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845A -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845A
KR20130137845A KR1020120061445A KR20120061445A KR20130137845A KR 20130137845 A KR20130137845 A KR 20130137845A KR 1020120061445 A KR1020120061445 A KR 1020120061445A KR 20120061445 A KR20120061445 A KR 20120061445A KR 20130137845 A KR20130137845 A KR 20130137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outer shell
groove
push
tor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495B1 (ko
Inventor
문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6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49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0Containers with movably mounted dra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2040/225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이 원터치 조작으로 자동 인출되는 여닫이 서랍을 갖춘 화장품 용기로서, 서랍이 완전히 열리기 직전에 감속되면서 정지하여 충격발생 없이 인출될 수 있고, 서랍을 덮는 덮개를 서랍과는 별도로 전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여건에 따라 덮개를 서랍과 동시에 또는 별개로 오픈 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한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외곽체(2)와 서랍(4) 그리고 덮개(6)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곽체(2)와 서랍(4) 사이는 자동 인출에 필요한 탄성력을 일으키는 스프링(24, 34)과, 자동 인출 시에 속도를 감속하는 댐퍼(52) 또는 작은 토션 스프링(58)이 개재되어서 상기 서랍(4)이 외곽체(2)에서 완전히 열리기 직전에 감속되어 충격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서랍(4)과 덮개(6)는 별개로 배치하여 상기 서랍(4)을 인출하지 않고 덮개(6)만 오픈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cosmetic case having open and shunt mechanism by push-pull}
본 발명은 파우더, 파운데이션, 케이크 등과 같은 화장품이 수용된 여닫이 서랍을 갖춘 화장품 용기로서,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력작용으로 서랍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힌 상태에서는 락 부재에 의해 서랍이 몸체 내부로 수납 보전되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파우더, 파운데이션, 케이크 형태의 화장품을 수납하는 용기로서 일반화된 콤팩트 형식의 용기는 담긴 화장품이 뚜껑과 용기 몸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설되는 단점이 있으나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는 몸체에서 여닫이 되는 서랍에 화장품이 수납되어 있는 것이므로 누설 염려 없이 휴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로서 공지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로서 공지된 “인출식 콤팩트 용기”는, 화장품이 담긴 서랍의 상방으로 밑면에 거울이 달리고 표면은 퍼프가 수납되는 공간으로 형성된 뚜껑을 배치하고, 이들을 함께 용기 몸체로 여닫을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로 공지된 “화장용 용기”는, 상기 인출식 콤팩트 용기의 구조에서 거울과 용기 몸체 사이를 탄성판으로 연결하여 서랍을 열면 그 상면을 덮고 있던 거울이 세워지게 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으로 공지된 “화장료 용기”는, 화장품이 수납되는 서랍의 앞쪽 끝에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어서 수납 시에는 탄성력이 비축된 상태로 수납되어 옆면의 버튼에 의해 락킹 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으로 해방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서랍이 자동 인출될 수 있게 한 구조와, 상기 서랍의 밑면으로 거울이 배치되어서 안쪽에 형성된 탄력부재로 탄압되도록 수납되어 있다가 상기 서랍의 인출 후에 탄력부재의 작용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로 공지된 “화장용구의 자동인출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도, 안쪽에 설치된 탄발 스프링의 탄력이 화장용구 수납함을 인출하게 되어 있고 수납된 상태에서는 잠금홀더에 의해 탄발 스프링의 탄력이 락킹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5로 공지된 “튕겨나오는 서랍을 갖춘 화장 콤팩트”는, 화장품이 수납되는 서랍의 앞쪽 끝에 탄력부재가 부착되어 있어서 수납 시에는 탄성력이 비축된 상태로 밑면의 버튼에 의해 락킹 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으로 해방되면 상기 탄력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서랍이 자동 인출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고, 개시된 화장 콤팩트에서 거울은 몸체의 상면에 경첩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특허문헌 6으로 공지된 “원터치 오픈형 화장품 케이스”는, 수납 본체의 상면을 덮는 덮개가 거울을 구비한 채로 탄성체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수납 본체와 함께 외형 케이스로 수납 및 인출되는 것이며, 수납 본체와 외형 케이스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서 상기 수납 본체를 자동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한 인출과 동시에 상기 덮개도 탄성체의 작용으로 자동 전개되는 한편, 수납 본체를 외형 케이스에 수납하였을 때는 안쪽의 잠금돌기와 잠금부재 사이의 연계작용으로 락킹이 유지 보전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안하여 특허문헌 7로 공지된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는, 탄성체의 탄력 작용으로 케이스에서 자동 인출되는 몸체의 앞쪽 끝과 케이스의 안쪽 사이로 푸쉬-풀 개폐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몸체가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 보전할 수 있게 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구성으로 된 화장품 용기에서, 서랍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하여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통상적인 코일스프링으로 채용한 구조(특허문헌 1, 2, 3, 4, 5, 7)는 그 탄성력의 작용으로 서랍이 인출되는 거리가 짧아 제품으로서 인상적이 못하다는 손색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 7로 공지된 화장품 용기의 경우에는 서랍이 푸쉬-풀 개폐기구의 작용으로 열린 상태나 수납상태로의 전환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이점이 있음에도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한 서랍의 인출이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특허문헌 6의 화장품 용기는 나선형 스프링(spiral spring)이 채용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나선형 스프링은 평면으로 보아 나선형으로 감긴 얇은 띠 모양의 강선에 의해 복귀 탄성력을 갖는 것이므로, 그 감긴 길이 전체에 걸쳐 탄성력이 고르게 작용하는 특성이 있고, 이 때문에 화장품 용기의 서랍을 자동 인출되게 하는 수단으로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화장품 용기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지름과 펼친 길이는 서랍의 폭과 인출 가능한 길이에 맞춰 제한된다. 즉, 본 발명이 관련된 화장품 용기로서 일반적 규격의 경우를 예로 들면, 서랍의 폭은 10~15mm 범위이고, 인출길이는 55~65mm 정도이기 때문에 상기 나선 스프링의 지름은 서랍의 폭 보다 2mm 이상 작게 설정해야 하고, 펼친 길이는 스프링의 양단 연결부와 연신의 여유를 고려하여 서랍의 인출길이보다 15~20mm 길게 설정되어야 하는 제약을 받는다.
상기 제약으로 말미암아 얻어지는 나선형 스프링의 탄성력은 의외로 강력한 힘으로 작용하여 이것을 채용한 화장품 용기의 서랍은 자동인출되는 속도가 너무 빠르고 이로 인해 인출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충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곤혹감을 느끼게 되는 등 여성을 고객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어울리지 않는 과도한 작동은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에서 서랍의 자동인출은 열리기 시작한 후에는 중단없이 끝까지 열려야 하고, 열리기 시작할 때의 속도는 빠르더라도 서랍의 급격한 정지로 인한 충격 발생이 없도록 완전히 열리기 직전에 감속되면서 정지하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특허문헌 6에 개시한 화장품 용기와 같이 서랍의 인출과 동시에 뚜껑도 자동 오픈 되면서 거울이 세워지게 하는 방식은 편리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용자가 거울만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서랍을 자동인출해야 하므로 오히려 불필요하게 화장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1983-163107호, 제1도 및 제2도 참조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1983-112208호, 제2도 참조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1991-30909호, 제1도 및 제5도 참조 한국 등록특허 10-0489750호, 도면 3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46626호, 도 2 참조 한국 등록특허 10-0797769호, 도면 1 참조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41748호, 도면 2 참조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이 원터치 조작으로 자동 인출되는 여닫이 서랍을 갖춘 화장품 용기로서, 서랍이 완전히 열리기 직전에 감속되면서 정지하여 충격발생 없이 인출될 수 있고, 서랍을 덮는 덮개를 서랍과는 별도로 전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여건에 따라 덮개를 서랍과 동시에 또는 별개로 오픈 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한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바닥에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이 형성되고 한쪽 측면에는 입구로 편재된 위치에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스토퍼를 구비한 활동 홈이 형성된 상측 마감판에 의해 상부가 쉴드 되는 외곽체와, 앞쪽에 계단상 홈이 형성된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에 일치하는 위치로 압박 면이 설치된 서랍과, 상기 외곽체의 홈과 서랍의 압박 면 사이로 배치되어서 자체 복귀 탄성력으로 상기 서랍이 외곽체에서 자동 인출되게 하는 나선형 스프링과, 외주 면에 설치된 피니온이 상기 외곽체의 기어부에 치차 연결되도록 상기 서랍에 배치되어서 자동 인출 속도를 감속하는 댐퍼와, 상기 외곽체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서랍으로 배치되어 후크부재에 대응하는 그립퍼를 구비한 푸쉬-풀 기구와, 상기 서랍의 계단상 홈에 일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밑면에 거울이 부착된 판과, 상기 활동 홈을 타고 이동하는 돌기를 갖춘 슬라이더가 상호 직교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경첩 연결된 덮개로 이루어진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오일 댐퍼가 적합하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내부의 한쪽 측면으로 입구로 편재된 위치에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스토퍼를 구비한 활동 홈이 형성된 상측 마감판에 의해 상부가 쉴드 되는 외곽체와, 앞쪽에 계단상 홈이 형성된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뒤쪽에 배리어가 형성된 서랍과, 외곽체의 내측에서 한쪽 끝 부분이 가이드로 지지 됨과 아울러 반대쪽 끝 부분은 상기 배리어를 지지하여 상기 서랍이 외곽체에서 자동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외곽체의 기어부에 치차 연결되는 피니온이 외주 면에 설치되고 상기 서랍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치차 연결을 통해 서랍의 자동 인출 속도를 감속하는 댐퍼와, 상기 외곽체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서랍으로 배치되어 후크부재에 대응하는 그립퍼를 구비한 푸쉬-풀 기구와, 상기 서랍의 계단상 홈에 일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밑면에 거울이 부착된 판과 상기 활동 홈을 타고 이동하는 돌기를 갖춘 슬라이더가 상호 직교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경첩 연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진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스토퍼를 구비한 활동 홈이 형성된 상측 마감판에 의해 상부가 쉴드 되는 외곽체와, 앞쪽에 계단상 홈이 형성된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뒤쪽에 배리어가 형성된 서랍과, 외곽체의 내측에서 한쪽 끝 부분이 가이드로 지지 됨과 아울러 반대쪽 끝 부분은 상기 배리어를 지지하여 상기 서랍이 외곽체에서 자동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과, 한쪽 끝 부분이 상기 서랍의 스프링 시트로 지지 되고 반대쪽 끝 부분은 외곽체의 밑면에 형성된 돌기로 지지 되어서 자동 인출되는 서랍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과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가하여 감속시키는 작은 토션 스프링과, 상기 외곽체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서랍으로 배치되어 후크부재에 대응하는 그립퍼를 구비한 푸쉬-풀 기구와, 상기 서랍의 계단상 홈에 일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밑면에 거울이 부착된 판과 상기 활동 홈을 타고 이동하는 돌기를 갖춘 슬라이더가 상호 직교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경첩 연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진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바닥에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이 형성되고 한쪽 측면에는 입구로 편재된 위치에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스토퍼를 구비한 활동 홈이 형성된 상측 마감판에 의해 상부가 쉴드 되는 외곽체와, 앞쪽에 계단상 홈이 형성된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에 일치하는 위치로 압박 면이 설치된 서랍과, 상기 외곽체의 홈과 서랍의 압박 면 사이로 배치되어서 자체 복귀 탄성력으로 상기 서랍이 외곽체에서 자동 인출되게 하는 나선형 스프링과, 한쪽 끝 부분이 상기 서랍의 스프링 시트로 지지 되고, 반대쪽 끝 부분은 외곽체의 밑면에 형성된 돌기로 지지 되어서 자동 인출되는 서랍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과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가하여 감속시키는 작은 토션 스프링과, 상기 외곽체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서랍으로 배치되어 후크부재에 대응하는 그립퍼를 구비한 푸쉬-풀 기구와, 상기 서랍의 계단상 홈에 일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밑면에 거울이 부착된 판과 상기 활동 홈을 타고 이동하는 돌기를 갖춘 슬라이더가 상호 직교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경첩 연결된 덮개로 이루어진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푸쉬-풀 개폐식 화장품 용기는 상기 서랍을 용기체의 내측을 향해 눌러주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걸림부재가 그립퍼에 붙잡혀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그립퍼가 벌어지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서랍이 해방되는 푸쉬-풀 작용과, 해방된 서랍은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완전히 열리게 되는 것이고, 또한 완전히 열리는 위치에 이르면 감속작용을 받아 충격발생 없이 부드럽게 작동하는 특징을 갖추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서랍과 그 상면을 덮는 뚜껑 사이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서랍을 열지 않고도 뚜껑에 달린 거울을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도 겸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화장품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적용된 댐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관련된 화장품 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관련된 화장품 용기에서 서랍이 자동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에 관련된 화장품 용기에서 거울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4d는 본 발명에 관련된 화장품 용기에서 거울의 다른 인출 예로서, 덮개만 별도로 인출하여 거울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에서 거울의 장착에 관한 다른 변형 예를 도 1에 대응한 도면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분해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외곽체(2)와 서랍(4), 덮개(6)의 3가지 주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외곽체(2)는 내부 깊숙한 위치에 후크부재(20)를 보유하고 있고 상부는 상측 마감판(22)으로 쉴드되는 구조이며, 또 내측 바닥에는 나선형 스프링(24)이 펼쳐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26)이 형성되어 있고, 한쪽 측면에는 입구에 가깝게 편재된 위치까지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어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곽체(2)의 일부로 되는 상측 마감판(22)의 밑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입구 쪽 방향이 막혀져 스토퍼(30)를 이루게 형성되는 활동 홈(32)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곽체(2)로 수용되는 서랍(4)은, 내부가 화장품이 담기는 수납부(40)로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부(40)의 앞쪽에는 계단상 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반대쪽에는 푸쉬-풀 기구(44)의 그립퍼(46)가 상기 후크부재(20)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치되는 한편, 그 주변 한쪽에는 나선형 스프링(24)이 말려 들어갈 때 접촉하게 되는 압박 면(48)이 설치되어 있고, 또 반대쪽에는 상기 외곽체(2)의 기어부(28)와 치차 연결되는 피니온(50)을 외주 면에 형성한 댐퍼(5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피니온(50)의 외주는 서랍(4)의 외측 면보다 더 바깥으로 돌출하여 외곽체(2)의 내측 기어부(28)와 치차 연결하게 되어 있고, 또 서랍(4)의 외측 면에서 피니온(50)이 돌출되는 면에는 바깥쪽으로 통과 홈(54)이 형성되어서 상기 서랍(4)의 수납과 인출 시에, 기어부(28)의 돌출에 의한 간섭이 피니온(50)에만 작용하게 한다.
덮개(6)는 앞쪽의 판(60)과 뒤쪽의 슬라이더(62)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경첩방식으로 연결되어 상호 직교방향으로 꺾일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며, 특히 판(60)은 앞쪽 끝에 상기 서랍(4)의 계단상 홈(42)과 일치하는 돌출부(64)를 구비하고, 또한 슬라이더(62)는 뒤쪽 끝에 외곽체(2)의 활동 홈(32)을 타고 이동하는 돌기(66)를 갖추고 있다.
상기 나선형 스프링(24)은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으로 연장된 끝 부분이 외곽체(2)의 홈(26)에 부착 고정되고, 또한 안쪽으로 말려지는 중심부는 서랍(4)의 압박 면(48)에 접촉되면서 이를 열리는 방향으로 추진시키도록 설치한다.
댐퍼(52)는 그 외주 면의 피니온(50)이 외곽체(2)의 기어부(28)와 치차 연결되었을 때에 감속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기어부(28)는 외곽체(2)의 내부에서 입구 측으로 편재하고 있으므로 서랍(4)이 열리는 초기에는 감속되지 않고 열리다가 기어부(28)와 치차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피니온(50)의 회전이 시작되면서 감속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이 실시 예에 적용된 댐퍼(52)는 오일 댐퍼로서 도 3의 도시와 같이, 내부에는 점성 유체(502)가 충전되어 있고, 외주 면의 피니온(50)과 일체로 연결된 베인(504)이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베인(504)은 회전 시에 점성 유체(502)가 유통되는 오리피스 공(506)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댐퍼(52)의 구조에 의하면, 서랍(4)이 일정위치에 오면 피니온(50)이 외곽체(2)의 기어부(28)에 치차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의 베인(504)이 회전하게 되고, 이 베인(504)은 회전 중에 점성 유체(502)가 오리피스 공(506)을 유통하면서 일으키는 저항을 받아 감속작용을 나타내어 서랍(4)이 열리는 속도를 완화시켜 충격 없이 열리게 작용한다.
도 4a는 본 발명 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로서 외곽체(2)의 내부로 서랍(4)과 덮개(6)를 수납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서랍(4)이 닫힌 상태는 외곽체(2)의 후크부재(20)로 서랍(4)의 푸쉬-풀 기구(44)에 구비된 그립퍼(41)가 연계됨으로써 유지 보전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랍(4)을 손끝으로 가볍게 밀어주면 상기 특허문헌 7에 공지된 바와 같이, 푸쉬-풀 기구(44)가 작동하여 그립퍼(41)는 잡고 있던 후크부재(20)를 해방시켜 주게 되며, 이러한 작용은 사용자가 서랍(4)을 1회 밀어줄 때마다 번갈아 나타나게 된다.
한편, 서랍(4)이 외곽체(2)의 내부로 수납될 때 홈(26)을 따라 펼쳐져 있던 나선형 스프링(24)은, 그립퍼(41)가 후크부재(20)로부터 분리되면 자체 복귀 탄성력이 작동하여 감기기 시작하면서 서랍(4)을 인출시키게 된다.
서랍(4)의 인출은 초기에 빠르게 진행되다가 댐퍼(52)의 피니온(50)이 외곽체(2)의 기어부(28)에 치차 연결되면 감속작용이 나타나면서 열리는 속도가 완화되다가 댐퍼(52)에 의해 일정속도로 제어되면서 열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충격을 일으키지않고 부드럽게 열리고, 이때 덮개(6)는 돌출부(64)가 계단상 홈(42)에 맞물려 있음에 따라 서랍(4)과 함께 추진되어, 도 4b의 도시와 같이 외부로 인출된다.
도 4b와 같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덮개(6)를 위로 접어 오픈 하면 도 4c의 도시와 같이 거울(68)이 노출되어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서랍(4)의 계단상 홈(42)에는 덮개(6)를 쉽게 손으로 오픈 할 수 있도록 하는 노치를 형성하여 두는 것이 좋다.
이 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는, 서랍(4)과 덮개(6)가 별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오픈 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것이므로, 상기 특허문헌 6과는 달리 서랍(4)을 열지 않고 덮개(6)만 인출하여 거울(68)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d는 사용자가 서랍(4)의 계단상 홈(42)에 부합된 덮개(6)의 돌출부(64)를 손끝으로 당겨 덮개(6)만 외부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덮개(6)는 돌기(66)가 활동 홈(32)을 타고 이동하여 스토퍼(30)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까지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덮개(6)를 상방으로 오픈 하면 서랍(4)을 열지 않고도 거울(68)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울(68)이 장착된 덮개(6)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서랍(4)에 일체로 힌지시킨 구조로도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조는 간결하게 되지만, 거울(68)의 사용 시마다 서랍(4)이 같이 인출되는 불편은 감수해야 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서랍(4)의 자동 인출작용은 토션 스프링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토션 스프링(34)에 의한 서랍(4)의 자동 인출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토션 스프링(34)은 외곽체(2)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 한쪽 끝 부분(34a)이 가이드(36)에 의해 일정 위치로 놓이도록 지지 되고 반대쪽 끝 부분(34b)은 서랍(4)의 안쪽에 마련된 배리어(56)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서랍(4)이 수납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토션 스프링(34)은 도면의 1점 쇄선 표시와 같이 접힌 상태로 놓여져 탄성력을 비축하고 있게 되고, 이때 후크부재(20)는 푸쉬-풀기구(44)의 그립퍼(46) 붙잡혀 수납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사용자가 서랍(4)을 손가락으로 한번 누르면 푸쉬-풀기구(44)는 후크부재(20)를 해방시켜 줌에 따라 토션 스프링(34)의 탄성력이 발동하여 반대쪽 끝 부분(34b)이 서랍(4)의 배리어(56)를 밀어주는 것으로 상기 서랍(4)의 자동 인출이 행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댐퍼(52)에 의한 속도 완화작용은 상기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랍(4)의 완속작용을 나타내는 댐퍼(52)도 상술한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토션 스프링(58)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작은 토션 스프링(58)의 한쪽 끝 부분(58a)이 서랍(4)의 밑면에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시트(59)에 지지 되고, 반대쪽 끝 부분(58b)은 외곽체(2)의 안쪽 밑면에 형성된 돌기(38)에 의해 지지 되도록 배치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배치된 작은 토션 스프링(58)은 서랍(4)의 인출방향에 반대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지니게 되는 것이고, 이 탄성력은 상기 토션 스프링(34)보다는 현저하게 약한 힘을 갖도록 설정되어야만 상기 서랍(4)이 인출될 때 완전히 개방되기 직전에 작은 토션 스프링(58)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원치않은 충격의 발생 없이 상기 서랍(4)의 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토션스프링(34)과 작은 토션 스프링(58)의 탄성력 조절은 재료 및 스프링의 굵기 선정과, 토션력을 일으키는 코일링 횟수 조정 등을 통해 용이하게 구현할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서랍(4)의 자동 인출작용을 나선형 스프링(24)이 담당하고 자동 인출 시의 완속 작용을 작은 토션 스프링(58)이 담당하게 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 예도 상술한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랍(4)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1회 밀어주는 것으로 서랍(4)의 푸쉬-풀 작용이 나타나서 나선형 스프링(24)의 복귀 탄성력으로 자동 인출되고, 이와 동시에 서랍(4)이 완전히 열리기 직전에 작은 토션 스프링(58)의 탄성력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서랍(4)의 인출속도를 감속시킴에 따라 충격의 발생 없이 서랍(4)이 인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는 서랍(4)이 완전히 열리는 위치까지 자동 인출되는 특징을 나타내면서도 그 서랍(4)이 인출되는 도중에 감속작용을 받아 열리는 속도가 지연되면서 열리기 때문에 완전히 열리는 시점에서도 충격 발생 없이 소망하는 서랍의 자동 인출작용을 나타낸다.
2: 외곽체
20: 후크부재 22: 후방마감판
24: 나선형 스프링 26: 홈
28: 기어부 30: 스토퍼
32: 활동 홈 34: 토션 스프링
34a: 한쪽 끝 부분 34b: 반대쪽 끝 부분
36: 가이드 38: 돌기
4: 서랍
40: 수납부 42: 계단상 홈
44: 푸쉬-풀 기구 46: 그립퍼
48: 압박 면 50: 피니온
52: 댐퍼 54: 통과 홈
56: 배리어 58: 작은 토션 스프링
58a: 한쪽 끝 부분 58b: 반대쪽 끝 부분
59: 스프링 시트
6: 덮개
60: 판 62: 슬라이더
64: 돌출부 66: 돌기
68: 거울

Claims (5)

  1. 바닥에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26)이 형성되고, 한쪽 측면에는 입구로 편재된 위치에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부(28)가 형성됨과 아울러 스토퍼(30)를 구비한 활동 홈(32)이 형성된 상측 마감판(22)에 의해 상부가 쉴드 되는 외곽체(2);
    앞쪽에 계단상 홈(42)이 형성된 수납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26)에 일치하는 위치로 압박 면(48)이 설치된 서랍(4);
    상기 외곽체(2)의 홈(26)과 서랍(4)의 압박 면(48) 사이로 배치되어서 자체 복귀 탄성력으로 상기 서랍(4)의 압박 면(48)을 추진하여 외곽체(2)에서 자동 인출되게 하는 나선형 스프링(24);
    외주 면에 설치된 피니온(50)이 상기 외곽체(2)의 기어부(28)에 치차 연결되도록 상기 서랍(4)에 배치되어서 자동 인출 속도를 감속하는 댐퍼(52);
    상기 외곽체(2)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20)와, 상기 서랍(4)으로 배치되어 후크부재(20)에 대응하는 그립퍼(46)를 구비한 푸쉬-풀 기구(44);
    상기 서랍(4)의 계단상 홈(42)에 일치하는 돌출부(64)를 구비하고 밑면에 거울(68)이 부착된 판(60)과, 상기 활동 홈(32)을 타고 이동하는 돌기(66)를 갖춘 슬라이더(62)가 상호 직교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경첩 연결된 덮개(6);
    로 이루어진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52)는 오일 댐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3. 내부의 한쪽 측면으로 입구로 편재된 위치에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부(28)가 형성됨과 아울러 스토퍼(30)를 구비한 활동 홈(32)이 형성된 상측 마감판(22)에 의해 상부가 쉴드 되는 외곽체(2);
    앞쪽에 계단상 홈(42)이 형성된 수납부(40)로 이루어지고, 뒤쪽에 배리어(56)가 형성된 서랍(4);
    외곽체(2)의 내측에서 한쪽 끝 부분(34a)이 가이드(36)로 지지 됨과 아울러 반대쪽 끝 부분(34b)은 상기 배리어(56)를 지지하여 상기 서랍(4)이 외곽체(2)에서 자동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34);
    상기 외곽체(2)의 기어부(28)에 치차 연결되는 피니온(50)이 외주 면에 설치되고 상기 서랍(4)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치차 연결을 통해 서랍의 자동 인출 속도를 감속하는 댐퍼(52);
    상기 외곽체(2)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20)와, 상기 서랍(4)으로 배치되어 후크부재(20)에 대응하는 그립퍼(46)를 구비한 푸쉬-풀 기구(44);
    상기 서랍(4)의 계단상 홈(42)에 일치하는 돌출부(64)를 구비하고 밑면에 거울(68)이 부착된 판(60)과, 상기 활동 홈(32)을 타고 이동하는 돌기(66)를 갖춘 슬라이더(62)가 상호 직교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경첩 연결되는 덮개(6);
    로 이루어진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4. 스토퍼(30)를 구비한 활동 홈(32)이 형성된 상측 마감판(22)에 의해 상부가 쉴드 되는 외곽체(2);
    앞쪽에 계단상 홈(42)이 형성된 수납부(40)로 이루어지고, 뒤쪽에 배리어(56)가 형성된 서랍(4);
    외곽체(2)의 내측에서 한쪽 끝 부분(34a)이 가이드(36)로 지지 됨과 아울러 반대쪽 끝 부분(34b)은 상기 배리어(56)를 지지하여 상기 서랍(4)이 외곽체(2)에서 자동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34);
    한쪽 끝 부분(58a)이 상기 서랍(4)의 스프링 시트(59)로 지지 되고, 반대쪽 끝 부분(58b)은 외곽체(2)의 밑면에 형성된 돌기(38)로 지지 되어서 자동 인출되는 서랍(4)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34)과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가하여 감속시키는 작은 토션 스프링(58);
    상기 외곽체(2)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20)와, 상기 서랍(4)으로 배치되어 후크부재(20)에 대응하는 그립퍼(46)를 구비한 푸쉬-풀 기구(44);
    상기 서랍(4)의 계단상 홈(42)에 일치하는 돌출부(64)를 구비하고 밑면에 거울(68)이 부착된 판(60)과, 상기 활동 홈(32)을 타고 이동하는 돌기(66)를 갖춘 슬라이더(62)가 상호 직교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경첩 연결되는 덮개(6);
    로 이루어진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5. 바닥에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26)이 형성되고, 한쪽 측면에는 입구로 편재된 위치에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부(28)가 형성됨과 아울러 스토퍼(30)를 구비한 활동 홈(32)이 형성된 상측 마감판(22)에 의해 상부가 쉴드 되는 외곽체(2);
    앞쪽에 계단상 홈(42)이 형성된 수납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26)에 일치하는 위치로 압박 면(48)이 설치된 서랍(4);
    상기 외곽체(2)의 홈(26)과 서랍(4)의 압박 면(48) 사이로 배치되어서 자체 복귀 탄성력으로 상기 서랍(4)의 압박 면(48)을 추진하여 외곽체(2)에서 자동 인출되게 하는 나선형 스프링(24);
    한쪽 끝 부분(58a)이 상기 서랍(4)의 스프링 시트(59)로 지지 되고, 반대쪽 끝 부분(58b)은 외곽체(2)의 밑면에 형성된 돌기(38)로 지지 되어서 자동 인출되는 서랍(4)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34)과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가하여 감속시키는 작은 토션 스프링(58);
    상기 외곽체(2)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20)와, 상기 서랍(4)으로 배치되어 후크부재(20)에 대응하는 그립퍼(46)를 구비한 푸쉬-풀 기구(44);
    상기 서랍(4)의 계단상 홈(42)에 일치하는 돌출부(64)를 구비하고 밑면에 거울(68)이 부착된 판(60)과, 상기 활동 홈(32)을 타고 이동하는 돌기(66)를 갖춘 슬라이더(62)가 상호 직교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경첩 연결된 덮개(6);
    로 이루어진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KR1020120061445A 2012-06-08 2012-06-08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KR101453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445A KR101453495B1 (ko) 2012-06-08 2012-06-08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445A KR101453495B1 (ko) 2012-06-08 2012-06-08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845A true KR20130137845A (ko) 2013-12-18
KR101453495B1 KR101453495B1 (ko) 2014-10-23

Family

ID=4998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445A KR101453495B1 (ko) 2012-06-08 2012-06-08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4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6133A (zh) * 2016-05-13 2017-11-21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洗涤剂盒组件及其洗衣机
CN109708416A (zh) * 2018-09-17 2019-05-03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抽屉组件
CN109708415A (zh) * 2018-09-17 2019-05-03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自动弹出式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4084B2 (ja) * 2018-03-30 2020-05-1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たばこ加熱器用開閉機構
KR102663411B1 (ko) * 2022-10-19 2024-05-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파워 아웃렛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904Y1 (ko) 2004-09-01 2004-12-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용기
KR200412602Y1 (ko) 2005-12-30 2006-03-29 (주)연우 컴팩트 용기
KR200441748Y1 (ko) 2007-03-12 2008-09-05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KR200439084Y1 (ko) 2007-03-13 2008-03-19 (주)연우 거울 인출식 컴팩트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6133A (zh) * 2016-05-13 2017-11-21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洗涤剂盒组件及其洗衣机
CN107366133B (zh) * 2016-05-13 2024-02-13 松下家电(中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洗涤剂盒组件及其洗衣机
CN109708416A (zh) * 2018-09-17 2019-05-03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抽屉组件
CN109708415A (zh) * 2018-09-17 2019-05-03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自动弹出式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CN109708415B (zh) * 2018-09-17 2021-01-05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自动弹出式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CN109708416B (zh) * 2018-09-17 2021-01-12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抽屉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495B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495B1 (ko)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JP4797022B2 (ja) 内容物ケースがスライド自在に挿脱される構造を持つコンパクト容器
US20070017848A1 (en) Multiple step type compact
KR100913551B1 (ko) 슬라이드형 화장품 케이스
KR200441748Y1 (ko)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KR200473231Y1 (ko) 메이컵 팔레트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39084Y1 (ko) 거울 인출식 컴팩트 용기
WO2019223371A1 (zh) 弹跳镜面口红
KR200456827Y1 (ko) 콤팩트 케이스
WO2008097002A1 (en) Case for cosmetic
JP7073521B2 (ja) 化粧品容器
US3498688A (en) Cabinet arrangement for dispensing paper towels
US20110220653A1 (en) Trash bag receiving structure for trash can
KR200471805Y1 (ko)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KR200445313Y1 (ko) 거울 인출식 콤팩트 용기
KR200369903Y1 (ko) 화장품 용기
KR200478515Y1 (ko) 콤팩트 케이스
KR200438510Y1 (ko) 콤팩트 케이스
JPH0451709Y2 (ko)
JPS6239781Y2 (ko)
KR200495442Y1 (ko) 화장품 용기
JP7262339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474907Y1 (ko) 화장품 용기
KR20150069606A (ko) 콤팩트 용기
US1977733A (en) Lip stick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