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691A - 복합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합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691A
KR20130138691A KR1020130066118A KR20130066118A KR20130138691A KR 20130138691 A KR20130138691 A KR 20130138691A KR 1020130066118 A KR1020130066118 A KR 1020130066118A KR 20130066118 A KR20130066118 A KR 20130066118A KR 20130138691 A KR20130138691 A KR 20130138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tating
shaft
roll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675B1 (ko
Inventor
김재범
Original Assignee
김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범 filed Critical 김재범
Publication of KR2013013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일측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지지축과 회동부를 탄력수단으로 연결하여 상기 탄력수단이 회동부의 회전에 의해 운동 부하를 가하도록 하는 고정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복합운동기구{COMPOSITE MOTION DEVICE}
본 발명은 복합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근 운동과 다리 운동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으면서 부피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합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 식생활이 변화되면서 섭취되는 칼로리에 비해 운동량이 부족하여 많은 사람들이 과체중이나 비만에 시달리고 있는데, 비만이 심할 경우 다양한 성인병이 발병할 수 있음은 물론 자신감이 결여되어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어렵고 사회활동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여성층을 중심으로 식생활 조절을 통한 다양한 다이어트 방법이 등장하고 있으며, 또한 식생활 조절을 통한 다이어트의 경우 인간의 가장 큰 욕구인 식욕을 억제해야 하는 것이어서 굉장한 인내력이 필요하며 심하게는 생명과도 직결되는 것이므로 건강을 유지하면서도 체형관리를 할 수 있도록 운동에 의해 몸매를 관리하는 사람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허리 및 복부이 살은 신체 구조적으로 아무리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운동을 하더라도 쉽게 빠지지 않는 부위이며, 운동을 조금만 중단하여도 곧바로 원래의 체형으로 돌아가버려 다이어트에 있어 가장 고민이 되는 부위라 할 것인바, 이러한 허리 및 복부의 살을 뺄 수 있는 운동으로는 윗몸일으키기가 가장 보편화된 운동방법이나 이는 운동 자체가 어느 정도의 근력이 요구되어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이 아니며, 굉장한 인내력과 지구력이 필요하게 되어 대부분 실패로 돌아가는 일이 많았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훌라후프와 같은 기구를 통한 운동으로서, 훌라후프를 허리 및 복부에 걸고 엉덩이 부분을 돌려주면서 훌라후프를 돌리는 동안 허리 및 복부에 힘이 가해지고 외부에서는 훌라후프와 접촉되면서 허리 및 복부의 살을 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훌라후프를 돌리는 동작을 살펴보면 엉덩이를 돌리는 반경이 매우 작고, 엉덩이를 돌리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상체부위가 자연스럽게 엉덩이를 따라 움직이며, 다리와 엉덩이는 반대방향이 되므로 이러한 자세는 인체구조학적으로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 자세에 해당되어 훌라후프를 돌리는 동안 허리 및 복부에 가해지는 힘은 굉장히 미약하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아무리 오랫동안 훌라후프를 하여도 허리 및 복부의 살을 쉽게 뺄 수는 없는 것이었다.
또한, 의자 형태의 운동기구도 등장하였는데, 이는 전동기구를 통해 의자의 좌판이 일정궤도로 공전되도록 한 것으로, 이 역시 엉덩이가 돌아가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상체부위가 자연스럽게 엉덩이를 따라 움직이며, 다리와 엉덩이는 반대방향이 되므로 전술한 훌라후프를 돌리는 동작과 유사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의자형태의 운동기구로도 허리 및 복부의 살을 쉽게 빼내지는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는 운동자가 운동자세에 따라 복근, 팔, 허리 및 다리 운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의 과부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운동자의 체력에 따라 맞춤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운동기구의 각 구성요소를 접철시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일측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지지축과 회동부를 탄력수단으로 연결하여 상기 탄력수단이 회동부의 회전에 의해 운동 부하를 가하도록 하는 고정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는 틀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내부 양쪽을 연결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을 연결하는 제3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와 고정부를 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착석판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에 안착되는 착선판이 마련되고, 상기 착석판의 중앙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착석판은 중앙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착석판은 하부면 양측으로 돌출판을 형성시키고 상기 돌출판에 밴드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밴드를 통해 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동부는 상기 베이스부 일측 양쪽에 설치된 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 끝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외주연에 로울러를 장착한 연결축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울러는 원형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축 외주연에 2 개로 구분되어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울러는 2개로 구분된 사이에 수직으로 이음축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축 양측에 제2로울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울러는 상기 연결축 외주연에 결합되되, 상기 로울러 일측면이 만곡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3로울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울러는 상기 연결축 외주연에 2개로 구분되어 결합되고, 상기 로울러 사이에는 한 쌍의 제3로울러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축으로 상기 회동부를 힌지 연결하고, 상기 회동부 측방에 회전축에 의해 지지축을 힌지 결합시키되,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는 탄력수단 일측을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 전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이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부가 브라켓에서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축으로 상기 회동부를 힌지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과 회동부의 결합부분 상부에 제2회전축에 의해 지지축을 힌지 결합시킨 다음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는 탄력수단 일측을 결합하되, 상기 브라켓에서 제2회전축의 분리 또는 결합상태에 의해 지지축의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회전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력수단은 양 끝단이 상기 회동부와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가 회전시 장력을 발생하도록 하되, 상기 회동부에는 복수개의 설치공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탄력수단의 일측이 결합수단에 의해 회동부의 설치공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하여 장력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는 운동자의 운동부위와 밀착되어 운동 동작과 연계될 때 운동의 부하를 가하여 자세에 따라 운동자의 복근, 허리, 팔 및 다리운동을 선택적으로 행하거나 동시에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는 운동 부하를 직접적으로 컨트롤 하는 탄력수단의 위치를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운동 부하의 세기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는 회동부와 고정부를 일체로 회동시켜 베이스부에 일체로 접철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복합운동기구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b는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접철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b,c는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의 다양한 운동 동작을 나타낸 상태도.
도 5a,b,c는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a,b는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접철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b,c는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의 다양한 운동 동작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a,b,c는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 100는 베이스부 110와, 회동부 120와, 고정부 13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 110는 착석판 111이 마련되고 지면에 안착된다.
상기 회동부 120는 상기 베이스부 110 일측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 110와 접철된다.
상기 고정부 130는 베이스부 110와 회동부 120가 힌지 결합되도록 브라켓 115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 115에 설치된 지지축 134과 회동부 120를 탄력수단 133으로 연결하여 상기 탄력수단 133이 회동부 120의 회전에 의해 운동 부하를 가하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부 110는 크게 두 가지 실시예로 실시된다.
즉, 도 2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프레임을 갖는 형태의 구조이고,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판 형태의 구조이다.
제1실시예의 베이스부 110는 대략 "ㄷ" 형상의 틀 형상으로 형성된 제1프레임 112과, 상기 제1프레임 112 내부 양쪽을 연결하는 제2프레임 113과, 상기 제1프레임 112의 개방된 타측을 연결하는 제3프레임 114과, 상기 제3프레임 114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 120와 고정부 130를 지지하는 브라켓 115과, 상기 제2프레임 113과 제3프레임 114 상부에 설치되는 착석판 11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부 110, 회동부 120, 고정부 130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적용된다.
또한, 도 5a,b,c는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베이스부 110는 지면에 안착되는 사각형 판 형태의 착석판 111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착석판 111은 중앙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 111a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착석판 111은 중앙에 결합홈 111b을 형성시켜 회전판 111a을 내입시키되, 상기 착석판 111과 회전판 111a의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회전판 111a과 착석판 111의 결합홈 111b 상면 사이에 베어링 111c을 통해 착석판 111에서 회전판 111a이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회전판 111a 위에 착석한 상태에서 좌, 우로 회전하면 허리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상기 착석판 111은 하부면 양측으로 돌출판116을 형성시키고 상기 돌출판 116에 밴드 117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밴드 117를 통해 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밴드 117는 일측을 돌출판 116에 고정하고 타측은 손잡이(미부호)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잡아 당기면 밴드의 장력을 통해 사용자 팔에 운동부하를 준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 120는 상기 베이스 110부 일측 양쪽에 설치된 브라켓 115에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축 121과, 상기 고정축 121 끝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외주연에 로울러 123를 장착한 연결축 122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회동부 120에 설치된 로울러 123는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다.
즉, 제1실시예는 도 2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울러 123가 원형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축 122 외주연에 2 개로 구분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로울러 123에 사용자가 등받이로 이용하여 윗몸일으키기 운동 또는 발 누름 동작 등 다양한 운동 변형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울러 123가 상기 연결축 122 외주연에 결합되되, 상기 로울러 123 일측면이 만곡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3로울러 123a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등받이로 사용할 경우 접촉 면적을 최대화시켜 보다 안정된 윗몸일으키기 또는 발 누름 동작이 가능하다.
제3실시예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울러 123가 2개로 구분된 사이에 수직으로 이음축 127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축 127 양측에 제2로울러 123a를 더 포함하여 등받이 지지력을 한층 더 안정되게 유지하고, 발 누름 동작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4실시예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로울러 123가 상기 연결축 122 외주연에 2개로 구분되어 결합되고, 상기 로울러 123사이에는 전면과 후면이 평편한 쌍의 제3로울러 123a를 장착시킴으로써, 상기 제3로울러 123a를 통해 안정된 등받이 기능을 수행하고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로울러 123를 통해 발 누름 동작이 가능하다.
결국, 상기에서 언급된 다양한 실시예의 로울러를 통해 사용자의 윗몸일으키키 또는 발 운동을 행할 경우 신체의 등 부위와 발바닥과의 안정적인 접촉성을 부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일몸일으키기와 발 누름 동작에 대하여 운동 부하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탄력수단 133의 장력에 의해 수행된다.
즉, 상기 고정부 130의 탄력수단 133은 상기 베이스부 110와 회동부 120가 힌지 결합 된 위치에 브라켓 115을 설치하여 상기 브라켓 115과 회동부 120를 탄력수단 133으로 연결하여 상기 탄력수단 133이 회동부 120의 회전에 의해 운동 부하를 가하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부 130는 2가지 실시예로 구분된다.
즉, 상기 고정부 130는 복합운동기구 100를 사용 여부에 따라 회동부 120와 베이스부 110를 선택적으로 접철시켜 휴대성과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복합운동기구 100를 사용할 경우 탄력수단 133이 장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실시예는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 115에 회전축 124으로 상기 회동부 120를 힌지 연결하고, 상기 회동부 120 측방에 회전축 124에 의해 지지축 134을 힌지 결합시키되, 상기 지지축 134의 상부에는 탄력수단 133 일측을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 115 전면에 형성된 결합공 115a에 체결되는 고정수단 132이 상기 고정부 130에 형성된 고정공 131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부 130가 브라켓 115에서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브라켓 115에서 상기 고정수단 132의 체결 상태에 따라 지지축 134을 수직 상태로 입설시켜 회동부 120의 회전에 의해 탄력수단 133의 일측을 긴밀하게 지지하여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고정수단 132을 브라켓 115에서 분리할 경우 지지축 134을 베이스부 110측으로 접철시키는 동시에 회동부 120를 베이스부 110에서 접철시킬 수 있다.
제2실시에는 상기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 130는 상기 브라켓 115에 회전축 124a으로 상기 회동부 120의 연결축 122을 힌지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 115에 결합된 연결축 122 결합 상부에 제2회전축 124a에 의해 지지축 134을 힌지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 134의 상부에는 탄력수단 133 일측을 결합하되, 상기 브라켓 115에서 제2회전축 124a의 분리 또는 결합상태에 의해 지지축 134의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회전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갖으나, 제2실시예의 고정수단 132의 구성이 필요없이 상기 제2회전축 124a의 결합 상태에 따라 지지축 134을 접철시키거나 수직으로 입설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력수단 133은 양 끝단이 상기 회동부 120와 고정부 130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 120에 장력을 발생하도록 하되, 상기 회동부 120에는 복수개의 설치공 125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탄력수단 133의 일측이 결합수단 126에 의해 회동부 120의 설치공 125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하여 장력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동부 120의 고정축 121에 복수개의 설치공 125을 형성시켜 탄력수단 133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탄력수단 133의 타측은 지지축 134에 연결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설치공 125 중 어느 한 개소에 탄력수단 133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면 상기 탄력수단 133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여 운동 난위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 100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복합운동기구 100는 크게 4가지의 운동효과를 갖는다.
첫 번째로,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근 운동으로 운동자는 착석부에 앉되, 운동자의 등 부위가 로울러 123에 맞닿도록 착석한다.
운동자는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 있는 상태에서 복근운동을 하듯 눕는 운동을 행하면 로울러 123에 지지된 회동부 120가 베이스부 110에서 연동하고 이때, 상기 회동부 120와 고정부 130에 이음되어 있는 탄력수단 133을 통해 회동부 120가 운동자의 복근 운동을 지지한다.
이후, 운동자가 누워 있는 동작 이후 상체를 일으키면 회동부 120는 상기 탄력수단 133의 자체 탄성에 의해 운동자의 상체를 일으키는 동작에 도움을 주어 운동자가 복근 운동을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복근 운동시 탄력수단 133에 의해 지지되는 회동부 120가 운동자의 상체 등 부위를 지지하여 누웠다가 일어나는 동작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 복근 운동에 의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운동으로 운동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로 운동자의 다리가 위치한 위치에 복합 운동기구를 배치한다.
그리고, 운동자는 다리를 한 쌍의 로울러 123, 제2로울러 및 제3로울러 중 언 한 개소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자전거 페달 운동을 행하듯 한 다리씩 번갈아 가면서 로울러 123를 눌러 운동자의 다리 대퇴근에 자극을 부여 순차적으로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로는,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석판 111의 회전판 111a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를 좌, 우로 회전시키면 상기 착석판 111에서 회전판 111a은 회전하여 사용자의 허리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하다.
네 번째로는, 도 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판 111a에 착석하거나 복합운동기구 100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밴드 117의 손잡이를 잡고 밴드 117를 잡아당기면 장력을 발생시켜 팔 근력 운동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 운동기구는 운동자의 운동 부위와 밀착되어 운동 동작과 연계될 때 운동의 부하를 가하여 자세에 따라 운동자의 복근, 다리, 허리, 팔 운동을 선택적으로 병행하거나 동시에 병행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 부하를 직접적으로 컨트롤 하는 탄력수단의 위치를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운동 부하의 세기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회동부와 고정부를 일체로 회동시켜 베이스부에 일체로 접철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복합운동기구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복합운동기구 110 : 베이스부
111 : 착석판 111a : 회전판
111b : 결합홈 111c : 베어링
112 : 제1프레임
113 : 제2프레임 114 : 제3프레임
115 : 브라켓 115a : 결합공
116 : 돌출판 117 : 밴드
120 : 회동부 121 : 고정축
122 : 연결축 123 : 로울러
123a : 제2로울러 123b : 제3로울러
124 : 회전축 124a : 제2회전축
125 : 설치공 126 : 결합수단
127 : 이음축 130 : 고정부
131 : 고정공 132 : 고정수단 133 : 탄력수단 134 : 지지축

Claims (13)

  1.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일측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지지축과 회동부를 탄력수단으로 연결하여 상기 탄력수단이 회동부의 회전에 의해 운동 부하를 가하도록 하는 고정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틀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내부 양쪽을 연결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을 연결하는 제3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와 고정부를 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착석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에 안착되는 착선판이 마련되고, 상기 착석판의 중앙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판은 중앙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5. 제 2항 또는 제3에 있어서,
    상기 착석판은 하부면 양측으로 돌출판을 형성시키고 상기 돌출판에 밴드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밴드를 통해 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베이스부 일측 양쪽에 설치된 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 끝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외주연에 로울러를 장착한 연결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운동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는 원형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축 외주연에 2 개로 구분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운동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는 2개로 구분된 사이에 수직으로 이음축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축 양측에 제2로울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운동기구.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는 상기 연결축 외주연에 결합되되, 상기 로울러 일측면이 만곡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3로울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복합 운동기구.
  10. 제 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는 상기 연결축 외주연에 2개로 구분되어 결합되고, 상기 로울러 사이에는 한 쌍의 제3로울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운동기구.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부가 힌지 결합 된 위치에 브라켓을 설치하여 상기 브라켓과 회동부를 탄력수단으로 연결하여 상기 탄력수단이 회동부의 회전에 의해 운동 부하를 가하도록 하는 고정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축으로 상기 회동부를 힌지 연결하고,
    상기 회동부 측방에 회전축에 의해 지지축을 힌지 결합시키되,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는 탄력수단 일측을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 전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이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부가 브라켓에서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축으로 상기 회동부를 힌지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과 회동부의 결합부분 상부에 제2회전축에 의해 지지축을 힌지 결합시킨 다음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는 탄력수단 일측을 결합하되,
    상기 브라켓에서 제2회전축의 분리 또는 결합상태에 의해 지지축의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회전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수단은 양 끝단이 상기 회동부와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가 회전시 장력을 발생하도록 하되,
    상기 회동부에는 복수개의 설치공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탄력수단의 일측이 결합수단에 의해 회동부의 설치공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하여 장력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운동기구.
KR1020130066118A 2012-06-11 2013-06-10 복합운동기구 KR101498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335 2012-06-11
KR20120062335 2012-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691A true KR20130138691A (ko) 2013-12-19
KR101498675B1 KR101498675B1 (ko) 2015-03-18

Family

ID=4998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118A KR101498675B1 (ko) 2012-06-11 2013-06-10 복합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823A (ko) 2015-03-25 2016-10-06 신지윤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925Y1 (ko) * 1986-07-11 1990-05-04 정연웅 다목적 운동기구
KR20090002285U (ko) * 2007-09-02 2009-03-05 김재영 복부운동기구
KR101078622B1 (ko) * 2010-02-01 2011-11-01 이재홍 다리운동기구
KR200463832Y1 (ko) * 2010-06-17 2012-11-27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멀티힙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823A (ko) 2015-03-25 2016-10-06 신지윤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675B1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412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7824317B2 (en) Machine for training various kinds of abdominal and lumbar muscles
US9199121B2 (en)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US20130196828A1 (en) Multi Purpose Exercise Apparatus
KR102000626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장치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20110014907A (ko) 상하체 운동이 가능한 헬스 자전거
KR101315367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 기구
KR20170001181U (ko) 아암부독립복합운동기구
KR101966608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30138691A (ko) 복합운동기구
KR20190141103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43120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01360U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0313393Y1 (ko) 복근, 요근 및 하지근 등속 운동기구
KR20210018741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435599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20170073127A (ko) 스트레칭 운동 및 근력 운동이 가능한 장치
KR101969283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11660498B2 (en) Upper leg and hip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knee and ankle joint while exercising
RU3197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KR20160002197U (ko) 싯업페달헬스기구
KR20200119437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2040664B1 (ko) 상체 근력 강화를 위한 다중 스트레칭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KR20200142649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