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823A -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823A
KR20160114823A KR1020150041177A KR20150041177A KR20160114823A KR 20160114823 A KR20160114823 A KR 20160114823A KR 1020150041177 A KR1020150041177 A KR 1020150041177A KR 20150041177 A KR20150041177 A KR 20150041177A KR 20160114823 A KR20160114823 A KR 20160114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xercise
handle
weight
slid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4755B1 (ko
Inventor
신지윤
Original Assignee
신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윤 filed Critical 신지윤
Priority to KR102015004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7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는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드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손잡이와, 상기 슬라이드 공간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 중량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맬 수 있는 벨트와, 상기 슬라이드 공간 내부의 좌측 끝부분 및 우측 끝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중량체와 상기 본체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MULTIFUNCTIONAL INDOOR EXERCISE EQUIPMENTS}
본 발명은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하는 줄 없는 줄넘기 운동, 실내 훌라후프 운동 및 근육운동 등 다양한 실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줄넘기용 줄의 경우 줄넘기운동을 하기 위하여서는 줄넘기용 줄의 회전반경 내에 걸림이 없는 일정 넓이의 공간이 확보된 실외에서만 운동할 수 있게 되는 장소의 제약을 받게 될 뿐 아니라 노약자나 어린이들은 줄넘기하는 과정에서 발목에 자주 걸리게 되므로 효과적인 운동이 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된다.
더욱이 눈비가 오거나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실외에서 운동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지속적인 운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줄넘기뿐만 아니라 실외에서 하는 모든 운동에 제약을 받게 되므로 실내에서 간단한 기구로 할 수 있는 운동의 필요성이 절실하나 현실적으로 제공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줄넘기는 긴 줄넘기 줄을 머리 위로 돌리면서 뛰어넘기 때문에, 사용자가 줄넘기를 하기 위해서는 일정 높이가 확보된 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파트 또는 일반 주택과 같은 실내에서는 천정의 높이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긴 줄넘기 줄이 회전되는 동안 조명, 장식품 등과 같은 실내의 기물이 파손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줄넘기 줄이 바닥과 부딪쳐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훌라후프는 예상외로 부피가 커서 일정한 장소에 두어야 하고 또한 공간이 다소 넓어야만 운동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훌라후프를 돌리는 동작을 살펴보면 엉덩이를 돌리는 반경이 매우 작고, 엉덩이를 돌리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상체부위가 자연스럽게 엉덩이를 따라 움직이며, 다리와 엉덩이는 반대방향이 되므로 이러한 자세는 인체구조학적으로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 자세에 해당하여 훌라후프를 돌리는 동안 허리 및 복부에 가해지는 힘은 굉장히 미약하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아무리 오랫동안 훌라후프를 하여도 허리 및 복부의 살을 쉽게 뺄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헬스 운동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 등을 강화시켜 주는 운동으로 운동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 첫째는 정상적인 부하보다 약간씩 초과해서 중량을 설정하는 과부하의 원칙, 둘째는 일정기간 적응 후에 중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점증성의 원칙, 셋째는 동원되는 근육이 대근육군에서부터 소근육군의 운동을 하는 운동배열의 원칙, 넷째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중량을 결정하는 개별성의 원칙, 다섯째는 오랫동안 계속해서 운동을 지속해서 하는 계속성의 원칙 등의 원칙을 준수해서 운동 프로그램을 만들고 변화시키게 된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헬스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헬스 운동을 위한 기구들의 중량으로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므로, 특정 공간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을 한정적으로만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헬스 운동이 가능한 다양한 보조 운동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보조 운동기구들은 대부분이 중량물이므로 인하여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8604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0-000412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8357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94821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74921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199656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138691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56834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893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실외 운동기구의 기능을 실내에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운동효과가 높은 여러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건강과 체력증진 및 다이어트 효과를 볼 수 있게 하고, 운동을 하면서 음악이나 교육자료를 청취하거나 학습할 수 있게 하는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는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드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손잡이와, 상기 슬라이드 공간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 중량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신체상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맬 수 있는 벨트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공간 내부의 좌측 끝부분 및 우측 끝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중량체와 상기 본체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왕복 중량체는 양 말단부가 양극 또는 음극을 가진 자성체이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왕복 중량체가 가까워지면 밀어낼 수 있는 극성을 가진 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에는 포터블 뮤직플레이어가 내장되고, 상기 포터블 뮤직플레이어와 연결된 이어폰 출력단자가 상기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터블 뮤직플레이어 및 상기 이어폰 출력단자는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와 상기 본체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본체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봉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봉에 의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봉의 둘레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추가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봉은 상기 손잡이와 결합된 볼트이고, 상기 본체의 양 말단부에는 상기 체결봉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에 의하면 실내용 줄없는 줄넘기 운동이 가능하고, 실내용 훌라후프 없는 훌라후프 운동이 가능하며, 근력 향상과 고강도 운동 및 다이어트 운동이 가능하고, 운동하면서 학습 및 음악 청취가 가능하며, 하나의 제품으로 다기능 실내용 운동을 할 수 있어서 운동 접근성, 휴대 및 보관성, 경제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의 시제품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의 손잡이의 시제품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줄넘기 운동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훌라후프 운동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의 외관으로 보이는 구성은 좌우 방향으로 길쭉한 원형 봉 형태의 본체(10)와, 본체(10)의 좌우 양 말단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손잡이(20)와, 손잡이(20)의 손바닥으로 쥐는 부분과 본체(10) 사이 부분의 둘레에 설치되는 추가 중량체(80)와, 본체(10)의 좌우 중심부의 바깥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구(50)와, 고정구(50)와 결합하는 벨트(6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은 원기둥 형태의 공간인 슬라이드 공간(11)이 구비된다.
일정한 무게를 가진 왕복 중량체(30)는 슬라이드 공간(11)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슬라이드 공간(11)에 의해 일직선 방향의 왕복 운동을 하도록 안내된다. 본체(10)는 왕복 중량체(3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플라스틱 등을 소재로 하고, 왕복 중량체(30)는 금속 등을 소재로 함으로써 왕복 중량체(30)가 좌우로 왕복시킬 때 사용자가 하중의 이동을 느낄 수 있게 구성한다.
왕복 중량체(30)가 좌측 끝 또는 우측 끝에 도달할 때 왕복 중량체(30)가 본체(10)와 직접 충돌하는 경우 왕복 중량체(30)의 원활한 방향 전환이 어렵고, 소음 발생 및 파손 우려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공간(11)의 좌측 끝부분 및 우측 끝부분 각각에 완충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왕복 중량체(30)와 본체(10)의 충돌이 회피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완충수단은 코일 스프링(40a)으로서, 코일 스프링(40a) 중 왕복 중량체(30)가 와서 부딪히는 쪽이 들어가면서 코일 스프링(40a) 전체가 수축되도록 코일 스프링(40a)과 본체(10)가 맞닿는 면이 상호 고정된다.
본체(10)의 좌우 중심부의 외측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고정구(50)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우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돌출부를 끼움홈에 끼워서 상호 결합시키거나 돌출부를 끼움홈에서 빼내어 상호 분리할 수 있다.
벨트(60)의 중간 부분이 고정구(50)와 고정 결합되며, 벨트(60)의 양 말단부에는 벨크로가 구비되어 있어서 붙였다 뗐다 할 수 있게 구성된다. 벨트(60)는 사용자의 허리에 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데, 벨트(60)의 길이를 조절하여 신체 다른 부위에 매고 운동을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써 일반적인 훌라후프 운동 뿐 아니라 다양한 신체 부위를 돌리는 운동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벨트(60) 체결수단을 벨크로가 아닌 일반적인 벨트에 사용되는 버클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의 경우 고정구(50)의 돌출부를 본체(10)의 끼움홈에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이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구(50)를 다수 개의 링 형태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링 형태의 고정구(50)를 적용하는 경우 마찰이 강한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구(50)가 본체(10)의 둘레를 감싸서 본체(10)가 고정구(50)를 관통하면서 꽉 끼워지도록 하여 상호 고정된다.
손잡이(20)는 본체(10)의 좌측 말단부와 우측 말단부에 하나씩 두 개가 결합되는데, 손잡이(20)는 손바닥 전체로 쥘 수 있도록 좌우로 길쭉한 형태를 가진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잡이(20)의 한쪽 말단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의 체결봉(21)이 결합되며, 본체(10)의 좌측말단과 우측말단 각각에는 상기 체결봉(21)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체결봉(21)을 본체(10)의 암나사부에 넣고 돌리면 삽입되고 역방향으로 돌리면 뺄 수 있게 구성된다.
추가 중량체(80)는 추가적인 부하를 가하기 위해 장착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도넛 형태의 부재로서, 체결봉(21)을 추가 중량체(80)의 관통공에 관통시키고 나서 본체(10)의 암나사부와 결합시키면 체결봉(21)이 본체(10)에 끝까지 삽입되지 않고 추가 중량체(80)가 본체(10)의 암나사부에 들어가있지 않은 부분 둘레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추가 중량체(80)는 손잡이(20) 중 손으로 쥘 수 있는 부분과 본체(10)의 말단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추가 중량체(80)의 설치 개수와 추가 중량체(80)의 중량은 사용자의 근력 수준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의 내부에는 포터블 뮤직플레이어(70)가 설치되고, 포터블 뮤직플레이어(70)와 연결된 이어폰 출력단자(71)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도면 작성의 편의상 포터블 뮤직플레이어(70)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잡이(10)만 들고 실내 줄넘기 운동을 하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기 위해서는 포터블 뮤직플레이어(70) 및 이어폰 출력단자(71)가 한 쌍의 손잡이(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포터블 뮤직플레이어(70)라 함은 통상적인 MP3 플레이어를 의미하는 것이며, 포터블 뮤직플레이어(70)의 사용에 필요한 입력 단자나 디스플레이 등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의 차이점은 완충수단의 종류가 다르다는 점과 왕복 중량체(30)의 양 말단부가 특정 극성을 가진 자성체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훌라후프 기능을 수행하는 운동기구의 본체(10)와 왕복 중량체(30)의 두 부분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서 같은 극의 자석이 서로 밀어내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 공간(11)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에 S극을 띠는 자성체(40b)가 설치되고, 왕복 중량체(30)의 양 말단에도 S극을 띠는 자성체가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드 공간(11)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에 N극을 띠는 자성체(40b)가 설치되고, 왕복 중량체(30)의 양 말단에도 N극을 띠는 자성체가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 공간(11)의 좌측단부에는 N극, 우측단부에는 S극을 띠는 자성체(40b)가 설치되고 왕복 중량체(30)의 좌측단부에는 N극, 우측단부에는 S극을 띠는 자성체가 설치되도록 하거나, 슬라이드 공간(11)의 좌측단부에는 S극, 우측단부에는 N극을 띠는 자성체(40b)가 설치되고 왕복 중량체(30)의 좌측단부에는 S극, 우측단부에는 N극을 띠는 자성체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실내 줄넘기 운동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줄넘기 운동을 할 때는 두 개의 손잡이(20)를 본체(10)에서 분리한 다음 오른손과 왼손에 손잡이(20)를 하나씩 쥐고 줄넘기하는 자세를 취한 다음 방석 위에서 가볍게 점프를 반복하는 것과 함께 손잡이(20)로 작은 원을 그리면서 실내 줄넘기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뮤직플레이어(70)가 구비된 한쪽 손잡이(10)에 이어폰을 연결해서 음악 등을 청취하면서 줄넘기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훌라후프 운동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훌라후프 운동을 할 때는 고정구(50)를 본체(10)에 부착하고 벨트(60)를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고 본체(10)가 정면으로 가게 한 다음 훌라후프를 돌리듯이 몸체를 회전시킨다. 이때에도 이어폰을 이어폰 출력단자(71)에 연결하여 실내에서 음악 등을 들으면서 운동을 할 수 있다. 허리를 돌림에 따라 왕복 중량체(30)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본체(10)와 왕복 중량체(30)에 의한 저항이 작용하여 훌라후프 운동의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훌라후프 운동처럼 훌라후프를 떨어뜨릴 염려가 없기 때문에 운동을 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 속도와 회전 반경이 되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근력 운동을 할 때는 운동기구의 손잡이(20)를 풀어 적당한 추가 중량체(80)를 추가로 장착한 다음 손잡이(20)를 결합시키고, 양 손으로 손잡이(20)를 붙잡고 상하로 움직이거나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다양한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이어폰을 연결하여 음악을 청취하거나 학습자료를 들으면서 운동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본체 11: 슬라이드 공간
20: 손잡이 21: 체결봉
30: 왕복 중량체 40a: 코일스프링
40b: 자성체 50: 고정구
60: 벨트 70: 포터블 뮤직플레이어
71: 이어폰 출력단자 80: 추가 중량체

Claims (9)

  1.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드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손잡이;
    상기 슬라이드 공간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 중량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신체상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맬 수 있는 벨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공간 내부의 좌측 끝부분 및 우측 끝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중량체와 상기 본체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중량체는 양 말단부가 양극 또는 음극을 가진 자성체이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왕복 중량체가 가까워지면 밀어낼 수 있는 극성을 가진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에는 포터블 뮤직플레이어가 내장되고, 상기 포터블 뮤직플레이어와 연결된 이어폰 출력단자가 상기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뮤직플레이어 및 상기 이어폰 출력단자는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본체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본체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봉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봉에 의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봉의 둘레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추가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된 볼트이고,
    상기 본체의 양 말단부에는 상기 체결봉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150041177A 2015-03-25 2015-03-25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KR10175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177A KR101754755B1 (ko) 2015-03-25 2015-03-25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177A KR101754755B1 (ko) 2015-03-25 2015-03-25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823A true KR20160114823A (ko) 2016-10-06
KR101754755B1 KR101754755B1 (ko) 2017-07-19

Family

ID=5716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177A KR101754755B1 (ko) 2015-03-25 2015-03-25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323B1 (ko) 2021-07-20 2022-05-06 고훈 요가 기구용 고정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604Y1 (ko) 2002-07-03 2002-12-26 이수원 줄넘기용 줄
KR100883570B1 (ko) 2006-01-23 2009-02-17 오리코스포텍(주) 훌라후프 의자
KR20100004122U (ko) 2008-10-10 2010-04-21 신창훈 줄없는 줄넘기
KR20110094821A (ko) 2010-02-18 2011-08-24 박제열 다목적 운동기구
KR101074921B1 (ko) 2009-12-07 2011-10-18 박제열 다목적 운동기구
KR200456834Y1 (ko) 2011-04-28 2011-11-21 박흥식 회전식 아령
KR200468939Y1 (ko) 2013-03-29 2013-09-11 임철민 휴대용 운동기구
KR101319656B1 (ko) 2008-05-06 2013-10-17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인듐 주석 산화물 분말 및 그의 분산액
KR20130138691A (ko) 2012-06-11 2013-12-19 김재범 복합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780B2 (ja) * 1991-05-28 2000-09-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604Y1 (ko) 2002-07-03 2002-12-26 이수원 줄넘기용 줄
KR100883570B1 (ko) 2006-01-23 2009-02-17 오리코스포텍(주) 훌라후프 의자
KR101319656B1 (ko) 2008-05-06 2013-10-17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인듐 주석 산화물 분말 및 그의 분산액
KR20100004122U (ko) 2008-10-10 2010-04-21 신창훈 줄없는 줄넘기
KR101074921B1 (ko) 2009-12-07 2011-10-18 박제열 다목적 운동기구
KR20110094821A (ko) 2010-02-18 2011-08-24 박제열 다목적 운동기구
KR200456834Y1 (ko) 2011-04-28 2011-11-21 박흥식 회전식 아령
KR20130138691A (ko) 2012-06-11 2013-12-19 김재범 복합운동기구
KR200468939Y1 (ko) 2013-03-29 2013-09-11 임철민 휴대용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323B1 (ko) 2021-07-20 2022-05-06 고훈 요가 기구용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755B1 (ko)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6115B2 (en) Exercise device including elastic closed loop resistance tension band
PH12015000211A1 (en) Belt pulling exercise apparatus
AU2015101871A4 (en) Belt Pulling Exercise Apparatus
WO2017031307A3 (en) Multipurpose exercise training device
US10265570B2 (en) Exercise machine with flexible handles
US20120225759A1 (en) Pull-up and Abdominal Exerciser
US20110098159A1 (en) Dumbbell resistance device
US20110172067A1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WO2011144986A3 (en) Portable gymnic machine
WO2012053880A3 (es) Juego de accesorios con soportes para ejercitar el cuerpo humano y las estructuras donde se soportan
US20150297940A1 (en) Exercise suspension strap
US20180140894A1 (en) Suspension trainer
US4693469A (en) Aerobic exercise device
US20030013586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US7192390B2 (en) Expander type exercise device
US20130316882A1 (en) Total Workout Device
US88015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xercise mechanism
SE0402980L (sv) Träningsanordning
KR101754755B1 (ko) 실내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68939Y1 (ko) 휴대용 운동기구
CN205307699U (zh) 健身器材及其健身滚子装置
RU166225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портивный тренажер
US20150196791A1 (en) Exerciser
CN201558460U (zh) 复合型运动器材
US20200086161A1 (en) Workout and rehabilit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