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909A -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909A
KR20130136909A KR1020130037418A KR20130037418A KR20130136909A KR 20130136909 A KR20130136909 A KR 20130136909A KR 1020130037418 A KR1020130037418 A KR 1020130037418A KR 20130037418 A KR20130037418 A KR 20130037418A KR 20130136909 A KR20130136909 A KR 20130136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hannel zone
network
playback system
based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800B1 (ko
Inventor
팽-웬 궈
리-훤 첸
Original Assignee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36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7Communication with additional data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3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channel n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개인화 채널 존의 제1채널 존의 모드이고, 수신된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만약 그렇다면,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채널 값이 상기 제1채널 존에 존재하는지를 체킹하는 단계; 만약 그렇다면,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네터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스크린 상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제1채널 존의 채널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만약 상기 명령이 개인화 채널 존의 스위칭과 관련되면 원하는 채널 존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원하는 채널 존의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는지를 체킹하는 단계; 만약 그렇다면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원하는 채널 존의 모드로 상기 네터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METHOD FOR PERSONALIZED VIRTUAL CHANNEL MANAGEMENT AND NETWORK-BASED MULTIMEDIA REPRODUCTION SYSTEM WITH VIRTUAL CHANNEL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인터넷을 통해 비디오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은 비디오 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널리 보급된 방식들 중 일부이다. 현재의 비디오 기능 또는 인터넷 TV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설치해야 한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전용의 사용자 동작 인터페이스 및 접근방식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4개의 방향 버튼(즉, 상/하, 좌/우 화살표 버튼), 확인 또는 선택 버튼, 및 백 또는 리턴 버튼을 채용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한다. 상기 동작들은 단순히 숫자들 또는 가감 숫자들을 입력하는 것과 비교하여 훨씬 복잡하다. 더욱이, 사용자는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스크린에서 직접 그리고 신경 써서 보아야 한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제공된 다양한 콘텐츠 및 타입으로 인해, 원래 의도했던 것과 같이 텔레비전을 시청하며 즐기는 편안한 분위기가 오히려 편안하지 않고 복잡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한 가구 또는 그룹에 있어 이러한 종류의 텔레비전에 대한 이용 장벽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의 요구도 만족시키지 못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수신된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콘트롤 유닛은 상기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있는지 결정한다.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개인화 채널 존의 제1채널 존의 모드이다. 상기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될 경우, 콘트롤 유닛은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채널 값이 제1채널 존에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채널 값이 제1채널 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은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네트워크 유닛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스크린 상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제1채널 존의 채널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수신된 명령이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스위칭과 관련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채널 값을 나타내는 개인화 채널 존으로부터 원하는 채널 존(즉, 스위치될 채널 존)을 결정한다. 상기 콘트롤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상기 원하는 채널 존으로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는지를 더 체크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상기 원하는 채널 존으로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로그-인 정보와 매치될 경우,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상기 원하는 채널 존의 모드로 스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 유닛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상기 원하는 채널 존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에 따라 가상 채널 스위칭을 달성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유닛, 저장 유닛, 네트워크 유닛, 및 콘트롤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 유닛은 개인화 채널 존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네트워크 유닛에 결합된 콘트롤 유닛은 수신된 명령에 따라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있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제1채널 존의 모드이다. 상기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채널 값이 제1채널 존에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채널 값이 상기 제1채널 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제1채널 존의 채널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네트워크 유닛은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고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수신된 명령이 상기 개인화 존으로부터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스위칭과 관련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채널 값을 나타내는 원하는 채널 존(즉, 스위치될 채널 존)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상기 원하는 채널 존으로 스위치하는데 필요한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상기 원하는 채널 존으로 스위치하는데 필요한 로그-인 정보와 매치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상기 원하는 채널 존의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스위치하고, 상기 원하는 채널 존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에 따라 가상 채널을 수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특징 및 또 다른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수반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명령을 수신하는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개인화 채널 존을 제공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대응하는 가상 채널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기본 구조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단계 S117의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및 대응하는 동작 파라미터 세트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이하 실시예들로 기술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상 채널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게 하거나 또는 채널 스위칭을 통해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스위치하게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으로 실행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쉽게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선택 및 시청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인터넷 TV, 스마트 TV, 인터넷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장치와 같은 인터넷 상의 멀티미디어 소스에 연결가능한(예컨대,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플레이백 시스템이다. 더욱이, 사용자 선호 채널 또는 적절한 채널을 포함하도록 각각 구성된 각기 다른 채널 존들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특정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갈 경우 특정 채널 존에 대응하는 가상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하게 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채널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에 대응한다. 그러한 가상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스크린에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그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작동한다. 인터넷 TV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설치되는 프로그램 외에, 비디오 공유 웹사이트(예컨대, YouTube), 브라우징 웹메일(예컨대, Gmail), 채팅 온라인(예컨대, instant messaging tool), 및 브라우징 온라인 포토 앨범으로부터 비디오를 시청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요청 또는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명령을 수신하는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그러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은 스크린 상에, 예컨대 풀 스크린 또는 다른 비율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애플리케이션(11 내지 14)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은 콘트롤러(20; 예컨대, 원격 콘트롤러(리모콘) 또는 휴대용 장치와 같은 전자장치)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고, 그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있는지를 결정한다. 예컨대, 그러한 가상 채널의 채널 코드 100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이는 애플리케이션(11)이 특정 온라인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청하도록 실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상기 가상 채널의 채널 코드 200을 누르는 것은 이메일 계정의 받음편지함에서 이메일을 읽기위한 애플리케이션(13)의 실행을 야기한다. 또 다른 예의 경우, 콘트롤러(20) 상에서 수행된 채널 점프 또는 리턴, 입력 소스 변경, 선호 채널 리스트의 세팅 또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는 모든 채널 스위칭을 야기할 것이다. 상기 가상 채널은 콘텐츠 채널과 관련될 것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채널은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에 의해 작동된 기능들, 예컨대 채널 존의 채널 콘텐츠를 세팅하고, 시스템 세팅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디렉토리 페이지(예컨대, 프로그램 가이드)를 동작하며, 엔트리 포인트를 이용하는 기능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것이다. 그와 같은 타입의 가상 채널들은 동작 기능 채널들과 관련된다. 그와 같은 타입의 가상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시청-위주의 콘텐츠에 기초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대응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작동된다. 예컨대, 시스템 기능 프로그램(15)은 시스템 기능들을 설정하도록 채널 코드 001에 의해 작동될 것이다.
그러한 가상 채널의 구축과 함께, 2개 또는 그 이상의 가상 채널을 갖는 개인화 채널 존이 더 구축될 수 있다. 각각의 채널 존은 대응하는 사용자에 우호적인 또는 적절한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 1 및 2는 도 2의 개략도에서 각각 채널 존 1 및 2를 갖는다.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은 채널 존 1 또는 2의 모드로 들어가 그 모드에서 동작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1은 채널 존 1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 예컨대 CH001 내지 CH004의 4개의 가상 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2는 채널 존 2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 예컨대 CH001 내지 CH006의 6개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각기 다른 채널 존에서, 동일한 채널 코드, 예컨대 001은 각기 다른 사용자가 선행의 스위칭 접근을 이용하여 우호적인 또는 적절한 채널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동일한 또는 다른 가상 채널의 콘텐츠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것이다. 따라서, 플랫폼, 즉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의 사용자들은 항목별 관리를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한 가족의 어른 및 아이의 경우, 몇개의 적절한 가상 채널이 그 가족의 아이의 사용을 위한 채널 존 1과 같은 하나의 채널 존으로 할당되고, 반면 채널 존 2는 어른을 위해 예약될 수 있다. 채널 존(1)의 모드로 동작하는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이 상기 채널 존 1에 제공되지 않는 가상 채널, 예컨대 채널 코드 116으로 스위치하도록 지시할 경우,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예컨대,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요청한다. 만약 그 로그-인 정보가 로그-인 인증을 통과하지 못하고 실패하면, 적절하지 않은 가상 채널을 아이가 시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칭을 거부한다. 더욱이, 그러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을 제조사 밖으로 내보내기 전에 소정의 채널 존의 상세한 설명이 재규정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 구성 경험 또는 관리 책임이 있는 사용자가 원할 경우 채널을 스위치하거나 시스템 세팅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대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을 파워온 한 후 채널 존으로 들어가는 접근방식도 사용자가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이 파워온 된 후 사용자 선택 또는 사용자 로깅(logging)을 통해 소정 채널 존으로 들어가도록 또는 소정 채널 존으로 자동으로 들어가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을 설정할 것이다. 개인화 가상 채널을 실행하기 위한 기술이 상기한 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실시예들이 간략하게 기술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이 파워온 되어 특정 채널 존으로 들어간 후 가상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는 상황이 예로서 취해질 것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기본 구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의 개인화 가성 채널 관리 방법은 도 4의 구조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도 4와 관련하여,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 저장 유닛(120), 콘트롤 유닛(130), 및 네트워크 유닛(140)을 포함한다. 디자인 요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TV 튜너, 물리적 버튼들을 구비한 원격 콘트롤러의 수신기와 같은 명령 수신기, 또는 유선이나 무선 원격 콘트롤러와 같은 다른 장치들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수신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채널을 플레이하기 위한 재생 기능 또는 다른 기능들을 갖는 회로로서 실행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또한 사진, 비디오, 오디오 파일 및 음악과 같은 저장 유닛(예컨대, 휴대용 디스크, 하드 디스크 및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디스플레이 또는 플레이할 수 있는 회로로서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이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서 실행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그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통합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수행되거나, 또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그러한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를 도 4의 구조로 한정하지 않으며, 도 4의 구조는 단지 이하의 설명을 기술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3과 관련하여,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110에서,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의 콘트롤 유닛(130)은 상기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있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개인화 채널 존의 제1채널 존의 모드이다. 예컨대, 이는 상기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k-디지트(digit)(예컨대, 3-디지트) 채널 코드가 관련된 가상 채널 스위칭을 나타내는지를 결정한다. 단계 S115에서, 상기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130)은 채널 번호(예컨대, 임의 텍스트의 숫자 코드 또는 유튜브, 메일 또는 ABC, 또는 3-디지트 채널 값 100 또는 201과 같은 코드)가 제1채널 존에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단계 S117에서, 그 채널 값이 상기 제1채널 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130)은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유닛(140)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의 스크린 상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채널 값이 가상 채널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원래 채널이 유지, 예컨대, 스크린 상의 이미지가 현재 채널에 유지되거나 또는 소정 채널로 스위치된다.
단계 S120에서, 상기 수신된 명령이 개인화 채널 존과 관련될 경우(예컨대, 상기 명령이 (k+1)-디지트 또는 상술한 (k+1)-디지트 코드나, 또는 A001과 같은 문자에 의한 시작 또는 종료와 같은 다른 표시에 대응할 경우), 상기 개인화 채널 존으로부터, 상기 콘트롤 유닛(130)은 원하는 채널 존(즉, 스위치될 채널 존)이 상기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채널 값을 나타낸다는 것을 결정한다. 예컨대, 이는 상기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4-디지트 채널 코드가 상기 관련된 개인화 채널 존의 스위칭을 나타낸다는 것을 결정하며, 예컨대 2001은 원하는 채널 존이 2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채널 값을 나타내는 채널 존이 상기 개인화 채널 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그 원래 채널이 유지, 예컨대 스크린 상의 이미지가 현재 채널에 유지되거나 또는 소정 채널로 스위치된다.
단계 S130에서, 상기 콘트롤 유닛(130)은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원하는 채널 존으로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는지를 체크한다. 예컨대,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을 수신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은 패스워드, 또는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이다.
단계 S140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원하는 채널 존으로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로그-인 정보와 매치될 경우,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원하는 채널 존의 모드로 스위치한다. 상기 콘트롤 유닛(130)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원하는 채널 존(예컨대, 채널 존 2)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예컨대, CH001-CH006)에 따라 가상 채널 스위칭을 달성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135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상기 원하는 채널 존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지 않을 경우(예컨대, 잘못된 패스워드가 입력된), 그 원래 채널이 유지, 예컨대 스크린 상의 이미지가 현재 채널에 유지되거나 또는 소정 채널로 스위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이 각기 다른 사용자들을 위한 항목별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금지된 가상 채널을 시청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단계 S117은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실행될 것이다. 도 5와 관련하여, 단계 S171에서, 채널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제1채널 존의 애플리케이션 가상 채널 테이블에 따라 결정된다. 단계 S173에서, 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단계 S175에서, 상기 콘트롤 유닛(130)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동작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 네트워크 유닛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고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스크린 상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세팅한다.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얻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콘트롤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명령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동작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가상 채널 테이블에 포함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및 대응하는 동작 파라미터 세트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고객 사용자 동작 인터페이스 및 고객 접근방식을 갖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대개 각기 다른 동작 접근방식을 학습하여 채용해야 한다. 더욱이, 사용자는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4개의 방향 버튼(즉, 상/하, 좌/우 화살표 버튼), 확인 또는 선택 버튼, 및 백 또는 리턴 버튼을 채용해야 한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620은 PPTV의 인터넷 TV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다. 그 애플리케이션이 작동된 후, 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명령 열(row) 611, 영화들을 표시하는 다수의 아이콘 613 또는 애니메이션들을 표시하는 다수의 아이콘 615를 포함할 것이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동작 파라미터 세트 62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 예컨대 파라미터 1, 파라미터 2 및 파라미터 3을 포함할 것이다. 이들 파라미터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스크린에 원하는 콘텐츠의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기 위한 동작에 대응하는 가상 채널에 대응한다. 예컨대,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가상 채널 테이블 및 동작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상 채널 810은 가장 인기있는 3개의 영화를 자동으로 플레이하는 인터넷 TV 애플리케이션(예컨대, PPTV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것이다. 더욱이, 상기 동작 파라미터 세트는 가장 인기있는 3개의 영화를 선택하고(파라미터 "TopMovie"로 나타낸), 그 선택된 3개의 영화를 자동으로 플레이하며(파라미터 "AutoPlay"로 나타낸), 상기 선택된 3개의 영화를 반복하는(파라미터 "Repeat"로 나타낸) 것으로 세팅될 것이다. 상기 파라미터들은 보통 명령들, 그 명령들에 의해 요구된 세팅 값들, 응답 또는 통지 메세지들과 같이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예컨대, 프로그램 관리 모듈)과 상호작용하는 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와 관련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채널의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실시된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상호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로서 디자인될 것이다. 더욱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콘트롤할 수 있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콘트롤 유닛(130)으로부터 보내진 파라미터에 부응할 수 있도록 디자인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 애플리케이션의 그러한 가상 채널의 기술은 사용자에게 간편한 채널 스위칭 접근을 제공하도록 수행될 수 있어, 원격 콘트롤러 상에서의 복잡한 동작들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가상 채널의 지정 및 구성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들은 적어도 2개의 카테고리로 분할될 수 있다. 그 카테고리 중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없는 "제조사 출고 기본 채널"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 맞춤 채널"이다. 상기 전자의 제조사 출고 기본 채널은 또 다시 동작 기능 채널 및 콘텐츠 채널로 분류될 것이다. 상기 후자의 사용자 맞춤 채널은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또는 콘텐츠 적합성에 따라 구성될 것이다. 상기 2개의 카테고리에 대해 이하 상세히 기술한다.
제조사 출고 기본 채널의 동작 기능 채널들은 구성 페이지(예컨대, 시스템 세팅), 디렉토리 페이지(예컨대, 프로그램 가이드), 및 엔트리 포인트와 같은 시청-위주가 아닌 애플리케이션 채널을 포함한다. 예컨대, 가상 채널의 일련의 채널 코드가 모든 가상 채널의 최전방 끝에, 0, 1, 2, 3 등으로 미리 구성된다. 상기 채널 코드의 디지트(digit)는 소정 원하는 길이가 될 것이다. 상기 채널 코드가 4-디지트라고 가정할 경우, 사용자는 0을 그 시작에 부가할 수 있다. 시스템 끝이 언급되는 한, 0001 및 1로 명칭된 채널은 동일한 채널이다. 0으로 시작되는 것과 같은 첫번째 숫자는 그 채널 코드가 제조사 출고 기본 채널의 동작 기능 채널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낼 것이다.
제조사 출고 기본의 콘텐츠 채널은 비디오 공유 웹사이트(예컨대, YouTube), 웹메일(예컨대, Gmail), 소셜 웹사이트(예컨대, Facebook), 인터넷 폰(예컨대, Skype), 및 인터넷 뉴스와 같은 제조사 출고 기본 엔트리 포인트의 가상 채널들을 포함한다. 이들 애플리케이션 및 채널은 제조사 출고 기본으로 미리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상세한 실행 및 실시예들을 본 발명 개시로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사용자 맞춤 채널들은 상기 가상 채널들에 대한 관리 허용에 의해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엔트리 포인트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가상 채널들을 사용자 관심의 디지트(digit) 콘텐츠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한 사용자 맞춤 채널들은 상기 동작 기능 채널들과 콘텐츠 채널들 다음에 오는 순서가 되며, 그러한 사용자 맞춤 채널을 4-디지트, 예컨대 1000이라고 가정하면 숫자 1이 시작이 될 것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채널들로 구성된 선행의 개인화 채널 존으로부터, 하나의 채널 존은 한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으로 지정될 것이다. 예컨대, 청소년, 어른 및 노인은 각각 대응하는 채널 존을 가지며, 또 그룹에서 각기 다른 직위를 갖는 개인은 각각 대응하는 채널 존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시스템이 파워온 된 후 소정의 개인화 채널 존으로 자동으로 스위치하거나, 또는 입력된 채널 숫자에 따라 파워온 된 후 스위치할 개인화 채널 존을 결정하도록 세팅될 것이다.
채널 코드 범위 지정된 사용자 채널 존 카테고리
0000-0999 출고 기본 채널 존
1000-1999 사용자 1 공용
2000-2999 사용자 2 개인 전용
3000-3999 사용자 3 개인 전용
4000-4999 사용자 4 개인 전용
5000-5999 사용자 5 개인 전용
6000-6999 사용자 6 개인 전용
7000-7999 사용자 7 개인 전용
8000-8999 사용자 8 개인 전용
9000-9999 사용자 9 개인 전용
예컨대, 상기 표 1에서 4-디지트 채널들과 관련하여, 상기 채널 코드 0000 내지 0999는 제조사 출고 기본 채널 존이다. 상기 채널 코드 1000 내지 9999는 사용자가 선호도에 따라 채널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 개인화 채널 존이다. 상기 사용자 맞춤 개인화 채널 존은 9개의 섹션으로 분할된다. 채널 코드 1000 내지 1999를 갖는 제1섹션은 소정 사용자가 채널을 구성하고 대응하는 채널 콘텐츠를 액세스하게 하는 개방 채널 존이다. 채널 코드 2000 내지 9999를 갖는 제2 내지 제9섹션은 단지 유효한 패스워드로 액세스되거나 구성될 수 있는 개인 전용 채널 존이다. 특히, 상기 표 1 또는 상기 표 1에 기초한 다른 대응하는 관계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구조 또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간주되며, 저장 유닛(120), 예컨대 콘트롤 유닛(130)에 사용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에 저장될 것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의 실시예의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통상의 파워온 조건의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개인화 채널 존의 특정 채널 존(예컨대, 개방 채널 존, 개인 전용 채널 존, 또는 출고 기본 채널 존)의 모드라고 가정하면, 3-디지트 채널 코드가 상기 채널 존에 대응하는 가상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될 것이다. 만약 4-디지트 채널 코드 2xxx가 제2존으로 스위치하기 위해 입력되거나, 또는 4-디지트 채널 코드 9xxx가 개인 전용 채널 존의 제9존으로 스위치하기 위해 입력될 경우, 올바른 로그-인 정보(예컨대, 패스원드)가 입력된 주어진 대응하는 개인 전용 채널 존만이 액세스될 수 있다. 4-디지트 채널 코드 1xxx를 입력함으로써, 개방 채널 존으로 스위치되어 로그-인 정보 요청 없이 소정의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파워온 후 소정의 채널 존, 예컨대 개방 채널 존, 출고 기본 채널 존, 또는 개인 전용 채널 존으로 자동으로 들어가도록 세팅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의 순서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워온 후 사용자 선택 또는 사용자 로그-인을 통해 소정 채널 존으로 들어가도록 세팅될 것이다. 도 7과 관련하여, 단계 S210에서, 제1명령에 따라, 콘트롤 유닛(130)은 상기 제1명령이 개인화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한다. 예컨대, 파워온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재생 시스템(100)은 개방 채널 존, 출고 기본 채널 존 또는 개인 전용 채널 존을 선택하여 들어가도록 콘트롤러(20)에 의해 명령(제1명령과 관련된)을 사용자가 보낼 수 있게 하여 스크린 상에 매뉴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215에서, 상기 제1명령이 개인화 채널 존의 개방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을 지시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130)은 상기 개방 채널 존의 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에 따라 가상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채널(100)을 콘트롤한다.
단계 S220에서, 상기 제1명령이 개인화 채널 존의 개인 전용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을 지시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130)은 로그-인 정보를 문의하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을 콘트롤한다. 예컨데, 문의 메세지가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S230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에 따라, 상기 콘트롤 유닛(1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상기 개인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예컨대, 상기 개인 전용 채널 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와 매치되는지를 결정한다.
단계 S24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상기 개인 전용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와 매치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130)은 상기 개인 전용 채널 존의 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에 따라 가상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을 콘트롤한다.
더욱이, 단계 S2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고 기본 채널 존의 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 및 동작 기능에 따라, 상기 제1명령이 상기 개인화 채널 존 대신 출고 기본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을 지시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130)은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콘텐츠 가상 채널로 스위치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시스템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 기능 채널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을 콘트롤한다.
도 7의 실시예 및 도 3의 실시예는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채널 존으로 들어간 후, 사용자가 일련의 긴 수치 조합을 기억시키거나 입력하기 보다는 오히려 채널을 스위칭하기 위한 1 내지 3개의 숫자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노인, 청소년 또는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복잡한 인터넷 TV 동작들에 의해 당황하거나 혼란스러워하지 않고 간편하게 상기한 접근방식을 따라 쉽게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TV 채널 및 콘텐츠의 설치 및 구성과 관련하여, 관리자(예컨대, 부모 또는 관리 사용자)에 의해 그와 관련된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복잡한 구성 및 인터넷 동작들이 제조사 출고 기본 채널 존 CH0000 내지 CH0999에 지정되어 있다.
관리자가 채널 콘텐츠들을 구성함에 있어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 또는 임의 사용자를 도와줄 경우, 상기 제1존이, 즉 상기 개방 개인화 채널 존(개방 채널 존)으로 지정되며,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파워온 후 상기 개방 채널 존으로 자동으로 스위치하도록 세팅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채널 코드 0000 내지 0999를 갖는 출고 기본 채널 존은 상기 사용자의 타입을 위해 존재하지 않거나 숨겨진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실시를 상기한 접근방식으로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임의의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친구들 및 친척들이 단지 TV 시리즈, 버라이어티 쇼 및 뉴스 채널을 시청하거나, 아주 멀리 있는 친구들 및 친척들과 인터넷 TV를 통해 일상의 사진 또는 비디오를 공유하거나, 또는 화상전화를 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관리자는 인터넷 TV를 파워온 한 후 제1채널 존으로 자동으로 스위치하고, 미리 각 채널의 콘텐츠의 구성을 완성하도록 인터넷 TV를 세팅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관리자는 TV 시리즈에 대해서는 채널 코드 1005를, 버라이어티 쇼에 대해서는 채널 코드 1006을, 뉴스 채널에 대해서는 채널 코드 1007을, 일상의 사진에 대해서는 채널 코드 1008을, 일상의 비디오에 대해서는 채널 코드 1009를, 미국 동해안의 친구들과 친척들에 대해서는 채널 코드 101을, 미국 서해안의 친구들과 친척들에 대해서는 채널 코드 1011을 구성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간편한 동작 접근방식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긴 4-디지트 숫자 조합을 입력할 필요도 없고 또한 소정의 복잡한 동작들을 기억하거나 수행할 필요도 없다. 특히, 파워온 후, 숫자 값(또는 문자), 예컨대 TV 시리즈를 시청하기 위한 숫자 5, 버라이어티 쇼를 시청하기 위한 숫자 6, 뉴스 채널을 시청하기 위한 숫자 7, 또는 이전 또는 다음 채널을 위한 이전 또는 다음 버튼(CH +/-)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채널들이 스위치됨과 더불어 관련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들 또한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채널 코드 범위 목적
0000-0099 시스템
0100-0199 추천된 애플리케이션
0200-0299 웹메일
0300-0399 사진
0400-0499 소셜 네트워크
0500-0599 통신
0600-0699 뉴스
0700-0799 음성(오디오)
0800-0999 영상(비디오)
출고 기본 채널 존은 동작 기능 채널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콘텐츠들을 포함한다. 표 2는 기능들에 기초한 가상 채널들의 분할 가상 채널 코드들을 나타낸다. 제조사 출고 기본에 있어서, 소정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들에 따라 채널들이 분할될 것이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1000 채널(채널 코드 0 내지 999를 갖는)을 포함하는 제조사 출고 기본 채널 존은 9개의 기능 섹션으로 분할된다. 그러한 제조사 출고 기본 채널 존의 플래닝 및 애플리케이션이 이하 기술된다.
채널 코드 0000 내지 0099를 포함하는 제1섹션은 시스템-전용 기능 채널을 위해 예약된다. 상기 제1섹션은 시스템 셋업(채널 코드 0000 또는 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채널 코드 0001 또는 1), EPG(채널 코드 0002 또는 2에 대응하는), 사용 가이드(채널 코드 0003 또는 3에 대응하는), 시스템 메시지, 및 공용 프로그램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제1섹션에서의 이들 채널들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고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없다.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들은 예시일 뿐 그것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채널 코드 0100 내지 0199를 포함하는 제2섹션은 제조사-추천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터넷 콘텐츠의 작동을 위해 예약된다.
채널 코드 0200 내지 0299를 포함하는 제3섹션은 웹메일-관련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Gmail, Hotmail 및 Yahoo Mail을 위해 예약된다.
채널 코드 0300 내지 0399를 포함하는 제4섹션은 사진-관련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Picassa, Flickr, Facebook Photo를 위해 예약된다.
채널 코드 0400 내지 0499를 포함하는 제5섹션은 소셜 네트워크-관련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Facebook, Twitter, MySpace 및 Google+를 위해 예약된다.
채널 코드 0500 내지 0599를 포함하는 제6섹션은 통신-관련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MSN 및 Skype를 위해 예약된다.
채널 코드 0600 내지 0699를 포함하는 제7섹션은 뉴스-관련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날씨 예보, 주식 시장, 지역 뉴스 및 국제 뉴스를 위해 예약된다.
채널 코드 0700 내지 0799를 포함하는 제8섹션은 오디오-관련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Music Player, Pandora 및 Internet Radio를 위해 예약된다.
채널 코드 0800 내지 0999를 포함하는 제9섹션은 비디오-관련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YouTube, Netflix, Amazon VOD 및 PPTV를 위해 예약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첫번째 파워온 후 초기 세팅을 실행할 경우, 상기 시스템은 상기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스크린 상에 그 채널 기능 분류 테이블을 표시한다. 예컨대, 표 2의 콘텐츠들, 또는 상기 표 2에서의 섹션들의 가상 채널의 채널 코드 및 대표명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대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새로운 인터넷 비디오 프로그램 및 뉴스 콘텐츠를 수신하거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경우, 상기 시스템은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새로운 채널 코드(상기 분류 테이블에 따른)를 자동으로 지정함으로써, 그 지정된 채널 숫자가 사용자 습성에 맞추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전용 채널 존에서의 채널들은 또한 상기 출고 기본 채널 존에서의 채널들과 같이 구성될 것이다. 예컨대, 채널 코드 8000 내지 8999를 포함하는 제8섹션의 채널 코드로부터, 채널 코드 8000 내지 8004는 그 섹션의 시스템-전용 기능 채널들을 위해 예약될 것이다. 예컨대, 채널 코드 8000은 섹션의 시스템 셋업을 위해 사용되고, 채널 코드 8001은 섹션의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위해 사용되며, 채널 코드 8003은 섹션의 사용자 가이드를 위해 사용된다. 더욱이, 다른 개인 전용 채널 존들의 채널 구성들 또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개인 전용 섹션에 있을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채널 코드 2가 선택됨에 따라 그 섹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즉시 학습할 수 있다.
부모의 잠금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의 실시예는 아이가 부적절한 비디오 및 콘텐츠를 보는 것을 방지하고 시스템 세팅을 설치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모 잠금이 제공된다. 허용된 콘텐츠들이 상기 개방 채널 존에 모두 할당되며, 상기 시스템은 이 시스템이 파워온 된 후 매번 자동으로 스위치한다.
가족 중 청소년 및 노인 사용자가 시스템 세팅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예에 있어서, 제조사 출고 기본 채널 존 또한 패스워드에 의해 잠궈져 보호될 것이다. 따라서, 부모의 승인없이 채널 및 콘텐츠들을 액세스할 뿐만 아니라 제조사 출고 기본 채널 존으로 들어가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설치를 수행하거나 제조사 출고 기본 채널 존의 시스템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청소년 및 노인이 개방 채널 존의 채널만을 액세스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나타낸다. 단계 S310에서, 수신된 명령에 따라, 그 수신된 명령이 출고 기본 채널 존 모드로의 스위칭을 지시하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단계 S320에서, 상기 수신된 명령이 상기 출고 기본 채널 존 모드로의 스위칭을 지시하고 있을 경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에 따라, 콘트롤 유닛(1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상기 출고 기본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는지를 결정한다. 단계 S33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상기 출고 기본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와 매치될 경우, 상기 출고 기본 채널 존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 및 동작 기능 채널에 따라, 상기 콘트롤 유닛(130)은 디지털 콘텐츠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가상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거나 대응하는 시스템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 기능 채널을 작동시키기 위해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을 콘트롤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상기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지 않을 경우, 단계 S310에서와 같이, 원래 채널이 유지, 예컨대 스크린 상의 이미지가 현재 채널 존(예컨대, 개방 채널 존)의 현재 채널로 유지되거나 또는 현재 채널 존의 소정 채널로 스위치된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와 조합되어 실시될 것이다. 예컨대, 단계 S310에서 상기 수신된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되거나 또는 개인화 채널 존의 스위칭과 관련되면, 관련된 스위칭이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수행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제1채널 존은 개방 채널 존과 관련된다.
도 8의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출고 기본 채널 존의 모드일 경우, 부모 또는 관리 사용자(즉, 관리자)는 예컨대 출고 기본 채널 존의 가상 채널을 구성하기 위해 동작 기능 채널을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모 또는 관리자는 단지 유효 패스워드의 사용자만이 액세스할 수 있는 개인 전용 개인화 채널 존에 등급 부여된 비디오를 할당한다. 그러한 등급 부여된 콘텐츠들은 원칙적으로 개방 채널 존으로 할당되는 것이 금지되며, 시스템은 개방 채널 존에 상기 등급 부여된 콘텐츠를 할당하는 것이 시도될 경우 리마인더로서 경보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도 8의 실시예는 개방 채널 존에 제한된 가상 채널을 할당하기 위해 시스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 기능에 따라, 경보 메세지를 즉발(prompt)하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욱이, 그러한 할당이 수행되고 있는지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장치 판독가능 정보 저장매체가 더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장치 판독가능 정보 저장매체는 상기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또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관련된)을 저장한다.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예컨대, 상기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또는 컴퓨터와 같은 전자장치)에 정보 저장매체가 장전되면, 전자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한다. 예컨대, 상기 컴퓨터 장치 판독가능 정보 저장매체는 광학 정보 저장매체, 자기 정보 저장매체, 펌웨어이거나, 또는 네트워크/전송 매체(예컨대, 공기)를 통해 전송가능한 코드이다.
본 발명은 예시의 형태로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의 형태로 기술되어 있을 뿐, 본 발명을 그것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와 반대로, 그것은 다양한 변경 및 유사한 배열과 절차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부가된 청구항들의 범위는 모든 그와 같은 변경 및 유사한 배열과 절차를 강조하기 위해 가장 넓게 해석될 것이다.
10, 100 :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10 : 디스플레이 유닛,
120 : 저장 유닛, 130 : 콘트롤 유닛,
140 : 네트워크 유닛.

Claims (23)

  1.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수신된 명령에 따라, 개인화 채널 존의 제1채널 존의 모드인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콘트롤 유닛에 의해, 상기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에 의해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채널 값이 상기 제1채널 존에 존재하는지를 체킹하는 단계;
    상기 채널 값이 상기 제1채널 존에 존재할 경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네트워크 유닛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스크린 상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콘트롤 유닛에 의해 상기 제1채널 존의 채널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명령이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스위칭과 관련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에 의해 상기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채널 값을 나타내는 상기 개인화 채널 존으로부터 원하는 채널 존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상기 콘트롤 유닛에 의한 원하는 채널 존으로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는지를 체킹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상기 원하는 채널 존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와 매치될 경우,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원하는 채널 존의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상기 원하는 채널 존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에 따라 가상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모드이기 전에,
    제1명령에 따라, 상기 콘트롤 유닛에 의해,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제1명령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지시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개방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제1명령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지시할 경우, 상기 개방 채널 존의 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에 따라 콘트롤 유닛에 의해 가상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개인 전용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제1명령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지시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에 의해 로그-인 정보를 문의하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콘트롤 유닛에 의해 개인 전용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상기 개인 전용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와 매치될 경우, 상기 개인 전용 채널 존의 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에 따라 콘트롤 유닛에 의해 가상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채널 존은 개인화 채널 존의 개인 전용 채널 존이고, 원하는 채널 존은 개인화 채널 존의 또 다른 개인 전용 채널 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모드 대신 소정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제1명령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지시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에 의해, 상기 소정 채널 존의 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 및 시스템 기능 채널에 따라,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시스템 동작을 수행하도록 시스템 기능 채널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채널 존은 개인화 채널 존의 개방 채널 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신된 명령이 이 수신된 명령에 따라 소정 채널 존의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명령이 상기 소정 채널 존의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상기 소정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상기 소정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와 매치될 경우, 콘트롤 유닛에 의해, 상기 소정 채널 존의 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 및 동작 기능 채널에 따라,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시스템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 기능 채널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소정 채널 존의 모드일 경우,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개방 채널 존에 제한된 가상 채널을 할당하도록 동작 기능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된 시스템 동작에 따라 경보 메세지를 즉발(prompt)하도록 콘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파워온 된 후 개인화 채널 존의 모드로 자동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네트워크 유닛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스크린 상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제1채널 존의 채널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1채널 존의 애플리케이션 가상 채널 테이블에 따라 상기 채널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콘트롤 유닛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동작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스크린 상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 파라미터 세트는 디지털 콘텐츠를 얻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콘트롤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가상 채널 테이블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동작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12.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될 경우, 이 컴퓨터 장치가 청구항 1의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장치 판독가능 정보 저장매체.
  13.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유닛;
    저장 유닛;
    개인화 채널 존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
    네트워크 유닛; 및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개인화 채널 존의 제1채널 존의 모드이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이 수신된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이 가상 채널 스위칭과 관련될 경우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채널 값이 상기 제1채널 존에 존재하는지를 체킹하고; 상기 채널 값이 상기 제1채널 존에 존재할 경우, 네트워크 유닛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제1채널 존의 채널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네트워크 유닛에 결합된 콘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수신된 명령이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스위칭과 관련될 경우 그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채널 값을 나타내는 개인화 채널 존으로부터 원하는 채널 존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상기 원하는 채널 존으로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는지를 체킹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명령이 상기 원하는 채널 존으로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로그-인 정보와 매치될 경우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원하는 채널 존의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스위치하도록 더 작동하며,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원하는 채널 존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가상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모드이기 전에, 상기 콘트롤 유닛은:
    제1명령에 따라,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제1명령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지시하고;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개방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제1명령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지시할 경우, 상기 개방 채널 존의 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에 따라 가상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고;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개인 전용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제1명령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지시할 경우 개인 전용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를 문의하도록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고;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개인 전용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는지를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상기 개인 전용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와 매치될 경우, 상기 개인 전용 채널 존의 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에 따라, 가상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도록 더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제1채널 존은 개인화 채널 존의 개인 전용 채널 존이고, 원하는 채널 존은 개인화 채널 존의 또 다른 개인 전용 채널 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개인화 채널 존의 모드 대신 소정 채널 존의 모드로 들어가도록 상기 제1명령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지시할 경우, 상기 소정 채널 존의 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 및 동작 기능 채널에 따라,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시스템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 기능 채널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도록 더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제1채널 존은 개인화 채널 존의 개방 채널 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유닛은:
    수신된 명령이 이 수신된 명령에 따라 소정 채널 존의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이 상기 소정 채널 존의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상기 소정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와 매치되는지를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그-인 관련 명령이 상기 소정 채널 존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와 매치될 경우, 상기 소정 채널 존의 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채널 및 동작 기능 채널에 따라,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시스템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 기능 채널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콘트롤하도록 더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소정 채널 존의 모드일 경우,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개방 채널 존에 제한된 가상 채널을 할당하도록 동작 기능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된 시스템 동작에 따라 경보 메세지를 즉발(prompt)하도록 콘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파워온 된 후 개인화 채널 존의 모드로 자동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유닛이 상기 제1채널 존의 채널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제1채널 존의 애플리케이션 가상 채널 테이블에 따라 상기 채널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동작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스크린 상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 파라미터 세트는 디지털 콘텐츠를 얻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콘트롤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가상 채널 테이블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동작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KR1020130037418A 2012-06-05 2013-04-05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KR101441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20181A TWI520592B (zh) 2012-06-05 2012-06-05 個性化之虛擬頻道之管理方法及具有虛擬頻道之網路多媒體重現系統
TW101120181 2012-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909A true KR20130136909A (ko) 2013-12-13
KR101441800B1 KR101441800B1 (ko) 2014-09-18

Family

ID=4791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418A KR101441800B1 (ko) 2012-06-05 2013-04-05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19858B2 (ko)
EP (1) EP2672724B1 (ko)
JP (1) JP5465801B2 (ko)
KR (1) KR101441800B1 (ko)
CN (1) CN103475940B (ko)
TW (1) TWI52059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2144A1 (de) 2013-11-12 2015-05-13 Hyundai Mobis Co., Ltd. Für Fahrzeuge vorgesehene Ultraschall-Einparkhilfe mit Ladungspumpenschal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Einparkhilf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5765B2 (en) * 2013-03-15 2015-01-13 Fluke Corporation Method to enable mobile devices to rendezvous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10474960B (zh) * 2014-12-23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虚拟化网络中业务部署的方法和装置
US11032619B2 (en) 2017-01-17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97636B1 (ko) * 2017-03-06 2018-09-12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개인화 홈쇼핑 프로그램 제공 장치
WO2019134173A1 (zh) * 2018-01-08 2019-07-11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的通道处理的方法及智能电视
CN111263222B (zh) * 2020-03-23 2021-11-30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频道播放控制方法、装置、电视机和可读存储介质
CN113473230B (zh) * 2021-07-02 2022-08-26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第三方应用实现频道切换的方法及显示设备
WO2022121380A1 (zh) 2020-12-07 2022-06-16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切换频道的方法及显示设备
CN114630149A (zh) * 2022-01-20 2022-06-14 浙江华数广电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匹配技术实现电视应用快捷到达的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5866A (en) 1993-09-09 1996-12-17 Miller; Larry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including virtual channels
US5990883A (en) * 1997-04-28 1999-11-23 Microsoft Corporation Unified presentation of programming from different physical sources
US20020013941A1 (en) * 1998-05-13 2002-01-31 Thomas E. Ward V-chip plus +: in-guide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CA2392396A1 (en) * 1999-11-22 2001-05-31 America Online, Inc. Managing electronic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US6745223B1 (en) 2000-01-26 2004-06-01 Viaclix, Inc. User terminal for channel-based internet network
AU2001247750A1 (en) * 2000-03-29 2001-10-08 Digeo Broadband, Inc. Techniques for controlling access to web content information and television content information using user modes
AU2001249873A1 (en) * 2000-06-08 2001-12-17 Digeo Broadband, Inc. User interface for personalized access to internet-enabled television
KR100813688B1 (ko) * 2001-12-29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가상채널을 이용한 채널 선국 방법
US20040078806A1 (en) * 2002-02-28 2004-04-22 Johnson Carolynn Rae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ummary menu of stored user profiles
CN100340103C (zh) * 2002-04-04 2007-09-26 Tcl王牌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实现频道快速设置和切换的方法
CN1647512A (zh) 2002-04-23 2005-07-27 汤姆森许可公司 设置电视频道观看表中所有的频道为阻止状态或观看状态
WO2004004332A2 (en) * 2002-06-27 2004-01-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tv channel
US8082563B2 (en) * 2003-07-25 2011-12-20 Home Box Offic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access control through default profiles and metadata pointers
US8887199B2 (en) * 2005-12-19 2014-11-11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emplates offering default settings for typical virtual channels
US8782706B2 (en) * 2005-12-29 2014-07-15 United Video Properti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hannel groups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CN101395559A (zh) * 2006-03-01 2009-03-25 Tivo有限公司 推荐的记录和下载引导
US8190754B2 (en) * 2006-12-14 2012-05-2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arental controls in a media network
US20080147510A1 (en) * 2006-12-18 2008-06-1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Stored in an Electronic Device
CN101170637A (zh) * 2007-11-27 2008-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登录个性化电子节目单的方法
KR101622640B1 (ko) 2009-10-13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의 자동 채널설정 방법과 이에 적합한 콘텐츠 재생 방법
JP5584730B2 (ja) * 2011-05-19 2014-09-03 日本放送協会 放送通信連携受信装置
TWI594186B (zh) * 2012-05-16 2017-08-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虛擬頻道之管理方法、擷取數位內容之方法及具有虛擬頻道之網路多媒體重現系統
TWI508538B (zh) * 2012-06-01 2015-11-11 Wistron Corp 影音串流之播放方法與系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2144A1 (de) 2013-11-12 2015-05-13 Hyundai Mobis Co., Ltd. Für Fahrzeuge vorgesehene Ultraschall-Einparkhilfe mit Ladungspumpenschal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Einparkhil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800B1 (ko) 2014-09-18
US20130326558A1 (en) 2013-12-05
US8719858B2 (en) 2014-05-06
EP2672724B1 (en) 2017-06-07
EP2672724A2 (en) 2013-12-11
JP5465801B2 (ja) 2014-04-09
EP2672724A3 (en) 2014-04-09
TW201351968A (zh) 2013-12-16
TWI520592B (zh) 2016-02-01
CN103475940A (zh) 2013-12-25
JP2013255220A (ja) 2013-12-19
CN103475940B (zh)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800B1 (ko) 개인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구비한 네트워크-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US11943499B2 (en) User defined rules for assigning destinations of content
US20210219019A1 (en) Maintaining a user profile based on dynamic data
JP6694537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を介してメディアアセット消費活動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またはシステム
US8856833B2 (en) Maintaining a user profile based on dynamic data
US89499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viewing environment preferences in a viewing environment control application
AU2016203665B2 (en) User defined rules for assigning destinations of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