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076A - 실시간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076A
KR20130137076A KR1020130028205A KR20130028205A KR20130137076A KR 20130137076 A KR20130137076 A KR 20130137076A KR 1020130028205 A KR1020130028205 A KR 1020130028205A KR 20130028205 A KR20130028205 A KR 20130028205A KR 20130137076 A KR20130137076 A KR 20130137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interest
information
terminal
te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241B1 (ko
Inventor
신대규
조익환
백성환
손태환
이공욱
조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909,379 priority Critical patent/US9404751B2/en
Priority to EP13170697.0A priority patent/EP2672455B1/en
Priority to CN201310223725.2A priority patent/CN103471581B/zh
Publication of KR2013013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Abstract

실시간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시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 상의 관심 객체를 판단한 후 관심 객체를 포함하는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대중의 이목이 가장 집중되는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그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 정보뿐만 아니라 그 지역에 대한 프리뷰 영상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실시간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3D MAP REPRESENTING POSITON OF INTEREST IN REAL TIME}
본 발명은 3차원 지도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으로 대중의 관심이 높은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은 선박, 항공기, 차량 등과 같은 각종 이동체에 탑재되며, 운전자에게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고,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계산하며, 경로에 따라 운전자를 안내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네비게이션 단말은 통상적으로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시각적으로 안내한다. 즉, 네비게이션 단말은 실제 도로나 건물,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일정한 형식에 따라 수치적인 지도데이터로 저장하고, GPS로부터 받은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된 지도데이터에 매칭(matching)시켜 이동체에 대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화면을 통해 안내한다.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단순히 사용자의 주변 도로, 건물,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표시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대중의 관심이 높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 대중의 관심이 높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서 대중의 관심이 높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더라도 이러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대중의 관심이 높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시간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3차원 지도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와,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3차원 지도 상의 관심 객체를 판단하는 관심 객체 판단부와, 상기 관심 객체를 포함하는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지도 재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 상의 관심 객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관심 객체를 포함하는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차원 지도 상에 대중의 관심이 가장 높은 관심 지역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대중의 이목이 집중된 지역을 안내하고, 해당 지역에 이목이 집중된 대상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와 같은 관심 지역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3차원 지도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도 서버에서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관심 객체를 포함하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도 서버에서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관심 객체를 판단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재구성된 3차원 지도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3차원 지도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는 관심 객체를 표시함으로써 대중들의 높은 관심을 가지는 지역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3차원 지도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3차원 지도 시스템은 단말기(10), 지도 서버(2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10)는 연설, 공연 등과 같이 대중이 높은 관심을 가지는 장소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먼저, 단말기(10)는 제어부(11), 입력부(12), 송수신부(13), 표시부(14), 카메라부(15), 위치 측정부(16), 방향 측정부(17), 프리뷰 특징 정보 추출부(18), 메모리부(19)를 포함한다.
제어부(11)는 CPU, 단말기(1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단말기(1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단말기(1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PU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고, CPU, 롬 및 램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도록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치 측정부(16)를 제어하고, 단말기(10)에 포함된 카메라의 시야 방향과 같은 방향 정보를 측정하도록 방향 센서와 같은 방향 측정부(17)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카메라부(15)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 내에 포함된 객체의 특징점을 나타내는 프리뷰 특징 정보를 추출하도록 프리뷰 특징 정보 추출부(18)를 제어한다. 여기서, 영상 내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특징점 추출 방법을 이용한다.
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시점 정보, 프리뷰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시점 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3)를 통해서 지도 서버(2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1)는 지도 서버(20)에 의한 요청에 따라 카메라부(15)로부터 출력된 프리뷰 영상을 지도 서버(2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2)는 키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 수단,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입력을 위한 포인팅 입력 수단,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수신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송수신부(13)는 생성된 단말 정보를 지도 서버(20)로 전송한다.
표시부(14)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1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표시부(14)는 LCD 이외에 다양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4)는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부(15)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카메라부(15)는 프리뷰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위치 측정부(16)는 GPS와 같은 실외 위치 측위 방법을 이용하여 구성부를 포함하하여 실외(Outdoor)에 위치한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한다. 또한, 위치 측정부(16)는 다수의 와이파이 모듈과 같이 실내 위치 측위 방법을 이용하는 구성부를 더 포함하여 실내(Indoor)에 위치한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방향 측정부(17)는 방향 센서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방향 정보를 측정한다.
프리뷰 특징 정보 추출부(18)는 카메라부(15)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 내 객체의 특징점을 나타내는 프리뷰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메모리부(19)는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12), 송수신부(13), 표시부(14), 카메라부(15), 위치 측정부(16), 방향 측정부(17), 프리뷰 특징 정보 추출부(18)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9)는 단말기(10) 또는 제어부(11)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라는 용어는 메모리부(19), 제어부(11)내 롬, 램 또는 영상 재생 장치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메모리부(19)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기(10)가 3차원 지도를 요청하는 요청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요청 단말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단말기(10)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송수신부(13)를 통해서 3차원 지도에 대한 요청을 지도 서버(20)로 전송하고, 지도 서버(20)로부터 요청된 3차원 지도를 수신하여 표시부(14)를 통해서 수신된 3차원 지도를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1)는 3차원 지도 상에 설정된 관심 객체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관심 객체로 설정된 건물 또는 사물의 색상을 강조하여 표시하거나 관심이 집중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관심도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심도 정보는 그래프 또는 바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입력부(12)는 키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 수단,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입력을 위한 포인팅 입력 수단,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수신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송수신부(13)는 생성된 단말 정보를 지도 서버(20)로 전송한다.
표시부(14)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1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표시부(14)는 LCD 이외에 다양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4)는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부(15)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카메라부(15)는 프리뷰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위치 측정부(16)는 GPS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한다.
방향 측정부(17)는 방향 센서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방향 정보를 측정한다.
프리뷰 특징 정보 추출부(18)는 카메라부(15)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 내 객체의 특징점을 나타내는 프리뷰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의 위치 측정부(16), 방향 측정부(17), 프리뷰 특징 정보 추출부(18)는 요청 단말기 내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메모리부(19)는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12), 송수신부(13), 표시부(14), 카메라부(15), 위치 측정부(16), 방향 측정부(17), 프리뷰 특징 정보 추출부(18)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9)는 단말기(10) 또는 제어부(11)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도 서버(20)는 관심 객체 판단부(21), 지도 재구성부(22), 송수신부(23), 지도 데이터베이스(24)를 포함한다.
관심 객체 판단부(21)는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 상에 대응하는 지도 텍스쳐를 추출하고,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관심 객체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관심 객체 판단부(21)는 각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프리뷰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시점 정보와 3차원 지도상의 지도 텍스쳐를 비교하여 각 단말기의 단말 시점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텍스쳐를 추출한다. 이후 관심 객체 판단부(21)는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가 관심 객체로 판단하기 위한 판단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 요건은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관심 객체 판단부(21)는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를 관심 객체로 판단한다.
지도 재구성부(22)는 요청된 3차원 지도 상에 관심 객체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해당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한다. 예를 들어, 지도 재구성부(22)는 3차원 지도 상에 각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자, 방향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함께 관심 객체가 특정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해당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재구성부(22)는 요청 단말기의 위치에서 관심 객체까지의 경로 정보도 함께 3차원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요청된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지도 재구성부(22)는 3차원 지도 상에 표시된 각 단말기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지도 재구성부(22)는 요청 단말기의 프리뷰 영상에 대한 수신 요청에 따라 각 단말기로부터 프리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프리뷰 영상을 요청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23)는 다수의 단말기들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재구성된 3차원 지도를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
지도 데이터베이스(Map DataBase)(24)는 3차원(3D) 지도를 저장한다. 이때, 3차원 지도는 2차원 지도 이미지에 3차원 공간 정보를 매핑하여 생성되거나, 항공기에서 스테레오 카메라와 같은 3차원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도 데이터베이스(24)는 도시 또는 거리를 카메라로 촬영한 실사 이미지로 이루어진 실사 3차원 지도를 저장한다. 여기서 실사 3차원 지도란 차량 또는 항공기 등을 이용하여 실제 거리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실사를 이용하여 구현된 3차원 지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실사 3차원 지도는 차량에 장착된 스트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시 또는 거리를 촬영함으로써 촬영된 영상 내에 포함된 객체들의 3차원 좌표(x축, y축, z축 좌표들)뿐만 아니라 상기 촬영에 사용된 카메라와 상기 객체들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뎁스(depth)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사 3차원 지도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넓은 지역에 대한 다수의 2차원 영상들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들 중 인접한 2개의 2D 영상간의 겹치는 영역에서 뎁스(depth) 정보를 추출하고 3차원 매핑(mapping)을 통한 3차원 모델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사 3차원 지도에 포함된 각 객체들을 다수의 3차원 정보 및 뎁스 정보를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객체를 표시하는 다수의 픽셀(pixel)들 각각이 3차원 정보 및 뎁스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사 3차원 지도는 특정 빌딩의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 특정 빌딩의 전면, 후면, 측면들과 같은 빌딩의 윤곽을 구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빌딩의 각 층을 구분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기존 2D 지도에서는 단순히 GPS 정보만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특정 건물에 대해서는 하나의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였을 뿐, 특정 건물의 전면, 후면 또는 각 층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지 못하였다는 점에 상기 실사 3차원 지도와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재구성된 3차원 지도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대중의 이목이 가장 집중되는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그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 정보뿐만 아니라 그 지역에 대한 프리뷰 영상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도 서버에서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관심 객체를 포함하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00단계에서 지도 서버(20)는 요청 단말기로부터 3차원 지도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201단계에서 지도 서버(20)는 다수의 단말기들로부터 단말 시점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 시점 정보는 각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방향 정보, 프리뷰 특징 정보를 포함한다.
202단계에서 지도 서버(20)는 수신된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 상에 대응하는 지도 텍스쳐를 추출한다. 다시 말해서, 지도 서버(20)는 각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프리뷰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시점 정보와 3차원 지도상의 지도 텍스쳐를 비교하여 각 단말기의 단말 시점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텍스쳐를 추출한다.
203단계에서 지도 서버(20)는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를 관심 객체로 판단하기 위한 판단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요건을 만족하면 205단계로 진행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204단계로 진행하여 요청된 3차원 지도를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서, 지도 서버(20)는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임계값 이상이면 205단계로 진행하고, 임계값 미만이면 204단계로 진행한다.
205단계에서 지도 서버(20)는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를 관심 객체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관심 객체는 연설 또는 공연 등과 같이 대중의 이목이 집중되는 이벤트가 발생된 장소 주변의 건물 또는 사물 등이 될 수 있다.
206단계에서 지도 서버(20)는 요청된 3차원 지도 상에 관심 객체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해당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여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3차원 지도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대중의 이목이 크게 집중된 지역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도 서버에서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관심 객체를 판단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단말기의 시점이 특정 지역을 대표하는 건물이나 크기가 큰 건물과 같이 랜드마크 형태의 건물을 향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랜드마크 형태의 건물은 건물의 크기에 의해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단말기의 시점이 분산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가 높은 관심도를 가지더라도 관심 객체로 판단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다음과 같이 관심 객체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수행한다.
300단계에서 지도 서버(20)는 요청 단말기로부터 3차원 지도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301단계에서 지도 서버(20)는 다수의 단말기들로부터 단말 시점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 시점 정보는 각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방향 정보, 프리뷰 특징 정보를 포함한다.
302단계에서 지도 서버(20)는 수신된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 상에 대응하는 지도 텍스쳐를 추출한다.
303단계에서 지도 서버(20)는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를 관심 객체로 판단하기 위한 제1 판단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 판단 요건을 만족하면 308단계로 진행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304단계로 진행한다. 다시 말해서, 지도 서버(20)는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임계값 이상이면 308단계로 진행하고, 임계값 미만이면 304단계로 진행한다.
304단계에 지도 서버(20)는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를 관심 객체로 판단하기 위한 제2 판단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2 판단 요건을 만족하면 306단계로 진행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30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제2 판단 요건은 임계값 미만의 수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 상에 대응하는 지도 텍스쳐가 특정 지역을 대표하는 건물이나 큰 크기를 가지는 건물과 같이 랜드마크 형태의 객체의 지도 텍스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랜드마크 형태의 객체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도 서버(20)는 임계값 미만의 수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 상에 대응하는 지도 텍스쳐가 랜드마크 형태의 객체의 지도 텍스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면 306단계를 진행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305단계로 진행하여 요청된 3차원 지도를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지도 텍스쳐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이미지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304단계에서 306단계로 진행한 지도 서버(20)는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랜드 마크 형태의 객체를 관심 객체로 판단한다.
307단계에 지도 서버(20)는 관심 객체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여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
303단계에서 308단계로 진행한 지도 서버(20)는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를 관심 객체로 판단한다.
309단계에서 지도 서버(20)는 관심 객체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여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3차원 지도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대중의 이목이 크게 집중된 지역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재구성된 3차원 지도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연설 또는 공연 등과 같이 대중의 이목이 집중되는 이벤트가 발생된 장소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는 각 단말기를 통해서 단말기의 위치 정보,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 내 프리뷰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시점 정보를 지도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러한 단말 시점 정보를 수신한 지도 서버(20)는 각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 상에 대응하는 지도 텍스쳐를 추출하고,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를 관심 객체로 설정한다. 만약 이벤트가 발생한 장소가 특정 건물 앞의 거리인 경우 지도 서버(20)는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 상에서 특정 건물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지도 텍스쳐를 추출하고,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특정 건물을 관심 객체로 설정할 수 있다.
요청 단말기로부터 3차원 지도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지도 서버(20)는 설정된 관심 객체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여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지도 서버(20)는 요청된 3차원 지도와 함께 관심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를 요청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수신한 요청 단말기는 관심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지도 상에 강조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요청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3차원 지도는 도 4과 같이 도시될 수 있다. 만약 대중의 이목이 집중된 지역이 2곳 이상일 경우 지도 서버(20)는 도 4의 도면부호 400과 같이 가장 많은 이목이 집중된 지역에 해당하는 관심 객체의 가장자리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관심 정도를 나타내는 관심도를 바(bar)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며, 다른 지역에 해당하는 관심 객체를 도면부호 410과 같이 관심 객체의 가장자리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관심 정도를 나타내는 관심도를 바(bar)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서버(20)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도면부호 420과 같이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고,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도면부호 430과 같이 단말의 카메라 방향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관심 객체의 가장자리를 특정 색상으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관심 객체가 강조되도록 표시하기 위한 어떠한 방법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지도 서버(20)는 요청된 3차원 지도와 함께 요청 단말기의 위치에서 관심 객체의 위치까지의 경로 정보를 더 제공하여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당 지역으로 손쉽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지도 서버(20)로부터 수신된 3차원 지도 상에 표시된 각 단말기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요청 단말기는 선택 입력에 따라 지도 서버(20)로부터 선택된 단말기의 프리뷰 영상을 제공받고, 제공된 프리뷰 영상을 재생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3차원 지도 상에 표시된 각 단말기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요청 단말기는 지도 서버(20)로 선택된 단말기의 프리뷰 영상을 요청하고, 지도 서버(20)가 해당 단말기의 프리뷰 영상을 요청하여 수신한 후 이를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 프리뷰 영상을 수신한 요청 단말기는 수신된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3차원 지도 상에 현재 실시간으로 대중의 이목이 집중된 지역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지역 정보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10: 단말기
11: 제어부
12: 입력부
13: 송수신부
14: 표시부
15: 카메라부
16: 위치 측정부
17: 방향 측정부
18: 프리뷰 특징 정보 추출부
19: 메모리부
20: 지도서버
21: 관심 객체 판단부
22: 지도 재구성부
23: 송수신부
24: 지도 데이터베이스

Claims (18)

  1. 실시간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3차원 지도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와,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3차원 지도 상의 관심 객체를 판단하는 관심 객체 판단부와,
    상기 관심 객체를 포함하는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지도 재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점 정보는,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 내 특징 정보를 나타내는 프리뷰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객체 판단부는,
    상기 단말 시점 정보와 상기 3차원 지도상의 지도 텍스쳐를 비교하여 각 단말기의 단말 시점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텍스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가 관심 객체로 판단하기 위한 판단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 요건을 만족하면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를 상기 관심 객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요건은,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객체 판단부는,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를 상기 관심 객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객체 판단부는,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와 랜드마크 형태의 객체에 해당하는 지도 텍스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와 랜드마크 형태의 객체에 해당하는 지도 텍스쳐가 일치하면 상기 랜드마크 형태의 객체를 상기 관심 객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재구성부는,
    상기 관심 객체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재구성부는,
    상기 관심 객체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로 정보가 더 표시되도록 상기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재구성부는,
    상기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장치.
  10. 실시간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단말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 상의 관심 객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관심 객체를 포함하는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점 정보는,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 내 특징 정보를 나타내는 프리뷰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객체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 시점 정보와 상기 3차원 지도상의 지도 텍스쳐를 비교하여 각 단말기의 단말 시점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텍스쳐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가 관심 객체로 판단하기 위한 판단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요건을 만족하면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를 상기 관심 객체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요건은,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객체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를 포함하는 객체를 상기 관심 객체로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객체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와 랜드마크 형태의 객체에 해당하는 지도 텍스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지도 텍스쳐와 랜드마크 형태의 객체에 해당하는 지도 텍스쳐가 일치하면 상기 랜드마크 형태의 객체를 상기 관심 객체로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과정은,
    상기 관심 객체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과정은,
    상기 관심 객체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로 정보가 더 표시되도록 상기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3차원 지도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지도 제공 방법.
KR1020130028205A 2012-06-06 2013-03-15 실시간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96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09,379 US9404751B2 (en) 2012-06-06 2013-06-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map showing area of interest in real time
EP13170697.0A EP2672455B1 (en) 2012-06-06 2013-06-05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map showing area of interest in real time
CN201310223725.2A CN103471581B (zh) 2012-06-06 2013-06-06 用于实时提供显示关注区域的3d地图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56149P 2012-06-06 2012-06-06
US61/656,149 2012-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076A true KR20130137076A (ko) 2013-12-16
KR101996241B1 KR101996241B1 (ko) 2019-07-05

Family

ID=4998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205A KR101996241B1 (ko) 2012-06-06 2013-03-15 실시간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2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05B1 (ko) * 2014-05-29 2014-11-07 (주)이지스 3차원 지도의 관심지점 표시 제어 방법
WO2015122633A1 (ko) * 2014-02-11 2015-08-2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기반 개인 맞춤형 컨텐츠 생성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20210010309A (ko) * 2019-07-19 2021-01-27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1015435A1 (ko) * 2019-07-19 2021-01-28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4029665A1 (ko) * 2022-08-05 2024-02-08 김재한 라이브 맵을 이용한 랜드 마크 지도 생성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7746B2 (en) 2020-12-03 2023-12-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best view spo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576A (ja) * 2001-03-02 2002-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経路案内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JP2006323790A (ja) * 2005-05-20 2006-11-30 Navitime Japan Co Ltd Poi情報提供システム、poi情報提供方法、情報配信サーバ、端末装置
JP4273119B2 (ja) * 2003-10-21 2009-06-03 和郎 岩根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00038789A (ko) * 2008-10-06 2010-04-15 엔에이치엔(주) 이종 장치에 관심 지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48753A (ko) * 2009-11-03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그 경로 안내 방법
KR20110100429A (ko) * 2010-03-04 2011-09-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차량 네비게이션에서의 심볼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576A (ja) * 2001-03-02 2002-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経路案内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JP4273119B2 (ja) * 2003-10-21 2009-06-03 和郎 岩根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6323790A (ja) * 2005-05-20 2006-11-30 Navitime Japan Co Ltd Poi情報提供システム、poi情報提供方法、情報配信サーバ、端末装置
KR20100038789A (ko) * 2008-10-06 2010-04-15 엔에이치엔(주) 이종 장치에 관심 지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48753A (ko) * 2009-11-03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그 경로 안내 방법
KR20110100429A (ko) * 2010-03-04 2011-09-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차량 네비게이션에서의 심볼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633A1 (ko) * 2014-02-11 2015-08-2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기반 개인 맞춤형 컨텐츠 생성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1459005B1 (ko) * 2014-05-29 2014-11-07 (주)이지스 3차원 지도의 관심지점 표시 제어 방법
KR20210010309A (ko) * 2019-07-19 2021-01-27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1015435A1 (ko) * 2019-07-19 2021-01-28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4029665A1 (ko) * 2022-08-05 2024-02-08 김재한 라이브 맵을 이용한 랜드 마크 지도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241B1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3970B1 (en) Augmented reality with earth data
US11698268B2 (en) Street-level guidance via route path
US20140285523A1 (en) Method for Integrating Virtual Object into Vehicle Displays
EP2727332B1 (en)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US201401816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annotations to an image
KR101188105B1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30095920A1 (en) Generating free viewpoint video using stereo imaging
KR101996241B1 (ko) 실시간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3차원 지도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EP26724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map showing area of interest in real time
JP2005268847A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WO20140948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annotations to a plenoptic light field
KR102197615B1 (ko)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CN109978753B (zh) 绘制全景热力图的方法和装置
JP2014013989A (ja) 拡張現実システム
CN113378605B (zh) 多源信息融合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3088127A1 (zh) 室内导航方法、服务器、装置和终端
CN109559382A (zh) 智能导游方法、装置、终端和介质
JP6487545B2 (ja) 認知度算出装置、認知度算出方法及び認知度算出プログラム
JP6208977B2 (ja) 情報処理装置、通信端末およびデータ取得方法
US10229522B2 (en) Fixed size scope overlay for digital images
CN112577488B (zh) 导航路线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7075090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1726740B2 (en) Immersive audio tours
JP2018097588A (ja) 3次元空間特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62770A (ko) 증강현실 컨텐츠 매시업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