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042A - 수술장치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수술장치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042A
KR20130138042A KR1020120061829A KR20120061829A KR20130138042A KR 20130138042 A KR20130138042 A KR 20130138042A KR 1020120061829 A KR1020120061829 A KR 1020120061829A KR 20120061829 A KR20120061829 A KR 20120061829A KR 20130138042 A KR20130138042 A KR 20130138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anvil plate
trigger
fixed
hand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110B1 (ko
Inventor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2006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11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9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ing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non-mechanical energy or combining one or more non-mechanical energies with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장치용 핸드피스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핸드피스의 조작부를 구성하는 트리거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한편, 트리거와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를 복수의 링크로 연결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시술자의 손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서로 다른 생체 임피던스 특성을 가지는 조직(예; 동맥, 정맥, 위장관, 장간막, 지방, 간, 신장, 위, 비장, 전립선 등)의 응고와 절개시 고정형 및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에 의한 엔드이펙터(End-Effector)의 클램핑(clamping)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응고와 절개의 시술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술장치용 핸드피스 {ELECTOR 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본 발명은 초음파 또는 복합 에너지원으로서 고주파와 초음파를 이용하는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생체 임피던스 특성을 가지는 조직(예; 동맥, 정맥, 위장관, 장간막, 지방, 간, 신장, 위, 비장, 전립선 등)의 물성 변화에 따라 조직에 인가되는 고주파 및/또는 초음파를 통해 시술부위의 조직을 응고와 절개시에 수술장치의 트리거가 엔드이펙터(End-Effector)의 클램핑(clamping)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 흉강경 수술, 치질 수술 등의 외과, 전립선 수술 또는 혹 제거와 같은 비뇨기과, 그리고 자궁근종 등의 부인과 수술, 두경부 외과, 비만 수술에 사용되는 고주파 수술장치 또는 초음파 수술장치는 수술장치의 주요유닛과, 주요유닛에 연결되는 고주파 또는 초음파 수술용 핸드피스를 포함한다.
상기 핸드피스는 공개특허공보 제 10-2007-0100143 호, 공개특허공보 제 10-2007-0079046 호, 미국등록특허 제 7108695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조작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끝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지는 외과 유닛인 고정형 및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anvil plate)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작부는 고정부와 트리거로 구분되며, 상기 트리거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형 및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에 있어, 상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응고와 절개를 위한 시술부위 조직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의 회전은 상기 트리거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시술부위 조직의 응고와 절개를 가능하게 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초음파 및/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및/또는 고주파 발생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선행특허들의 핸드피스에 적용되는 조작부의 경우, 상기 조작부를 이루는 트리거의 동작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이러한 회전운동은 시술자 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 경우 시술자의 손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단점이 있고, 이에따라 조직의 응고와 절개시 고정형 및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에 의한 엔드이펙터(End-Effector)의 클램핑(clamping)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면서 시술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선행특허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핸드피스의 조작부를 구성하는 트리거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한편, 트리거와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를 복수의 링크로 연결 구성함으로써, 시술자의 손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조직의 응고와 절개시 고정형 및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에 의한 엔드이펙터(End-Effector)의 클램핑(clamping)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응고와 절개의 시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술장치용 핸드피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발명 수술장치용 핸드피스는, 초음파 및/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및/또는 고주파 발생부에 연결되고 조작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와 함께 응고 및 절개를 위한 시술부위의 조직을 클램핑하는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고정부 및, 상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트리거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는 시술자에 의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로드를 통해 상기 고정부에 결합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트리거가 전진 이동시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를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도록 회전시키고, 시술자의 누름으로부터 상기 트리거의 후진 이동시에는 상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를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직에 대한 엔드이펙터의 클램핑상태가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가압 회전이 이루어지는 링크부재를 연결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는, 고정부에 고정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2 링크; 상기 제 1,2 링크에 양단이 유동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트리거의 후진 이동에 따라 눌려지면서 회전하는 제 3 링크; 및, 상기 제 1 링크에 일단이 상기 제 3 링크와 함께 유동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요크에 연결되는 제 4 링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가이드로드와 제 2 링크는 상기 제 3 링크가 트리거의 후진 이동에 따라 눌려질때에는 신장되고, 상기 트리거의 전진이동으로부터 상기 제 3 링크에 대한 누름 압력이 해제시에는 압축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링크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스프링의 양단을 연결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피스의 조작부를 구성하는 트리거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한편, 트리거와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를 복수의 링크로 연결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함으로써, 시술자의 손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서로 다른 생체 임피던스 특성을 가지는 조직(예; 동맥, 정맥, 위장관, 장간막, 지방, 간, 신장, 위, 비장, 전립선 등)의 응고와 절개시 고정형 및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에 의한 엔드이펙터(End-Effector)의 클램핑(clamping)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응고와 절개의 시술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의 작동 전(前)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의 작동 전(前)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의 작동 후(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의 작동 후(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a, 5b, 5c는 본 발명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의 작동 전→후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의 작동 전(前)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의 작동 전(前)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의 작동 후(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의 작동 후(後)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5a, 5b, 5c는 본 발명 수술장치용 핸드피스의 작동 전→후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장치용 핸드피스는 초음파 및/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및/또는 고주파 발생부에 연결되고 조작부(40)를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1)와, 상기 조작부(40)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1)와 함께 응고 및 절개를 위한 시술부위의 조직을 클램핑하는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32)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부(40)는 고정부(41) 및, 상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32)를 회전시키는 트리거(42)를 포함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트리거(42)는 시술자에 의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로드(42a)를 통해 상기 고정부(41)에 결합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41)에는 상기 트리거(42)가 전진 이동시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32)를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1)로부터 떨어지도록 회전시키고, 시술자의 누름으로부터 상기 트리거(42)의 후진 이동시에는 상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32)를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직에 대한 엔드이펙터의 클램핑상태가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가압 회전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링크부재(50)를 연결 구성한 것이며, 제 1 내지 제 4 링크(51)(52)(53)(54)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2 링크(51)는 상기 고정부(41)에 고정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2 링크(51)(52)는 유동없이 상기 고정힌지(h1)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 동작만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3 링크(53)는 상기 제 1,2 링크(51)(52)에 양단이 유동힌지(h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트리거(42)의 후진 이동에 따라 눌려지면서 상기 제 1,2 링크(51)(52)를 지지대로 활용하면서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4 링크(54)는 상기 제 1 링크(51)에 일단이 상기 제 3 링크(53)와 함께 유동힌지(h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32)를 회전시키기 위한 요크(55)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3 링크(53)의 회전 유동시 상기 요크(55)를 동작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요크(55)에 연결되는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32)는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1)로부터 이탈되는 회전을 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1)에 밀착되는 회전을 하여 시술 조직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로드(42a)와 제 2 링크(52)에는 스프링(60)의 양단이 연결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제 3 링크(53)가 트리거(42)의 후진 이동에 따라 눌려질때에는 신장되고, 상기 트리거(42)의 전진이동으로부터 상기 제 3 링크(53)에 대한 누름 압력이 해제될 경우에는 압축이 이루어져, 상기 링크부재(50)에 포함되는 제 1 내지 제 4 링크(51)(52)(53)(54)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장치용 핸드피스는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우선 시술자가 트리거(42)를 누르지 않을 경우에 링크부재(50)에 포함되는 제 3 링크(53)가 가압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3 링크(53)에 연결되는 제 4 링크(54)의 회전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4 링크(54)와 연결되는 요크(55)의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상기 요크(55)에 연결되는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31)는 힌지(미도시)를 중심으로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2)로부터 이탈되는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서로 다른 생체 임피던스 특성을 가지는 조직(예; 동맥, 정맥, 위장관, 장간막, 지방, 간, 신장, 위, 비장, 전립선 등)의 응고와 절개를 위해, 상기 조직에 대한 클램핑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시술자가 트리거(42)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트리거(42)는 가이드로드(42a)에 의해 고정부(41)의 방향으로 후진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41)에 구성되는 링크부재(50)의 제 3 링크(53)는 가압이 이루어지면서 제 1,2 링크(51)(52)를 지지대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 유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로드(42a)와 제 3 링크(53)에 양단이 연결되는 스프링(60)은 신장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3 링크(53)와 연결되는 제 4 링크(54)는 상기 제 3 링크(53)의 상방향 회전 유동으로부터 요크(55)를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상기 요크(55)의 동작으로부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32)는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1)의 방향으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1)와 함께 조직을 클램핑함은 물론, 상기 클램핑의 엔드이펙트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트리거(42)는 복수의 가이드로드(42a)를 통해 고정부(4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진 또는 후진의 직선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트리거(42)의 가압을 위한 시술자의 힘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1)와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32)에 의한 조직의 엔드이펙트 클램핑 상태 또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1)와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32)에 의한 조직의 엔드이펙트 클램핑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핸드피스에 초음파 및/또는 고주파가 인가시, 상기 조직의 응고와 절개 시술은 오류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42)의 누름압력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로드(42a)와 제 2 링크(52)에 양단이 연결된 스프링(60)은 상기 트리거(42)의 누름압력 해제로부터 신장된 상태에서 압축되는 탄성작용을 하게 되므로, 상기 스프링(60)의 압축 탄성작용으로부터 제 2 링크(52)는 고정힌지(h1)를 중심으로 하여 원래의 위치로 리턴되는 회전을 하고, 이에 따라 제 2 링크(52)에 유동힌지(h2)로 결합되어 있는 제 3 링크(53)도 상기 제 2 링크(52)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회전 유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3 링크(53)에 일단이 유동힌지(h2)로 연결되면서 타단은 고정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링크(51)는 상기 제 3 링크(53)의 회전유동에 따라 상기 고정힌지(h1)를 중심으로 하여 원래의 위치로 리턴하는 회전을 하게 됨은 물론, 상기 제 1 링크(51)에 유동힌지(h2)를 통해 상기 제 3 링크(53)와 함께 연결되는 제 4 링크(54)도 원래의 위치로 리턴되는 회전 유동하여 요크(55)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요크(55)의 리턴 동작으로부터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32)는 힌지를 중심으로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31)로부터 이탈되는 리턴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10; 본체 20; 샤프트
31;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 32;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
40; 조작부 41; 고정부
42; 트리거 42a; 가이드로드
50; 링크부재 51; 제 1 링크
52; 제 2 링크 53; 제 3 링크
54; 제 4 링크 55; 요크
60; 스프링

Claims (3)

  1. 초음파 및/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및/또는 고주파 발생부에 연결되고 조작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와 함께 응고 및 절개를 위한 시술부위의 조직을 클램핑하는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고정부 및, 상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트리거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는 시술자에 의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로드를 통해 상기 고정부에 결합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트리거가 전진 이동시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를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도록 회전시키고, 시술자의 누름동작시 상기 트리거의 후진 이동시에는 상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를 고정형 엔빌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직에 대한 엔드이펙터의 클램핑상태가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가압 회전이 이루어지는 링크부재를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장치용 핸드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고정부에 고정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2 링크;
    상기 제 1,2 링크에 양단이 유동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트리거의 후진 이동에 따라 눌려지면서 회전하는 제 3 링크; 및,
    상기 제 1 링크에 일단이 상기 제 3 링크와 함께 유동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형 엔빌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요크에 연결되는 제 4 링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장치용 핸드피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와 제 2 링크는 상기 제 3 링크가 트리거의 후진 이동에 따라 눌려질때에는 신장되고, 상기 트리거의 전진이동으로부터 상기 제 3 링크에 대한 누름 압력이 해제시에는 압축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링크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스프링의 양단을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장치용 핸드피스.
KR1020120061829A 2012-06-08 2012-06-08 수술장치용 핸드피스 KR101359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829A KR101359110B1 (ko) 2012-06-08 2012-06-08 수술장치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829A KR101359110B1 (ko) 2012-06-08 2012-06-08 수술장치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42A true KR20130138042A (ko) 2013-12-18
KR101359110B1 KR101359110B1 (ko) 2014-02-06

Family

ID=4998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829A KR101359110B1 (ko) 2012-06-08 2012-06-08 수술장치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80B1 (ko) * 2022-01-11 2022-07-12 주식회사 프리메디텍 그립력을 완충할 수 있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2329A (en) * 1993-04-07 1994-05-17 Valleylab Inc. Piezo ultrasonic and electrosurgical handpiece
FR2707154B1 (fr) * 1993-07-08 1995-09-15 Satelec Sa Bistouri à ultrasons.
JP2963313B2 (ja) * 1993-09-10 1999-10-1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外科手術用ハンドピース
AU2004249219A1 (en) 2003-06-17 2004-12-29 Ethicon Endo-Surgery, Inc. Hand activated ultrasonic instru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80B1 (ko) * 2022-01-11 2022-07-12 주식회사 프리메디텍 그립력을 완충할 수 있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20230108678A (ko) *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프리메디텍 그립력을 완충할 수 있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110B1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3954B2 (en) Translatable outer tube for sealing using shielded lap chole dissector
US20200268438A1 (en) Mapping vessels for resecting body tissue
CN105934209B (zh) 具有阶段式夹持的超声外科器械
JP5147211B2 (ja) Ligasure(リガシュアー)を備える可撓性内視鏡カテーテル
EP2583633B1 (en) Ultrasonic device for cutting and coagulating
US20200315694A1 (en) Coaptive surgical sealing tool
CN102755193B (zh) 外科钳
US9265568B2 (en) Destruction of vessel walls for energy-based vessel sealing enhancement
CN102210608B (zh) 外科手术器械
JP2008246222A (ja) エネルギー処置具
JP2013526370A (ja) 外科用器具及びそのためのエンドエフェクタ
US8444642B2 (en) Laparoscopic nephrectomy device
JP6726786B2 (ja) クランプ力制限機構を有する止血鉗子型超音波手術用器具
US20150150581A1 (en) Surgical instrument with end-effector assembly including three jaw members
KR101359110B1 (ko) 수술장치용 핸드피스
JP3628771B2 (ja) 超音波治療装置
US9987035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end-effector assembly including three jaw members and methods of cutting tissue using same
KR102106746B1 (ko) 복강경 기구
US20180271587A1 (en) Energy treatment instrument
CN105997232B (zh) 钳子
CN216985147U (zh) 一种同步控制的医疗器械机器人手臂
JP2004113254A (ja) 超音波切開凝固装置
JP6203459B1 (ja) エネルギーデバイス
WO2015119152A1 (ja) エネルギー処置装置とエネルギー処置方法と生体組織の吻合方法
Choi Liver Resection Using Advanced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