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407A -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407A
KR20130137407A KR1020120060990A KR20120060990A KR20130137407A KR 20130137407 A KR20130137407 A KR 20130137407A KR 1020120060990 A KR1020120060990 A KR 1020120060990A KR 20120060990 A KR20120060990 A KR 20120060990A KR 20130137407 A KR20130137407 A KR 20130137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mobile phone
usb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341B1 (ko
Inventor
정락환
이경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콘스
Priority to KR102012006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34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카드 타입의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는 일반 마그네틱 플라스틱 카드의 크기를 가지며,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서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상기 휴대폰이 요구하는 형태의 직류 전압을 변환시켜서 휴대폰으로 공급하고, 휴대폰의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상기 휴대폰과 PC간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 그리고 카드 타입의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는 후레쉬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으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상기 장치의 외부로 빛을 발광시키는 후레쉬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PORTABLE MULTIFUNCTIONAL PORTABLE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뿐만 아니라 MP3나 PMP 플레이어 등의 각종 휴대용 기기들은 배터리로 동작한다. 이들 휴대용 기기들은 휴대하면서 사용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가 많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 대부분은 항상 보조 배터리를 휴대한다.
휴대폰은 콘센트에 연결하는 어댑터를 이용하거나 PC에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로 연결하여 충전된다. 이와 같이, 휴대폰은 전원 공급원인 콘센트나 PC가 있어야 충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 중에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되면 충전할 곳을 찾기 전까지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는 곤란한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이처럼 배터리 소모에 민감한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를 콘센트나 PC 없이도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터리 소모에 민감한 휴대폰을 콘센트나 PC 없이도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전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접목시켜서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폰을 충전시키는 장치가 제공된다.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는 상기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을 충전하고 있는 배터리, 상기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상기 휴대폰이 요구하는 형태의 직류 전압을 변환시켜서 상기 휴대폰으로 공급하는 DC-DC 컨버터, 상기 휴대폰의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상기 휴대폰과 PC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허브 IC(Integrated Circuit), 상기 휴대폰의 USB 소켓에 삽입되는 USB 플러그, 상기 USB 플러그를 상기 DC-DC 컨버터에 연결시키고,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상기 USB 플러그를 상기 USB 허브 IC에 연결시키는 선택 스위치, 그리고 후레쉬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으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상기 장치의 외부로 빛을 발광시키는 LED(Light Emitting Diode) 후레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는 마그네틱 플라스틱 카드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는 상기 PC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소켓, 그리고 상기 USB 소켓을 통해서 상기 PC의 USB 포트에 연결되면 상기 PC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IC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IC는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상기 PC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서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는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모리카드 소켓, 그리고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카드 소켓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상기 PC로 전달하거나 상기 PC에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메모리카드 리더 IC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USB 허브 IC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 카드 또는 상기 휴대폰과 상기 PC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서 상기 휴대폰의 USB 소켓에 상기 USB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배터리 잔량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클수록 진동 세기는 커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잔량 제공부는 상기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한 배터리의 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 전압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과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제1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상기 배터리 전압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낮은 제 2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제2 기준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2 비교기, 상기 배터리 전압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낮은 제 3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제3 기준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3 비교기 및 상기 제1 ~ 3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출력전압에 상응하는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된 명령에 따른 동작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DC-DC 컨버터, USB 허브 IC, 선택 스위치, LED 후레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 제공부로터 수신된 배터리의 전압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LED 후레쉬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USB 소켓에 상기 USB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화면 표시 권한을 부여 받아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의 크기를 상기 휴대폰의 화면을 통해서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콘센트나 PC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USB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를 통해서 휴대폰과 PC를 연결할 경우 충전과 데이터 통신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후레쉬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진동 크기나 휴대폰의 화면을 통해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배터리의 전압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에 배터리의 전압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타입의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충전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데이터 통신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후레쉬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후레쉬 기능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외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터리 잔량 제공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소켓(102), 충전 IC(Integrated Circuit)(104), 배터리(106), USB 허브 IC(108), 선택 스위치(110), USB 플러그(112), 메모리카드 소켓(114), 메모리카드 리더 IC(116), DC-DC 컨버터(118), 로우드롭아웃(Low Drop Out, LDO) 레귤레이터(120), LED(Light Emitting Diode) 후레쉬부(122) 및 제어부(124)를 포함한다.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의 일측면에는 USB 소켓(102)이 형성된다.
USB 소켓(102)은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의 USB 포트에 연결된다.
충전 IC(104)는 USB 소켓(102)을 통해서 PC의 USB 포트에 연결되면 PC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서 배터리(106)를 충전한다. 충전 IC(104)는 USB 전용 어댑터를 이용하여 배터리(106)를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충전 IC(104)는 배터리(106)가 충전되는 동안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의 전면으로 적색 램프를 점등시키고 충전이 완료되면 적색 램프를 소등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IC(104)는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서 휴대폰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의 전면으로 적색 램프를 점등시키고 충전이 완료되면 적색 램프를 소등시킬 수 있다.
배터리(106)는 충전하고 있는 전압으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를 동작시키며,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서 배터리(106)의 잔존 전압으로 휴대폰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USB 허브 IC(108)는 PC와 연결되는 주변 장치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제어부(124)의 제어에 따라서 PC와 복수의 주변 장치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 허브 IC(108)는 PC와 휴대폰을 연결하거나 PC와 SD 메모리 카드를 연결할 수 있다.
선택 스위치(110)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USB 플러그(112)를 DC-DC 컨버터(118) 또는 USB 허브 IC(108)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는 휴대폰의 충전 모드, 데이터 통신 모드 및 후레쉬 모드가 있다.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서 선택 스위치(110)는 USB 플러그(112)를 DC-DC 컨버터(118)와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선택 스위치(110)는 USB 플러그(112)를 USB 허브 IC(108)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의 일측면에 USB 플러그(112)이 형성된다.
USB 플러그(112)는 휴대폰의 USB 소켓에 삽입되어 휴대폰과 연결된다.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USB 플러그(112)를 통해서 휴대폰과 PC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휴대폰과 PC과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충전 IC(104)는 PC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서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메모리카드 소켓(114)에는 SD 메모리 카드나 마이크로 DI 카드 일명, T-플래시(Flash) 카드 등 메모리 카드가 연결된다.
메모리카드 리더 IC(116)는 메모리카드 소켓(114)에 연결된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PC로 전달하거나 PC에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한다. 이를 위해 메모리카드 리더 IC(116)는 USB 허브 IC(108)와 연결된다. 따라서, 메모리카드 리더 IC(116)는 메모리카드 소켓(114)에 연결된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USB 허브 IC(108)를 통해 PC로 전달하고, PC에 있는 데이터를 USB 허브 IC(108)를 통해 전달받아서 메모리 카드에 기록한다.
DC-DC 컨버터(118)는 배터리(106)에 충전되어 있는 임의의 직류 전압을 휴대폰이 요구하는 형태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즉,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서 DC-DC 컨버터(118)는 배터리(106)에 충전되어 있는 직류 전압을 휴대폰이 요구하는 형태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USB 플러그(112)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휴대폰을 USB 플러그(112)에 연결하고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휴대폰의 충전 모드로 설정하면,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의 배터리(106)에 남아 있는 전압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간편하게 휴대폰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LDO 레귤레이터(120)는 배터리(106)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레귤레이팅하여 LED 후레쉬부(122)에 인가한다.
LED 후레쉬부(122)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며, LDO 레귤레이터(120)로부터 전압을 공급 받아 복수의 LED가 점등되어 빛을 발광한다.
LDO 레귤레이터(120)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후레쉬 모드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후레쉬 모드에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는 빛을 외부로 발광시킨다.
제어부(124)는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른 동작 모드 신호를 입력 받아서 선택 스위치(110), LDO 레귤레이터(120), USB 허브 IC(108) 및 DC-DC 컨버터(118)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충전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어부(124)는 사용자로부터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S210), USB 플러그(112)를 DC-DC 컨버터(118)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선택 스위치(110)로 출력하고, DC-DC 컨버터(118)를 동작시킨다.
선택 스위치(110)는 제어부(124)의 제어 신호에 따라 USB 플러그(112)를 DC-DC 컨버터(118)에 연결한다(S220).
DC-DC 컨버터(118)는 제어부(124)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하여 배터리(106)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휴대폰이 요구하는 형태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고(S230), 변환된 직류 전압을 USB 플러그를 통해서 휴대폰으로 공급한다(S240).
이때 충전 IC(104)는 휴대폰이 충전되는 동안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의 전면으로 적색 램프를 점등시키고 휴대폰의 충전이 완료되면 적색 램프를 소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는 자신의 배터리(106)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으로 휴대폰을 충전하므로, 전원 공급원인 콘센트나 PC가 없어도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원인 콘센트나 PC가 없어도 되므로,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충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데이터 통신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어부(124)는 사용자로부터 휴대폰과 PC간 데이터 통신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S310), USB 플러그(112)를 USB 허브 IC(108)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선택 스위치(110)로 출력하고, USB 허브 IC(108)를 동작시킨다.
선택 스위치(110)는 제어부(124)의 제어 신호에 따라 USB 플러그(112)를 USB 허브 IC(108)에 연결한다(S320).
USB 허브 IC(108)는 USB 플러그(112)를 통해 휴대폰이 연결되면,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여 휴대폰과 PC간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S330). 이때 충전 IC(104)는 PC로부터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USB 허브 IC(108)는 메모리카드 소켓(114)을 통해 메모리카드가 연결되면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여 메모리카드와 PC간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도 있다.
즉, 휴대폰과 메모리카드가 동시에 연결되면 USB 허브 IC(108)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휴대폰 또는 메모리카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주변 장치와 PC간 통신을 중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후레쉬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후레쉬 기능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어부(124)는 사용자로부터 후레쉬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S410), LDO 레귤레이터(120)를 동작시킨다.
LDO 레귤레이터(120)는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레귤레이팅하여 LED 후레쉬부(122)에 인가한다(S420).
LED 후레쉬부(122)는 LDO 레귤레이터(120)로부터 전압을 공급 받아 복수의 LED를 점등시켜서 빛을 발광시킨다(S430). 이러한 후레쉬 모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외부로 강한 빛이 발광된다. 따라서 밤이나 어두운 곳에서 휴대폰을 USB 플러그(112)에 연결할 때에 후레쉬 모드로 설정하면 휴대폰을 USB 플러그(112)에 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어두운 길 보행에 길을 밝혀주는 야간 조명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외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의 USB 플러그(112) 및 USB 소켓(102)은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양측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접이식으로 180도까지 펴질 수 있다. 이때 USB 플러그(112) 및 USB 소켓(102)는 접었을 때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또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의 일측면의 소정 위치에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카드 소켓(1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는 일반 마그네틱 플라스틱 카드의 크기를 가진다. 이와 같은 크기의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는 휴대가 매우 간편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는 배터리 잔량 제공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폰을 USB 플러그(112)에 연결하고,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24)는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 신호를 배터리 잔량 제공부(126)로 전달한다.
배터리 잔량 제공부(126)는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배터리(106)의 전압을 측정하고, 배터리(106)의 전압의 크기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배터리 잔량 제공부(126)는 배터리(106)의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진동 세기를 달리함으로써, 배터리(106)의 전압의 크기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잔량 제공부(126)는 예를 들어서 도 8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터리 잔량 제공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잔량 제공부(126)는 배터리 전압 측정부(1261), 복수의 비교기(1262~1264) 및 진동 발생부(1265)를 포함한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3개의 비교기(1262~1264)만을 도시하였으나, 진동 세기에 따라서 그 이상의 비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배터리 전압 측정부(1261)는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배터리(106)의 전압(Vb)을 측정하고, 측정한 배터리(106)의 전압(Vb)을 비교기(1262~1264)의 비반전 단자(+)로 출력한다.
비교기(1262~1264)는 반전 단자(-)와 비반전 단자(+) 및 출력 단자(OUT)를 가지며, 비반전 단자(+)로 배터리(106)의 전압(Vb)이 입력되고 반전 단자(-)로 각각 기준 전압(V1, V2, V3)이 입력된다. 비교기(1262~1264)는 각각 비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배터리(106)의 전압(Vb)과 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V1, V2, V3)을 비교하고, 배터리(106)의 전압(Vb)이 기준 전압(V1, V2, V3)보다 크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 단자(OUT)로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 단자(OUT)로 출력한다.
진동 발생부(1265)는 비교기(1262~1264)의 출력 신호를 조합하고, 조합 결과에 따라서 진동 크기를 결정한 후 결정한 진동 크기로 진동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배터리(106)의 만충시 전압이 5V인 경우에 기준 전압(V1, V2, V3)은 각각 4V, 3V 및 2V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기준 전압(V1)은 만충시 전압보다 작은 전압으로 설정되고, 기준 전압(V3)은 충전이 불가능한 전압보다 큰 전압으로 설정되며, 기준 전압(V2)은 두 기준 전압(V1, V3) 사이의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전압(V1, V2, V3)이 각각 4V, 3V 및 2V로 설정되고, 배터리 전압 측정부(1261)에서 측정된 전압이 3.5V인 경우, 비교기(1262~1264)의 출력 신호는 각각 로우 레벨, 하이 레벨 및 하이 레벨이 된다. 진동 발생부(1265)는 비교기(1262~1264)의 출력 신호 중 하이 레벨의 수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하이 레벨의 수가 많을수록 큰 진동 세기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세기가 강, 중 및 약으로 설정되어 있고, 하이 레벨의 수가 2인 경우, 진동 발생부(1265)는 진동 세기를 '중'으로 결정하고, 중에 해당하는 진동 세기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에 배터리(106)의 전압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진동 세기로부터 배터리(106)의 잔량을 대략적으로 짐작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24)는 휴대폰 충전기로서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도록 배터리 잔량 제공부(126)로터 수신된 배터리의 전압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LED 후레쉬부(122)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112)를 후레쉬 모드로 선택하더라도 LED 후레쉬부(122)가 발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전압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다른 기능을 비활성화시켜 배터리 전압이 충전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 제공부(126)는 도 7과 달리 휴대폰의 화면을 통해서 배터리(106)의 전압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폰이 USB 플러그(112)에 연결되면, 휴대폰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화면 표시 권한을 제어부(124)로 전달한다.
제어부(124)는 휴대폰으로부터 수신한 화면 표시 권한을 배터리 잔량 제공부(126)로 전달한다.
배터리 잔량 제공부(126)는 제어부(124)로부터 휴대폰의 화면 표시 권한을 수신하면, 배터리(106)의 전압을 측정하고, 배터리(106)의 전압을 휴대폰의 화면을 통해서 표시한다.
휴대폰을 통해서 배터리(106)의 전압이 표시되고 나면, 휴대폰의 제어부는 휴대폰의 화면 표시 권한을 종료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도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100)에 배터리(106)의 전압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휴대폰의 화면을 통해서 배터리(106)의 전압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102 : USB 소켓
104 : 충전 IC 106 : 배터리
108 : USB 허브 IC 110 : 선택 스위치
112 : USB 플러그 114 : 메모리카드 소켓
116 : 메모리카드 리더 IC 118 : DC-DC 컨버터
120 : 로우드롭아웃 레귤레이터 122 : LED 후레쉬부
124 : 제어부 126 : 배터리 잔량 제공부
1261 : 배터리 전압 측정부 1262~1264 : 비교기
1265 : 진동 발생부

Claims (7)

  1. 휴대폰을 충전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을 충전하고 있는 배터리,
    상기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상기 휴대폰이 요구하는 형태의 직류 전압을 변환시켜서 상기 휴대폰으로 공급하는 DC-DC 컨버터,
    상기 휴대폰의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상기 휴대폰과 PC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SB 허브 IC,
    상기 휴대폰의 USB(Universal Serial Bus) 소켓에 삽입되는 USB 플러그,
    상기 USB 플러그를 상기 DC-DC 컨버터에 연결시키고,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상기 USB 플러그를 상기 USB 허브 IC에 연결시키는 선택 스위치, 그리고
    후레쉬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으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상기 장치의 외부로 빛을 발광시키는 LED 후레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마그네틱 플라스틱 카드의 크기를 가지는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PC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소켓, 그리고
    상기 USB 소켓을 통해서 상기 PC의 USB 포트에 연결되면 상기 PC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IC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 IC는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상기 PC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서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3. 제1항에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카드 소켓, 그리고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카드 소켓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상기 PC로 전달하거나 상기 PC에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메모리카드 리더 IC를 더 포함하며,
    상기 USB 허브 IC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 카드 또는 상기 휴대폰과 상기 PC간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서 상기 휴대폰의 USB 소켓에 상기 USB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배터리 잔량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클수록 진동 세기는 커지는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배터리 잔량 제공부는
    상기 휴대폰의 충전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한 배터리의 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 전압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과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제1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상기 배터리 전압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낮은 제 2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제2 기준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2 비교기;
    상기 배터리 전압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낮은 제 3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제3 기준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3 비교기; 및
    상기 제1 ~ 3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출력전압에 상응하는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6. 제4항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된 명령에 따른 동작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DC-DC 컨버터, USB 허브 IC, 선택 스위치, LED 후레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 제공부로터 수신된 배터리의 전압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LED 후레쉬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휴대폰의 USB 소켓에 상기 USB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화면 표시 권한을 부여 받아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의 크기를 상기 휴대폰의 화면을 통해서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KR1020120060990A 2012-06-07 2012-06-07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KR10136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990A KR101362341B1 (ko) 2012-06-07 2012-06-07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990A KR101362341B1 (ko) 2012-06-07 2012-06-07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07A true KR20130137407A (ko) 2013-12-17
KR101362341B1 KR101362341B1 (ko) 2014-02-13

Family

ID=4998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990A KR101362341B1 (ko) 2012-06-07 2012-06-07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75B1 (ko) * 2015-05-29 2016-07-08 함찬규 Dc/dc 컨버터와 데이터통신모듈을 내장하는 포터블 충전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06B1 (ko) 2004-04-27 2006-12-21 홍종운 충전과 데이터 링크 기능을 겸비한 유에스비 방식 메모리저장장치
JP2006217346A (ja) 2005-02-04 2006-08-17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端末、充電装置、通信システムユニット、報知制御方法、報知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755720B1 (ko) 2007-05-15 2007-09-05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아이씨카드 리더기 및 유에스비통신케이블의 통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75B1 (ko) * 2015-05-29 2016-07-08 함찬규 Dc/dc 컨버터와 데이터통신모듈을 내장하는 포터블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341B1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7639B2 (en) System for supplying and receiving power,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thereof
AU2017423878B2 (en) Mobile terminal, peripheral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for
US10199837B2 (en) Method for charging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JP5917778B2 (ja) 高電圧専用充電ポート
CN105808488B (zh) 电子装置与其电源供应控制方法
KR20140120699A (ko) 충전을 위한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와 충전 장치
CN105518967A (zh) 改变电流限制的装置和方法
KR102540749B1 (ko) 전자 장치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속성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력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20039502A (ko) 전자 기기용 충전 장치
JP2018033244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40101963A (ko)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US20080002509A1 (en) Power adapter with discriminate recharging
CN105098890B (zh) 充电数据线及充电器
KR200470159Y1 (ko) 보조 배터리가 내장된 충전 겸용 데이터 케이블
KR2016004096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충방전 방법
KR101362341B1 (ko) 휴대형 다기능 충전 장치
US20130103878A1 (en) Universal usb charger
CN110800168B (zh) 改变连接器中包括的端子的阻抗的方法和装置
JP201503297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充電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30191661A1 (en) External electronic device
CN109950957B (zh) 一种充电舱、蓝牙耳机及蓝牙耳机充电系统
Grecu et al. Portable I2C monitor and debugger
KR20190054649A (ko) Usb 타입의 충전 장치 및 상기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406308Y1 (ko) 두 개의 충전포트를 갖는 헤드셋 충전장치
KR20150098034A (ko)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이기종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용 스마트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