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499A -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 - Google Patents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499A
KR20130138499A KR1020120062139A KR20120062139A KR20130138499A KR 20130138499 A KR20130138499 A KR 20130138499A KR 1020120062139 A KR1020120062139 A KR 1020120062139A KR 20120062139 A KR20120062139 A KR 20120062139A KR 20130138499 A KR20130138499 A KR 20130138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riction
increasing
coefficient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영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장우영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영, 김영호 filed Critical 장우영
Priority to KR102012006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8499A/ko
Publication of KR2013013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에스자형으로 굴곡된 에스자형 블록(110)이고,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상면에 폭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각형 요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각형 요홈(121)에 대향되는 하면에는 각형 요홈(121)에 삽입되는 크기의 돌설부(122)가 형성된 요철 블록(120)이며, 또한,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상면과 하면에 톱니형의 요홈(131)이 폭 방향으로 반복되어 형성된 톱니형 블록(1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요철형 블록을 디귿자형 홈, 톱니, S자 형의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흙과 블록 간이나 블록과 블록 간에 마찰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자체 전단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하고, 연결 죔쇠라는 철제를 사용하지 않아 재료의 절감 효과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PROMINENCE AND DEPRESSION TYPE BLOCKS FOR INCREAS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본 발명은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흙과 블록 간이나 블록과 블록 간에 마찰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자체 전단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한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PS(Expanded Polystyrene) 블록은 폴리스티렌 수지에 펜탄 또는 부탄 등 탄화수소가스를 주입시킨 후 이를 증기로 부풀린 발포 제품으로,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지 2%가 수지인 자원 절약형 소재인데, EPS 원료를 투입, 발포, 숙성, 성형 및 건조 과정을 거쳐서 대개 직육면체형으로 절단하여 판매되며, 주로 포장재나 단열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토목 공사시 구조물상부 또는 연약지반에 대한 하중 경감을 위한 보강을 위해 성토재로 사용하고 있다.
EPS 블록이 토목공사에 적용되기 시작한 것은 1972년 노르웨이 오슬로 근교에 있는 교대 인접부의 성토단차를 보수하기 위하여 적용된 것이 최초이며, 이에 발맞춰 노르웨이 국립도로 연구소에서는 연약지반의 성토전체를 대형 EPS 블록으로 시공하는 EPS 성토공법을 개발 완성하였다. 일반적으로, EPS 성토공법은 대형 블록을 성토재료 및 뒷 채움재로서 도로, 철도 및 토지 조성 등의 토목공사에 적용하는 공법으로 재료의 초경량성, 내압축성, 내수성, 자립성등의 특징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공법으로서, 연약지반 위의 성토, 옹벽공사, 급경사 도로공사의 성토 및 낙석포장도로공사 등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종래 EPS블록의 대표적인 종류는 아래 [표 1]과 같다. 그러나 그 크기나 허용응력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종류 규격(mm) 단위중량 허용응력 주요 적용 장소
1호(D-30) 1800×900×600 0.0030 tf/㎥ 9.0 tf/㎡ 제하중이 큰 곳
2호(D-25) 1800×900×600 0.0025 tf/㎥ 7.0 tf/㎡ 제하중이 큰 곳
3호(D-20) 1800×900×600 0.0020 tf/㎥ 5.0 tf/㎡ 도로성토 등 일반 EPS공법용
4호(D-15) 1800×900×600 0.0015 tf/㎥ 3.5 tf/㎡ 보도 등 제하중이 작은 곳
도 1은 종래의 EPS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EPS 블록을 적층시키고 그 위에 피복토를 덮어 성토화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EPS 블록(1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어 그 상면으로 피복토(20)를 덮어 비탈면을 성토화시킴에 있어서, 많은 양의 피복토(20)를 필요로 한다. 이는 EPS 블록(10)을 일정한 규모의 크기로 형성해야만 다수의 EPS 블록(10)을 적층시킴에 있어서 피복토(20)의 하중으로 인한 EPS 블록(10) 간에 분리됨을 방지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EPS 블록(10) 들은 상하 블록 사이의 마찰력이 매우 중요한 경우가 많이 있는바, 즉 땅위에 설치된 블록들은 흙과 블록 간의 마찰계수가 중요하며 또한 블록과 블록간의 마찰계수도 미끄러짐이나 전단력의 증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특히 EPS 블록(10)과 같이 지속적으로 쌓아 올려갈 때는 블록과 블록 간의 마찰력이 중요하므로 이 마찰력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연결죔쇠라는 철재들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EPS 블록(1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어 흙과 블록 간이나 블록과 블록 간에 마찰력이 다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흙과 블록 간이나 블록과 블록 간에 마찰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자체 전단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한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은,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에스자형으로 굴곡된 에스자형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그리고,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상면에 폭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각형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형 요홈에 대향되는 하면에는 각형 요홈에 삽입되는 크기의 돌설부가 형성된 요철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상면과 하면에 톱니형의 요홈이 폭 방향으로 반복되어 형성된 톱니형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에 의하면, 요철형 블록을 디귿자형 홈, 톱니, S자 형의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흙과 블록 간이나 블록과 블록 간에 마찰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자체 전단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하고, 연결 죔쇠라는 철제를 사용하지 않아 재료의 절감 효과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1 요철형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1 요철형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2 요철형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2 요철형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3 요철형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3 요철형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종래의 직육면체형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직육면체형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1 요철형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1 요철형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2 요철형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2 요철형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3 요철형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제 3 요철형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요철형 블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에스자형으로 굴곡된 에스자형 블록(110)이다.
이와 같은 다수개의 에스자형 블록(110)을 상하로 적층하고 그 상면으로 피복토(20)를 덮어 비탈면을 성토화시키게 되는 바, 피복토(20)의 하중으로 인한 에스자형 블록(120) 간에 마찰계수 증가에 의한 미끄러짐이 없고, 블록의 전단력의 증가되어 서로 분리됨이 방지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요철형 블록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상면에 폭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각형 요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각형 요홈(121)에 대향되는 하면에는 각형 요홈(121)에 삽입되는 크기의 돌설부(122)가 형성된 요철 블록(120)이다.
이와 같은 다수개의 요철 블록(120)을 상하로 적층하고 그 상면으로 피복토(20)를 덮어 비탈면을 성토화시키게 되는 바, 피복토(20)의 하중으로 인한 요철 블록(120) 간에 마찰력이 작용하게 됨으로 서로 분리됨이 방지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블록과 블록간의 상기 각형 요홈(121)에 돌설부(122)가 삽입되는 형태로 적층되기 때문에 마찰계수 증가에 의한 미끄러짐이 없고, 블록의 전단력의 증가되어 서로 분리됨이 방지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요철형 블록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상면과 하면에 톱니형의 요홈(131)이 폭 방향으로 반복되어 형성된 톱니형 블록(130)이다.
이와 같은 다수개의 톱니형 블록(130)을 상하로 적층하고 그 상면으로 피복토(20)를 덮어 비탈면을 성토화시키게 되는 바, 피복토(20)의 하중으로 인한 톱니형 블록(130) 간에 마찰력이 작용하게 됨으로 서로 분리됨이 방지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블록과 블록간의 상기 톱니형의 요홈(131)에 서로 삽입되는 형태로 적층되기 때문에 마찰계수 증가에 의한 미끄러짐이 없고, 블록의 전단력의 증가되어 서로 분리됨이 방지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10 : 에스자형 블록 120 : 요철 블록
121 : 각형 요홈 122 : 돌설부
130 : 톱니형 블록 131 : 톱니형의 요홈

Claims (3)

  1.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에스자형으로 굴곡된 에스자형 블록(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
  2.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상면에 폭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각형 요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각형 요홈(121)에 대향되는 하면에는 각형 요홈(121)에 삽입되는 크기의 돌설부(122)가 형성된 요철 블록(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
  3. 블록과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상면과 하면에 톱니형의 요홈(131)이 폭 방향으로 반복되어 형성된 톱니형 블록(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






KR1020120062139A 2012-06-11 2012-06-11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 KR20130138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139A KR20130138499A (ko) 2012-06-11 2012-06-11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139A KR20130138499A (ko) 2012-06-11 2012-06-11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499A true KR20130138499A (ko) 2013-12-19

Family

ID=4998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139A KR20130138499A (ko) 2012-06-11 2012-06-11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84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799A (ko) * 2021-04-26 2022-11-02 강상식 가변형 옹벽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799A (ko) * 2021-04-26 2022-11-02 강상식 가변형 옹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6623A (en) Building component
US8973322B2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JP2019529754A (ja) アスファルトで覆われたコンクリート系補強道路構造体
US20180195278A1 (en) Joint-free concrete
US4963055A (en) Portable reinforced asphalt tile
US8206060B2 (en) Sheet-like element for reinforcing, separating and draining large structures, such as road embankments
EP3233465B1 (en) Pad for support of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20050005877A (ko) 가설용 흙막이 및 그 설치방법
KR20130138499A (ko) 마찰계수 증대를 위한 요철형 블록
EP4229252A1 (e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elements to a surface
US20140196392A1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EP0236585A1 (en) Composite roof covering plate comprising an insulating support layer and a covering layer suitable for walking on, and a roof covering formed by means of such a composite plate
JP2015048597A (ja) 軽量盛土構造
US7874761B2 (en) Support structure for a soft ground
CN111511992A (zh)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US4005943A (en) Resilient structures
JP2703274B2 (ja) 吸音性構成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4530265U (zh) 一种带eps减荷板的钢波纹涵管结构
AU2020100439A4 (en) Construction Block Construction System
US4267681A (en) Resilient structures
JP2007205074A (ja) 軽量片盛土構造
KR200439311Y1 (ko) Eps 블록
KR101826319B1 (ko) 균열 저감을 위한 신축 줄눈대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의 시공방법
JP6383269B2 (ja) 軽量盛土用合成樹脂発泡体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てなる軽量盛土構造
WO2000028166A1 (en) Build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