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040A -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040A
KR20130138040A KR1020120061825A KR20120061825A KR20130138040A KR 20130138040 A KR20130138040 A KR 20130138040A KR 1020120061825 A KR1020120061825 A KR 1020120061825A KR 20120061825 A KR20120061825 A KR 20120061825A KR 20130138040 A KR20130138040 A KR 2013013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module
removal
bunker
conglut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2755B1 (ko
Inventor
강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6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75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Abstract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는, 콜벙커 내부에 부착된 부착탄을 제거하기 위한 부착탄 제거 모듈과, 부착탄 제거 모듈에 의한 부착탄 제거의 실시간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콜 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지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부착탄 제거시 발생되는 화염을 감지하여 조기에 소화함으로써, 화재 방지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COAL CONGLUTINATED ON INNER WALL OF COAL BUNKER}
본 발명은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코크스공장의 여러 공정을 거쳐 콜(coal;석탄)을 최종적으로 코크스(cokes)로 제조한 후, 제조된 코크스(cokes)를 고로에 연료로서 투입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이와 같은 코크스 공장의 여러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석탄 야드(110)에서 수입되어 컨베이어로 이송된 콜은 크라셔(120)에서 파쇄되고, 서지(surge)처리(130)후 석탄조습설비(이하, 'CMCP' 이라 함)(Coal Moisture Control Process(140)에서 대략 80 ~ 90 ℃ 롤링 건조를 한다.
다음, 도 1과 같이, CMCP(140)에서 건조된 콜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하여 콜벙커(150)에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시 콜 벙커(150)에서 불출되어 장입차에 채탄되게 된다.
그 다음, 장입차를 통하여 코크스 오븐(160)의 탄화실에 장입되어 일정시간 건류 과정을 거치고, 건식소화설비(이하, 'CDQ' 이라함)(coke dry quenching)(170)를 거쳐 고로(180)에 열원제로 장입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CMCP(140)에서 콜을 컨조시키는 과정에서 콜에는 대략 9 ~ 12% 정도의 수분이 포함되며, 일부는 컨베이어를 타고 수송되는 과정에서 증발되지만, 일부 수분은 콜에 잔류되게 되며 수분을 함유한 콜은 콜 벙커(150)에 장입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콜 벙커(150) 내부에 부착탄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콜 벙커(150)의 내부에 장입되는 콜은 CMCP(140)에서 수분을 건조시키기는 하지만 그래도 잔류 수분이 남아있고 결로 현상 등에 의하여 콜 벙커(150)의 내면에 부착탄이 발생하고, 이와 같이 발생되는 부착탄은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되면서 심한 경우 콜 벙커 내부의 콜 장입공간을 감소시켜 콜 저장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콜 벙커(150) 내부의 부착탄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제거하거나 또는 부착탄 제거 장치를 사용해서 별도로 제거되고 있으나, 이러한 부착탄 제거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어 콜 불출 지연이나 작업자의 안전사고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콜 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지점을 모니터링하면서 화염 발생시 이를 소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부착탄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콜벙커 내부에 부착된 부착탄을 제거하기 위한 부착탄 제거 모듈; 및 상기 부착탄 제거 모듈에 의한 부착탄 제거의 실시간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는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부착탄의 제거 지점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모듈; 상기 조명 모듈에 의해 조명된, 상기 부착탄의 제거 지점의 실시간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및 상기 획득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부착탄의 제거시 발생되는 화염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에 의해 화염이 감지되면, 발생된 화염을 소화하기 위한 소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콜 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지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부착탄 제거시 발생되는 화염을 감지하여 조기에 소화함으로써, 화재 방지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코크스 공장의 콜 처리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탄 제거 장치를 포함한 콜 벙커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탄 제거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탄 제거 장치를 포함한 콜 벙커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탄 제거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탄 제거 장치는, 콜 벙커(200)에 부착된 부착탄(C)을 제거하는 부착탄 제거 수단(213)과, 콜 벙커(200) 상부에 안착되어 연장 수단(212)를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수단(211)과, 승하강 수단(211)로부터 콜 벙커(200)의 하부로 연장되어 부착탄 제거 수단(213)에 체결되는 연장 수단(212)('붐대'라고도 함)을 포함하는 부착탄 제거 모듈(210)과, 부착탄 제거 모듈(210)에 의한 부착탄 제거의 실시간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 및 이의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탄 제거 모듈(210) 중 승하강 수단(211)은 콜 벙커(200) 상부에 형성된 미도시된 레일을 따라 콜 벙커(200)의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부착탄(C)의 제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연장 수단(212)를 상하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부착탄 제거 모듈(210) 중 연장 수단(212)은 승하강 수단(211)로부터 콜 벙커(200)의 하부로 연장되어 부착탄 제거 수단(213)에 체결되어 있으며, 승하강 수단(211)의 조작에 따라 콜 벙커(200)의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탄 제거 모듈(210) 중 부착탄 제거 수단(213)은 연장 수단(212)의 하부에 체결되어 에어 모터 등을 사용해서 콜 벙커(200) 내부의 부착탄(C)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부착탄 제거 모듈(210)은 일 실시 형태에 불과하며,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2005-00956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니터링 모듈(22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모듈(220)은 부착탄(C)의 제거 지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및 부착탄(C)의 제거시 발생되는 화염을 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모듈(220) 중 조명 모듈(401)은, LED(Light-Emitting Diode) 조명과 같이, 부착탄(C)의 제거 지점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발광 모듈이다. 이러한 조명의 밝기는 제어 모듈(40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모듈(220) 중 영상 획득 모듈(402)은 조명 모듈(401)에 의해 조명된, 부착탄(C)의 제거 지점의 실시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실시간 영상은 제어 모듈(406)로 전달되며, 이후 송신 모듈(403)을 통해 노트북과 같은 외부 장치로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모듈(220) 중 센싱 모듈(404)은 부착탄 제거 모듈(210)에 의해 부착탄(C)을 제거할 때 발생되는 화염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결과는 제어 모듈(406)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화염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 모듈(404)은 예를 들면,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열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스파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모듈(220) 중 소화 모듈(405)은 제어 모듈(406)의 제어에 따라 부착탄(C) 제거시 화염이 감지되는 경우 화염을 소화하기 위한 모듈이다.
그리고, 모니터링 모듈(220) 중 송신 모듈(403)은 제어 모듈(406)의 제어에 따라 영상 획득 모듈(402)에 의해 획득된 실시간 영상을 노트북과 같은 외부 장치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모듈이다.
마지막으로, 모니터링 모듈(220) 중 제어 모듈(406)은 모니터링 모듈(2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구체적으로 조명 모듈(401)을 제어하여 부착탄(C)의 제거 지점을 밝게 조명하며, 영상 획득 모듈(402)에 의해 획득된 실시간 영상을 송신 모듈(403)을 통해 노트북과 같은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모듈(404)에 의해 부착탄(C)의 제거 지점에서 화염이 감지될 경우 소화 모듈(405)을 제어하여 즉시 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콜 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지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부착탄 제거시 발생되는 화염을 감지하여 조기에 소화함으로써, 화재 방지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0: 석탄 야드 120: 크라셔
130: 서지 140: 석탄조습설비(CMCP)
150, 200: 콜 벙커 160: 코크스 오븐
170: 건식소화설비(CDQ) 180: 고로
210: 부착탄 제거 모듈 211: 승하강 수단
212: 연장 수단 213: 부착탄 제거 수단
220: 모니터링 모듈 401: 조명 모듈
402: 영상 회득 모듈 403: 송신 모듈
404: 센싱 모듈 405: 소화 모듈
406: 제어 모듈

Claims (3)

  1. 콜벙커 내부에 부착된 부착탄을 제거하기 위한 부착탄 제거 모듈; 및
    상기 부착탄 제거 모듈에 의한 부착탄 제거의 실시간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
    을 포함하는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부착탄의 제거 지점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모듈;
    상기 조명 모듈에 의해 조명된, 상기 부착탄의 제거 지점의 실시간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및
    상기 획득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부착탄의 제거시 발생되는 화염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에 의해 화염이 감지되면, 발생된 화염을 소화하기 위한 소화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
KR1020120061825A 2012-06-08 2012-06-08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 KR101382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825A KR101382755B1 (ko) 2012-06-08 2012-06-08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825A KR101382755B1 (ko) 2012-06-08 2012-06-08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40A true KR20130138040A (ko) 2013-12-18
KR101382755B1 KR101382755B1 (ko) 2014-04-08

Family

ID=4998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825A KR101382755B1 (ko) 2012-06-08 2012-06-08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6608A (zh) * 2019-06-06 2019-09-27 上海蓝箭实业发展有限公司 原煤仓动态补偿处理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1883A (en) * 1994-09-15 1996-10-08 Landry; Kenneth C. Tank cleaning system using remotely controlled robotic vehicle
KR100744416B1 (ko) * 2001-06-15 2007-07-30 주식회사 포스코 석탄 저장조 내부의 부착탄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6608A (zh) * 2019-06-06 2019-09-27 上海蓝箭实业发展有限公司 原煤仓动态补偿处理系统及方法
CN110286608B (zh) * 2019-06-06 2021-09-21 上海蓝箭实业发展有限公司 原煤仓动态补偿处理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755B1 (ko)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06281B (zh) 用于在顶吹方法情况下确定点火时刻的方法
US20160153062A1 (en) Method of detecting abnormality at blast furnace and method of operating blast furnace
JP3994355B2 (ja) 火災自動検出方法及び火災自動検出装置
KR101382755B1 (ko) 콜벙커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장치
JP6179286B2 (ja) 高炉の操業状況判定方法
CN103486872B (zh) 煅烧窑燃烧状态监测方法、设备及煅烧窑系统
CA2863911C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mbustion and/or gasification device
CN108117875A (zh) 一种焦炉加煤口堵塞的检测方法
JP4732377B2 (ja) パイロット炎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WO2006135898A3 (en) Lighting subsystem for a machine vision system
KR20130119554A (ko) 코크스 오븐의 석탄 장입 장치
JP6394293B2 (ja) コークス炉用装入車
KR100916062B1 (ko) 콜 부착방지 기능을 갖는 콜 벙커
WO2020212782A1 (en) Method to control exhaust fumes aspiration during a steelmaking process
KR101417419B1 (ko) 부착물 감지형 코크스 운송장치
CN103074116A (zh) 检测气化炉燃烧室工作情况的方法及结构
JP3917930B2 (ja) コークス炉の破孔検出装置及び押し出し機
JP7104653B2 (ja) 燃焼設備の操業方法
CN211732894U (zh) 一种输送皮带机故障在线智能检测装置
CN106610385A (zh) 一种伸入干熄炉内的干熄焦炉内衬在线检测成像设备
TW200613567A (en) Method for monitoring blast furnace tuyere raceway and its equipment
JPH0329111B2 (ko)
RU2016131736A (ru) Доменная печь N 18.22.07.16
CN116119381A (zh) 封闭煤堆斗轮机无人倒煤作业系统
KR20140016587A (ko) 소화차의 이중배출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