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265A -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265A
KR20130136265A KR1020120059947A KR20120059947A KR20130136265A KR 20130136265 A KR20130136265 A KR 20130136265A KR 1020120059947 A KR1020120059947 A KR 1020120059947A KR 20120059947 A KR20120059947 A KR 20120059947A KR 20130136265 A KR20130136265 A KR 20130136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creen
dock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2401B1 (ko
Inventor
강유진
김병태
안지용
이일영
이정욱
허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59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40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이 개시된다.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은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도킹 분리에 따라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경고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을 받는 단계,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로서 현재 설정된 값을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 휴대 단말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될 화면 레이아웃(layout)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변경을 알리는 환경 설정 정보 변경 이벤트를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재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image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었을 때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화면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무선통신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기본적인 전화통화 기능 외에도 카메라, MP3,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사용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능들이 더욱 강화된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의 크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화면의 크기, 해상도, 스피커 성능 등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좋은 사용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을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일명, 도킹 스테이션)가 개발되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큰 화면과 좋은 성능의 스피커로 출력하여 이용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휴대 단말이 런타임 구동되고 있는 동안,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DPI 값 등으로의 자동 변경을 지원하지 않았다. 따라서, 휴대 단말과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는,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DPI 값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단순히 영상 스케일링하는 방법으로 확대 출력하게 되므로, 화질이 떨어지거나 또는 외부 디바이스의 큰 화면 사이즈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하여 사용할 때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 간의 도킹 연결 시, 그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여 적응적으로 DPI, 화면 사이즈, 화면 출력 기본 방향 등이 변경된 화면 영상이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런타임 구동되고 있는 동안,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여 화면 레이아웃의 재구성이 가능한 휴대 단말 및 그 화면 변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킹 분리에 따라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로서 현재 설정된 값을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될 화면 레이아웃(layout)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변경을 알리는 환경 설정 정보 변경 이벤트를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재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도킹 인터페이스부; 도킹 에이전트; 및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에이전트는,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도킹 분리에 따라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으로의 갱신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로서 현재 설정된 값을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으로 갱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될 화면 레이아웃(layout)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변경을 알리는 환경 설정 정보 변경 이벤트를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재구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을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하여 사용할 때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 간의 도킹 연결 시, 그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여 적응적으로 DPI, 화면 사이즈, 화면 출력 기본 방향 등이 변경된 화면 영상이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이 런타임 구동되고 있는 동안,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여 화면 레이아웃의 재구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변경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2는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3은 도 2의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
도 4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DPI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휴대 단말에 탑재되는 운영체제의 일 예로서 안드로이드 OS의 아키텍처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DPI 결정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PI 변경된 화면 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화면 변경 방법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예외 처리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화면 변경 방법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외 처리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화면 변경 요소로는, DPI, 화면 사이즈, 화면 출력 기본 방향 등의 다양한 요소가 존재한다. 다만, 본 명세서 전반에서는, 그 설명의 집중 및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변경 방법 중에서도 DPI를 중심으로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를 통한 설명을 충분히 이해한 당업자라면, 화면 사이즈 변경,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의 변경의 경우에도 DPI 변경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것임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때, 화면 사이즈 변경 및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의 변경은 DPI 변경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또한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변경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다. 그리고 도 4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블록 구성도를 중심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면 변경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 장치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35), 영상 처리부(140), 내부 저장 장치부(150), 외부 저장 장치부(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한다. 전원부(190)는 단말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종류에 따라 무선 통신부(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은 반드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어도 무방할 수 있다.
A/V 입력 장치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입력 장치 또는/및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5)는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부가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처리부(140)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영상 처리부(14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이 도킹 결합되었을 때,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 신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휴대 단말(100)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이용되며, 이때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RAM, S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SD 카드, USB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결합된 상태의 도킹 디바이스(200)도 외부 저장 장치부(155)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에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영상 출력 장치(160)는 액정 패널,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165)는 스피커, 리시버,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휴대 단말(100)로부터 도킹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데이터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그리고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상호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172),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들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그 도킹 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휴대 단말(100)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한 구체적 구성 예가 도 4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에는, HDMI 및 USB를 지원하기 위한 커넥터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도 4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며, HDMI 및 USB 이외의 다른 영상/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HDMI 또는 USB 단자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과 연결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영상/오디오를 위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반 전자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의 HDMI 또는 USB 단자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등을 해당 전자기기로 송출할 수도 있게 된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에이전트(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에이전트(182)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에이전트(182)는 도 8의 OS 계층 구조 중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탑재됨으로써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본 명세서에서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예시함)와의 도킹 연결시의 화면 변경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도 8의 OS 계층 구조 중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 참조)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도킹 에이전트(182) 및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를 통한 휴대 단말(100)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으로서 특히, DPI 변경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5 및 도 6의 설명에 앞서, 그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킹 디바이스(200)의 일 예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2의 설명]
도 2는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고, 도 3은 도 2의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이다.
다만, 앞서도 부연 설명한 바이지만, 본 발명의 화면 변경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휴대 단말과 도킹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는 반드시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즉,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갖지 않는 일반 전자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변경 방법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여기서, 도 3은 도킹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외관 구현 디자인 중 일 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의해 도킹 디바이스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도 2 및 도 3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킹 디바이스(200)는,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터치 입력 장치(230), 키 패드 입력 장치(235), 신호 처리부(240),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저장 장치부(260), 도킹 관리부(270) 및 전원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터치 입력 장치(230), 키 패드 입력 장치(235), 저장 장치부(260), 전원부(280)는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100)에서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인 바,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및 도킹 관리부(27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연결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부분이다. 따라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페어(pair)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앞선 도 4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즉,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킹 결합시, 휴대 단말(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252),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위한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254), 휴대 단말(100)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2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이외에도 휴대 단말(100)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을 감지하는 도킹 감지부(미도시), 휴대 단말(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출력부(또는 단자, 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 본체 내에 휴대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단말 삽입부(251) 내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 간의 도킹 결합은, 그 두 장치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및 250) 간이 서로 물리적 결합(또는 접촉)되도록, 도킹 디바이스(200)의 단말 삽입부(251)에 휴대 단말(100)을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경우는, 휴대 단말(100)이 단말 삽입부(25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 삽입부(251)의 디자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일 부위(여기에는 도킹 인터페이스(170)는 포함되어야 함)만이 삽입되는 형태로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서는 패드 타입을 갖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예시하였지만, 도킹 디바이스(200)는 매우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어, 패드 타입이 아닌 노트북 타입 등)을 가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킹 관리부(2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결합시,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연결 설정부(272),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설정부(272)는,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됨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예를 들어, 대기 전원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설정부(272)는, 그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영상 및 오디오 출력 환경/ 데이터 입출력 환경 등)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은,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된 경우, 상기 도킹 관리부(27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출력 장치(210)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킹 결합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도 4의 도면부호 230 및 235 참조)로부터 입력 이벤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이벤트 등)를 수신한 경우,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는,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 및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는 스탠드 얼론(stand alone)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즉,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떠한 동작/기능 실행을 할 수 없는) 일종의 더미(dummy)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에는 가능한 최소한의 기능(즉, 디스플레이 제어, 터치 입력 제어 등) 및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태블릿 PC/패드/노트북 제품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되면서도 그보다 저가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는, 자체 OS(여기서, 자체 OS란 스탠드 얼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OS를 말함)를 탑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분리 동작시는 전자 액자나 동영상/MP3 플레이어로, 도킹 결합 동작시는 휴대 단말의 기능으로까지 확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설명한 형태(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해 하드웨어 스펙이 고사양을 요구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결합되는 두 개의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 및 도킹 디바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 간의 도킹 연결 상태에서,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중 DPI 변경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제까지는,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즉, 도킹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되는 방식으로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도킹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직접 결합 방식 이외에도, 중간의 매개 장치(Hub)를 이용한 도킹 연결, 특정 연결 케이블(예를 들어, HDMI 케이블)을 이용한 도킹 연결의 방식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물리적 결합이 아닌 무선 연결 방식에 따른 도킹(이를 무선 도킹이라 명명함) 방식도 가능할 것임을 명확히 해둔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의 집중 및 편의를 위해, 도 3에서와 유사하게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DPI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도 5는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었을 때의 휴대 단말에서의 DPI 변경 방법을, 그리고 도 6은 그 도킹 연결이 분리(해제)되었을 때의 DPI 재변경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8은 휴대 단말에 탑재되는 운영체제의 일 예로서 안드로이드 OS의 아키텍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9는 DPI 결정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DPI 변경된 화면 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중심으로 도 8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에서의 DPI 변경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의 설명]
단계 S510에서, 휴대 단말(100)에 탑재된 도킹 에이전트(182)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한다.
여기서, 도킹 연결 여부의 감지는 다음과 같은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킹 에이전트(182)는, HDMI 인터페이스의 HOT PLUG DETECT 단자(도 4 참조)를 통한 H/W적인 HPD 신호의 수신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킹 에이전트(182)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에 따라 USB net, ADB(Android Debug Bridge)를 통한 그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서 도킹 연결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도킹 에이전트(182)는 상술한 바와 같은 H/W적인 방식 또는 특정 통신 방식 등을 통해,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시 소정의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킹 에이전트(182)는,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의 화면 출력이 턴 오프(turn off)되거나 또는 휴대 단말(100)이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킹 에이전트(182)는, 도킹 연결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는 영상이 출력되지 않고,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만 영상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경로를 제어(전환)할 수 있다.
이 후, 단계 S520에서, 도킹 에이전트(182)는, 그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이하, 도킹 디바이스)로부터 그 도킹 디바이스에 탑재(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규격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는, 화면 해상도 및 화면 사이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는, 제조사 이름, 제품 유형, EDID 버전, 화면 사이즈, 휘도, 화소, 해상도 등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데, 도킹 에이전트(182)는 이러한 EDID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도 5의 순서도에서는 도킹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EDID 정보에 의하지 않더라도, 휴대 단말(100)이 DPI 정보, 화면 해상도, 화면 사이즈 정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직접 획득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200)의 장치 식별 정보(이하, 도킹 디바이스 ID라 함)를 수신 또는 인식하고, 이에 기초하여 자신과 도킹 연결된 해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획득(즉, 확인 또는 추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100) 내의 저장 매체에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연결 가능한 후보 장치 군들의 ID 별로 관련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가 맵핑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맵핑 정보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에이전트(182)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획득하면, 단계 S530에서, 도킹 에이전트(182)는, 그 수신된(획득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DPI 값을 획득한다.
여기서,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DPI 값을 획득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도킹 에이전트(182)는, 화면 해상도 및 화면 사이즈 별로 적용 가능한 DPI 값이 미리 맵핑되어 있는 DPI 결정 테이블(도 9 참조)을 참조하여,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DPI 값을 결정하는 방식이 그 일 예이다.
여기서, 도 9는, 안드로이드 OS에서 요구하는 DPI 사양을 예시한 테이블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mall screen(화면 사이즈가 약 3인치 이하), Normal screen(화면 사이즈가 약 3~4 인치 정도, 예를 들어, 스마트폰 화면 사이즈), Large screen(화면 사이즈가 약 4~7 인치 정도), Extra Large screen(화면 사이즈가 약 7인치 이상) 별로, 그리고 화면 해상도급 별로 요구되는 DPI 값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도킹 에이전트(182)는, 도 9와 같은 DPI 결정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DPI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100)이 800×1280의 화면 해상도와 Normal screen의 화면 사이즈를 갖고, 도킹 디바이스가 800×1280의 화면 해상도와 Extra Large screen의 화면 사이즈를 갖는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도 9의 테이블을 기준으로 할 때,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DPI 는 Normal screen에서 800×1280와 근접한 화면 해상도인 640×960에 대응되는 XHDPI(Extra high DPI)가 된다. 이와 달리, 도 9의 테이블을 기준으로 할 때,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DPI는 Extra Large screen에서 800×1280에 대응되는 MDPI(medium DPI)가 된다. 즉,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을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뿌려줌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에 적합한 DPI 값에 따른 화면 영상이 아니라,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는 DPI 값에 따라 재구성된 화면 영상을 뿌려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의 DPI 변경 방법은, 휴대 단말(100)이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이 되지 않았을 때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XHDPI 값에 따라서 자신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화면 영상을 출력하다가, 도킹 연결이 이루어지면, 그 도킹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MDPI 값에 따라서 화면 영상을 재구성하여 그 재구성된 화면 영상을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도킹 디바이스로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킹 에이전트(182)는, 도 9의 테이블과 같은 DPI 결정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는 DPI 값을 결정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도 5의 단계 S520 및 단계 S53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먼저 확인한 후, 도 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DPI 맵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는 DPI 값을 결정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는 DPI 값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이와 다른 방식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킹 연결된 경우 도킹 에이전트(182)는 도킹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를 확인 또는 인식한 후, 그 도킹 디바이스 ID와 1대1 맵핑된 DPI 값을, 해당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DPI 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도 5의 단계 S520 및 단계 S530의 경우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540에서, 그 결정된 DPI 값이 휴대 단말(100) 자신의 DPI 값과 다른 값을 갖는지 여부(즉, DPI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DPI 값의 변경이 필요 없는 경우는, 현재 화면 영상 데이터를 그대로 도킹 디바이스로 송출하면 된다(단계 S575 참조).
반면, 그 결정된 DPI 값(즉,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는 DPI 값)이 현재 셋팅되어 있는 DPI 값(즉,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도록 기설정된 DPI 값)과 다른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은 그 DPI 값 변경을 위해 단계 S550 ~ 단계 S570을 수행한다.
단계 S550에서, DPI 변경이 필요한 경우, 도킹 에이전트(182)는 DPI 값의 변경(갱신)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휴대 단말(100)의 시스템 환경 설정(System configuration) 정보 중 기설정된 DPI 값을 앞선 단계를 통해 결정된 DPI 값으로 갱신(수정)한다.
그리고 단계 S560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변경을 알리는 환경 설정 정보 변경 이벤트를 상기 실행 중인 또는 실행 요청된 애플리케이션들로 전달한다. 환경 설정 정보 변경 이벤트는, 안드로이드 OS인 경우 android.intent.action.CONFIGURATION_CHANGED 이벤트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휴대 단말(100)을 통해 실행 중인 또는 실행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갱신된 DPI 값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될 화면 레이아웃(layout)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실행 중인 또는 실행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이, 갱신된 DPI 값을 반영하여 화면 레이아웃을 재구성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아래의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로, 단계 S550에 따라 시스템의 DPI 값이 변경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실행 중인 각 애플리케이션의 UI 화면에 관한 컴포넌트들(User Interface components) 또는 액티비티(Activity)를 직접(강제로) 다시 구동시킴으로써, 그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화면이 갱신된 DPI 값을 반영하여 다시 실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환경 설정 정보 변경 함수(안드로이드 OS 경우, onConfigurationChanged() 함수일 수 있음)를 호출함으로써, 실행 중인 또는 실행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이 스스로 상기 갱신된 DPI 값을 반영하여 해당 App 화면을 다시 그리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DPI 변경에 따른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상세 동작은 OS 별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세 번째 방식으로, 단계 S550에 따라 도킹 에이전트(182)로부터 DPI 값의 변경 요청을 수신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획득하여,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Process를 Kill시킴으로써, 이후 해당 애플리케이션들이 사용자에 의해 또는 시스템에 의해 다시 실행(구동)되었을 때 그 변경된 DPI 값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UI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Process Kill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100)에서 현재 실행 중인 모든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지만,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들일 수도 있다. 여기서, Process Kill 처리 과정에서 제외될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Call App, Music App과 같이 서비스 연속성의 유지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도킹 에이전트 프로그램 등과 같이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Process Kill 처리 과정에서 제외될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와 다르게 변경 또는 지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Process Kill 처리 과정도, OS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변형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PI 값의 변경 요청에 따라 Process Kill을 실행하기 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특정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아주 짧은 시간(예를 들어, 수 msec) 동안 포어그라운드로 실행시켜, 종전에 포어그라운드 상태였던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태를 저장하는 등 예외처리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앞선 단계 S560에 따라 상기 갱신된 DPI 값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될 화면 레이아웃(layout)이 구성(또는 재구성)되면, 도킹 에이전트(182)는, 단계 S570에서, 상기 갱신된 DPI 값을 반영한 화면 레이아웃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의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도킹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DPI 변경 방법에 의하면,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되었을 때, 그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DPI 값에 따른 화면 레이아웃의 영상이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 있게 된다.
이에 관한 예시 화면이 도 10 및 도 11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도 10 및 도 11의 phone 참조)에서 HDPI에 맞춰 화면 레이아웃 구성되었던 화면이, 도킹 연결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도 10 및 도 11의 Docking Pad 참조)이 MDPI에 맞춰 화면 레이아웃 구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화면 영상은,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 그대로를 확대한 것이 아니라,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사이즈에 맞게 보다 많은 항목들이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설명]
앞선 도 5에서는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 간 도킹 연결시,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도록 DPI 변경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도킹 연결이 분리(즉, 해제)되었을 때, 다시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도록 DPI를 재변경하는 경우의 플로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6의 경우는 도 5와 전반적으로 유사한 플로우를 갖는 바, 도 5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610에서, 도킹 에이전트(182)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620에서, 도킹 에이전트(182)는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의 출시 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도킹 에이전트(182)는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출력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은 전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휴대 단말이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상태에서, 호를 착신하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전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한 경우, 사용자는 전화를 받기 위하여 휴대 단말을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에이전트(182)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를 수신하고, 전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것으로 판단하면, 후술할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고,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출력 상태를 유지한다.
단계 S640 단계에서, 도킹 에이전트(182)는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됨에 따라, 도킹 에이전트(182)는, 단계 S650에서, 도킹 분리에 따라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즉, 도킹 에이전트(182)는 도킹 연결이 분리되었을 때, 바로 도킹 분리에 따른 경고 메시지 화면을 출력하지 않고, 사용자가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출력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경고 메시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구와 확인 버튼으로 구성된 팝업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는 팝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의 화면 전체를 점유하거나, 구현하기에 따라 휴대 단말의 화면 일부만을 점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고 메시지의 출력 상태에서, 도킹 에이전트(182)는 휴대 단말(100)의 입력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에이전트(182)는 경고 메시지 출력 화면의 확인 버튼 외에 휴대 단말(100)의 사용자 입력부(130)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킹 에이전트(182)는 홈키(Home Key)와 같이 입력 차단을 제어할 수 없는 시스템 버튼의 입력이 발생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팝업을 순간적으로 재출력함으로써, 팝업이 사라지는 것을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게 항상 팝업이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도킹 에이전트(182)는 단계 S660에서, 경고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경고 메시지를 확인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다시 도킹 연결하여 진행 중이던 작업의 데이터 저장을 완료한 후 도킹 분리시키고,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면, 확인 버튼을 클릭할 수도 있다. 이때, 도킹 에이전트(182)는 확인 입력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팝업이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670 에서, 도킹 에이전트(182)는 확인 입력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도킹 에이전트(182)는 단계 680 에서,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중단한다. 예를 들어, 도킹 에이전트(182)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를 다시 도킹 연결하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팝업이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도킹 에이전트(182)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 감지에 따라 S520 단계로 진입하여,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 간 도킹 연결시,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도록 DPI 변경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도킹 에이전트(182)는 단계 S540 에서,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가 현재 휴대 단말에 셋팅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가 일치함에 따라 신규 도킹 연결이 아닌 재도킹 연결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에이전트(182)는 단계 S575 에서, 도킹 디바이스로 현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진행 중이던 작업의 데이터 저장을 완료한 후 도킹 분리시키면, 단계 S610 단계로 진입하여 이후 단계가 수행된다.
즉, 사용자는 진행 중이던 작업의 데이터 저장을 완료한 후 도킹을 분리시키므로, 도킹 에이전트(182)는 단계 S650에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단계 S660 에서, 확인 입력을 받아 이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도킹 에이전트(182)는, 단계 S690에서 도킹 분리에 따라 도킹 연결 모드를 해제한다. 여기서, 도킹 연결 모드의 해제란, 도킹 연결에 따라 변경하였던 시스템 설정 값들 및 제어 경로 등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의 일환으로, 도킹 에이전트(182)는, 단계 S700에서,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DPI 값으로의 갱신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에 요청한다.
이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단계 S710에서,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로서 현재 설정된 DPI 값(즉, 도킹 연결에 따라 변경했던 DPI 값)을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DPI 값으로 다시 갱신한다. 이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화면 레이아웃은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DPI 값을 반영하여 다시 재구성된다. 이와 같이, 재구성된 화면 영상은, 단계 S720에서,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된다.
이상에서는, 도 5 및 도 6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도킹 연결 및 도킹 해제에 따라, DPI 값이 변경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DPI 값 변경 이외에도, 화면 사이즈 변경 및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의 변경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 사이즈 변경 및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의 변경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변경의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앞선 예시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100)이 800×1280의 화면 해상도와 Normal screen의 화면 사이즈를 갖고, 도킹 디바이스가 800×1280의 화면 해상도와 Extra Large screen의 화면 사이즈를 갖는 경우, 도킹 연결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중 화면 사이즈를 도킹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Extra Large screen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의 경우는 휴대 단말 및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출력 방향이 모두 "세로 길이 방향(즉, Portrait 방향)"을, 도 11의 경우에는 모두 "가로 길이 방향(즉, Landscape 방향)"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구현에 따라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폰의 경우는 세로 길이 방향이 화면 출력의 기본 방향일 수 있고, 노트북이나 태블릿 PC의 경우는 가로 길이 방향이 화면 출력의 기본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킹 에이전트(182)가,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해상도 정보 또는 화면 사이즈 정보, 도킹 디바이스 장치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이 휴대 단말의 기존의 화면 출력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으로의 갱신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DPI 값의 갱신은 물론,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의 갱신도 함께 한 후, 각 애플리케이션들의 화면 레이아웃이 위와 같은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의 변경 내용도 반영하여 재구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 간 도킹 연결이 이루어졌을 때의 DPI 변경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DPI 변경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특정 상황에서의 예외 처리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할 예외 처리 방안은, 상술한 DPI 변경 방법이 휴대 단말에 적용됨에 따라, 휴대 단말이 스탠드 얼론으로 동작할 때와 도킹 연결 상태에서 동작할 때의 DPI 값이 상이해지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특정 케이스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예외 처리가 필요한 특정 케이스란 다음과 같은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App이 휴대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요청하는 케이스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사이즈, DPI, 화면 해상도 등이 상이한 다양한 전자기기가 존재하는 이유로, 각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특성에 맞는 App 또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 추세이다.
일 예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는 서버들은, 일반적으로 접속하는 단말에 따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Phone용 App과 Pad용 App을 구분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도 달리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휴대폰을 통해 마켓에 접속(일반적으로 휴대폰에 설치된 마켓 App을 통해 접속하게 될 것임)한 경우에는 Phone용 App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Pad를 통해 마켓에 접속한 경우에는 Pad용 App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예를 들어, Phone용 App과 Pad용 App의 구분)로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따라 다르게 동작 하는 특정 App의 경우를 가정하면, 본 발명의 경우를 적용해볼 때, 휴대 단말이 스탠드 얼론으로 동작할 때에 그 특정 App에 접속할 때에는 그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가 보여지고, 도킹 연결 상태에서는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가 보여지는 것이 원칙적으로는 보다 자연스러울 것이다. 그러나 서버에 따라서 도킹 연결에 따른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동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서버와 원활한 연동을 위하여 휴대 단말에 적용 가능한 예외 처리 방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의 설명 - 예외 처리 방안 1]
도 12는 본 발명의 화면 변경 방법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예외 처리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1210의 판단에 따라, 도킹 연결 상태가 아닌 경우(휴대 단말(100)이 스탠드 얼론으로 동작하는 경우), 단계 S1220에 따라 특정 App이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본 예에서는, 화면 사이즈 정보와 DPI 정보인 것으로 가정함, 이하 동일함)를 요청하면, 휴대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단계 S1230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해당 특정 App에 넘겨주면 된다. 이는 기존 처리 방식과 다르지 않은 정상 처리 절차에 해당한다.
위와 달리, 단계 S1210의 판단에 따라 도킹 연결 상태인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도 5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DPI 값은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DPI 값으로 변경되게 될 것이다(단계 S1240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단계 S1250에서와 같이 특정 App이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단계 S1260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정보가 아닌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그 특정 App에 넘겨준다.
즉, 도 12의 예외 처리 방안의 경우, 도킹 연결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중 DPI 정보 등은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정보로 변경(갱신)되었지만, 미리 지정된 특정 App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의 요청이 오게 되면, 실제(현재)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로서 셋팅된 정보(이는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일 것임)가 아닌 고정된 정보(즉, 현재 셋팅된 정보가 아닌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임)를 특정 App에 넘겨준다.
이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임의의 App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요청하는 API가 호출되면, 그 호출 요청자인 App이 미리 지정된 특정 App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특정 App에 해당된다면 고정 정보인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그 특정 App으로 넘겨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그 특정 App은 넘겨 받은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관련 서버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그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요청한 App이 특정 App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실제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에 셋팅된 정보를 넘겨주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예외 처리 방안에 의하면, 항상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즉, 본 예에서는, 도킹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항상 동일한 정보인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가 될 것임)가 그 특정 App을 통해 해당 서버로 넘겨지게 될 것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혼동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3의 설명 - 예외 처리 방안 2]
도 13은 본 발명의 화면 변경 방법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외 처리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와는 다른 예외 처리 방안으로서, 도 13에서는, 단계 S1310에 따른 판단 결과, 도킹 연결 상태인 경우는, 단계 S1320에서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의 DPI 값으로 변경될 것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도 12의 단계 S1240과 동일하다. 물론, 도킹 연결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도 12의 단계 S1220 및 S1230과 동일 절차로 처리될 수 있다.
그러한 도킹 연결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특정 App이 구동(실행)되는 경우(단계 S1230 참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는 DPI 값을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DPI 값으로 다시 변경한다(단계 S1340). 즉, 본 예의 예외 처리 방안에서는, 도킹 연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App이 구동되는 경우에는 DPI 값을 도킹 디바이스의 DPI 값에서 휴대 단말(100)의 DPI 값으로 다시 변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재변경에 의하면, 이후 그 특정 App이 구동시에는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가 항상 고정인 상태로 동작한다. 즉, 도 12에서와 같이 고정 정보를 넘겨 주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반면, 도 13에서는 특정 App 구동시 실제로 DPI를 재변경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물론, 도 13의 경우에도, 미리 지정된 특정 App 이외의 App이 구동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1340에서와 같은 DPI 재변경 처리는 일어나지 않는다.
상술한 단계 S1340에서의 DPI 재변경 처리는, 그 특정 App이 구동 요청되었을 때 이루어짐은 물론, 그 특정 App이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었다가 다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재전환되었을 때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단계 S1330 참조).
이후, 단계 S1350에서와 같이 그 특정 App이 구동 종료되거나 또는 구동 중이지만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다시 도킹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DPI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단계 S1355 참조). 또한 당연한 바이지만, 이후, 도킹 해제되는 경우(단계 S1360 참조), 휴대 단말의 DPI 값으로 복원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단계 S1370 참조).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DPI 변경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의 예외 처리 방안 2가지를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다른 예외 처리 방안이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도 12및 도 13은, 그 특정 App이 구동되는 경우 미리 DPI 값을 휴대 단말(100)의 DPI 값으로 변경(도 13의 경우)하거나 또는 고정 정보(도 12의 경우)를, 그 특정 App에 넘겨주는 방식을 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상의 방식 이외에도 보다 능동적인 예외 처리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킹 연결에 따른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동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경우 해당 특정 App이 해당 서버에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의 변경을 직접 그리고 즉시 통지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일 예로, 본 발명의 DPI 변경 방법의 적용에 따라 DPI 값에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즉, 도킹 연결되거나 또는 도킹 해제될 때마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84)가 그러한 DPI 변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그 특정 App 을 통해 혹은 해당 서버에 즉시 통지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해당 특정 App이 구동(즉, 그 특정 App과 관련된 서버에 접속)될 때 또는/및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될 때에 맞춰, 즉시 현재 셋팅된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에 따른 정보(즉, 현재 셋팅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그 특정 App을 통해 혹은 해당 서버에 올려주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3)

  1.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킹 분리에 따라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로서 현재 설정된 값을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될 화면 레이아웃(layout)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변경을 알리는 환경 설정 정보 변경 이벤트를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재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출력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입력을 받는 단계는
    상기 확인 입력을 제외한 상기 휴대 단말의 입력 신호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입력을 받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의 차단이 비제어되는 버튼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를 재출력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로서 현재 설정된 값을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으로 갱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와 현재 휴대 단말에 셋팅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가 일치함에 따라 재도킹 연결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갱신없이, 영상 데이터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킹 분리에 따라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을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을 반영하여 재구성된 화면 레이아웃에 따른 영상이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중 기설정된 값을 상기 획득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여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실행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갱신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될 화면 레이아웃(layout)을 구성할 수 있도록, ⅰ) 상기 실행 중이거나 상기 실행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변경을 알리는 환경 설정 정보 변경 이벤트의 전달, ⅱ)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재구동, ⅲ)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는, DPI(dots per inch), 화면 사이즈, 화면 출력 기본 방향, 화면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재구성된 화면 레이아웃에 따른 영상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재구성된 화면 레이아웃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화면 해상도 및 화면 사이즈 별로 적용 가능한 DPI 값이 미리 맵핑되어 있는 DPI 결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DPI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장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DPI 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기존에 포어그라운드로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획득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 종료시키는 단계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도킹 연결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내의 DPI 정보, 화면 사이즈 정보, 화면 출력 기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도록 갱신된 상태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도킹 연결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내의 DPI 정보, 화면 사이즈 정보, 화면 출력 기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도록 갱신된 상태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또는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정보로 재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연결 상태에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종료되거나 또는 백그라운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에서 DPI 정보, 화면 사이즈 정보, 화면 출력 기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내의 DPI 정보, 화면 사이즈 정보, 화면 출력 기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서버로 상기 변경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직접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변경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에 맞춰 또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될 때에 맞춰,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로서 현재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서버로 직접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현재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변경 방법.
  18.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휴대 단말은, 도킹 인터페이스부; 도킹 에이전트; 및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에이전트는,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도킹 분리에 따라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으로의 갱신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로서 현재 설정된 값을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으로 갱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될 화면 레이아웃(layout)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변경을 알리는 환경 설정 정보 변경 이벤트를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재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에이전트는,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출력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에이전트는,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 이후 상기 확인 입력을 받기 전까지, 상기 확인 입력을 제외한 상기 휴대 단말의 입력 신호가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에이전트는,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 이후 상기 확인 입력을 받기 전까지, 상기 입력 신호의 차단이 비제어되는 버튼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를 재출력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도킹 에이전트는,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와 현재 휴대 단말에 셋팅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가 일치함에 따라 재도킹 연결임을 판단하면,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갱신없이, 영상 데이터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을 받으면,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값으로의 갱신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도킹 에이전트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중 기설정된 값을 상기 획득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여 갱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실행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갱신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될 화면 레이아웃(layout)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ⅰ) 상기 실행 중이거나 상기 실행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변경을 알리는 환경 설정 정보 변경 이벤트의 전달, ⅱ)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재구동, ⅲ)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는, DPI(dots per inch), 화면 사이즈, 화면 출력 기본 방향, 화면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에이전트는, 화면 해상도 및 화면 사이즈 별로 적용 가능한 DPI 값이 미리 맵핑되어 있는 DPI 결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 상응하는 DPI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에이전트는,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재구성된 화면 레이아웃에 따른 영상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재구성된 화면 레이아웃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에이전트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장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DPI 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획득하고,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기존에 포어그라운드로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시키고, 획득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9. 제23항에 있어서,
    도킹 연결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내의 DPI 정보, 화면 사이즈 정보, 화면 출력 기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도록 갱신된 상태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도킹 연결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내의 DPI 정보, 화면 사이즈 정보, 화면 출력 기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도록 갱신된 상태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또는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정보로 재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상기 도킹 연결 상태에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종료되거나 또는 백그라운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에서 DPI 정보, 화면 사이즈 정보, 화면 출력 기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정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내의 DPI 정보, 화면 사이즈 정보, 화면 출력 기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서버로 상기 변경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직접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변경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에 맞춰 또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될 때에 맞춰, 상기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로서 현재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서버로 직접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현재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120059947A 2012-06-04 2012-06-04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KR101522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47A KR101522401B1 (ko) 2012-06-04 2012-06-04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47A KR101522401B1 (ko) 2012-06-04 2012-06-04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65A true KR20130136265A (ko) 2013-12-12
KR101522401B1 KR101522401B1 (ko) 2015-05-21

Family

ID=4998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947A KR101522401B1 (ko) 2012-06-04 2012-06-04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282A (ko) 2014-12-29 2016-07-08 김호철 화면 결합을 이용한 확장성을 갖는 스마트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8721B2 (ja) * 2016-11-22 2020-04-28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端末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1572B2 (ja) * 1994-09-12 1999-09-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画像データ変換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20041631A (ko) * 2000-11-28 2002-06-03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로부터 도킹 스테이션을 분리하는 방법
KR20110111828A (ko) *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케이엠알아이 다중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과 도킹 스테이션,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282A (ko) 2014-12-29 2016-07-08 김호철 화면 결합을 이용한 확장성을 갖는 스마트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401B1 (ko)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48087A2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US93799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and switching between components in a hybrid computing environment
AU20142633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22399B1 (ko)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US8949494B2 (en) User equipment connectable to an external device
US20130050122A1 (en) Controlling user equipment as touch pad for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KR10155459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11086635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US90029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between components in a hybrid environment
KR101277657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 사이의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KR20130003645A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 사이의 연결 수립 방법
US20130166789A1 (en) Controlling device setting based on device setting guide information
EP3993438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KR20130136265A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KR20130054971A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US201300213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ultimedia monitor
US11687484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48514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122882A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JP201305087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485156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08172A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의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KR20130071092A (ko)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도킹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설치 방법
KR101485155B1 (ko)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
TWI779273B (zh) 電子裝置與多螢幕顯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