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127A - 아포다이저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 Google Patents

아포다이저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127A
KR20130138127A KR1020130064613A KR20130064613A KR20130138127A KR 20130138127 A KR20130138127 A KR 20130138127A KR 1020130064613 A KR1020130064613 A KR 1020130064613A KR 20130064613 A KR20130064613 A KR 20130064613A KR 20130138127 A KR20130138127 A KR 2013013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odizer
transparent
black resin
resin layer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3156B1 (ko
Inventor
미노루 이노모토
유사쿠 곤노
나오타다 오카다
다카유키 오가사하라
가츠오 이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13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58Optics for apodization or superresolution; Optical synthetic aperture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아포다이저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이 제공된다. 아포다이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된 평면에 흑색 수지가 소정 두께가 되도록 공급된다. 상기 흑색 수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를 향해서 볼록 형상의 투명 지그가 가압된다. 상기 투명 지그측으로부터 상기 흑색 수지에 자외선이 조사된다. 상기 지그를 상기 흑색 수지로부터 이격시켜서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 및 상기 흑색 수지의 상부에 상기 흑색 수지와 같은 굴절률을 갖는 자외선 경화성의 투명 수지가 공급된다. 상기 투명 수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를 향해서 투명판이 가압된다. 상기 투명판의 상방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해서 상기 투명 수지가 경화된다.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기 흑색 수지가 이격된다.

Description

아포다이저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MANUFACTURING METHOD OF APODIZER AND OPTICAL MODULE}
(관련 출원의 인용)
본 출원은, 2012년 6월 8일에 출원된 선행하는 일본 특허 출원 제2012-130955호에 의한 우선권의 이익에 기초를 두고, 또한, 그 이익을 구하고 있어, 그 내용 전체가 인용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광학 기기 등에 사용되는 아포다이저를 제조하는 아포다이저 제조 방법 및 이 아포다이저를 사용한 광학 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용 카메라에 내장된 광학 모듈은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고화질화 요구에 따라 다화소화(多畵素化)가 진행되고, 화소 크기의 축소화에 따라 피사계 심도(深度)가 얕아진다. 이로 인해,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하기 위해서 광학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광학 마스크의 일종으로, 광학 모듈의 입사동(入射瞳)에 중심부의 투과율이 높고, 주변부로 갈수록 투과율이 저하되는 필터를 설치하여, 상(像)의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는 아포다이제이션이라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아포다이제이션에 의하면, 고차(高次)의 회절광을 적게 하여 저주파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한편, 고주파의 콘트라스트는 낮아지므로, 상은 선명해지지만, 해상도는 저하된다. 이러한 아포다이제이션에 사용하는 광학 필터를 아포다이저라고 한다.
도 10은, 아포다이저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아포다이저 H는, 투명 부위 H1과 흑색 부위 H2를 조합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막 두께 분포에 의해 투과율을 제어한 아포다이저는 흑색 부위와 공기층의 계면에서 굴절이 발생하고, 피사계 심도가 깊어져도 해상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포다이저의 광 투과 방향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해상도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포다이저의 제조 방법으로서, 흡광성 유리를 사용한 평 오목 렌즈와 투명 유리를 사용한 평 볼록 렌즈를 접합하여, 광학 파워를 거의 제로로 한 아포다이저의 구조와, 이것을 광학계에 내장했을 때의 광학 특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광 흡수 재료를 원추 형상의 마스크 부재를 통해서 진공 증착함으로써 광학 중심으로부터 주변을 향해서 광학 농도가 증가하는 아포다이저를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흡광성 유리를 사용한 평 오목 렌즈와 투명 유리를 사용한 평 볼록 렌즈를 접합함으로써 작성되는 아포다이저에서는, 필터가 두껍기 때문에 결상 광학계의 소형 경량화가 곤란하다. 또한, 광 흡수 재료를 원추 형상의 마스크 부재를 통해서 진공 증착함으로써 작성되는 아포다이저에서는, 투과율 분포를 고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필요한 광학 농도를 달성할 때까지의 증착 시간이 매우 길어지고, 제조 효율이 나빠서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의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는 아포다이저를 효율적이고,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게다가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아포다이저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을 제공한다.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아포다이저 제조 방법은, 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된 평면에 흑색 수지를 소정 두께로 공급하고, 상기 흑색 수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를 향해서 볼록 형상의 투명 지그를 가압하며, 상기 투명 지그측으로부터 상기 흑색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지그를 상기 흑색 수지로부터 이격시켜서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 및 상기 흑색 수지의 상부에 상기 흑색 수지와 같은 굴절률을 갖는 자외선 경화성의 투명 수지를 공급하고, 상기 투명 수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를 향해서 투명판을 가압하고, 상기 투명판의 상방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해서 상기 투명 수지를 경화시켜,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기 흑색 수지를 이격시킨다.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모듈은, 광 투과 방향을 따라 내경이 변화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흑색 수지층과,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고, 상기 흑색 수지층과 같은 굴절률을 갖는 자외선 경화성의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흑색 수지층과 상기 투명 수지층의 상기 광 투과 방향에 따른 합계의 두께가 0.001 내지 0.10mm인 아포다이저와, 이 아포다이저의 상기 흑색 수지층측에 대향해서 설치된 입사측 렌즈와, 상기 아포다이저의 상기 투명 수지층측에 대향해서 설치된 출사측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상의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는 아포다이저를 효율적이고,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게다가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모듈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상기 광학 모듈에 내장된 아포다이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아포다이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상기 아포다이저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b은 상기 아포다이저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c은 상기 아포다이저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d는 상기 아포다이저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e는 상기 아포다이저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f는 상기 아포다이저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g은 상기 아포다이저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광학 모듈의 효과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상기 광학 모듈의 효과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상기 광학 모듈의 효과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광학 모듈의 두께와 해상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모듈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아포다이저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모듈(10)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광학 모듈(10)에 내장된 아포다이저(2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아포다이저(2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 2에 있어서 광의 투과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이다. 도 1 중, XYZ는 서로 직교하는 3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Z 방향은 광의 투과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광학 모듈(10)은, 도 1 중 좌측으로부터 광학 렌즈(입사측 렌즈)(11)와, 아포다이저(20)와, 광학 렌즈(출사측 렌즈)(12)와, 광학 렌즈(13, 14, 15, 16)와, 촬상 소자(17)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모듈(10)에서는, 입사된 상을 촬상 소자(17) 위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아포다이저(20)는, 광 투과 방향을 따라 내경이 변화하는 오목부(31)가 형성된 흑색 수지층(30)과, 오목부(31)에 설치되고, 흑색 수지층(30)과 같은 굴절률을 갖는 자외선 경화성의 투명 수지층(40)을 구비하고, 흑색 수지층(30)과 투명 수지층(40)의 광 투과 방향에 따른 합계의 두께 δ가 0.001 내지 0.10mm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1)의 저부(31a)에 근접함에 따라 흑색 수지층(30)의 두께가 감소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의 투과율이 높고, 주변부(31b)로 갈수록 흑색 수지층(30)의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투과율이 상승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광학 렌즈(입사측 렌즈)(11)는, 아포다이저(20)의 흑색 수지층(30)측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광학 렌즈(출사측 렌즈)(12)는, 아포다이저(20)의 투명 수지층(40)측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g는, 아포다이저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00) 위의 평면 형상의 상면(101)에 경화 전의 흑색 수지 K를 소정 두께가 되도록 공급한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흑색 수지 K의 상면으로부터 지지대(100)를 향해서 볼록 형상의 투명 지그(200)를 가압한다. 이때, 투명 지그(200)의 선단은 지지대(100)의 상면(101)에 접촉하도록 가압한다. 그리고, 자외선을 조사시켜 흑색 수지 K를 경화시키고, 흑색 수지층(30)을 형성한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지그(200)를 지지대(100)로부터 이격시키면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수지 T를 오목부(31) 및 흑색 수지층(30)의 상면에 공급한다.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수지 T의 상면으로부터 지지대(100)를 향해서 평판 형상의 투명 지그(110)를 가압한다. 그리고, 투명 지그(110)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고, 투명 수지 T를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투명 수지층(40)을 형성하고, 흑색 수지층(30)과 투명 수지층(40)을 일체화시킨다. 투명 수지 T가 경화될 때, 휨이 발생하지만, 지지대(100)와 투명 지그(110)에 끼움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화된 흑색 수지층(30)과 투명 수지층(40)을 지지대(100)로부터 리프트 오프한다. 도 4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포다이저(20)를 완성시킨다.
또한, 이러한 제조 방법은, 특수한 제조 장치나 다수의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아포다이저(20)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제조된 광학 모듈(1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아포다이저(20)의 본래 기능에 의해, 피사계 심도가 깊어진다. 또한, 해상도의 향상에 관해서는 도 5∼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 중 R은 실상, Q는 결상면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는 아포다이저(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결상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결상 성능이 표준으로 된다. 이어서, 도 6은 종래의 아포다이저를 사용한 경우의 결상 성능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아포다이저는 흑색 부위와 공기층의 계면에서 굴절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저하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아포다이저(20)를 사용하면, 흑색 수지층(30)은 투명 수지층(40)과 접하고 있고, 이들 흑색 수지층(30)과 투명 수지층(40)의 굴절률은 동등하기 때문에, 굴절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이어서, 아포다이저(20)의 두께와 해상도(MTF)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아포다이저(20)의 두께를 0.001 내지 0.20mm까지 변화시키고, 상 높이 중심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결상 위치의 어긋남을 조정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높이가 높은 장소에 있어서의 MTF가 악화된다. 이 경우, 결상 높이 2.855mm에 있어서 나이퀴스트(Nyquist) 주파수/8에 있어서의 MTF≥0.80을 만족하는 것은 0.10mm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해상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제조상의 제약으로부터, 아포다이저(20)의 두께가 0.001 내지 0.10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모듈(10) 및 아포다이저(20)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의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는 아포다이저를 특수한 제조 장치나 다수의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굴절을 방지하고, 또한, 두께를 제한함으로써 해상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광학 렌즈(입사측 렌즈)(1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략되어도 좋다. 광학 모듈(10A)은, 아포다이저(20A)와, 광학 렌즈(출사측 렌즈)(12A)와, 광학 렌즈(13A, 14a, 15A, 16A)와, 촬상 소자(1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부품은, 도 9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차례로 배열된다. 광학 모듈(10A)은 입사상을 촬상 소자(17) 위에 결상하는 기능을 갖는다. 광학 모듈(10A)은, 광학 모듈(10)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수반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 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고 있다. 이들 신규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

  1. 아포다이저 제조 방법으로서,
    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된 평면에 흑색 수지를 소정 두께로 공급하고,
    상기 흑색 수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를 향해서 볼록 형상의 투명 지그를 가압하고,
    상기 투명 지그측으로부터 상기 흑색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지그를 상기 흑색 수지로부터 이격시켜서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 및 상기 흑색 수지의 상부에 상기 흑색 수지와 같은 굴절률을 갖는 자외선 경화성의 투명 수지를 공급하고,
    상기 투명 수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를 향해서 투명판을 가압하고,
    상기 투명판의 상방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해서 상기 투명 수지를 경화시켜,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기 흑색 수지를 이격시키는, 아포다이저 제조 방법.
  2. 광학 모듈로서,
    광 투과 방향을 따라 내경이 변화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흑색 수지층과,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고, 상기 흑색 수지층과 같은 굴절률을 갖는 자외선 경화성의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흑색 수지층과 상기 투명 수지층의 상기 광 투과 방향에 따른 합계의 두께가 0.001 내지 0.10mm인 아포다이저와,
    상기 아포다이저의 상기 흑색 수지층측에 대향해서 설치된 입사측 렌즈와,
    상기 아포다이저의 상기 투명 수지층측에 대향해서 설치된 출사측 렌즈를 구비하는, 광학 모듈.
  3. 광학 모듈로서,
    광 투과 방향을 따라 서서히 내경이 변화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흑색 수지층 및,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흑색 수지층과 같은 굴절률을 갖는 자외선 경화성의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흑색 수지층과 상기 투명 수지층의 합계의 두께가 0.001 내지 0.10mm인 아포다이저와,
    상기 아포다이저의 상기 투명 수지층에 대향해서 설치된 출사측 렌즈를 구비하는, 광학 모듈.
KR20130064613A 2012-06-08 2013-06-05 아포다이저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KR101493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0955 2012-06-08
JP2012130955A JP2013254154A (ja) 2012-06-08 2012-06-08 アポダイザ製造方法及び光学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127A true KR20130138127A (ko) 2013-12-18
KR101493156B1 KR101493156B1 (ko) 2015-02-12

Family

ID=4971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4613A KR101493156B1 (ko) 2012-06-08 2013-06-05 아포다이저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53249B2 (ko)
JP (1) JP2013254154A (ko)
KR (1) KR101493156B1 (ko)
CN (1) CN103487854A (ko)
TW (1) TWI5077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1767A1 (ja) 2012-04-26 2013-10-31 旭硝子株式会社 光学素子
CN104884978B (zh) * 2012-12-21 2017-10-13 旭硝子株式会社 光学元件的制造方法、光学元件、光学系统及摄像装置
CN104937449B (zh) 2013-01-22 2017-08-11 旭硝子株式会社 光学元件、光学系统以及摄像装置
KR102034586B1 (ko) * 2013-07-15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US10627646B2 (en) * 2015-05-20 2020-04-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optical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WO2018173794A1 (ja) 2017-03-23 2018-09-27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積層レンズ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DE102019121939B4 (de) 2019-02-04 2022-04-21 Haas Laser Technologies, Inc. System und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s Signal-Rausch-Verhältnisses in einem Laserabbildun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3235A (en) 1968-09-14 1974-10-22 Minolta Camera Kk Image forming optical system wherein defocus images are improved
JP3068340B2 (ja) * 1991-09-30 2000-07-24 株式会社東芝 集光装置
JPH11231209A (ja) * 1998-02-18 1999-08-27 Minolta Co Ltd 撮影レンズ系
US6137632A (en) * 1999-04-19 2000-10-24 Iomeg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ssless beam shaping to obtain high-contrast imaging in photon tunneling methods
US6747805B2 (en) 2001-07-20 2004-06-08 Michel Sayag Design and fabrication process for a lens system optically coupled to an image-capture device
JP4264528B2 (ja) * 2002-06-10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
JP2005266096A (ja) 2004-03-17 2005-09-29 Canon Inc 光学フィルタ及び撮影装置
JP2005215225A (ja) 2004-01-29 2005-08-11 Canon Inc 光学フィルタ、光学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蒸着マスク
US7471435B2 (en) * 2004-02-24 2008-12-30 Modavis Robert A Apodization technique for enhanced resolution of images
CN101223470A (zh) * 2005-05-12 2008-07-16 瓦尔德马·波特尼 非球面衍射眼镜片
WO2008020899A2 (en) * 2006-04-17 2008-02-21 Cdm Optics, Inc. Arrayed imag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7517084B2 (en) * 2006-05-08 2009-04-1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ultifocal contact lens designs utilizing pupil apodization
TWI353961B (en) * 2008-06-23 2011-12-11 Univ Nat Cheng Kung Micro-nano imprinting mould and imprinting process
US7916396B2 (en) * 2008-06-27 2011-03-29 Micron Technology, Inc. Lens master devices, lens structures, imaging devices, and methods and apparatuses of making the same
WO2013161767A1 (ja) * 2012-04-26 2013-10-31 旭硝子株式会社 光学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53249B2 (en) 2015-02-10
US20130329303A1 (en) 2013-12-12
KR101493156B1 (ko) 2015-02-12
TW201403132A (zh) 2014-01-16
JP2013254154A (ja) 2013-12-19
TWI507730B (zh) 2015-11-11
CN103487854A (zh)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8127A (ko) 아포다이저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KR101240221B1 (ko) 광학 시트 라미네이팅 방법, 광학 시트 라미네이팅 디바이스 및 이와 함께 이용된 프로그램,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647825B (zh) 製造被動光學元件的方法及包含該元件的裝置
US10386616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wafer level optical lens assembly
KR20170077761A (ko) 프로젝터,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4603101B1 (ja) 回折光学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回折光学素子
JP2011128355A (ja) 撮像レンズ及び撮像レンズ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110216238A1 (en) Optical element, optical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camera module
WO2013154121A1 (ja) レンズユニット
US20150276994A1 (en) Method of making a lens array plate with an aperture mask layer
JP2013015586A (ja) 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および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の製造方法
TWI402162B (zh) 複合微透鏡及複合微透鏡陣列
US10175462B2 (en) Wafer level lens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TW201520631A (zh) 光學鏡頭及其陣列式鏡片模組與製造方法
JP2019185001A (ja) 異なる屈折率の材料を利用して構成されたレンズ構造体
US20220168978A1 (en) Wafer alignment features
KR20090076308A (ko) 웨이퍼 스케일 렌즈 어셈블리 및 기판, 그 제작 방법
KR20120061419A (ko) 렌즈 어레이 모듈 및 이의 성형방법
JP5525860B2 (ja) レンズの製造方法
US10677964B2 (en) Lens wafe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pped spacer wafer
KR100983043B1 (ko) 마이크로 렌즈용 마스터 및 마이크로 렌즈 제조방법
KR20220146029A (ko) 렌즈 이형성이 향상된 웨이퍼 렌즈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12033A (ko) 복합렌즈
KR102006896B1 (ko) 카메라용 광학 렌즈
JP2014004727A (ja) 積層型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積層型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