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302A - Gis에서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 및 연결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Gis에서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 및 연결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302A
KR20130139302A KR1020137014203A KR20137014203A KR20130139302A KR 20130139302 A KR20130139302 A KR 20130139302A KR 1020137014203 A KR1020137014203 A KR 1020137014203A KR 20137014203 A KR20137014203 A KR 20137014203A KR 20130139302 A KR20130139302 A KR 20130139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ring
data
floor
g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렉 앙주바인
제임스 커프
Original Assignee
큐브 리스 아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브 리스 아이엔시. filed Critical 큐브 리스 아이엔시.
Publication of KR20130139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30Polynomial surface descri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Abstract

본 발명은 GIS에서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 및 연결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GIS 기능 웹브라우저를 포함한 프론트엔드의 유저인터페이스, 백엔드의 데이터베이스, 및 유저인터페이스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응용계층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는 건물테이블, 스위트 테이블, KML링 테이블 및 카메라테이블을 포함한 다수의 테이블을 갖는다. 이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일단 검색할 정보의 종류를 정하면, 검색정보를 보여주는 표시자(KML 링)으로 도시지역의 시각적 표현을 GIS 웹브라우저를 볼 수 있다. KML링을 삽입하는 방법에서, 먼저 건물 최하층을 둘러싸는 기본링으로 시작해 건물의 가용 부분에 대한 KML 링이 생성된다. 다음, 기본링은 가용 최고층에 해당하는 건물 고도까지 상승된다.

Description

GIS에서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 및 연결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방법{Creating and Linking 3D Spatial Objects with Dynamic Data, and Visualizing said Objects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본 발명은 GIS에서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 및 연결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즈니스 데이터의 70~80% 정도는 거의 지리적 요소를 갖는다. GPS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카메라, 태블릿, 내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해 지리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향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건물은 사회적으로 기본적인 객체이다. 공통체 기능, 조직, 회사, 사회적 상태, 기타 많은 종류의 정보가 건물주소와 관련되는 경우가 많다. 부동산의 경우, 건물과 건물내 공간은 시장성을 갖는 제품이고, 자산의 특성을 설명하는 대량의 정보가 생성된다.
건물의 지리적 데이터와 기준시설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해당 건물에만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3D 공간으로 보여주는 범용 방법은 없다.
각종 미디어 형태의 데이터와 콘텐트를 조합하는 기존의 수단들은 일반적으로 브라우저내의 여러 스크린들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요소를 결합한다. 이런 식의 데이터 구분방법은 데이터를 어떤 장소와 결합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매각용이나 임대용 부동산의 용도는 2차원 포맷으로 표시되어, 보통 경도와 위도로 장소를 보여주는 맵, 사진이나 비디오와 같은 비주얼 미디어로 건물 내외부를 보여주거나, 평면도 사진을 보여주거나, 가격, 기간, 특수한 특징, 브로커 정보와 같은 다른 정보를 보여준다. 이런 정보를 2차원으로 보여줄 경우, 건물이 밀집되거나, 한 건물내의 여러 자산들을 표시하거나, 여러 층들을 각각 보여줄 때는 문제가 있다. 또, 부동산 획득과정에 관한 정보는 2차원 표현으로는 접근할 수 없거나 잃을 우려가 있다. 이런 2차원 표현의 예로는 스위트뷰(suite view), 건물의 상대적 크기, 건물 내부나 부근의 부동산 용도(매매, 임대) 등이 있다.
최근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과 같은 툴을 이용해 가상 세계지도의 특정 위치를 대중에게 보여줄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구글어스이다. 이 지도는 2차원 형태로 렌더링되고, 건물이나 인프라와 같은 지리적 객체들이 3차원으로 렌더링된다. 컴퓨터기반 데이터처리 어플인 GIS는 데이터입력용 언어를 사요하고, 대개 스크린에 결과 영상을 출력한다. 예컨대 구글어스는 KML(Keyhole Markup Language)란 GeoXML 언어를 사용해, 2차원과 3차원 지도상에 지리적 표시와 영상을 보여준다. 건물의 외관 모양과 같은 특징들은 구글어스에서는 KML로 표시된다.
지리학적으로 오일이나 개스 관련정보를 보여주는 것처럼 GIS로 지리적 특징을 보여주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오일이나 개스 데이터들을 근거로 출력파일들을 생성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드릴활동, 토지면적, 유정정보, 유정 생산, 토양활동 토지경계와 같은 정보를 이용한 출력파일들을 GIS에서 위성영상에 오버레이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지상 위의 구조물에서의 응용에 관한 정보는 없다. 예컨대, 부동산 설명서내의 GIS에서 볼 수 있는 3차원 구조물내의 가용 공간이나 장소를 결정하고 보여줄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지리학적으로 고유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도록 GIS내의 3차원 구조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GIS에서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 및 연결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GIS 기능 웹브라우저를 포함한 프론트엔드의 유저인터페이스, 백엔드의 데이터베이스, 및 유저인터페이스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응용계층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는 건물테이블, 스위트 테이블, KML링 테이블 및 카메라테이블을 포함한 다수의 테이블을 갖는다. 이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일단 검색할 정보의 종류를 정하면, 검색정보를 보여주는 표시자(KML 링)으로 도시지역의 시각적 표현을 GIS 웹브라우저를 볼 수 있다. KML링을 삽입하는 방법에서, 먼저 건물 최하층을 둘러싸는 기본링으로 시작해 건물의 가용 부분에 대한 KML 링이 생성된다. 다음, 기본링은 가용 최고층에 해당하는 건물 고도까지 상승된다. 사용자가 GIS를 이용해 가용 공간을 보는 다른 방법도 있다. 사용자가 시스템에 도시와 마켓과 허브마켓을 규정하면, KML과 같은 언어코드에 의해 건물의 모습으로 표현된 가용 공간을 갖는 서브마켓의 뷰가 사용자에게 제시되고, KML은 쿼리를 통해 조립되며 스위트 둘레에 링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공간면적, 임대종류, 뷰포토, 평면도와 같은 가용공간에 관한 더이상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끝으로, 사용자는 자산관리자나 소유자에게 연락하여 이 공간을 볼 것을 예약할 수 있다.
3D 공간객체를 생성, 연결 및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자산요약을 규정한 멀티-지오메트리 스트링을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건물등급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건물등급마다 다른 스타일을 할당하는 단계; 각 건물의 각 층(플로어)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각 건물의 멀티-지오메트리 다각형을 생성하고, 층데이터를 이용해 각 건물을 상기 할당된 스타일에 연계하는 단계; 상기 멀티-지오메트리 다각형과 스타일의 스트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트링에서 공간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객체를 그래픽정보 시스템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오버레이 파일을 이용해 배경의 중요도를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플로어나 건물의 특성을 기초로 와이어 구조에 컬러를 입힐 수있다.
이 방법에서, 상기 공간객체가 건물이나 구조물의 외관을 정확히 표현한 것이고, 상기 외관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도 독립적인 공간객체를 이루며, 이런 공간객체가, 건물이나 구조물의 외관의 정확한 와이어모델; 및 와어이모델에 포함되는 정확한 각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여러 지리적 점들 사이의 가상의 플라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로 보내지는 GUI를 받는 단계; 상기 지리적 점들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건물식별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받는 단계; 상기 플라이트의 시작점과 종점을 결정하는 단계; CPU를 이용해 받은 데이터로부터 지리적 점들과 관련된 구조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플라이트의 시작점과 종점에 대한 카메라뷰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CPU와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상기 플라이트를 생성하고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GUI가 URL에 포함될 수 있다. 또, 지리적 점들이 임대장소이고, 건물식별정보가 임대데이터일 수 있다. 또, 구조물이 링, 및 링과 관련된 데이터를 갖는 링 부근의 풍선일 수 있다. 또, 이 방법이 플라이트를 중단하는 단계와 플라이트를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링을 생성해 업로드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링을 생성할 건물을 표시하는 단계; GIS를 이용해 건물의 기초 링을 생성하여, 일련의 점들을 하나의 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기초링을 건물의 고도까지 상승시켜, 건물의 층들을 나타내는 일련의 링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일련의 링들을 데이터시스템에 업로드하여 GIS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건물의 디폴트 카메라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GIS내 건물의 한 층의 기본 뷰를 보여주는 방법도 제공한다. 이 방법은, 건물의 층을 선택하는 단계; 뷰 방향을 선택하는 단계; GIS와 건물의 층과 뷰 방향을 이용해 바람직한 지점을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을 GIS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건물테이블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스위트 테이블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KML 테이블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연락처 테이블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5A는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는 데이터 입력과정의 1~2 단계들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5B는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는 데이터 입력과정의 3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6은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는 데이터 출력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7은 GIS내 건물 주변의 KML 링의 실제 뷰;
도 8은 GIS 건물 주변의 KML 링의 다른 뷰;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쇼-플라이트 기능에서의 데이터 움직임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지오메트리 기능에 관한 데이터 움직임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0b는 GIS내 디스플레이된 건물의 와이어모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여행사를 위해 호텔을 보여주는 과정의 순서도;
도 12는 KML 플러어뷰 과정의 순서도.
이하 부동산시장에서 3D 공간객체의 생성과 연결에 대해 설명하겠지만, 동적 데이터를 갖는 3D 공간객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시장(예; 건설분야)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런 응용을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GIS 시스템을 이용해 선택한 건물이나 건물의 특정 스위트(suite)를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표시자로 이용가능한 부동산이나 임대공간을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3차원 화면을 보여주는 GIS를 사용해 고객이 건물이나 건물내 공간이나, 지역 환경이나, 도시나 시장의 내부상황을 보여주는데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편집된 역사적 데이터를 활용해 부동산의 가용성이나 과거 가격도 보여줄 수 있다.
서버에서 동작하는 MySOL®과 같은 데이터테이블이 관련 데이터베이스 안에 공존한다. 일례로, 이 데이터베이스는 하드디스크나 RAM에 저장된다. 서버는 리눅스 기반 Apache® 웹서버와 같은 웹서를 이용해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일부 존재하는 유저인터페이스에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인터넷익스플로러나 구글의 크롬과 같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해 구글어스와 같은 GIS 플러그인에 접속할 수 있다. 구글어스 웹플러그인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일례로 3D 건물레이어가 있는데, 이 데이터는 구글로 동작하고 구글의 3D 웨어하우스로 관리된다. GIS와 부동산 이용 시스템의 연계는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3D 환경내의 어떤 장소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부동산 이용 시스템의 서버에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라우터나 전송선을 통해 전송이 이루어지며, GIS 시스템의 데이터는 부동산 이용 시스템의 데이터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부동산이용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관련된 여러 메인테이블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는 건물테이블(100), 스위트 테이블(200), 플로어 테이블(250), KML 링테이블(300) 및 카메라 테이블(400)이 있다. 도 1에서, 건물테이블(100)은 각 건물에 관한 데이터, 예컨대 주소(110), 층수(120), 및 건물의 업종을 설명하는 건물 등급(130)과 같은 필드로 이루어진다. 테이블마다 이곳에 포함된 각각의 기록을 식별할 고유 키필드를 갖는다. 예컨대, 각각의 기록을 별도로 식별할 건물 ID 필드(140)가 있다. 한편, 구매자나 임차인에게 건물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다른 필드도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부동산 중개업자가 사용할 서브마켓 ID(150)가 있으며, 그 외에도 건물명, 준공년도, 마지막 보수일, 주차대수, 주차요금, 사무실이나 주거지나 매장의 면적, 관리회사, 관리비, 건축가, 건물인증서 등이 있다. 건물마다 바람직한 카메라앵글(160)이 있는데, 이 필드는 카메라 테이블(400)에 연결되고, 이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 건물은 필연적으로 도시나 시장내에 위치하므로, 시티테이블(500)이나 마켓테이블(600)에 연결되는데, 이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한 건물이 하나 이상의 인증서를 가질 수도 있고, 이런 인증서들은 인증서 테이블(700)에 의해 고유 건물에 연결되며, 이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건물테이블(100)이 건물정보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 정보는 대부분 중개업자에 의해 수집된다.
도 2에 의하면, 스위트 테이블(200)은 스위트 번호(210)에 관한 정보와, 룸면적, 설명서, 건물평면도, 임대료, 임대기간을 포함한 다른 정보를 포함한다. 스위트 입구마다 고유 스위트 ID(220)를 받는다. 스위트 테이블(200)은 스위트 미디어테이블(235)를 통해 미디어테이블(230)에 연결되고, 미디어테이블(230)은 스위트에 연결되는 다양한 미디어, 예컨대 URL 필드(232)내의 URL 어드레스에 포함된 스위트의 비디오 화면 등을 포함한다. 플로어 테이블(250)은 스위트 플로어테이블(255)에 의해 스위트 테이블(200)에 연결되고, 플로어테이블(250)은 건물테이블(100)에 연결되며, 스위트가 위치하는 층수(260)를 포함한다. 스위트가 복층이거나, 한층에 여러 스위트가 있을 수 있다. 스위트 테이블(200)은 스위트 임대종류 테이블(280)에 연계되며, 이 테이블(280)은 스위트의 임대에 관한 이력정보, 예컨대 임대종류(282)와 시작일(284)과 종료일(285)을 포함한다. 스위트 테이블(200)과 플로어테이블(250)은 건물정보 자체로 활용되고, 중개업자에 의해 수집된다.
당업자라면 예를 든 실시예인 KML이 GML(Geography Markup Language)의 일례로서, 2차원이나 3차원 GIS에서 지리적주석이나 시각적 표현을 하는 표시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는 GML이 있다.
도 3의 KML 링테이블(300)은 KML 링에 관한 데이터를 갖는데, KML 링에 의해 컬러 링과 같은 표시자가 방을 쓸 수 있는 건물 주변에 나타나는데, 이런 링은 다른 색을 갖거나 투명도를 달리하면서, 장기리스나 전대와 같은 리스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KML 컬러필드는 투명도를 정하는 요소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이 표시자는 건물내 어떤 층을 둘러싸는 링이 아닌 다른 형태, 예컨대 직사각형, 화살표, 막대나 직선으로 가용 공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KML 링테이블(300)은 좌표필드(310)내의 KML 코드에서의 링의 포맷에 관한 데이터는 항상 갖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컬러(312), 폭(313), 정원(314), 고도(315), 플로어(316)와 같은 데이터를 가질 수도 있다. KML 링테이블(300)내의 각각의 엔트리는 플로어(316)에 연계되고 좌표필드(310)를 갖는데, 좌표필드는 링을 보충하는 기준점들의 경도와 위도와 고도를 통해 GIS의 3차원 공간에 링을 배치한다.
KML 스트링 테이블(350)은 스트링 필드(340)내에 KML 견본들을 갖는데, 각각의 견본은 건물 주변의 어떤 구조를 나타내는바, 예컨대 특정 층 둘레의 링, 건물 하부를 가리거나 어떤 층에서부터 내려지는 커튼, 또는 건물의 여러 중간층들을 둘러싸는 벨트가 있을 수 있다. KML 링테이블(300)과 KML 스트링테이블(350)이 협력하여 어떤 층(플로어)을 둘러싼 링을 표현한다. KML 스트링테이블(350)내의 스트링 필드에 들어있는 견본은 여러 빈칸을 제외하고는 GIS가 판독할 수 있는 완벽한 KML 스트링을 포함한다. 빈칸들은 KML 링테이블(300)에서 출력된 데이터, 예컨대 링이 그리는 기준점의 좌표, 컬러(312), 폭(313), 기타 이 테이블에 있는 링을 표현하는 다른 정보로 채워진다. 링의 투명도는 KML 견본 자체내에서 조절된다. KML 링테이블(300)내의 엔트리는 플로어테이블(250)내의 플로어(260)와 관련되어, 링을 그리기위한 KML 코드를 특정 플로어에 대해 추적할 수 있다. 새로운 KML 링이 그려지거나 다른 KML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되면, KML 코드가 먼저 KML 임포트 테이블(270)에 삽입되는데, 이 테이블(270)은 링의 좌표(272), 사용자명(273), 사용자 주소(274), 입력된 KML의 상태(275)와 같은 정보를 보유한다. KML 링테이블(300)은 도 5에서 설명하는 링 생성을 위한 데이터입력 방법에 덧붙여진다.
도 1에 의하면, 카메라 테이블(400)에는 GIS내의 바람직한 카메라뷰에 관한 데이터와, 카메라 위치에 대한 고도(410), 경도(420), 위도(430), 및 이에 맞춰 카메라뷰를 조절할 헤딩(440)과 틸트(450)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다. 카메라 테이블(400)은 기본적으로 GIS내 건물의 위치의 기준으로 활용되거나, 건물을 찍는 최적 위치로 카메라를 배치하는데 활용된다. 디폴트 카메라뷰는 건물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자마자 생성된다. 카메라뷰는 시티, 마켓 및 서브마켓에도 활용되고, 사용자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해 GIS내에서 자기 위치를 바꾸기 전의 초기 카메라 포지셔닝을 제공한다.
도 1의 시티테이블(500)은 주(505), 국가(510)는 물론 도시에 대한 바람직한 카메라뷰(520)와 같은 도시에 관한 정보를 담고있다. 바람직한 카메라뷰(530)를 위해, 시티테이블(500)은 카메라테이블(400)에 연계된다. 시티가 아닌 마켓을 분할하는 다른 수단은 마켓테이블(600)에서 설명하는 마켓이나, 서브마켓 테이블(650)에서 설명하는 서브마켓이 있다.
도 1의 인증서 테이블(700) 은 건물이 가질 수 있는 인증서에 관한 정보를 담고있고, 건물인증서 테이블(710)을 통해 건물에 연계된다. 한 건물이 에너지효율, 재활용도, 지진에 대한 안전도와 같이 환경에 따라 여러 인증서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건물들은 건물 연락처테이블(790)의 연락처와 연결되고, 이 테이블은 자산관리자나 소유자와 건물을 연계한다. 연락처테이블(800)은 타이틀(812), 전화번호(813), 이메일(814)와 다른 연락처를 담고있고, 하나의 연락처가 여러 건물에 연결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여러 연락처가 한 건물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연락처마다 연락처명부를 갖는데, 이런 연락처명부는 연락처명부 테이블(820)에 들어있다. 연락처명부의 예로는 부동산 브로커, 부동산 에이전트, 자산관리자, 임대업자가 있다. 각각의 연락처는 회사테이블(850)을 통해 회사에 연결되는데, 회사테이블에는 사명(862), 주소(863), 설명(864)과 같은 회사 정보가 들어있다. 스위트도 하나 이상의 연락처를 갖고, 이런 연락처는 스위트 연락처 테이블(900)에 의해 연락처테이블(800)에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4개의 메인테이블, 즉 건물테이블(100), 스위트 테이블(200), KML 링테이블(300) 및 카메라테이블(400)과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링을 만들기 위한 데이터 입력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법은 이해의 편의상 3단계: 즉, KML 링 생성의 1단계; KML 링 업로드의 2단계; 및 시스템 프로세싱의 3단계로 구분된다. 도 5A를 참조하여 KML링 생성의 1단계의 각 단계들(1010~1050)에 대해 설명한다. 이 단계들(1010~1050)이 실행되면 경도와 위도와 고도로 결정된 KML 장소가 생기는데, 이 장소는 건물에 대한 외부 풋프린트를 나타내는 건물의 최고점에 해당한다. 1010 단계에서는 분석가는 플레이스 마크를 이용해 링 생성을 위해 선택한 건물을 나타내는 KML 파일을 로드한다. 1020 단계에서, 분석가는 플레이스 마크로 표시된 건물의 주소를 식별한다. 1030 단계에서, 분석가는 GIS를 이용해 해당 건물의 기초 링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링의 한 점을 나타내는데 여러 점(경도, 위도 및 고도)을 이용하고, 모든 점들이 연결될 때 하나의 링이 생긴다. 이런 기초 링은 보통 건물의 최하층을 둘러싼다. 1040 단계에서, 기초 링을 가용 최고층에 해당하는 건물의 고도까지 상승시킨다. 1050 단계에서, 이 링을 나타내는 지점들을 표현하는 KML이 1020 단계에서 확인된 건물 주소와 같이 저장된다. 뉴욕시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처럼 고도가 높아지면서 형상이 변하는 건물을 위해, 건물이나 건물형상에 대한 KML 링생성법을 반복해 KML 링의 좌표데이터를 정제관리하는데, 이때 건물이나 구조의 처음 통과에서 수집된 좌표데이터와의 차이를 적용한다.
2단계로 KML링 업로드 단계들(1110~1170)에 대해 설명한다. 이번 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분석가에 의해 생성된 KML 파일들이 업로드되어 데이터 시스템에 입력된다. 1110 단계에서, 분석가는 데이터 입력과 유효화를 위한 툴들을 갖고있는 데이터 관리영역을 항해한다. 1120 단계에서, 분석가는 KML을 데이터시스템에 로드하는데, 이때 1130 단계에서의 건물을 위한 올바른 서브마켓을 선택하고 1140 단계에서 업로드할 파일을 정한다. 1150 단계에서는 가용 층수를 업로드하고, 1160 단계에서는 분석가가 GIS 어플을 이용해 건물의 카메라뷰를 찾아, 업로드중인 건물의 디폴트뷰로 사용될 좌표를 설정한다. 1170 단계에서, 분석가는 건물들과 위의 값들을 백엔드 처리를 위해 제공하고, KML 임포트 테이블(270)에 이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제 도 5B를 참조해 3단계의 과정들(1210~1290)에 대해 설명한다.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제공된 정보를 분석해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한다. 1210 단계에서 업로드된 KML 파일이 서버내 임시 폴더에 저장된다. 1220 단계에서는 KML 파일의 분석이 시작되고, 1230 단계에서는 KML 파일에서 건물주소를 떼어내 주소파일(110)에 입력한다. 1240 단계에서는, 링을 표시하는 모든 점들의 좌표스트링(경도, 위도, 고도)들이 KML 파일로부터 분석된다. 1250 단계에서는 한 점의 좌표스트링에서 고도가 분석되고, 1260 단계에서는 1150 단계에서 제출된 층수가 플로어테이블(250)에 층수(260)로 입력된다. 1270 단계에서는, 건물의 평균 층높이가 계산되어 KML 링테이블(300)에 폭(313)으로 저장된다. 1280 단계에서는 층수(260), 평균 층높이 및 계산된 층 고도를 갖는 플로어테이블(250)에 플로어들이 입력된다. 1290 단계에서는 건물에 좋은 카메라뷰가 카메라테이블(400)에 입력되는데, 이 테이블은 경도(410), 위도(420), 고도(430), 헤딩(440) 및 틸트(450)에 관한 필드데이터를 갖는다.
도 6에서는 적절한 링을 예로들어 최종 사용자에게 부동산 가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최종사용자는 필드를 갖는 양식을 이용한 쿼리를 제공하고, 관심을 갖는 마켓이나 건물의 GIS 뷰를 표시자와 함께 받는데, 이런 표시자의 예로는 도 7~8에 보여주는 가용공간이나 이 공간의 질을 보여주는 전술한 링과 같은 것이 있다. 이 방법의 단계들을 설명하겠는데, 여기서 앞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응용계층을 통해 전달되며, 응용계층은 백엔드 처리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쿼리들을 조합한다. 이어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생긴 결과들은 응용계층을 통해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로 되돌아간다. 2010 단계에서 사용자는 웹브라우저를 열어 가용공간을 검색한다. GIS가 사용자에게 북미지역의 뷰를 제시하고, 사용자는 2020 단계에서 도시를 선택한다. 선택된 도시는 2030 단계에서 구조적 쿼리로 조립되고, 2040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가 이 쿼리를 받고 도시의 저장된 카메라뷰와 마켓리스트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돌려놓는다. 2050 단계에서 사용자는 자기가 선택한 도시와 마켓의 뷰를 받는다. 2060 단계에서 선택된 마켓이 구조적 쿼리로 조립되고, 2070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이 쿼리를 받고 마켓의 저장된 카메라뷰와 서브마켓 리스트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돌려놓는다. 2080 단계에서 사용자는 자기가 선택한 마켓의 뷰와 서브마켓을 받는다. 2090 단계에서 선택된 서브마켓이 구조적 쿼리로 조립되고, 2100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가 쿼리를 받고 서브마켓에 대한 가용 검색기준 리스트와 서브마켓의 저장된 카메라뷰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되돌린다.
2110 단계에서 사용자는 임대면적, 장기임대, 단기임대, 건물등급과 같은 검색기준을 선택한다. 2120 단계에서 이 검색이 구조적 쿼리로 조립되고, 이 쿼리는 데이터베이스로 보내진다. 2130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쿼리가 운용되고 검색결과가 KML로 생성되어, 서버에 저장되고 응용계층에 보내진다. 2140 단계에서, KML이 데이터베이스에서 복귀하는 세그먼트로부터 조립된다. 복귀된 각각의 임대는 KML 스트링에 생성되고, 이 스트링이 견본에 첨부되어, 링을 형성하는 KML 도큐먼트를 생성한다. KML은 재사용의 편의를 위해 서버에 저장된다. 2150 단계에서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KML 링이 사용자의 브라우저의 GIS에 디스플레이되는데, 도 7~8이 그 일례이다. 2160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된 KML 링에서 임대가 선택되고, 2170 단계에서 이런 선택이 구조적 쿼리로서 데이터베이스에 보내지고, 2180 단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임대 상세내역이 돌아간다. 구체적으로 임대 상세내역은 2190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것이고, 2200 단계에서 구조적 쿼리가 데이터베이스로 보내지며, 2210 단계에서는 사진, 건물평면도, 자산관리정보와 같은 좀더 구체적인 상세내역이 돌아간다.
사용자가 임대 관계자와 연락하고싶으면, 2220 단계에서 이를 나타내는 요청을 제출하는데, 이런 요청은 2230 단계에서 응용계층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보내지는 구조적 쿼리이고, 2240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에게 연락정보를 보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흐름과 쇼-플라이트(show-flight) 기능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플라이트는 여러 지점들 사이에서 GIS를 통한 가상의 여행을 의미하고, 플라이트에서 만난 지리적 특징들이 사용자를 위해 디스플레이된다. 원하는대로 여러번 복귀되고 재생될 수 있는 것이 검색-장소 변수 세트로서, 새로운 데이터처럼 개조되어 시스템에 추가된다. 플라이트는 관심 건물마다 멈춰 사용자가 이 건물이나 층에 관한 데이터를 받을 기회를 주는데, 이런 데이터는 스크린의 측면패널에 나타난다. 세개의 컬럼이 나타나는데, 첫번째는 유저인터페이스이면서 랩탑과 같은 고객의 컴퓨터에서 운용되는 프론트엔드를 나타내고; 두번째 컬럼은 웹서버나 웹서버 뒤의 어플 서버에서 운용되는 응용계층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클라이언트나 서버에서 운용되는 어플은 프론트계층과 백엔드 사이의 데이터를 처리전송한다. 백엔드를 나타내는 세번째 컬럼은 데이터서버와 데이터베이스 계층으로서, 웹서버에 존재하지만 별도의 데이터서버처럼 자주 발견되고, 데이터서버에서 데이터가 검색되고 조작되며 데이터-집약 계산이 실행된다. 데이터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웍을 통해 전송되는데, 각각의 컴퓨터는 네트웍 인터페이스카드를 이용해 다른 컴퓨터와 통신을 동기화하고 확인한다.
3010 단계에서 사용자는 특정 GUID(Globally Unique Identifier)를 갖는 플라이트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를 랩탑컴퓨터와 같은 장치에 있는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에 타이핑하고, 이것은 적당한 서버의 응용계층에 보내지며, 이 응용계층은 3020 단계에서 URL에서 GUID를 추출한다. GUID는 백엔드 데이터서버와 데이터베이스로 보내지고, 3030 단계에서는 이 플라이트와 관련된 지리적 장소(부동산의 경우 임대장소)를 검색하며, 플라이트 생성자의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고 총 플라이트 방문수를 증가시킨다. GIOD는 응용계층에서 3020 단계에서 3040 단계로 보내지기도 하는데, 응용계층에서는 플라이트의 뷰를 개시하고 종료하기 위해 서브마켓과 같은 첫번째와 마지막 장소는 물론 지리적 장소(임대장소)와 관련된 건물정보를 찾아 추출한다. 3050 단계에서는 이런 데이터가 백엔드로 보내져 임대와 관련된 건물데이터와 임대용 KML 데이터를 검색하고; 3040과 3050 단계의 데이터가 3060 단계에서 응용계층에 사용되어, 플라이트내 임대와 관련된 KML 링과 풍선을 만든다. 링이나 건물의 각종 특징이나 데이터를 나타내는 건물이나 링 가까이 풍선이 나타난다. 또, 3070 단계에서 시스템은 이 데이터를 이용해 임대와 관련된 영상을 검색하고, 3080 단계에서는 임대장소의 최초 및 최종 서브마켓을 위한 카메라뷰 데이터를 검색한다. 3060, 3070, 3080 단계들의 데이터는 3090 단계로 보내지고, 이 단계에서는 플라이트에 포함된 임대장소의 뷰와 서브마켓 뷰를 근거로 KML 투어가 생긴다. 3100 단계에서는 이 투어가 GIS 어플을 이용해 보여주기 위해 조립되고, 관련 임대데이터가 스크린 우측에 나타나고, 그동안 사용자는 투어를 계속한다. 우측의 임대데이터는 자산관리자의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쇼플라이트 투어의 이용을 촉진하는 특징들이 여럿 있다. 사용자가 3110 단계에서 "PAUSE FLIGHT" 기능을 사용하면, 3120 단계에서 응용계층이 적절한 GIS 어플기능을 호출하여 KML 투어를 정지시키는데, 이 기능은 사용자를 위해 정지특징을 취급하고, 여기서 모든 세팅들은 저장되며 사용자는 같은 지점에서 투어를 재개할 수 있다. 3130 단계에서 사용자는 "REPLAY FLIGHT" 특징을 사용할 수 있는데, 3140 단계에서는 적절한 GIS 어플기능을 호출해 이 기능이 작동되며, GIS 어플은 사용자를 위해 투어를 재개한다. 3150 단계에서 사용자가 "MORE INFO" 링크를 클릭하고, 3160 단계에서 선택된 임대장소에 대한 더이상의 정보를 보여주며, 이런 정보는 3030 및 3050 단계에서 이미 검색된 것이다. 3170 단계에서 사용자가 "CONTACT BROKER"를 선택할 수 있고, 3180 단계에서는 연락 브로커 양식이 나타나고, 이 양식은 3190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채워져 제출된다. 3200 단계에서는 브로커에 연락하기 위한 사용자의 정보와 메시지가 작성된다. 3210 단계에서 브로커의 이메일주소를 백엔드에서 검색해, 3220 단계에서 응용계층에 보내고, 여기서 이메일이 조립되어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다음 브로커에게 보내진다. 3230 단계에서 사용자가 "VIEW SUITE" 기능을 택하거나 프론트엔드 유저인터페이스내 건물링크를 클릭하면, 3240 단계에서 응용계층이 카메라뷰를 적절한 건물로 이동시키고 풍선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이 경우, 건물 인근의 풍선은 미디어테이블(230)과 스위트 테이블(200)의 데이터를갖고 평수와 같은 여러 특징들을 사용자에게 보여주지만, 어떤 데이터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지오메트리 기능의 순서도이다. 이 기능은 건물을 도 10b와 같은 와이어구조로 보여줄 수 있고, 임대공간, 렌트, 가용성과 같은 정보를 다른 건물들 사이에서 눈에 띄게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층마다 색깔별로 구분할 수 있다. "와이어모드"는 구글어스와 같은 GIS의 건물과 도로 계층을 대체한다. 이 기능에 의하면 공간객체를 3가지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보여주는데: a) 실제 건물이나 구조물을 정확히 표현하거나; b) 건물 정보를 전체적으로나 한층 단위로 보여주도록 건물을 3D화하거나; c) 건물 밑에 안보이게 내부정보를 저장하거나 링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마우스 동작이나 클릭으로 드러나도록 함.
3510 단계에서, 프론트엔드에서 사용자가 "WIRE MODE"를 선택한다. 3520 단계에서, 응용계층에서 구글어스의 뷰의 건물과 도로 계층이 없어지고 와이어모드로 대체된다. 또, 응용계층에서, 3530 단계에서, 선택된 도시가 검색형태로부터 검색되고 표준화된 검색파일인 비동기 자바스크립트와 XML(Ajax) 리퀘스트가 3540 단계로 보내진다. 3540 단계에서 초기 멀티-지오메트리 KML 스트링이 생성되고, 정상적이고 작동된 요소들의 아우트라인 특성과 폭이 규정된다. 3550 단계에서 건물 등급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고, 이 데이터는 3560 단계로 보내진다. 3560 단계에서 각각의 건물등급에 대한 스타일맵 ID들이 생성되고, 각 건물에 고유 색상과 같은 고유 표현이 할당된다. 3570 단계에서 건물 각층의 KML 데이터가 검색된다. 3570 단계의 KML 층데이터를 이용해, 각 건물의 멀티-지오메트리 다각형이 생성된다. 멀티-지오메트리 건물들의 스타일이 데이터베이스내의 건물관련 변수의 함수일 수 있으므로, 각각의 건물은 그 등급을 근거로 적당한 스타일에 연계된다. 도 11은 요금에 의한 호텔 등급을 기준으로 멀티-지오메트리 스타일을 설명하고, 이에 따라 야간 객실료에 따라 호텔의 색상이 다르다. 3590 단계에서 완성된 KML 스트링이 호출방법으로 돌아가고, 3600 단계에서는 이런 KML 스트링으로부터 KML 공간객체가 생성된다. 다음, 이런 공간객체에 이름을 붙여 구글어스와 같은 GIS 뷰로 밀어넣는다. 또, 이런 뷰에 오버레이 파일도 넣어질 수 있다. 오버레이 파일은 배경(흔히 위성)을 바꿀 수 있어, 예컨대 "붐비는" 배경은 불투명한 회색이나 흑색으로 덮어씌워 중요도를 낮추고 사용자가 구조물에 더 집중하도록 한다.
3610 단계에서 사용자가 "NORMAL MODE"를 선택하면, 응용계층이 3620 단계에서 구글어스로부터 멀티-지오메트리와 스타일파일 특징들을 없애고, 건물과 도로계층을 작동시켜, 사용자는 표준 구글어스를 볼 수 있다. 3630 단계에서, 사용자가 다른 도시를 선택하면 이 요청을 처리하는 응용계층이 카메라뷰를 선택된 도시로 이동시키고(3640), 와이어모드에 있으면, 3650 단계에서 이전 도시의 멀티-지오메트리 특징들이 제거되고 새로 선택된 도시의 멀티-지오메트리 특징이 나타난다. 3660 단계에서 사용자가 지도를 리셋하면, 3670 단계에서 와이어모드에 있으면 이전 도시의 멀티-지오메트리 특징들이 제거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시스템의 용량, 예컨대 여행사를 위해 호텔룸을 보여주는 과정의 순서도들이다. 4010 단계에서 KML 파일 생성을 시작한다. 4020 단계에서 형식이 호텔인지를 결정하고, 아니라면 4030 단계에서 정상 KML 파일을 생성하고 4040 단계에서 나간다. 호텔이면, 4050 단계에서 호텔용 KML 파일이 생성된다. 도 11A~B에서, 일련의 다음 단계들(4060~4160)에서, 1박 호텔요금을 근거로 호텔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각각의 카테고리마다 고유 컬러를 할당하는데, 각각의 요금내의 모든 호텔은 같은 컬러를 갖는다. 이때문에 사용자는 구글어스에서 호텔을 보고 호텔의 최소요금 카테고리와 지리적 위치의 표시자를 즉각 받을 수 있다. 물론, 호텔에 할당된 컬러들이 뷰어가 관심갖는 다른 변수들, 예컨대 룸 등급, 기타 호텔이 갖는 다른 특징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4170 단계에서 컬러를 선택한 스타일을 현 건물에 적용하고, 도 11c의 4180 단계에서는 어레이내 다음 건물로 옮겨 4160~4170의 과정들을 반복한다. 모든 건물의 카테고리를 정하고 제대로 색상을 정했을 때의 데이터를 4190 단계에서 KML 파일에 저장하고 4200 단계에서 과정을 끝낸다.
도 12는 KML 플러어뷰 과정의 순서도로서, 주어진 빌딩의 어떤 층에서도 360도 뷰를 제공하고, 뷰어는 해당층에서 건물 밖을 바라보는 것처럼 이 뷰를 볼 수 있다. 이 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한 GIS 어플에 디스플레이된다.
5010 단계에서, 컴퓨터와 유저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어플내 서버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건물과 층을 선택한다. 이 행위는 5040 및 5050 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한편 5020 및 5030 단계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의 유저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도시와 서브마켓을 선택할 수도 있다. 5020 단계에서 도시를 선택하면, 데이터베이스는 이 도시내의 서브마켓 리스트로 돌아간다. 5030 단계에서 이 리스트에서 서브마켓이 선택되면, 데이터베이스는 건물 리스트로 돌아간다. 5040 단계에서 건물이 선택되면, 플로어(층) 리스트로 돌아간다. 5040 단계에서 층이 선택되면, 데이터베이스가 이 층에 대한 데이터 스펙으로 돌아가, 예컨대 플로어 카메라뷰나 KML 링 좌표를 보여준다. 5055 단계에서, 예컨대 동서남북이나 건물에 대한 수평방향과 같은 기본적인 방향을 선택하면, 이 방향이 데이터베이스로 보내지고, 이 플로어 카메라에 대한 헤딩값이 계산된다. 데이터베이스에 좌표로 저장된 방향 뷰를 이용해 올바른 포인트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기본 방향으로 선택된 건물의 선택된 층에서의 뷰를 보여준다. 이 데이터는 5060 단계로 보내지고, 이곳에서 KML 링 좌표를 이용해 다각형과 플레이스 마커(place marker)를 생성하는데, 이들은 좌표쌍마다 생긴다. 5070 단계에서, 다각형이 플레이스 마커와 같이 생성되어 GIS 어플에 디스플레이된다. 5080 단계에서, 사용자는 다른 좌표점을 선택하 이 층에서의 다른 뷰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작업은 2차원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만을 필요로하는 2차 맵을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층과 방향을 나타내는 플레이스 마커들이 선택되고, 방향과 플로어 카메라뷰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 요청이 데이터베이스로 돌아가며, 5090 단계에서 저장된 플로어 카메라뷰로 돌아간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동일한 알고리즘과 구조르 이용해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방법과 가변 이름을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예를 든 것일 뿐이고, 통상의 전문가가 예상할 수 있는 모든 변형이나 변경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을 실현하는 하드웨어 환경을 보여주는 컴퓨터 시스템(13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 컴퓨터 시스템(1300)의 프로세서(1301)은 버스(1302)를 통해 다른 여러 요소에 연결된다. 프로세서(1301)의 운용시스템(1303)은 도 13의 여러 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는 어플(1304)은 운용시스템(1303)과 함께 동작하면서 운용시스템을 호출하고, 이런 호출에 의해 어플(1304)이 실행할 여러 기능이나 서비스들이 실행된다. 어플(1304)은 예컨대 동적인 데이터로 3D 객체를 생성/연결하고, 이 객체를 전술한바와 같이 보여준다.
ROM(1305)은 시스템버스(1302)에 연결되고, BIOS는 컴퓨터시스템(1300)의 기본 기능을 제어한다. RAM(1306)과 디스크어댑터(1307)도 시스템버스(1302)에 연결된다. 운용시스템(1303)과 어플(1304)을 포함한 소프트웨어가 컴퓨터세스템의 메인메모리일 수 있는 RAM(1306)에 로드된다. 디스크어댑터(1307)는 디스크드라이브와 같은 디스크(1308)와 통신하는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어댑터이다.
컴퓨터시스템(1300)의 통신어댑텁(1309)는 버스(1302)를 외부 네트웍(도시 안됨)에 연결하여, 컴퓨터시스템(1300)과 다른 비슷한 장치의 통신을 허용한다.
I/O 장치들도 유저인터페이스 어댑터(1310)와 디스플레이 어댑터(1311)를 통해 컴퓨터시스템(1300)에 연결된다. 키보드(1312), 마우스(1313) 및 스피커(1314) 모두 유저인터페이스 어댑터(1310)를 통해 버스(1302)에 연결된다. 모니터(1315)는 디스플레이 어댑터(1311)를 통해 버스(1302)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키보드(1312)나 마우스(1313)를 통해 컴퓨터시스템(1300)에 입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15)나 스피커(1314)를 통해 출력을 받는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시스템,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또,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매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매체들을 하나 이상 조합할 수도 있고, 이런 판독매체는 신호매체나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매체의 예로는 전자식, 자기식, 광학식, 전자기식, 적외선, 반도체, 기타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하고, 이들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를 통한 전기적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디스크, RAM, ROM, EPROM, 플래시메모리, CD-ROM, 광학 저장장치, 자기저장장치 등이 있다.

Claims (11)

  1. 3D 공간객체를 생성, 연결 및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 자산요약을 규정한 멀티-지오메트리 스트링을 생성하는 단계;
    - 데이터베이스에서 건물등급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 건물등급마다 다른 스타일을 할당하는 단계;
    - 각 건물의 각 층(플로어)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 각 건물의 멀티-지오메트리 다각형을 생성하고, 층데이터를 이용해 각 건물을 상기 할당된 스타일에 연계하는 단계;
    - 상기 멀티-지오메트리 다각형과 스타일의 스트링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스트링에서 공간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 상기 공간객체를 그래픽정보 시스템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오버레이 파일을 이용해 배경의 중요도를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플로어나 건물의 특성을 기초로 와이어 구조에 컬러를 입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객체가 건물이나 구조물의 외관을 정확히 표현한 것이고, 상기 외관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도 독립적인 공간객체를 이루며, 이런 공간객체가,
    a. 건물이나 구조물의 외관의 정확한 와이어모델; 및
    b. 와어이모델에 포함되는 정확한 각각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여러 지리적 점들 사이의 가상의 플라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데이터베이스로 보내지는 GUI를 받는 단계;
    b. 상기 지리적 점들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건물식별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받는 단계;
    c. 상기 플라이트의 시작점과 종점을 결정하는 단계;
    d. CPU를 이용해 받은 데이터로부터 지리적 점들과 관련된 구조물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플라이트의 시작점과 종점에 대한 카메라뷰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f. CPU와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상기 플라이트를 생성하고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GUI가 URL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점들이 임대장소이고, 건물식별정보가 임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 링, 및 링과 관련된 데이터를 갖는 링 부근의 풍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트를 중단하는 단계와 플라이트를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10. 링을 생성해 업로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링을 생성할 건물을 표시하는 단계;
    b. GIS를 이용해 건물의 기초 링을 생성하여, 일련의 점들을 하나의 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기초링을 건물의 고도까지 상승시켜, 건물의 층들을 나타내는 일련의 링들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일련의 링들을 데이터시스템에 업로드하여 GIS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e. 건물의 디폴트 카메라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GIS내 건물의 한 층의 기본 뷰를 보여주는 방법에 있어서:
    a. 건물의 층을 선택하는 단계;
    b. 뷰 방향을 선택하는 단계;
    c. GIS와 건물의 층과 뷰 방향을 이용해 바람직한 지점을 렌더링하는 단계; 및
    d. 상기 렌더링을 GIS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7014203A 2010-11-01 2011-11-01 Gis에서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 및 연결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201301393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0871310P 2010-11-01 2010-11-01
US61/408,713 2010-11-01
PCT/CA2011/001212 WO2012058754A1 (en) 2010-11-01 2011-11-01 Creating and linking 3d spatial objects with dynamic data, and visualizing said objects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302A true KR20130139302A (ko) 2013-12-20

Family

ID=4602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203A KR20130139302A (ko) 2010-11-01 2011-11-01 Gis에서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 및 연결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977521B2 (ko)
EP (1) EP2636024A4 (ko)
JP (1) JP5938413B2 (ko)
KR (1) KR20130139302A (ko)
CN (1) CN103314395B (ko)
AU (1) AU2011325819B2 (ko)
BR (1) BR112013010806A2 (ko)
CA (1) CA2814596C (ko)
MX (1) MX338493B (ko)
RU (1) RU2013125251A (ko)
SG (1) SG190102A1 (ko)
WO (1) WO2012058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0815A1 (en) * 2012-10-10 2014-04-10 Archida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d asset management
CN103903100A (zh) * 2014-04-14 2014-07-02 上海市园林科学研究所 一种构建城市绿化土壤管理信息系统的方法
CN103995695B (zh) * 2014-04-16 2017-02-15 华东师范大学 一种在Google Earth数字地球平台中移动KML几何元素的方法
CN104076820A (zh) * 2014-07-19 2014-10-01 国家电网公司 基于三维gis的无人机电力线路巡检控制系统及方法
CN104270265A (zh) * 2014-09-23 2015-01-07 山东鲁能软件技术有限公司 自适应电网资源拓扑结构变化多服务器缓存同步方法
US10260318B2 (en) 2015-04-28 2019-04-16 Saudi Arabian Oil Company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wellbore model simulation system
US10282376B2 (en) * 2015-11-10 2019-05-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emi-structured spatial data conversion
CN105488790B (zh) * 2015-11-25 2018-04-03 四川物联亿达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仓库组件的空间定位方法
CN105487518B (zh) * 2015-12-31 2019-01-15 江苏首控制造技术有限公司 四轴无人机飞行控制系统
WO2017168621A1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オプティム 3dモデル設計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77739B1 (ko) * 2017-01-04 2018-07-12 가이아쓰리디 주식회사 3차원 지리 정보 시스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10431002B2 (en) 2017-02-23 2019-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ing data lineage using three dimensional virtual reality model
CN107301228A (zh) * 2017-06-22 2017-10-27 上海东链博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图形化处理进行数据服务的方法及系统
CN107273516A (zh) * 2017-06-22 2017-10-20 上海东链博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对海量数据进行图形显示的方法及系统
CN107610222A (zh) * 2017-09-12 2018-01-19 北京市地震局 一种城市建筑物三维自动建模与可视化方法
CN108228753A (zh) * 2017-12-21 2018-06-29 国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网页端实时数据的动态展示方法
US10553025B2 (en) 2018-03-14 2020-02-04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 building footprint determination
CN108804675B (zh) * 2018-06-11 2021-06-22 成都山河空间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多源空间数据的无人机移动空间信息管理系统和方法
US11144758B2 (en) * 2018-11-15 2021-10-12 Geox Gis Innovations Ltd.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in aerial imagery
CN109559566B (zh) * 2018-11-30 2021-09-07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繁忙机场终端区目视飞行航路的规划方法
US10902613B2 (en) * 2019-03-20 2021-01-26 Bi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extural zone identification
US11320803B2 (en) 2019-06-04 2022-05-03 Mighty Buildings, Inc. Custom assembly of 3D printed building modules
US11087103B2 (en) 2019-07-02 2021-08-10 Target Brands, Inc. Adaptive spatial granularity based on system performance
CN110618700A (zh) * 2019-08-23 2019-12-27 西南交通大学 用于社区配送的三维地理信息系统及无人机航迹路径规划应用方法
WO2021178925A1 (en) * 2020-03-06 2021-09-10 Mighty Buildings, Inc. Custom assembly of 3d printed building modules
US11775270B1 (en) * 2023-04-19 2023-10-03 Tsinghua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parsing structured parameters of geocomputation language, device and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6189B1 (en) * 1997-09-29 2002-12-17 Skyline Software Systems Ltd. Remote landscape display and pilot training
JP2001338037A (ja) * 2000-05-29 2001-12-07 Wall:Kk 三次元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画像生成用サーバ
US20020035432A1 (en) * 2000-06-08 2002-03-21 Boguslaw Kubica Method and system for spatially indexing land
AUPS252102A0 (en) 2002-05-23 2002-06-13 Marks, Peter John Weighing devices
ES2314625T3 (es) 2004-03-12 2009-03-16 Britax Romer Kindersicherheit Gmbh Indicacion de la tension de una correa.
US20060241859A1 (en) * 2005-04-21 2006-10-26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earth real-time advertising
US7933929B1 (en) * 2005-06-27 2011-04-26 Google Inc. Network link for providing dynamic data layer i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7353114B1 (en) 2005-06-27 2008-04-01 Google Inc. Markup language for an interactiv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7728853B2 (en) * 2005-11-15 2010-06-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hanging view perspective in 3-D graphical displays of buildings with stepped rotation
US8160400B2 (en) * 2005-11-17 2012-04-17 Microsoft Corporation Navigating images using image based geometric alignment and object based controls
JP2008070705A (ja) * 2006-09-15 2008-03-27 Cad Center:Kk 画像提供システムおよび画像提供サーバ装置
US8676001B2 (en) * 2008-05-12 2014-03-18 Google Inc. Automatic discovery of popular landmarks
US9020745B2 (en) 2009-03-30 2015-04-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usiness data display and position correction in street-side imagery
US9114223B2 (en) 2009-10-23 2015-08-25 Koninklijke Philips N.V. Strapping force indicator accessory
US20120213416A1 (en) * 2011-02-23 2012-08-23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browsing heterogeneous map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6024A1 (en) 2013-09-11
CA2814596C (en) 2013-12-31
MX338493B (es) 2014-12-15
MX2013004919A (es) 2013-07-22
US8977521B2 (en) 2015-03-10
EP2636024A4 (en) 2016-01-20
AU2011325819A1 (en) 2013-05-30
US20130238290A1 (en) 2013-09-12
AU2011325819B2 (en) 2017-04-06
JP5938413B2 (ja) 2016-06-22
JP2014502388A (ja) 2014-01-30
SG190102A1 (en) 2013-06-28
RU2013125251A (ru) 2014-12-10
CA2814596A1 (en) 2012-05-10
CN103314395B (zh) 2016-09-28
BR112013010806A2 (pt) 2019-09-24
WO2012058754A1 (en) 2012-05-10
CN103314395A (zh)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9302A (ko) Gis에서 동적데이터로 3d 공간객체를 생성 및 연결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8930334B2 (en) Creating a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habitable units
US80510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real estate service
KR102344087B1 (ko) 디지털 지도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
JP2009134280A (ja) 実世界を表現する仮想空間を構築する地図画像生成提供方法、サーバ・コンピュータおよび立体地図画像生成装置
US20220130004A1 (en) Interface for uncompleted homes planning
Aien et al. Utilising data modelling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3D cadastres
Zhou et al. Customizing visualization in three-dimensional urban GIS via web-based interaction
US11886527B2 (en) Digital map based online platform
KR101640444B1 (ko) 지리정보시스템 기반 합필지원도구 시스템
Tyagi Web GIS application for customized tourist information system for Eastern UP, India
US11288306B1 (en) Methods for producing sitemap for use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Salajegheh et al. Developing a Web-based system by integrating VGI and SDI for real estate management and marketing
Lerma et al. Three‐Dimensional city model visualisation for real‐time guided museum tours
Mohd Hanafi et al. Strata Objects Based on Malaysian LADM Country Profile via Web 3D Visualization
Worthing et al. Issues arising from computer‐based recording of heritage sites
Mustaffa et al. Building Locator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
Hwang An embedded google earth/maps application on real estate database inquiry and display
Balcıoğlu An improved spatio-relational database design for urban conservation and its performance analysis
Spreafico et al. 3D WebGIS for Ephemeral Architecture Documentation and Studies in the Humanities
Meschini et al. Disclosing Documentary Archives: AR interfaces to recall missing urban scenery
Mohsin An application of a GIS-based campus information system: Kirkuk University as an example
Carswell et al. A Case Study for eCampus Spatial: Business Data Exploration
Novotný et al. MUVIS: a PUBLIC Participatory Urban Planning and Multidimensional Visualisation ONLINE SYSTEM
Africa et al. COMP60990: Research Methods and Professional Sk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