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925Y1 - 다목적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925Y1
KR900003925Y1 KR2019860009956U KR860009956U KR900003925Y1 KR 900003925 Y1 KR900003925 Y1 KR 900003925Y1 KR 2019860009956 U KR2019860009956 U KR 2019860009956U KR 860009956 U KR860009956 U KR 860009956U KR 900003925 Y1 KR900003925 Y1 KR 900003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ixed
pair
jogg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004U (ko
Inventor
정연웅
Original Assignee
정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웅 filed Critical 정연웅
Priority to KR2019860009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925Y1/ko
Publication of KR880002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0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8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목적 운동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회전판과 맛사지벨트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부분절개 종단면도.
제4도는 프레임 연결부 단면도.
제5도는 팔굽혀펴기 운동용 손잡이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프레임 2,3 : 수직프레임
4 : 손잡이부 5 : 크랭크축
6 : 크랭크 7 : 구동스프로켓
8 : 플라이 휠 9 : 지지축
10 : 조깅용 발판 11 : 연결롯드
12 : 완충장치 13 : 회전축
14 : 종동스프로켓 15 : 일방향 라쳇트
16 : 체인 17 : 회전판
18 : 벨트걸이돌기 20 : 맛사지벨트
23 : 연결공 26 : 회전원판
28 : 손잡이 29 : 슬라이더
32 : 횡봉 33 : 벤취
36 : 걸고리
본 고안은 실내등 일정 장소에서 조깅과 벨트 맛사지를 동시에 할 수 있으며 트위스트 운동과 윗몸일으키기 운동 및 팔굽혀펴기 운동을 겸할 수 있는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실내등 일정장소에 운동 및 맛사지를 할 수 있는 조깅기구와 벨트 맛사지기구가 안출되어 있으나, 조깅기구는 전동기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단벨트(Endless Belt)를 주행시키고 그위에 제자리 뛰기를 하는 것이고, 벨트 맛사지 기구도 동력을 이용하여 벨트를 요동시키며 그 벨트에 등허리나 히프를 대고 맛사지 하도록 한 것으로 이들은 전동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이 필요하므로 전력소비가 수반되며 단전시나 전력 미 공급지역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을뿐 아니라, 조깅기구와 벨트 맛사지기구가 별도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구입에 따른 구입비용 증가와 설치 공간의 점유를 확대를 수반하게 되고, 사용에 있어서도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운동 및 맛사지 효과가 뒤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트위스트 운동과 윗몸일으키기 운동 및 팔굽혀 펴기 운동을 할 수 없으며 이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구를 각각 준비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폐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기구로써 별도의 동력이 없이도 조깅 운동과 벨트 맛사지를 동시에 할 수 있어 전력소비가 없고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조깅운동에 의한 효과와 벨트 맛사지에 의한 단순한 총화적 효과가 아닌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트위스트운동과 윗몸 일으키기 운동 및 팔굽혀펴기 운동을 겸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 바닥프레임(1)의 중간부 일측에는 한쌍의 ㄱ자형 수직프레임(2)를 고정설치하고, 타측에는 손잡이부(4)가 만곡형성된 수직프레임(3)을 고정설치하여 그 중간부에서 수직프레임(2)과 연결고정하며, 수직프레임(2)의 중간부에는 180도 위상차를 갖는 한쌍의 크랭크(6)를 보유하는 크랭크축(5)을 지지하여 그 크랭크축(5)에 구동스프로켓(7)과 플라이휠(8)을 고정설치하고 바닥프레임(1)의 일측단부에 돌출된 지지축(9)의 한쌍의 조깅용 발판(10)을 상하 회동되게 지지하여 그 선단을 크랭크(6)에 연결롯드(11)로 연결하며, 바닥 프레임(11)에는 조깅용 발판(10)의 중간부 하측에 완충장치(12)를 설치하고, 수직프레임(2)의 상단부에는 회전축(13)을 양측으로 연장설치하여 중간부에는 일방향 라쳇트(15)가 종동스프로켓(14)을 설치하여 체인(16)으로 구동스프로켓(7)에 연동연결하며, 양측단부에는 벨트이탈 방지용 확대(19)가 형성된 벨트걸이돌기(18)가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설치된 한쌍의 회전판(17)을 고정부착하고, 중간부에 다수의 구멍(22)이 천공된 확장부(21)를 보유하는 맛사지 벨트(20)의 양단에 걸림부(24)와 삽입부(25)로 되는 연결공(23)을 천공하여 벨트걸이돌기(18)에 삽입 연결하며, 바닥프레임(1)의 타측에는 트위스트 운동을 회전원판(26)을 착설하고, 바닥프레임(1)의 단부양측에는 각 한쌍의 지지돌기(27)를 돌출고정하여 한쌍의 팔굽혀펴기 운동용 손잡이(28) 하단에 고정된 슬라이더(29)를 삽입하며, 지지돌기(27) 단부에는 이탈방지편(30)을 나사(31)로 고정하고, 수직프레임(3)에는 다수의 횡봉(32)을 고정부착하여 발걸이 밴드(34)와 지지용 바퀴(35)가 달린 윗몸일으키기 운동용 벤취(33)에 설치된 걸고리(36)를 걸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바닥프레임(1)과 수직프레임(2)(3), 횡봉(32)은 도시예에서는 사각파이프로 성형 제작하였으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파이프로 할 수도 있다.
바닥프레임(1)은 보강을 위하여 중간중간에 보강횡간(37)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바닥프레임(1)에 대한 수직프레임(2)(3)의 고정은 제4도와 같이 수직프레임(2)(3) 하단에 너트편(38)을 삽입 고정하고, 바닥프레임(1)에 볼트삽입공(39)을 천공하여 볼트(40)로써 체결하며, 수직프레임(2)(3)간의 연결고정도 이와 같이 하여 전체적으로 조립식 구조로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을 용접부착하여 고정식 구조로 할 수도 있다.
크랭크축(5)과 회전축(3)은 베어링이나 부싱으로 수직프레임(2)에 지지한다.
조깅용 발판(10)은 철판(41)상에 나무나 합성수지판(42)을 부착한 구조로 하는 것이 좋다.
조깅용 발판(10)을 지지축(9)와 연결롯드(11)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발판(10)을 구성하는 철판(41)의 양단에 힌지부(43)(44)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부착하여 베어링이나 부싱을 끼워서 연결하며, 연결롯드(11)와 크랭크(6)간의 연결도 베어링이나 부싱을 끼워서 연결한다.
구동스프로켓(7)과 종동스프로켓(14)은 그 치수비를 2-5:1정도로 하여 조깅 2스탭마다 맛사지 벨트(20)가 2-5회 진동토록 한다.
종동스프로켓(14)에는 일방향 라쳇트(15)를 설치하여 구동스프로켓(7)이 일정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회전축(13)이 회전되어 벨트(20)가 진동하게 되며,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회전할 때에는 벨트(20)가 진동하지 않게 되도록 한다.
상기 완충장치(12)는 바닥프레임(1)에 고정된 고정판(45)과 상부판(46) 사이에 스프링(47)을 설치한 것이며, 단지 완충용 고무편을 고정판(45)에 설치해도 좋다.
상기 회전원판(26)은 공지의 것을 사용하며 바닥프레임(1)에 고정된 횡간(48)에 고정설치한다.
윗몸일으키기 운동용 벤취(33)은 합성수지판재상에 스폰지 등의 쿠숀재를 대고 시트카바로 피복한 것으로 한다.
벨트(20)의 연결공(23)주위는 재봉에 의해 견고하게 하거나 내마모성이 양호한 재질의 아이렛을 끼우는 것이 좋다.
미설명 부호 49는 받침고무 패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목적 기구는 조깅용 발판(10)상에서 맛사지 벨트(20)를 등허리나 히프등에 대고 제자리 뛰기를 하면 벨트(20)가 진동하여 조깅운동과 동시에 벨트 밧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회전원판(26)상에서 트위스트운동을 하고, 팔굽혀펴기 운동용 손잡이(28)를 잡고 엎드려서 팔굽혀펴기 운동을 하며, 벤취(33)에 거꾸로 누워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하는 것이다.
조깅 및 벨트맛사지를 함에 있어서는 벨트(20)의 양단에 천공된 연결공(23)의 삽입부(25)를 회전판(17)에 돌출된 벨트걸이돌기(18)의 확대부(19)에 일치시켜 끼운 다음 걸림부(24)가 걸이돌기(18)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게 연결한 상태에서 조깅용 발판(10)상에서 벨트(20)의 확장부(21)를 등허리나 히프등에 대고 제자리 뛰기를 하면 조깅용 발판(10)이 지지축(9)을 중심으로 교대로 상하회동하면서 선단에 연결된 연결롯드(11)를 교대로 승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그 상단에 연결된 크랭크(6)가 형성된 크랭크축(5)이 회전하게 되며 크랭크축(5)에 고정된 구동스프로켓(7)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크랭크축(5)은 플라이 휠(8)의 회전 관성력에 의해 회전이 원활하게 되며, 체인(16)으로 구동스프로켓(7)에 연동 연결된 종동스프로켓(14)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종동스프로켓(14)은 일방향 라체트(15)에 의해 회전축(13)에 설치되어 있는바 종동스프로켓(14)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축(13)이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축(13)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회전축(13)이 회전하면 그 양측 연장단부에 고정된 회전판(17)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판(17)에 돌출된 걸이돌기(18)에 연결된 벨트(20)가 요동하게 된다.
즉, 양측회전판(17)에 고정돌출된 걸이돌기(18)는 서로 180도 위상 차이를 가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벨트(20)의 양단은 교호로 왕복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벨트(20)가 진동하게 되면 그 벨트(20)의 확장부(21)이 등허리나 히프등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등허리나 히프를 맛사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벨트(20)의 확장부(21)에는 다수의 구멍(22)이 천공되어 확장부(21)가 등허리나 히프의 곡선에 따라 쉽게 만곡되면서 밀착된 상태로 되므로 맛사지 효과가 증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깅과 벨트 맛사지를 동시에 되면 조깅에 의한 운동효과의 맛사지에 의한 효과가 단순히 그들 효과의 총화적으로가 아닌 상승적 효과로써 월등하게 나타나게 된다.
그 예로써 조깅과 벨트 맛사지를 각각 하는 경우 척추의 연골부분이 제자리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는바, 조깅과 벨트 맛사지를 동시에 하는 경우 이들 각각의 효과 외에도 상승적 효과를 얻게 되는 것으로 실험에 따르면 척추 연골의 어긋남에 기인된 요통 등의 치료효과가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그외에도 조깅과 벨트 맛사지에 의한 일반적인 효과도 상승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동스프로켓(7)과 종동스프로켓(14)의 회전방향은 조깅용 발판(10)과 연결롯트(11) 및 크랭크(6)의 척추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바, 최초 벨트(20)를 당겨서 회전판(17)을 회전시켜 그 최초 상태를 조정한 다음 조깅을 시작하면 그 회전 방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로써 벨트 맛사지가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벨트(20)가 요동되지 않은 회전 방향으로 되도록 하고 조깅운동만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조깅과 벨트 맛사지를 겸하는 경우 등허리와 히프의 벨트(20)에 대한 압력을 증감함에 이동됨에 따라 발판(10)을 밟는데 필요한 힘이 증감되고, 또한 발판(10)의 발밟는 위치가 따라서도 증감되는바, 이를 이용하여 신체조건이나 필요에 따라 운동량과 맛사지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조깅용 발판(10)이 상하로 회동하면 그 하단에서는 완충장치(12)가 완충 및 반발역활을 하게 되므로 충격전달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 수직프레임(3)의 횡봉(32)에 걸쳐 있는 벤취(33)를 제거한 상태에서 회전원판(26)에 올라서서 손잡이부(4)를 잡고 트위스트 운동을 하며, 팔굽혀펴기 운동용 손잡이(28)를 잡고 엎드려서 팔굽혀펴기를 할 수 있으며, 벤취(33)의 걸고리(36)를 회봉(32)에 걸어서 벤취(33)를 적정 경사각도로 설치한 다음 발걸이 벤드(34)에 발목이나 발등을 걸고 거꾸로 누워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팔굽혀펴기 운동을 함에 있어서는 신체조건이나 필요에 따라 손잡이(28)을 지지돌기(27)에서 슬라이더(29)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그 폭을 조정하여 사용한다.
또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함에 있어서는 신체조건이나 필요에 따라 걸고리(36)를 다수의 횡봉(32)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서 벤취(33)의 경사각도를 조정하여 사용하며 초보자들은 바닥에 수평으로 눕혀놓고 사용함으로써 운동량은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지지용 바퀴(35)를 이용 벤취(33)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기구로써 조기운동과 벨트 맛사지를 동시에 함으로써 운동 및 동력이 필요치 않으므로 전력 소비를 방지하고 좁은 공간과 전력이 미공급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트위스트 운동과 윗몸일으키기 운동 및 팔굽혀펴기 운동등 다양한 운동을 겸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장방형 바닥프레임(1)의 중간부 일측에는 한쌍의 ㄱ자형 수직프레임(2)를 고정설치하고, 타측에는 손잡이부(4)가 만곡형성된 수직프레임(3)을 고정설치하여 그 중간부에서 수직프레임(2)과 연결고정하며, 수직프레임(2)의 중간부에는 180도 위상차를 갖는 한쌍의 크랭크(6)를 보유하는 크랭크축(5)을 지지하여 그 크랭크축(5)에 구동스프로켓(7)과 플라이휠(8)을 고정설치하고, 바닥프레임(1)의 일측단부에 돌출된 지지축(9)의 한쌍의 조깅용 발판(10)을 상하 회동되게 지지하여 그 선단을 크랭크(6)에 연결롯드(11)로 연결하며, 바닥 프레임(11)에는 조깅용 발판(10)의 중간부 하측에 완충장치(12)를 설치하고, 수직프레임(2)의 상단부에는 회전축(13)을 양측으로 연장설치하여 중간부에는 일방향 라쳇트(15)가 달린 종동스프로켓(14)을 설치하여 체인(16)으로 구동스프로켓(7)에 연동연결하며, 양측단부에는 벨트이탈 방지용 확대(19)가 형성된 벨트걸이돌기(18)가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설치된 한쌍의 회전판(17)을 고정부착하고, 중간부에 다수의 구멍(22)이 천공된 확장부(21)를 보유하는 맛사지 벨트(20)의 양단에 걸림부(24)와 삽입부(25)로 되는 연결공(23)을 천공하여 벨트걸이돌기(18)에 삽입 연결하며, 바닥프레임(1)의 타측에는 트위스트운동용 회전원판(26)을 착설하고, 바닥프레임(1)의 단부양측에는 각 한쌍의 지지돌기(27)를 돌출고정하여 한쌍의 팔굽혀펴기 운동용 손잡이(28) 하단에 고정된 슬라이더(29)를 합하며, 지지돌기(27) 단부에는 이탈방지편(30)을 나사(31)로 고정하고, 수직프레임(3)에는 다수의 횡봉(32)을 고정부착하여 발걸이 밴드(34)와 지지용 바퀴(35)가 달린 윗몸일으키기 운동용 벤취(33)에 설치된 걸고리(36)를 걸도록 하여서 된 다목적 운동기구.
KR2019860009956U 1986-07-11 1986-07-11 다목적 운동기구 KR900003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956U KR900003925Y1 (ko) 1986-07-11 1986-07-11 다목적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956U KR900003925Y1 (ko) 1986-07-11 1986-07-11 다목적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004U KR880002004U (ko) 1988-04-07
KR900003925Y1 true KR900003925Y1 (ko) 1990-05-04

Family

ID=1925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956U KR900003925Y1 (ko) 1986-07-11 1986-07-11 다목적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9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75B1 (ko) * 2012-06-11 2015-03-18 김재범 복합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45B1 (ko) * 2002-07-04 2005-05-06 표옥근 다목적운동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75B1 (ko) * 2012-06-11 2015-03-18 김재범 복합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004U (ko) 198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7622B2 (en) Resistance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6551218B2 (en) Deep stride exercise machine
US5468205A (en) Portable door mounted exercise apparatus
US5941800A (en)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US5556369A (en) Exercise device
US5624360A (en) Total gym
US5820532A (en) Portable arm and leg exerciser
US5378209A (en) Apparatus for exercising arms and legs vertically
EP1938869A2 (en) Supplemental resistance assembly for resisting motion of an exercise device
US5277677A (en) Stepping exercise machine
US20100173753A1 (en) Swing handle arrangement for an exercise equipment
US20090054210A1 (en) Station for Gymnastics in Water
KR900003925Y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101371950B1 (ko) 런닝머신장치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CN213097064U (zh) 一种体育健身用座椅
WO2002100490A1 (en) Sit-up exercising machine
KR100493355B1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KR200405273Y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200332335Y1 (ko) 근육단련 운동구를 구비한 접이식 런닝머신
KR200368296Y1 (ko) 트위스트 스텝퍼
KR200385410Y1 (ko) 트위스터 스텝퍼
KR200317960Y1 (ko) 근육단련 운동구를 구비한 런닝머신
KR200361425Y1 (ko) 승마용 기구
CN215461860U (zh) 一种多功能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