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907Y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907Y1
KR200474907Y1 KR2020120006974U KR20120006974U KR200474907Y1 KR 200474907 Y1 KR200474907 Y1 KR 200474907Y1 KR 2020120006974 U KR2020120006974 U KR 2020120006974U KR 20120006974 U KR20120006974 U KR 20120006974U KR 200474907 Y1 KR200474907 Y1 KR 200474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lipstick
container body
pane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995U (ko
Inventor
문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Priority to KR2020120006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90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9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9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0Containers with mov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한 손만으로 뚜껑의 개폐와 립스틱의 승강 조작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립스틱 케이스로서, 슬롯(2)이 한쪽 면으로 형성되고 안쪽이 막혀 내부 공간을 보유하는 외곽(4)과; 내부에 마스카라용 솔 또는 립스틱이나 통상의 화장품이 수납되고 외부의 한쪽 표면에는 상기 슬롯(2)을 타고 이동되는 고정축수(8)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용기 몸체(6)와; 상기 고정축수(8)와의 사이로 슬롯(2)의 두께에 해당하는 틈(20)을 사이에 두고 축(14)으로 힌지 연결되는 회동축수(12)를 갖춘 패널(10)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를 제안하는 것이며, 상기 용기 몸체(6)의 고정축수(8)가 상기 외곽(4)에 형성된 슬롯(2)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상기 슬롯(2)의 상단에 스토퍼(18)를 접합한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고, 상기 패널(10)의 안쪽 면에 거울(16)을 부착한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고안은 립스틱, 마스카라, 연지, 분 등을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뚜껑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화장에 필요한 거울이 노출되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는 입술 미용의 립스틱 케이스, 눈썹 미용의 마스카라 용기, 그리고 볼 터치용 분이 수용되는 콤팩트 용기로 구분할 수 있다.
입술 미용에 사용되는 립스틱은 대개 다음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립스틱 유지구, 내부 슬리브, 외부 슬리브 및 장식 슬리브로 구성되어서 사용자가 뚜껑을 열고 외부 슬리브를 회전시키면, 립스틱 유지구의 돌기가 홈과 슬롯에 의한 간섭을 받으면서 추진되어 상하로 립스틱을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립스틱 케이스는 사용 시에 뚜껑을 열고, 외부 슬리브를 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번거롭다.
다음 특허문헌 4 내지 특허문헌 8에는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립스틱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와 특허문헌 5는 랙과 피니온의 치차 연결을 이용하여 한 손으로 립스틱을 밀어 올릴 수 있게 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고, 특허문헌 6은 전동모터의 동력으로 립스틱을 승 하강시키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허문헌 7은 립스틱이 승강하기 전에 그 상측의 뚜껑이 먼저 열리게 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고, 그 외에도 특허문헌 8 또는 특허문헌 9와 같이, 케이스 외부에 거울이 부착되어 있거나, 뚜껑이 케이스의 옆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부가 힌지 연결된 구조로도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마스카라 용기는 뚜껑에 솔이 달려있으므로 사용자는 뚜껑을 돌려서 용기로부터 빼내어 사용하는 구조로 됨이 통상이고, 콤팩트 용기는 뚜껑이 용기에 힌지 연결되어 있거나 서랍 형태로 수납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76727호의 도 1 한국 등록특허 제10-0429714호의 도 1 한국 등록특허 제10-0548968호의 도 1 한국 등록특허 제10-0656846호의 도 2 한국 등록특허 제10-1158807호의 도 9 한국 등록특허 제10-0733236호의 도 3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24926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24806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039346호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는 립스틱이나 마스카라, 또는 볼 연지 등에 적합한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들 용기를 용도에 맞춰 제각각 제조하려면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제품 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화장품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르면 종류별 1세트로 제공되어야 하지만,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용기 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포장비용이 상당히 고가로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원가를 저렴하게 낮출 수 있고, 뚜껑의 슬라이드 조작으로 용기를 개폐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특히 화장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립스틱과 마스카라, 콤팩트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 개량한 새로운 타입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은, 한쪽이 막혀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외곽의 한쪽 면에 슬롯을 형성하고, 이 슬롯을 타고 슬라이드 하는 고정축수를 통상의 화장품이 수납되는 용기 몸체의 한쪽 표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함과 아울러, 통상의 거울이 부착된 패널의 하단 측 회동축수를 상기 고정축수에 축으로 연결한 구성으로 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패널의 회동축수는 고정축수에서 용기 몸체에 대하여 슬롯의 두께에 해당하는 틈을 두고 배치되어야 한다.
또, 용기의 슬롯에서 입구 측 열린 부분은 초음파 접합 되는 스토퍼로 폐쇄하여 패널이 이탈될 수 없게 한 구조로도 실시할 수 있다.
또, 용기 몸체에 립스틱이 수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롯의 상단 일부를 절제한 개폐통로를 형성하여 놓고, 패널에는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을 닫아놓기 위한 덮개를 직교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서 립스틱은 용기 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손잡이에 매달려 수용된다.
또, 용기 몸체에 마스카라가 수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에 마스카라용 솔이 부착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를 콤팩트로 사용하는 경우에, 용기 몸체에는 분과 퍼프를 수납한다.
본 고안에 관련된 화장품 용기는, 외곽의 한쪽 표면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용기 몸체의 고정축수를 사용자가 밀어올리거나 끌어내리는 조작으로 개폐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고정축수에 축으로 힌지 연결된 패널의 상단 측 덮개가 개폐통로를 벗어나면서 개방됨과 동시에 안쪽의 거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어 화장하기에 최적한 상태로 변환하는 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인하여 본 고안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사용상의 간편함과, 그리고 구조적으로는 외곽과, 그 안으로 수용되는 용기 몸체 및 패널의 3개 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립스틱 용기로, 또는 마스카라 용기로, 혹은 콤팩트 용기로 제공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이들 부품의 조립도 끼워 맞추는 극히 간단한 방식이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화장품 용기를 콤팩트에 적용한 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 예로서 립스틱 케이스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화장품 케이스에서 뚜껑을 닫은 상태의 측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화장품 케이스를 개방하기 직전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상태에서 립스틱이 완전히 노출된 상태의 측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화장품 용기를 콤팩트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한쪽 면에 축 방향으로 슬롯(2)이 열려있고 안쪽이 막혀서 내부 공간을 갖춘 외곽(4)과, 이 외곽(4)의 내부로 수용되는 용기 몸체(6)로 이루어진다.
용기 몸체(6)는 실제에 있어서, 외곽(4)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윤곽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롯(2)으로 끼워져서 외부로 돌출하게 되는 고정축수(8)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축수(8)에는 패널(10)의 하측 변에 마련된 1쌍의 회동축수(12)가 끼워져서 축(14)으로 연결됨으로써 선회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 패널(10)은 외곽(4)과 마주보게 되는 안쪽 면에 거울(16)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슬롯(2)의 입구로 스토퍼(18)를 초음파 접합하여 상기 패널(10)이 외곽(4)의 슬롯(2)에서 분리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좋다.
특히, 패널(10)의 하단 변에 형성된 회동축수(12)는 용기 몸체(6)와의 사이로 상기 슬롯(2)의 두께에 상당하는 틈(20)을 두고 배치하여, 상기 슬롯(2)의 양측 부분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에 따라 외곽(4)에 대한 패널(10)의 슬라이드 이동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용기 몸체(6)의 개폐 조작은 사용자가 고정축수(8)를 밀거나 당기는 것에 따라 스토퍼(18)로 제한된 슬롯(2)의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패널(10)의 회동축수(12)가 축(14)을 지점으로 고정축수(8)에 대하여 선회하는 것에 의해 개폐되어 사용자에게 거울(16)을 제공하거나 수납된다.
이 실시 예는 화장품 용기가 콤팩트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용기 몸체(6)의 내부에는 분과 퍼프가 수납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관련된 화장품 용기를 립스틱 케이스로 적용한 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술한 실시 예와 다른 점은 상기 슬롯(2)의 입구 측에는 상변의 일부를 절제하여 형성되는 개폐통로(22)가 부여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패널(10)의 상변에는 직교방향으로 덮개(24)가 연장 형성된 구성과, 용기 몸체(6)가 립스틱(26)을 일체로 지지하는 손잡이(28)로 개폐되는 구성이 추가된 점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상기 손잡이(28)에 의한 용기 몸체(6)의 개폐는 나사운동이나 푸쉬-풀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덮개(24)의 폭은 가급적 상기 개폐통로(22)의 폭과 일치하도록 설정하면, 외곽(4)의 열린 부위를 완전하게 폐쇄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이 실시 예에서 상기 립스틱(26)은 용기 몸체(6) 내부로 단순히 수납되는 것이므로 종래의 립스틱 케이스에서와 같이, 회동 조작에 따라 승강 되도록 하는 스파이럴 홈 등의 구조는 갖추지 않고 있다.
용기 몸체(6)가 립스틱(26)을 지지한 채로 외곽(4)의 내부로 수용될 때, 한쪽으로 돌출된 고정축수(8)는 상기 외곽(4)의 슬롯(2)을 통하여 슬라이드 되는 것이며, 이 실시 예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2)의 상단으로 스토퍼(18)를 고주파 접착하여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패널(10)은 축(14)을 지점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것이므로 상기 용기 몸체(6)를 수납한 후에 회동시켜서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의 덮개(24)가 외곽(4)의 상방을 폐쇄하도록 눌러주면 닫힌 상태로 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패널(10)이 닫힌 상태로 휴대할 수 있고, 휴대 중에 패널(10)이 원치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려면, 개폐통로(22)와 덮개(24) 사이의 폭에 대한 공차를 줄여서 상기 개폐통로(22)의 내측 면과 덮개(24)의 외측 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외력의 작용에도 패널(10)이 쉽사리 열리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뚜껑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한 손의 엄지로 패널(10)을 취급할 수 있도록 도 3의 도시와 같이 쥐고, 엄지만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볍게 밀어 올리면 패널(10)이 외곽(4) 내측의 용기 몸체(6)를 견인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단의 덮개(24)가 개폐통로(22)를 벗어나게 되면, 마찰력이 소멸 됨으로써 상기 패널(10)은 축(14)을 지점으로 자유롭게 회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외곽(4)을 한쪽으로 기울여주는 것만으로도 개방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다시 엄지로 하측의 고정축수(8)를 밀어주면 도 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28)가 외곽(4)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하게 되어 립스틱(26)을 용기 몸체(6)에서 도면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빼내어 입술 화장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입술 화장 시에, 외곽(4)을 지금과는 반대쪽으로 돌려 쥐게 되면 패널(10)에 달린 거울(16)이 사용자의 앞쪽에서 상기 외곽(4)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어긋나게 위치하므로 립스틱(26)에 의한 화장상태를 바로 눈으로 보면서 할 수 있다.
화장을 종료하였을 때는 사용자가 립스틱(26)을 다시 용기 몸체(6)에 수납하고 패널(10)을 외곽(4)에 붙인 채로 내리눌러주어, 덮개(24)가 개폐통로(22)에 끼워져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원래의 닫힌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관련된 립스틱 케이스는 사용자가 뚜껑의 개폐 및 립스틱의 출몰 조작을 손가락으로 밀어주는 간편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를 마스카라 용기에 적용할 때는, 상기 손잡이(28)에 립스틱(26) 대신 마스카라용 솔이 부착되어서 용기 몸체(6)의 내부로 수납되고, 또 상기 용기 몸체(6)에는 립스틱(26) 대신 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액이 수용되는 정도의 차이점만 있을 뿐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는, 외곽과 용기 몸체, 그리고 패널의 3개 요소만으로 립스틱 케이스, 마스카라 용기, 콤팩트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추고 있어서 화장품 용기의 세트화를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2: 슬롯 4: 외곽
6: 용기 몸체 8: 고정축수
10: 패널 12: 회동축수
14: 축 16: 거울
18: 스토퍼 20: 틈
22: 개폐통로 24: 덮개
26: 립스틱 28: 손잡이

Claims (4)

  1. 슬롯(2)이 한쪽 면에 형성되고 안쪽이 막혀 내부 공간을 보유하는 외곽(4)과;
    내부에 화장품이 수납되고 외부의 한쪽 표면에는 상기 슬롯(2)을 타고 이동되는 고정축수(8)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용기 몸체(6)와;
    상기 고정축수(8)에서 슬롯(2)의 두께에 해당하는 틈(20)을 사이에 두고 축(14)으로 힌지 연결되는 회동축수(12)를 갖춘 패널(10)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4)에 형성된 슬롯(2)의 입구 측에는 상변의 일부를 절제하여 형성되는 개폐통로(22)가 부여됨과 아울러, 상기 패널(10)의 상변에는 직교방향으로 덮개(24)가 연장 형성되고, 또한 상기 용기 몸체(6)는 마스카라용 솔, 또는 립스틱(26)이 부착된 손잡이(28)로 개폐되는 마스카라 용기 또는 립스틱 케이스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6)의 고정축수(8)가 상기 외곽(4)에 형성된 슬롯(2)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상기 슬롯(2)의 상단에 스토퍼(18)가 접합 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0)의 안쪽 면에 거울(16)이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케이스.
KR2020120006974U 2012-08-03 2012-08-03 화장품 용기 KR200474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74U KR200474907Y1 (ko) 2012-08-03 2012-08-03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74U KR200474907Y1 (ko) 2012-08-03 2012-08-03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95U KR20140000995U (ko) 2014-02-13
KR200474907Y1 true KR200474907Y1 (ko) 2014-10-22

Family

ID=5200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974U KR200474907Y1 (ko) 2012-08-03 2012-08-03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9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52Y1 (ko) * 2018-05-04 2018-12-07 조민서 차량용 화장거울 수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308Y1 (ko) 2005-10-11 2005-12-21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화장품 용기
KR200421328Y1 (ko) 2006-03-23 2006-07-12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화장품 용기
KR100750049B1 (ko) 2006-12-18 2007-08-17 김승일 화장품케이스
KR20090022865A (ko) * 2007-08-31 2009-03-04 박청하 슬라이드식 거울이 장착된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308Y1 (ko) 2005-10-11 2005-12-21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화장품 용기
KR200421328Y1 (ko) 2006-03-23 2006-07-12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화장품 용기
KR100750049B1 (ko) 2006-12-18 2007-08-17 김승일 화장품케이스
KR20090022865A (ko) * 2007-08-31 2009-03-04 박청하 슬라이드식 거울이 장착된 화장품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95U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7888B2 (ja) コンパクトケース
JP4797022B2 (ja) 内容物ケースがスライド自在に挿脱される構造を持つコンパクト容器
JP3115036U (ja) 複数段型コンパクト
US8573233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transparent window
JP6353920B2 (ja) 棒状化粧品容器が内蔵されたコンパクト容器
KR100860288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4907Y1 (ko) 화장품 용기
KR20150069607A (ko) 콤팩트 용기
KR20050037155A (ko) 휴대용 화장품케이스
KR101478294B1 (ko) 화장품 용기
KR20100008838U (ko) 콤팩트 케이스
KR102092204B1 (ko)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수평 회전식 화장품용기
JP2022516541A (ja) スライド式メーキャップ化粧品ケース
KR102130277B1 (ko) 슬라이드식 화장품 콤팩트 케이스
KR101743759B1 (ko) 원터치로 인출되는 립스틱이 내장된 콤팩트 용기
KR200438527Y1 (ko) 스윙 형태의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GB2511055A (en) Compact case for cosmetics
KR200495616Y1 (ko) 화장품 용기
KR200444071Y1 (ko) 뚜껑이 분할개폐되는 화장품팔레트
KR20200005140A (ko) 이중 수납형 화장품 수납용기
KR200459360Y1 (ko) 출몰식 마스카라 도포 용기
KR200369903Y1 (ko) 화장품 용기
KR101301901B1 (ko) 화장품 용기의 브러쉬 결합형 캡
US11812841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contents visible from outside
KR200490276Y1 (ko) 멀티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