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031A - 모드 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자 종이 - Google Patents

모드 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자 종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031A
KR20130139031A KR20120062708A KR20120062708A KR20130139031A KR 20130139031 A KR20130139031 A KR 20130139031A KR 20120062708 A KR20120062708 A KR 20120062708A KR 20120062708 A KR20120062708 A KR 20120062708A KR 20130139031 A KR20130139031 A KR 20130139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mode
mode switch
epd panel
imag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강성운
김영웅
이규석
이종인
차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6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031A/ko
Priority to US13/916,049 priority patent/US9268925B2/en
Priority to EP20130171621 priority patent/EP2674935A3/en
Publication of KR2013013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5Clearing or presetting the whole screen independently of waveforms, e.g. on power-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4Electronic books and r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 종이는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징 시트와;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종이의 동작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부와; 상기 모드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전자 종이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의 암호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의 삭제, 상기 이미징 시트에 표시된 컨텐츠의 화면 삭제 및 상기 이미징 시트에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잠금 화면의 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드 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WITH MODE SWITCH UNIT}
본 발명은 전자 종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안성이 향상된 전자 종이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에 대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왔으며, 최근에 가요성 디스플레이의 기술적인 완성도나 양산성이 높아지면서 제품에 실제로 적용하기에 이르렀다. 가요성 디스플레이의 장점은 종이처럼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기 때문에 형태를 변형하여 휴대가 가능하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아 휴대성 확보 차원에서 기대를 받고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자체 발광 기술을 휴대폰이나 정보 단말기에 적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다. 이와 다른 형태의 기술로서, 종이와 같은 느낌의 전자 종이가 실제 전자책 리더(e-book reader)로서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 종이를 플렉서블(flexible)한 형태로 구현하기 위한 기술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휴대가 용이한 정보 단말기기, 특히 전자 종이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근 권한 및 보안 문제가 점차 중요해 지고 있으나, 완벽한 보안 솔루션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의 사용 행태나 사용 시나리오에 맞는 보안 솔루션이 없기 때문에 접근성이나 사용성이 떨어지고, 효용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사용 행태, 사용자 시나리오 측면에서 다양한 기능을 통해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성 측면에서 직관적이고 간편한 보안성이 향상된 전자 종이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의 목적은 종래기술과 관련된 문제점들 및/또는 단점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 경감 또는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일반적인 플렉서블하면서도 얇으며 가격이 저렴한 종이와 같이 활용이 가능하며, 보안성이 향상된 전자 종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 종이는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징 시트와;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종이의 동작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부와; 상기 모드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전자 종이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의 암호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의 삭제, 상기 이미징 시트에 표시된 컨텐츠의 화면 삭제 및 상기 이미징 시트에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잠금 화면의 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플렉서블하면서도 얇으며 가격이 저렴한 종이와 같이 활용이 가능하며, 보안성이 향상된 전자 종이가 제공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EPD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EPD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이미징 시트의 한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메인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이미징 시트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는 유기 전자 백플레인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및 9는 펜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스위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스위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EPD 패널의 제1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4는 EPD 패널의 제2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EPD 패널의 제3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7은 EPD 패널의 제4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EPD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EPD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EPD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 예에 따른 EPD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2 및 도 23은 EPD 패널의 제5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은 이미징 시트 상에 컨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종이의 일 예로 EPD 패널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내부 조명 수단이 없이, 외부의 주변 광에 의해 컨텐츠를 표시하는 임의의 구조 또는 형태의 전자 종이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EPD 패널은 전자 종이로, EPD 제어부는 전자종이 제어부 등으로 대체 표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EPD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EPD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EPD 패널(100)은 EPD 패널(100) 내 다른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시트(110)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징 시트(120)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130)와, 이미징 시트(120)를 구동하고 터치 센서(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또는 메뉴 선택에 따라 내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이미지의 형태로 이미징 시트(120)에 전사하기 위한 메인보드(140)와, 모드 스위치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는 메뉴 화면, 정지 이미지(사진), 문서(디지털 책, 디지털 신문, 웹페이지 등) 등을 포함한다. 상기 EPD 패널(100)은 그 상부에 메인보드(140) 및 모드 스위치부(150)가 위치하고 있어서, 리걸 노트(Legal Note)의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는 리걸 노트를 주로 사용하고 종이를 위쪽으로 넘기는 사용자에 적합한 구조이다.
상기 커버 시트(110)는 EPD 패널(100) 내 다른 소자들을 보호하도록 이미징 시트(120)의 상면과 함께 상기 EPD 패널(100)의 외면을 이루며, 폴리이미드(polyimid),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110)는 그 중앙부에 이미징 시트(120)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사각 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예와 다르게, 상기 커버 시트(110)는 이미징 시트(120)를 포함한 EPD 패널(100) 내 다른 소자들을 완전히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커버 시트(110)는 EPD 패널(100)에 선택적으로 적용되며, 상기 커버 시트(110) 대신에 이미징 시트(120)의 하부 및 상부 기판을 서로 접합 또는 접착하여 EPD 패널(100) 내 다른 소자들을 완전히 둘러싸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하, 선택적으로 적용된다는 의미는 해당 소자를 제거하여도 무방하다는 의미이다.
상기 이미징 시트(120)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화소들(pixels)이 N*M 매트릭스(matrix) 구조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이미징 시트(120)의 화면(즉, 이미징 시트(120)의 상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화소들에 의해 표시되는 점들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도 3은 이미징 시트의 한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이미징 시트(120)는 플렉서블하면서도 얇은 특성을 갖도록 각 구성 소자의 재질 및 두께가 설정된다.
상기 이미징 시트(120)는 그 외부로부터의 주변 광에 의해 조명되고, 상기 광의 반사 또는 흡수를 통해 컨텐츠를 표시한다.
상기 이미징 시트(120)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 기판(Bottom Substrate, 310), 전극층인 유기 전자 백플레인(Organic electronics backplane, 350), 잉크층(ink layer, 360), 공통 전극층(common electrode layer, 370), 상부 기판(Top Substrate, 380) 및 하드 코팅층(hard coating layer, 39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및 상부 기판(310, 380)은 각각 상기 잉크 층(360) 및 전극층들(350, 370)을 보호하며, 상기 각 기판(310, 380)으로는 내열 특성, 높은 투과율 특성 및 양호한 필기감을 보장할 수 있는 폴리이미드,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310)은 20㎛~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2.5㎛~27.5㎛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하드 코팅층(390)은 상기 상부 기판(380)의 상면에 적층되며, 눈부심 방지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드 코팅층(390)은 통상의 하드 코팅제에 광산란제를 첨가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390)은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 기판(380)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드 코팅층(390) 및 상기 상부 기판(380)은 24㎛~36㎛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7㎛~33㎛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잉크층(360)은 가해진 전계에 따른 입자들의 이동(즉, 전기영동 현상)을 통해 컬러 또는 흑백 이미지 패턴을 나타내고, 상기 패턴에 입사한 외부 광의 반사 또는 흡수를 통해 이미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층(360)은 유기 전자 백플레인(350) 및 공통 전극(370)의 사이에 각각 백색 및 흑색 입자들을 함유한 투명 유동액으로 충진된 마이크로 캡슐들(microcapsules)을 배치한 구성을 갖고, 상기 각 마이크로 캡슐에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흑색 또는 백색 이미지 패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백색 입자는 (+)로 대전되어 있고, 상기 흑색 입자는 (-)로 대전되어 있어서, 가해진 전계에 따라 서로 반대로 이동한다. 상기 잉크층(360)의 이미지 패턴은 전계 변경 시점까지 유지된다. 상기 잉크층(360)은 컬러 이미지 패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컬러 표시는 상기 잉크층(360) 상에 컬러 필터를 적층하거나, 상기 잉크층(360)을 구성하는 입자로서 흑백 입자 대신에 착색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층(370)은 상기 잉크층(360) 및 상부 기판(380) 사이에 개재되고, 일정한 전위를 유지하며,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층(370) 및 상기 잉크층(360)은 32㎛~48㎛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6㎛~44㎛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유기 전자 백플레인(350)은 복수의 화소들로 구분되며, 각 화소는 각각 절연층(340) 내에 일부 또는 전부 매립되거나 그 상면에 일부 또는 전부 적층된 화소 전극(320) 및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330)를 포함한다. 상기 공통 전극층(370)과, 화소 전극(320) 및 박막 트랜지스터(330)와 같은 유기 전자 백플레인(350)의 도체 부분은 탄소 함유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유기 물질로는 그래핀(graphene)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전자 백플레인(350)은 4㎛~6㎛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5.5㎛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이미징 시트(120)는 전체적으로, 0.08mm~0.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9mm~0.11mm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이미징 시트(120)는 단일 전자 종이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전자 종이도 0.08mm~0.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9mm~0.11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메인 보드(1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메인 보드(140)는 센서부(430), 메모리(420),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통신부(450), 전력 관리부(440), EPD 제어부(460), 구동부(470), 터치 센서 제어부(490), 스위치 제어부(48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EPD 제어부(460), 터치 센서 제어부(490) 및 스위치 제어부(480)는 제어부(200)에 통합될 수 있고, 이들의 기능들은 제어부(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EPD 패널(100)은 외부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이미지 전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EPD 패널(100)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미징 시트(120)에 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EPD 패널(100)은 외부 장치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장치에 의한 제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0)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 통신선 또는 대기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상기 통신부(45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EPD 패널(100)이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은 EPD 패널(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랜 모듈은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은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EPD 패널(100)과 외부 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버튼, 마이크, 스피커, 진동모터, 커넥터, 키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은 상기 메인 보드(140)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EPD 패널(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는 EPD 패널(100)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는 상기 메인 보드(140)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EPD 패널이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수신한 경우, 진동 모터가 동작한다. 진동 모터는 상기 메인 보드(140)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는 EPD 패널(100)과 외부 장치 또는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EPD 패널(100)의 메모리(4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는 EPD 패널(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는 메인 보드(14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 또는 이미징 시트(12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를 포함한다.
센서부(430)는 EPD 패널(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430)는 사용자의 EPD 패널(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또는 EPD 패널(100)의 동작(예를 들어, EPD 패널(100)의 회전, 가속, 감속, 진동 등)을 검출하는 모션/방위 센서,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션/방위 센서는 가속도 센서, 중력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gyro) 센서, 충격센서, GPS, 나침반 센서(compass sensor), 가속도 센서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30)는 EPD 패널(100)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EPD 패널(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EPD 패널(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나침반 센서는 EPD 패널(100)의 자세 또는 방위를 산출한다.
카메라 모듈은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제어부(200)로 전달하거나, 메모리(4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EPD 패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EPD 패널(100) 내 다른 구성 소자들을 제어하여 이미지 전사 작업을 수행한다. 이하, 제어부라고 하면 상기 제어부(200)를 지칭하는 것이나, 다른 제어부와의 구별을 위해 상기 제어부(200)를 메인 제어부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통신부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 방ㄴ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00)는 메모리(420)에 저장되어 있거나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00)는 메모리(420)에 저장되어 있거나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또는 터치 센서(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또는 메뉴 선택에 따라 메모리(420)에 저장되어 있거나 수신되는 컨텐츠를 이미지의 형태로 이미징 시트(120)에 전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는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메모리(42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EPD 패널(100) 또는 제어부(200)의 제어를 위한 운영 프로그램, 제어 프로그램, 보안 애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 컨텐츠들, 사용자 설정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라는 용어는 제어부(200) 내 롬 및/또는 램, EPD 패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한다.
전력 관리부(44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EPD 패널(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관리부(4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부(440)는 커넥터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EPD 패널(100)로 공급할 수 있다.
EPD 제어부(460)는 제어부(200)의 제어와 미리 설정된 EPD 구동 알고리즘에 따라 이미징 시트(12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구동부(47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이미징 시트(12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조정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이미징 시트(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이미징 시트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는 유기 전자 백플레인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동부(470)는 상기 EPD 제어부(460)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번지 신호들(즉, 로우(row) 신호) 및 데이터 신호들(즉, 칼럼(column) 신호)을 생성하고, 상기 번지 신호들 및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유기 전자 백플레인(350)으로 출력한다. 상기 구동부(470)는 스캔 드라이버(scan driver, 510) 및 데이터 드라이버(data driver, 520)를 포함한다. 상기 스캔 드라이버(510)는 상기 EPD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스캔 라인들(511)에 순차적으로 번지 신호들을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520)는 상기 EPD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라인들(521)에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한다.
상기 유기 전자 백플레인(350)은 복수의 화소들(351)을 구비하며, 상기 각 화소(351)는 화소 전극(320)과 박막 트랜지스터(330)를 포함한다. 상기 각 화소 전극(320)은 해당 박막 트랜지스터(330)를 통해 해당 스캔 라인(511) 및 데이터 라인(521)에 연결된다.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330)는 게이트(gate: G), 드레인(drain: D) 및 소스(source: S)를 가지며, 상기 게이트는 해당 스캔 라인(511)과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은 해당 데이터 라인(521)과 연결되며, 상기 소스는 해당 화소 전극(320)과 연결된다.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330)는 온/오프 스위치로서 기능하며, 연결된 스캔 라인(511) 및 데이터 라인(521) 모두에 신호들이 공급되는 경우에만 온 상태가 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330)가 온 상태일 때 해당 화소 전극(320)에 전압이 인가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잉크층(360)은 공통 전극층(370) 및 유기 전자 백플레인(350) 사이에 가해진 전계에 따른 입자들의 이동을 통해 이미지 패턴을 나타낸다. 상기 잉크층(360)은 전술한 이미지 전사 작업에 따른 이미지 패턴을 가지며, 이러한 이미지 패턴은 다음 이미지 전사 작업시까지 유지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징 시트(12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센서(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 센서(130)는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 센서(130)는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터치 센서(130)는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방식의 터치 센서이다. 본 예와 다르게, 터치 센서는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제어부(490)는 제어부(200)의 제어와 미리 설정된 터치 센서 구동 알고리즘에 따라 터치 센서(13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터치 센서(130)로 출력하며, 펜(10) 등의 사용자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터치 센서(13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EPD 패널(10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조정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EPD 제어부(4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터치 센서(130)는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방식의 터치 센서로서, 제1 및 제2 루프부(710, 720)를 포함하고, 터치 센서 제어부(49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고, 검출된 신호들을 터치 센서 제어부(490)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루프부(710)는 다수의 제1 루프(7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루프부(720)는 다수의 제2 루프(721)를 포함한다.
제1 루프부(710) 및 제2 루프부(720)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루프부(710)는 x축의 방향보다 y축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펜 입력 위치(또는 사용자 입력 위치 내지는 터치 위치)의 x축 좌표를 검출하는 데 이용된다.
제2 루프부(720)는 y축의 방향보다 x축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펜 입력 위치의 y축 좌표를 검출하는 데에 이용된다.
제1 및 제2 루프(711, 721)는 각각 터치 센서 제어부(490)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 형태의 제1 주파수의 제1 신호를 전자기파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루프(711, 721)는 외부의 펜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자기파 형태의 제2 주파수의 제2 신호를 전기 신호 형태로 검출하고, 이를 터치 센서 제어부(490)로 출력한다.
터치 센서(130)의 주위에 존재하는 펜은 터치 센서(130)로부터 출력된 전자기파 형태의 제1 신호를 수신하고, 공진 회로의 작동에 따라 전자기파 형태의 제2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펜(10)은 단순한 하나의 실시 예이며, 제1 주파수의 제1 신호의 입력에 따라 제2 주파수의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수단이면 제한이 없으며, 이러한 수단들을 사용자 입력 수단이라고 통칭할 수 있다. 상기 펜(10)은 EMR 방식의 터치 센서(130)가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코일 및 콘텐서로 이루어진 공진 회로를 포함한다.
도 8 및 9는 펜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9에서는 제1 및 제2 루프(711, 721)가 각각 하나의 선으로 간략하게 표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루프(721)(이하, Y2 루프라고 함)는 제1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펜(10)은 전자기파 형태의 제1 신호를 수신하고, 공진 회로의 작동에 따라 전자기파 형태의 제2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제1 루프들(711)(이하, X1, X2 및 X3 루프들이라고 함)은 순차적으로 제2 신호들을 전기 신호 형태로 검출한다. 터치 센서 제어부(490)는 제2 신호들 중에서 X2 루프로부터 출력된 제1 임계 값 이상의 피크 전압 값을 갖는 제2 신호로부터 펜 입력 위치의 x축 좌표를 도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루프(711)(이하, X2 루프라고 함)는 제1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펜(10)은 전자기파 형태의 제1 신호를 수신하고, 공진 회로의 작동에 따라 전자기파 형태의 제2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제2 루프들(721)(이하, Y1, Y2 및 Y3 루프들이라고 함)은 순차적으로 제2 신호들을 전기 신호 형태로 검출한다. 터치 센서 제어부는 제2 신호들 중에서 Y2 루프로부터 출력된 제1 임계 값 이상의 피크 값을 갖는 제2 신호로부터 펜 입력 위치의 y축 좌표를 도출한다.
모드 스위치부(150)는 EPD 패널(100)의 용도, 보안 등급, 동작 모드 등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모드 스위치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 설정이 가능한 전극 라인 패턴, 돔 스위치와 같은 기계 스위치, 전자식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스위치부(150)는 아래의 스위치들 중의 한 타입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 구멍을 뚫거나 찢어서 회로를 절단시키고 이를 통해 온/오프되는 스위치.
- 휘어지는 부분을 접어서 모드 설정을 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접는 경우 기구적으로 회로가 차단되거나 물리적으로 절단되며 모드 설정이 그대로 유지되는 스위치.
- 버튼식으로 눌러서 설정을 하는 방식으로, 누르면 버튼 자체가 복귀되지 않으며, 복귀하기 위해서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는 스위치.
- 플라스틱 기판이나 유리 기판 위에 도선을 배치하여 접는 경우 회로가 절단되는 방식의 스위치.
- 기타 다른 재질의 기판 위에 도선을 구성하여 물리적으로 힘을 가하거나 훼손하는 경우 모양이 변형되어 다시 모드 설정이 불가능한 스위치.
예를 들어, EPD 패널(100)은 외부 서버로부터 모드 스위치부(150)의 온/오프 상태들과 EPD 패널(100)의 동작 모드들(동작 모드의 프로세스 및 조건이 포함됨)이 일대일로 맵핑된 테이블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4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 또는 EPD 패널(100)의 사용자는 모드 스위치부(150)를 이용하여 EPD 패널(100)을 설정하게 된다. EPD 패널(100)의 사용자는 설정된 동작 모드에 의해 제한적으로 EPD 패널(100)을 사용하게 된다.
이하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모드 스위치부(150)가 각각 해당 전극 라인 패턴을 갖는 다수의 모드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스위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모드 스위치부는 제1 내지 제4 레벨 스위치(1011, 1012, 1013, 1014)를 갖는 제1 모드 스위치(1010)와, 제2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20, 1030, 1040)를 포함한다. 제1 모드 스위치(1010)를 타이머 용도로 사용하게 되면, 총 4개의 레벨이 존재하므로 각 레벨당 유효 시간을 1시간 단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4 레벨 스위치(1011, 1012, 1013, 1014)를 전혀 절단하지 않는 경우 5시간, 모두 절단하는 경우 1시간의 유효 시간을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2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20, 1030, 1040)의 경우는 일부만 절단하여도 모드 설정이 된다.
제1 모드 스위치(1010)는 시간이나 범위 설정을 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EPD 패널(100)의 보안 설정을 시간 제한으로 두어 제한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컨텐츠를 파기하도록 설정하게 되면 시간 설정이 필수 요소가 된다. 제1 모드 스위치(1010)가 전혀 절단되지 않는 경우는 보안 수위가 낮다고 보고 오래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제1 내지 제4 레벨 스위치(1011, 1012, 1013, 1014)가 차례대로 많이 절단될 수록 보안 수위가 올라간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스위치(1010)가 절단되지 않은 경우 5시간 사용으로 설정을 해 두면, 제1 레벨 스위치(1011)가 절단되면 4시간, 제2 레벨 스위치(1012)가 절단되면 3시간, 이런 방식으로 시간 단위의 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4 레벨 스위치(1014)를 넘어서서 더 밑의 하단부까지 절단되면 굉장히 높은 보안 수준을 요하는 경우로 설정 가능해 진다. 왜냐하면 제2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20, 1030, 1040)까지 모두 절단되므로 모든 보안 설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20, 1030, 1040)는 그냥 쉽게 구멍을 뚫거나, 자르면 설정이 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제2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20, 1030, 1040)는 특정 모드나 특정 보안 기능을 온/오프하는 부분이다. 제2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20, 1030, 1040)를 절단하지 않는 경우는 보안 모드 설정이 오프가 되고, 절단하는 경우는 보안 모드 설정이 온으로 된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10~1040)는 각각 사용자가 손가락, 가위, 펀치 등을 이용하여 절단함으로써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이된다. 참조 번호 1050은 사용자가 가위, 칼,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10~1040)를 절단한 흔적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1060는 사용자가 펀칭 도구를 이용하여 제4 모드 스위치(1040)를 절단한 흔적을 나타낸다.
도 11은 스위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스위치 제어부(48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1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10~1040)의 온/오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즉, 스위치 제어부(480)는 제1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10~1040)에 기준 신호들(Vdd)을 인가하고, 제1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10~1040)의 저항 값을 감지함으로써 각 모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한다. 각 모드 스위치는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low-z)을 갖고, 절단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high-z)을 갖는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스위치 제어부(480)는 절단되지 않은 제1 레벨 스위치(1011)에 기준 신호를 인가하고, 제1 레벨 스위치(1011)의 저항을 측정하며, 측정된 저항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저항값 이내이면, 상기 제1 레벨 스위치(1011)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스위치 제어부(480)는 절단된 제1 레벨 스위치(1011)에 기준 신호를 인가하고, 제1 레벨 스위치(1011)의 저항을 측정하며, 측정된 저항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저항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레벨 스위치(1011)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11의 (d)를 참조하면, 스위치 제어부(480)는 절단된 제2 모드 스위치(1020)에 기준 신호를 인가하고, 제2 모드 스위치(1020)의 저항을 측정하며, 측정된 저항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저항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 모드 스위치(1020)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는 제1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10~1040)를 이용하여 EPD 패널(10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내지 제4 모드 스위치(1010~1040)의 조합된 온/오프 상태에 근거하여 EPD 패널(10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제2 내지 제3 모드 스위치(1020~1040)의 온/오프 상태들은 8가지(2의 3승)의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조합들에 서로 다른 동작 모드들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480)는 EPD 패널(100)의 주요 내부 회로를 동작 불능 상태로 만들기 위한 파기 모듈(4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기 모듈(482)은, 예를 들어, 메모리(420)와 전력 관리부(440), 메모리(420)와 제어부(200) 등의 EPD 패널(100)의 주요 구성 소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회선 중간에 위치하는 퓨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제1 모드 스위치(10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유효 시간에 따라 EPD 패널(100)의 컨텐츠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2 및 도 13은 EPD 패널의 제1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1 모드 스위치(1010)의 제1 내지 제4 레벨 스위치(1011~1014)에는 각각 30분의 유효 기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때, 도 13에는 시간 흐름에 따른 EPD 패널(100)의 모습들이 중첩되어 표시되어 있다.
S1210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1 모드 스위치(1010)를 이용하여 EPD 패널(100)의 유효 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및 제2 레벨 스위치(1011, 1012)를 동시에 절단하면, EPD 패널(100)의 유효 시간이 1시간으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제1 및 제3 레벨 스위치(1011~1013)를 동시에 절단하면, EPD 패널(100)의 유효 시간이 1시간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이미징 시트(120)에 EPD 패널(100)의 유효 시간이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자(1310)(타이머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S122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스위치 제어부(480)로부터 제1 모드 스위치(1010)의 온/오프 상태를 수신하고, 제1 모드 스위치(1010)의 온/오프 상태로부터 파악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유효 시간으로 타이머를 설정한다. 이러한 타이머는 상기 제어부(200) 내에 구비된 소자이거나, 제어부(200)의 내부 클럭을 이용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S123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타이머의 만료 여부를 확인한다.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에 S1240 단계를 수행하고,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 주기적으로 S1230 단계를 수행한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타이머가 만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자(1320)(즉, 타임 아웃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S124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모든 또는 주요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EPD 제어부(460) 및 구동부(470)를 제어하여 이미징 시트(120)에 표시된 이미지를 화면에서 삭제한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메모리(420)에 저장된 컨텐츠가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자(1330)(즉, 삭제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S125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파기 모듈(482)을 작동하여 EPD 패널(100)의 주요 내부 회로를 동작 불능 상태로 만든다. 도 13의 (d)를 참조하면, EPD 패널(100)의 주요 내부 회로가 동작 불능 상태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자(1340)(즉, 종료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제2 모드 스위치(1020)를 이용하여 사용 지역 이탈 여부에 따라 EPD 패널(100)의 컨텐츠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4는 EPD 패널의 제2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1410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2 모드 스위치(1020)를 이용하여 EPD 패널(100)의 제2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EPD 패널(100)의 사용 지역을 제한한다.
S142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스위치 제어부(480)로부터 제2 모드 스위치(1020)의 온/오프 상태를 수신하고, 제2 모드 스위치(1020)의 온/오프 상태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제2 동작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파악한다. 제어부(200)는 통신부(450)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또는 임의의 신호 발생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모니터링한다.
S143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의 여부(즉, 수신 불량 여부)를 확인한다. 수신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S1440 단계를 수행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주기적으로 S1420 단계를 수행한다.
S144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수신 불량 상태의 지속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제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S1450 단계를 수행하고, 제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 S1420 단계를 수행한다. 제어부(200)는 제한 시간 초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신 불량 상태가 처음으로 감지된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으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머는 수신 불량 상태가 해소된 경우에 동작 정지되고, 다시 수신 불량 상태가 되면 상기 제한 시간으로 다시 설정된다.
S145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모든 또는 주요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EPD 제어부(460) 및 구동부(470)를 제어하여 이미징 시트(120)에 표시된 이미지를 화면에서 삭제한다.
S146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파기 모듈(482)을 작동하여 EPD 패널(100)의 주요 내부 회로를 동작 불능 상태로 만든다.
이하 제3 모드 스위치(1030)를 이용하여 컨텐츠 리뷰 완료 여부에 따라 EPD 패널(100)의 컨텐츠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5 및 도 16은 EPD 패널의 제3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3 동작 모드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된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지를 리뷰 완료한 경우에 EPD 패널(1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S1510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3 모드 스위치(1030)를 이용하여 EPD 패널(100)의 제3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S152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스위치 제어부(480)로부터 제3 모드 스위치(1030)의 온/오프 상태를 수신하고, 제3 모드 스위치(1030)의 온/오프 상태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제3 동작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파악한다. 제어부(200)는 이미징 시트(120)에 현재 표시되는 페이지를 확인한다.
S153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이미징 시트(120)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지가 사용자에 의해 리뷰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마지막 페이지가 리뷰 완료된 경우에 S1540 단계를 수행하고, 마지막 페이지가 리뷰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자동 페이지 넘김 설정에 따른 페이지 전환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페이지 넘김 명령 수신에 따라 S1520 단계를 수행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미징 시트(120)에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지(16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펜(즉,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 이미징 시트(12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드래그(1620)를 한 경우(페이지 넘김 명령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지(1610)를 리뷰 완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예와 다르게,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지가 아니라, 제어부(20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미리 설정된 페이지가 리뷰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후의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S154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모든 또는 주요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EPD 제어부(460) 및 구동부(470)를 제어하여 이미징 시트(120)에 표시된 이미지를 화면에서 삭제한다.
S155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파기 모듈(482)을 작동하여 EPD 패널(100)의 주요 내부 회로를 동작 불능 상태로 만든다.
이하 제4 모드 스위치(1040)를 이용하여 즉시 파기 명령에 따라 EPD 패널(100)의 컨텐츠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7은 EPD 패널의 제4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 동작 모드에서, 사용자는 EPD 패널(100)의 컨텐츠를 대기 시간 없이 즉시 삭제할 수 있다.
S1710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4 모드 스위치(1040)를 이용하여 EPD 패널(100)의 제4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제어부(200)는 스위치 제어부(480)로부터 제4 모드 스위치(1040)의 온/오프 상태를 수신하고, 제4 모드 스위치(1040)의 온/오프 상태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제4 동작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파악한다.
S172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모든 또는 주요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EPD 제어부(460) 및 구동부(470)를 제어하여 이미징 시트(120)에 표시된 이미지를 화면에서 삭제한다.
S1730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파기 모듈(482)을 작동하여 EPD 패널(100)의 주요 내부 회로를 동작 불능 상태로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른 EPD 패널은 메인 보드 및 모드 스위치부의 위치와, 바인딩 홀의 제공 여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EPD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EPD 패널(100a)은 EPD 패널(100a) 내 다른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시트(110a)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징 시트(120a)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와, 이미징 시트(120a)를 구동하고, 터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또는 메뉴 선택에 따라 내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이미지의 형태로 이미징 시트(120a)에 전사하기 위한 메인보드(140a)와, 모드 스위치부(150a)를 포함한다. 도시된 EPD 패널(100a)은 도 1에 도시된 EPD 패널(10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단지 EPD 패널(100a)의 우측부에 메인보드(140a)와 모드 스위치부(150a)가 위치하고, 메인보드(140a)와 모드 스위치부(150a)의 양측 및 그 사이에 바인딩을 위한 3개의 홀들(1810, 1820, 1830)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예와 다르게, 상기 EPD 패널(100a)은 3개의 홀들(1810, 1820, 1830)은 이러한 홀들이 뚫릴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자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EPD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EPD 패널(100b)은 EPD 패널(100b) 내 다른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시트(110b)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징 시트(120b)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와, 이미징 시트(120b)를 구동하고, 터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또는 메뉴 선택에 따라 내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이미지의 형태로 이미징 시트(120b)에 전사하기 위한 메인보드(140b)와, 모드 스위치부(150b)를 포함한다. 도시된 EPD 패널(100b)은 도 1에 도시된 EPD 패널(10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단지 EPD 패널(100b)의 우측부에 메인보드(140b)의 제1 부분(141) 및 제2 부분(142)이 위치하고, EPD 패널(100b)의 하부에 모드 스위치부(150b)가 위치하며, 메인보드(140b)의 제1 부분(141) 및 제2 부분(142)의 양측 및 그 사이에 바인딩을 위한 3개의 홀들(1910, 1920, 1930)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EPD 패널(100b)의 하부는 사람들의 시선이 가장 나중에 가는 위치이기 때문에, 사용성을 위해 모드 스위치부(150b)를 EPD 패널(100b)의 하부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EPD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EPD 패널(100c)은 EPD 패널(100c) 내 다른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시트(110c)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징 시트(120c)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와, 이미징 시트(120c)를 구동하고, 터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또는 메뉴 선택에 따라 내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이미지의 형태로 이미징 시트(120c)에 전사하기 위한 메인보드(140c)와, 모드 스위치부(150c)를 포함한다. 도시된 EPD 패널(100c)은 도 1에 도시된 EPD 패널(10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단지 EPD 패널(100c)의 우측부에 메인보드(140c)의 제1 부분(143) 및 제2 부분(144)이 위치하고, EPD 패널(100c)의 상부에 모드 스위치부(150c)가 위치하며, 메인보드(140c)의 제1 부분(143) 및 제2 부분(144)의 양측 및 그 사이에 바인딩을 위한 3개의 홀들(2010, 2020, 2030)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모드 스위치부(150c)가 펀칭이나 절단을 하기에 가장 용이한 위치에 놓임으로써 사용성이 개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드 스위치부는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 설정이 가능한 전극 라인 패턴, 돔 스위치와 같은 기계 스위치, 전자식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모드 스위치부가 돔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자면 아래와 같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 예에 따른 EPD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EPD 패널(100d)은 EPD 패널(100d) 내 다른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시트(110d)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징 시트(120d)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와, 이미징 시트(120d)를 구동하고, 터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또는 메뉴 선택에 따라 내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이미지의 형태로 이미징 시트(120d)에 전사하기 위한 메인보드(140d)와, 모드 스위치부(150d)를 포함한다. 도시된 EPD 패널(100d)은 도 1에 도시된 EPD 패널(10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단지 모드 스위치부(150d)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상기 모드 스위치부(150d)는 제1 내지 제3 모드 스위치(2110, 2120, 2130)를 포함한다. 각 모드 스위치는 반구 형상의 도전성 돔(2111, 2121, 2131)과 도전성 접촉 부재(2112, 2122, 2132)를 포함한다. 오프 상태에서 도전성 돔(2111, 2121, 2131)과 도전성 접촉 부재(2112, 2122, 2132)는 서로 이격(즉,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도전성 돔(2111, 2121, 2131)을 누름으로써 도전성 돔(2111, 2121, 2131)과 도전성 접촉 부재(2112, 2122, 2132)가 서로 접촉(즉, 통전 상태)하게 된다.
스위치 제어부(480d)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1 내지 제3 모드 스위치(2110, 2120, 2130)의 스위칭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제어부로 출력한다. 즉, 스위치 제어부(480d)는 제1 내지 제3 모드 스위치(2110, 2120, 2130)에 기준 신호들을 인가하고, 제1 내지 제3 모드 스위치(2110, 2120, 2130)의 저항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각 모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 제어부(480d)는 눌려지지 않은 제1 모드 스위치(2110)에 기준 신호를 인가하고, 제1 모드 스위치(2110)의 저항을 측정하며, 측정된 저항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저항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모드 스위치(2110)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480d)는 눌려진 제1 모드 스위치(2110)에 기준 신호를 인가하고, 제1 모드 스위치(2110)의 저항을 측정하며, 측정된 저항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저항값 이내이면, 상기 제1 모드 스위치(2110)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각 동작 모드에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이미징 시트에 표시된 컨텐츠를 메모리 또는 화면에서 삭제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동작 모드에서는 이미징 시트의 화면을 잠금 모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2 및 도 23은 EPD 패널의 제5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S2210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1 모드 스위치(2110)를 이용하여 EPD 패널(100d)의 제5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메인보드(140d)의 제어부는 스위치 제어부(480d)로부터 제1 모드 스위치(2110)의 온/오프 상태를 수신하고, 제1 모드 스위치(2110)의 온/오프 상태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제5 동작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확인한다.
S2220 단계에서,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이 경과하면 이미징 시트(120d)에 표시된 컨텐츠를 화면에서 삭제하고, 이미징 시트(120d)에 잠금 화면을 표시한다.
도 23의 (a)을 참고하면, 이미징 시트(120d)에 보호가 요구되는 컨텐츠(2310)가 표시되어 있다. 도 23의 (b)를 참고하면, 이미징 시트(120d)에 표시되어 있었던 컨텐츠(2310)가 화면에서 삭제되고,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잠금 화면(2320)이 이미징 시트(120d)에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비밀번호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메인보드(140d)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비밀번호로 암호화하고, 상기 비밀번호를 메모리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유효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하고, 복호된 컨텐츠를 이미징 시트(120d)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잠금 화면이 표시된 이후 비밀번호의 입력 없이 미리 설정된 제2의 제한 시간이 경과하면, 다른 동작 모드에서 전술한 컨텐츠 삭제 및 회로 파기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화면 표시 및 컨텐츠 암호화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동작 모드에서 컨텐츠 삭제 단계 직전에 적용될 수도 있고, 위와 마찬가지로, 잠금 화면이 표시된 이후 비밀번호의 입력 없이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이 경과하면, 이후의 컨텐츠 삭제 및 회로 파기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종이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종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 종이가 기설정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동작 모드의 수행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종이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종이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전자 종이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00: 전자 종이, 120: 이미징 시트, 130: 터치 센서, 150: 모드 스위치부, 410: 사용자 인터페이스, 420: 메모리, 430: 센서부, 440: 전력 관리부, 450: 통신부, 460: EPD 제어부, 470: 구동부, 480: 스위치 제어부, 490: 터치 센서 제어부

Claims (8)

  1. 전자 종이에 있어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징 시트와;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종이의 동작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부와;
    상기 모드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전자 종이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의 암호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의 삭제, 상기 이미징 시트에 표시된 컨텐츠의 화면 삭제 및 상기 이미징 시트에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잠금 화면의 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스위치부는 서로 다른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복수의 모드 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스위치부는 그 일부가 절단된 경우에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 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종이의 내부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불능 상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스위치부는 각각 제한 시간이 할당된 복수의 레벨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온 상태로 전환된 적어도 하나의 레벨 스위치의 합산된 할당 시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미리 설정된 페이지가 표시된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설정되면 대기 시간 없이 즉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KR20120062708A 2012-06-12 2012-06-12 모드 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자 종이 KR20130139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2708A KR20130139031A (ko) 2012-06-12 2012-06-12 모드 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자 종이
US13/916,049 US9268925B2 (en) 2012-06-12 2013-06-12 Electronic paper with mode switch unit
EP20130171621 EP2674935A3 (en) 2012-06-12 2013-06-12 Electronic paper with mode switch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2708A KR20130139031A (ko) 2012-06-12 2012-06-12 모드 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자 종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031A true KR20130139031A (ko) 2013-12-20

Family

ID=4862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2708A KR20130139031A (ko) 2012-06-12 2012-06-12 모드 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자 종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68925B2 (ko)
EP (1) EP2674935A3 (ko)
KR (1) KR201301390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8277B (zh) * 2016-11-11 2019-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和操作方法、电子复写系统
TWI659346B (zh) * 2018-05-15 2019-05-1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驅動器裝置
CN112687195B (zh) * 2020-12-23 2022-04-1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2898B1 (en) 1998-02-04 2001-09-18 Spyrus, Inc. Active erasure of electronically stored data upon tamper detection
US7204425B2 (en) * 2002-03-18 2007-04-17 Precision Dynamics Corporation Enhanced identification appliance
DE10217632A1 (de) 2002-04-19 2003-11-06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dokument
US7805374B2 (en) 2003-11-19 2010-09-28 Gene Fein Digital media inventory control, distribution and destruction system
US8640259B2 (en) * 2005-01-20 2014-01-2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Notarizable electronic paper
US20090070122A1 (en) 2007-09-12 2009-03-12 Apple Inc. Escrow service for providing licensed digital content
KR100941320B1 (ko) 2007-10-08 2010-02-11 프롬투정보통신(주) Drm과 보안 usb 메모리를 연동한 비밀자료 유통기한관리방법 및 시스템
WO2009097604A1 (en) * 2008-01-31 2009-08-06 Priv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f-authenticating token
JP2009199216A (ja) 2008-02-20 2009-09-03 Seiko Epson Corp 記憶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533853B2 (en) 2009-06-12 2013-09-10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Location sensitive solid state drive
US20110260829A1 (en) * 2010-04-21 2011-10-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ensitiv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4935A3 (en) 2014-08-13
US20130333023A1 (en) 2013-12-12
US9268925B2 (en) 2016-02-23
EP2674935A2 (en)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754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64678B1 (ko) 이동 단말기
KR10235078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664161B (zh) 电子装置
KR102148313B1 (ko) 프라이버시 필름 필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및 이것을 위한 제조 방법
CN106168875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2027246B1 (ko) 디지타이저 및 그 제조 방법
US11206321B2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20140359493A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mirroring screen data
KR102603269B1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40036846A (ko) 국부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EP324428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90196641A1 (en) Mobile terminal
CN105144016A (zh) 附加输入设备
US1062076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340336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and system thereof
CN104395873A (zh) 包括触摸屏的设备及其屏幕改变方法
US9296223B2 (en) Electronic paper and printing device
KR20130139031A (ko) 모드 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자 종이
US10250736B2 (en) Terminal controll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same
KR20140055783A (ko) 전자 종이들 간의 이미지 전사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전자 장치 및 전자 종이
KR10171183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627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348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11298A (ko) 전자 종이 및 프린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