 건조하는 건조기에서 지상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설치시간 및 관리가 용이하여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진공챔버(건조기) 내로 용제의 공급은 물론 저장탱크들로 환수가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진행되어 효율성과 안전성이 뛰어나고, 유분의 세정력이 탁월하여 세척력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공 세척 건조기와 저장탱크로 용제를 공급과 환수하는 드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내부에 진공 상태에서 제품을 세척과 건조를 시행하는 건조기; 상기 건조기에 이웃하여 격벽으로 구분되는 세척탱크와 린스탱크를 설치하고, 세척액과 린스액을 공급 또는 환수하여 저장하는 용제탱크; 및 상기 건조기와 세척탱크/린스탱크의 사이에 분기되어 연결되고, 진공펌프의 압력차에 의해 건조기와 세척탱크/린스탱크에 세척액과 린스액을 자동 공급 또는 환수하는 드레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건조기와 용제탱크의 사이에 분기되어 연결되면서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밸브와, 건조기와 용제탱크의 압력차를 발생하기 위해 진공도를 파괴하는 퍼지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수단은 건조기와 세척탱크의 공급유로와 환수유로 상에 진공펌프의 압력차에 의해 세척액을 자동 공급 및 환수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건조기와 린스탱크의 공급유로와 환수유로 상에 진공펌프의 압력차에 의해 린스액을 자동 공급 및 환수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시스템은 제품 표면의 오염물을 세척 건조하는 건조기에서 지상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설치시간 및 관리가 용이하여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진공챔버(건조기) 내로 용제의 공급은 물론 저장탱크들로 환수가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진행되어 효율성과 안전성이 뛰어나고, 유분의 세정력이 탁월하여 세척력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제 드레인 시스템의 주요부 연결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계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진공 세척 건조기와 저장탱크로 용제를 공급과 환수하는 드레인 시스템에 관련되며, 크게 건조기(10), 용제탱크(20), 드레인수단(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드레인 시스템은 진공 세척 건조기에 지상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면서 용제를 공급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진공펌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세척액과 린스액을 자동 공급 또는 환수하는 방식을 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내부에 진공 상태에서 제품을 세척과 건조를 시행하는 건조기(10)를 사용한다. 건조기(10)는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등록번호(10-0622049호의 "진공 세척장치")에서 세척 건조기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지니는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정면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와 투시창, 라이트를 구비하면서 내부 양측면에 공간축소부를 구비한다. 이외에도, 건조기(10)의 내부 바닥에는 초음파진동자를 설치되어 세척 및 건조가 보다 원활하고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건조기(10)에는 공급유로(41)(44)와 환수유로(42)(45)가 용제 순환경로가 연결되고,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액과 린스액을 공급 또는 환수하여 저장하는 용제탱크(20)가 상기 건조기(10)에 이웃하여 격벽(25)으로 구분되는 세척탱크(22)와 린스탱크(23)를 설치한다. 용제탱크(20)는 건조기(10)에 이웃하게 설치되면서 격벽(25)에 의해 세척탱크(22)와 린스탱크(23)를 구비한다. 세척탱크(22)는 건조기(10)에 세척액을 공급 또는 환수하여 저장하고, 린스탱크(23)는 건조기(10)에 린스액을 공급 또는 환수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용제탱크(20)는 용제(세척액과 린스액)가 순환하는 유로(41)(42)(44)(45)를 통해 건조기(10)에 연결되어 세척액과 린스액을 공급 또는 환수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세척탱크(22)와 린스탱크(23)가 격벽(25)에 의해 구분되는데, 이는 만약에 세척탱크(22)에 세척액을 부족할 경우, 오염된 용제를 재생하는 재생탱크(미도시)에 의해 재생된 용제는 린스탱크(23)로 린스액을 공급하면 격벽(25)을 통하여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데, 이는 린스탱크(23)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넘어 흘러서 세척탱크(22)로 보충된다. 이에 따라 세척액과 린스액은 오버플로우를 이용하여 용제의 액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펌프(30)의 압력차에 의해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린스탱크(23)에 세척액과 린스액을 자동 공급 또는 환수하는 드레인수단(40)이 상기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린스탱크(23)의 사이에 분기되어 연결된다. 드레인수단(40)은 건조기(10)에 세척액과 린스액을 순차적으로 자동 공급 또는 환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진공펌프(30)의 압력차에 의해 자동 공급 또는 환수한다. 이에 따라, 진공펌프(30)는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의 압력을 조절하여 세척액과 린스액을 자동 공급 또는 환수하는데, 그리고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린스탱크(23)에는 각각 세척액과 린스액을 자동 공급 또는 환수하는 유로를 구비하고,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진공펌프(30)는 상기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의 사이에 분기되어 연결되면서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밸브(31)(32)와,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의 압력차를 발생하기 위해 진공도를 파괴하는 퍼지밸브(35)(36)를 구비한다. 진공펌프(30)는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 상에 진공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진공펌프(30)는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를 연결하는 유로(도면번호 미부여)에 의해 연결된다. 진공밸브(31)는 진공펌프(30)와 건조기(10)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진공을 형성하고, 진공밸브(32)는 진공펌프(30)와 용제탱크(20)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진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퍼지밸브(35)는 건조기(10) 상에 설치되어 용제탱크(20)의 압력차를 발생하기 위해 건조기(10)내의 진공도를 파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퍼지밸브(36)는 용제탱크(20) 상에 설치되어 건조기(10)의 압력차를 발생하기 위해 용제탱크(20)내의 진공도를 파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진공펌프(30) 및 진공밸브(31)(32)와 퍼지밸브(35)(36)를 이용하여 드레인수단(40), 즉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린스탱크(23)에는 각각 세척액과 린스액을 자동 공급 또는 환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드레인수단(40)은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의 공급유로(41)와 환수유로(42) 상에 진공펌프(30)의 압력차에 의해 세척액을 자동 공급 및 환수하는 개폐밸브(41a)(42a)를 구비하고, 건조기(10)와 린스탱크(23)의 공급유로(44)와 환수유로(45) 상에 진공펌프(30)의 압력차에 의해 린스액을 자동 공급 및 환수하는 개폐밸브(44a)(45a)를 구비한다. 드레인수단(40)은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 및 건조기(10)와 린스탱크(23)가 공급 및 환수하는 유로에 의해 연결된다. 즉,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는 공급유로(41)와 환수유로(42)가 세척액 순환경로를 구성하는데, 공급유로(41)는 세척액을 공급하는 유로이고, 환수유로(42)는 세척액을 환수하는 유로이다. 이러한 공급유로(41)에는 세척액의 공급을 위해 개폐하는 개폐밸브(41a)와, 환수유로(42)에는 세척액의 환수를 위해 개폐하는 개폐밸브(42a)가 각각 설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건조기(10)와 린스탱크(23)는 공급유로(44)와 환수유로(45)가 린스액 순환경로를 구성하는데, 공급유로(44)는 린스액을 공급하는 유로이고, 환수유로(45)는 린스액을 환수하는 유로이다. 이러한 공급유로(44)에는 린스액의 공급을 위해 개폐하는 개폐밸브(44a)와, 환수유로(45)에는 린스액의 환수를 위해 개폐하는 개폐밸브(45a)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드레인수단(40)은 진공펌프(30)에 의해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의 압력을 조절, 즉 압력차를 이용하여 세척액과 린스액을 각각의 유로(41)(42)(44)(45)를 통하여 각각의 개폐밸브(41a)(42a)(44a)(45a)를 개폐하여 자동 공급 또는 환수한다.
이외에도, 도면을 통하여 번호를 부여하지 않았지만, 건조기(10) 상에는 세척탱크(22)/린스탱크(23)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과 린스액의 량을 조절하는 레벨스위치와, 세척탱크(22) 상에 세척액의 량을 조절하는 레벨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작동에 있어서, 먼저 건조기(10) 상에 제품(후작업이 필요한 각종 산업용 부품 등)을 넣고 밀폐한 다음 진공펌프(30)를 작동하면서 용제탱크(20)의 퍼지밸브(36)를 개방하고 이와 함께 건조기(10)의 진공밸브(31)를 개방하여 건조기(10)에 진공상태를 형성한다. 이어서,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의 공급유로(41)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41a)를 개방하여 세척액을 건조기(10)에 공급한다. 이때, 건조기(10)에 유입되는 세척액 량이 High 이상으로 공급되면 개폐밸브(41a)는 자동으로 폐쇄된다. 이는 세척탱크(22)내로 대기압을 유입시켜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세척탱크(22)로부터 건조기(10)에 공급유로(41)를 따라 세척액을 원활하게 자동 공급한다. 그리고 건조기(10)를 가동하여 원하는 시간만큼 제품의 표면에 묻은 각종 유분 등을 세척액에 의한 1차적으로 세척되고, 필요에 따라 건조기(10)의 퍼지밸브(35)를 개방하여 버블(Bubble)을 진행하여 세척효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이처럼 세척액의 공급 작업이 완료되면 용제탱크(20)의 퍼지밸브(36)와 건조기(10)의 진공밸브(31)를 폐쇄한다.
그런 다음, 건조기(10)상에 제품이 세척액에 의해 1차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진공펌프(30)를 재작동하면서 건조기(10)의 퍼지밸브(35)를 개방하고 이와 함께 용제탱크(20)의 진공밸브(32)를 개방하여 용제탱크(20)에 진공상태를 형성한다. 이어서,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의 환수유로(42)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42a)를 개방하여 건조기(10)로부터 세척액을 세척탱크(22)로 환수한다. 이때, 건조기(10)에 유입된 세척액 량이 Low 이하로 환수되면 개폐밸브(42a)는 자동으로 폐쇄된다. 이는 건조기(10)내로 대기압을 유입시켜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건조기(10)로부터 세척탱크(22)에 환수유로(42)를 따라 세척액을 원활하게 자동 환수한다. 이처럼 세척액의 환수 작업이 완료되면 용제탱크(20)의 진공밸브(32)와 건조기(10)의 퍼지밸브(35)를 폐쇄하고 진공펌프(30)의 작동을 중지한다.
그리고 건조기(10)로부터 세척액을 완전히 환수한 다음에는 린스액에 의해 2차적으로 제품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진다. 진공펌프(30)를 작동하면서 용제탱크(20)의 퍼지밸브(36)를 개방하고 이와 함께 건조기(10)의 진공밸브(31)를 개방하여 건조기(10)에 진공상태를 형성한다. 이어서, 건조기(10)와 린스탱크(23)의 공급유로(44)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44a)를 개방하여 린스액을 건조기(10)에 공급한다. 이때, 건조기(10)에 유입되는 린스액 량이 High 이상으로 공급되면 개폐밸브(44a)는 자동으로 폐쇄된다. 이는 린스탱크(23)내로 대기압을 유입시켜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린스탱크(23)로부터 건조기(10)에 공급유로(44)를 따라 린스액을 원활하게 자동 공급한다. 그리고 건조기(10)를 하여 원하는 시간만큼 제품의 표면에 린스액에 의한 2차적으로 세척하게 된다. 이처럼 린스액의 공급 작업이 완료되면 용제탱크(20)의 퍼지밸브(36)와 건조기(10)의 진공밸브(31)를 폐쇄한다.
그런 다음, 건조기(10)상에 제품이 린스액에 의해 2차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진공펌프(30)를 재작동하면서 건조기(10)의 퍼지밸브(35)를 개방하고 이와 함께 용제탱크(20)의 진공밸브(32)를 개방하여 용제탱크(20)에 진공상태를 형성한다. 이어서, 건조기(10)와 린스탱크(23)의 환수유로(45)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45a)를 개방하여 건조기(10)로부터 린스액을 린스탱크(23)로 환수한다. 이때, 건조기(10)에 유입된 세척액 량이 Low 이하로 환수되면 개폐밸브(45a)는 자동으로 폐쇄된다. 이는 건조기(10)내로 대기압을 유입시켜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건조기(10)로부터 린스탱크(23)에 환수유로(45)를 따라 린스액을 원활하게 자동 환수한다. 이처럼 린스액의 환수 작업이 완료되면 용제탱크(20)의 진공밸브(32)와 건조기(10)의 퍼지밸브(35)를 폐쇄하고 진공펌프(30)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품 표면의 오염물을 세척 건조하는 건조기에서 지상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설치시간 및 관리가 용이하고, 제조원가 및 설치공간 등을 줄일 수 있어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드레인수단에 의해 진공챔버(건조기) 내로 용제의 공급은 물론 저장탱크들로 환수가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진행되어 효율성과 안전성이 뛰어나고, 별도의 펌프가 불필요하여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되게 되고, 1차 세척액 및 2차 린스액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에 대한 유분의 세정력이 탁월하여 세척력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건조기 20: 용제탱크
22: 세척탱크 23: 린스탱크
25: 격벽 30: 진공펌프
31,32: 진공밸브 35,36: 퍼지밸브
40: 드레인수단 41,44: 공급유로
42,45: 환수유로 41a,42a,44a,45a: 개폐밸브

Claims (3)

  1. 진공 세척 건조기와 저장탱크로 용제를 공급과 환수하는 드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내부에 진공 상태에서 제품을 세척과 건조를 시행하는 건조기(10);
    상기 건조기(10)에 이웃하여 격벽(25)으로 구분되는 세척탱크(22)와 린스탱크(23)를 설치하고, 세척액과 린스액을 공급 또는 환수하여 저장하는 용제탱크(20);
    상기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린스탱크(23)의 사이에 분기되어 연결되고, 진공펌프(30)의 압력차에 의해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린스탱크(23)에 세척액과 린스액을 자동 공급 또는 환수하는 드레인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30)는 상기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의 사이에 분기되어 연결되면서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밸브(31)(32)와, 건조기(10)와 용제탱크(20)의 압력차를 발생하기 위해 진공도를 파괴하는 퍼지밸브(35)(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수단(40)은 건조기(10)와 세척탱크(22)의 공급유로(41)와 환수유로(42) 상에 진공펌프(30)의 압력차에 의해 세척액을 자동 공급 및 환수하는 개폐밸브(41a)(42a)를 구비하고, 건조기(10)와 린스탱크(23)의 공급유로(44)와 환수유로(45) 상에 진공펌프(30)의 압력차에 의해 린스액을 자동 공급 및 환수하는 개폐밸브(44a)(45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시스템.
KR1020120014010A 2012-02-11 2012-02-11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장치 KR20130139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010A KR20130139411A (ko) 2012-02-11 2012-02-11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010A KR20130139411A (ko) 2012-02-11 2012-02-11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411A true KR20130139411A (ko) 2013-12-23

Family

ID=4998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010A KR20130139411A (ko) 2012-02-11 2012-02-11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94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4916A (zh) * 2019-10-10 2019-12-31 常熟常江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测试杯清洗模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4916A (zh) * 2019-10-10 2019-12-31 常熟常江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测试杯清洗模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27972U (zh) 洗碗机
CN204320713U (zh) 一种碳氢清洗干燥设备
US9777424B2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BRPI0610174A2 (pt) método para a limpeza de grupos de artigos de vidro
IT1248793B (it) Macchina lavastoviglie in particolare per stoviglie di piccole dimensioni
CN105442273A (zh) 用于洗衣机的进水系统和洗衣机
KR20130139411A (ko) 진공 세척 건조기의 용제 드레인 장치
CN103898717A (zh) 洗衣机的排水装置
CN105088688A (zh) 洗衣机及其自动投放系统
BRPI1103942B1 (pt) sistema de fornecimento de insumos de lavagem e lavadora provida de sistema de fornecimento de insumos de lavagem
US20180214000A1 (en) Dishwasher
CN202595795U (zh) 太阳能硅片生产用水循环利用装置
CN217121054U (zh) 硅片清洗设备
JP2013251383A (ja) ウェハ洗浄装置及び洗浄槽の洗浄方法
PE20090527A1 (es) Metodo para limpieza interna de una maquina lavadora de ropas
CN205074283U (zh) 新型清洗装置
CN210263249U (zh) 一种清洗槽
CN111334979B (zh) 一种洗衣机和控制方法
KR100492319B1 (ko) 세탁기의 급수 제어 방법
US7497099B2 (en) Ultrasonic washing method for clothes
CN217289517U (zh) 一种液冷服务器清洗装置
CN110544649B (zh) 批次式湿法蚀刻清洗装置及批次式湿法蚀刻清洗方法
KR20100042986A (ko) 드럼세탁기
CN104624552A (zh) 硅片清洗机溢流纯水循环系统
KR102080581B1 (ko) 보조 수조를 구비한 플라즈마 세탁기 및 오존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218

Effective date: 2013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