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706A -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706A
KR20130135706A KR1020120102908A KR20120102908A KR20130135706A KR 20130135706 A KR20130135706 A KR 20130135706A KR 1020120102908 A KR1020120102908 A KR 1020120102908A KR 20120102908 A KR20120102908 A KR 20120102908A KR 20130135706 A KR20130135706 A KR 20130135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upplier
goods
client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115B1 (ko
Inventor
이건택
최순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라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라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라밴
Publication of KR2013013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3Inventor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정비에 관련된 물류업계인 공급사와 판매업체 및 지회 간의 물품거래를 서로 프로그램에 의해 연동하여 다자간 거래량 확인 및 결재가 용이하고 다자간의 수수료를 효과적으로 정산처리함을 제공하도록, 물류업 중인 지회가 복수의 판매업체에 연계하여 공급사로부터 물품이 공급될 수 있게 유통하는 과정에서 지회를 비롯하여 판매업체 및 공급사에서 각각 사용자에 의해 유통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온라인 유통전표기능을 수행하는 통합물류서버와, 상기 통합물류서버에 각각 사용자가 접속하여 유통전표기능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사용자가 이용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로그인하여 접속하면, 상기 통합물류서버에서 접속 여부를 확인한 다음 각 사용자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맞는 유통전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에 제공되는 유통전표기능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안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통합물류서버는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각각의 업무처리를 지원하는 구분된 메인화면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각각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처리모듈이 구성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Integration Material-Distribution System for Identifying}
본 발명은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정비에 관련된 물류업계인 공급사와 판매업체 및 지회 간의 물품거래를 서로 프로그램에 의해 연동하여 다자간 거래량 확인 및 결재가 용이하고 다자간의 수수료를 효과적으로 정산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수리하거나 정비하기 위해 여러 정비시설이 구축되는 차량정비업체에서는 차량을 수리 및 정비할 수 있도록 새롭게 교체하거나 보충해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부품(이하 물품이라 함)이 요구된다. 나아가 물품이 차량정비업체인 판매업체에 제공되기까지는 생산된 물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사로부터의 물류유통절차가 요구된다.
여기서 물류가 유통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판매업체로부터 발주가 이루어지면 납품업체인 공급사는 필요에 따라 발주요청된 물품을 운송수단을 이용해 납품하게 되고, 이는 판매업체에 물류별 또는 물품별로 입고된다.
그런데 종래의 물품에 대한 물류관리는 판매업체로부터 자체적으로 물품을 파악하는 등의 여러 제반 활동을 판매업체의 사용자가 스스로 계획하고 관리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고, 판매업체는 하나의 공급사를 대상으로만 거래가 이루어져 물품의 전반적인 선택의 폭을 좁히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판매업체의 사용자가 수시로 물품의 재고를 파악한 후 필요할 때마다 유선상으로 물품을 주문하기 때문에 주문절차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판매업체나 공급사의 사용자가 스스로 물류 전반적인 것을 처리하는 것이 아닌 다수의 판매업체와 공급사의 사이에 지회를 두고 물류와 관련된 제반절차를 일괄적으로 위탁하는 3자 전문 물류관련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물류사업을 하고 있는 지회가 실생활에서 물품을 유통하고 유통수량을 파악하기 위해 지회, 판매업체, 공급사가 각각 유통을 증명하는 3장의 전표 즉 삼매전표를 발행하여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삼매전표에 의한 유통절차를 살펴보면, 지회와 공급사 간에 공급사가 판매업체에 물건을 유통할 수 있는 계약을 체결한 후 판매분에 대한 수수료를 받고, 공급사는 계약에 따라 판매업체에 계약 물품을 공급하는 동시에 전표를 1부 발행하여 주고 그에 따른 발행전표 1부를 공급사가 소지한다. 이처럼 공급사는 판매업체에 물품을 공급하면서 발행한 전표를 모아서 지회에 제출함은 물론 판매업체도 공급사에서 받은 전표를 지회에 제출하고, 지회에서는 공급사와 판매업체에서 각각 제출받은 전표를 확인하여 수수료를 정산토록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물품에 대한 유통과정에서는 지회와 공급사 및 판매업체로부터 오프라인상에서 전표가 오고 가거나 보관하는 과정 중에 분실될 우려가 다분하고, 상호 전표를 발행하는 작업이 수기로 이뤄지는 바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가중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인 실정이며, 현재 오프라인상에서 진행되는 물류시스템에도 적용되어 판매업체와 공급사 간의 물품공급을 온라인상에서 처리하는 양자 간의 물류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양자 간의 물류시스템으로는 판매업체와 공급사의 사이에서 요구되는 물류서비스 요건을 지회로부터 충족하기 어려우며, 더불어 현재 활용되고 있는 물류시스템의 대부분이 공급, 조달, 판매 각 부문별로 독립적으로 구축되어 각 부문 사이의 연결이 어렵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효율성이 저하되어 거래량 확인 및 결재과정이 여전히 복잡함은 물론 명확한 수수료 정산이 곤란한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현재 다수의 판매업체 운영 및 관리를 최적화하여 극복하고자 하는 다자간 물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물류시스템에 관한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즉, 다수의 판매업체와 다수의 공급사 사이에서 판매업체가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공급사를 선택하여 물류업무를 요청하고, 공급사가 고객이 원하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입/출고 및 정산 등의 물류업무 전반을 지원하는 물류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수의 판매업체 및 공급사와 지회로 이루어진 다자간의 유통을 서로 연동하여 온라인 물류거래를 행하도록 물류시스템을 구축하므로 보다 쉽고 간단하게 물품을 거래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거래량의 확인 및 물품에 대한 입/출고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다자간의 물품거래에 따른 수수료를 정확하면서도 쉽게 정산할 수 있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판매업체와 관련하여 공급사로부터 직접 판매업체의 물품재고량을 확인한 후 발주 여부를 요구하도록 구성하므로 판매업체가 물품의 재고량을 안전하게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은 물류업 중인 지회가 복수의 판매업체에 연계하여 공급사로부터 물품이 공급될 수 있게 유통하는 과정에서 지회를 비롯하여 판매업체 및 공급사에서 각각 사용자에 의해 유통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온라인 유통전표기능을 수행하는 통합물류서버와, 상기 통합물류서버에 각각 사용자가 접속하여 유통전표기능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사용자가 이용하여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한 후 로그인하여 접속하면, 상기 통합물류서버에서 접속 여부를 확인한 다음 각 사용자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맞는 유통전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에 제공되는 유통전표기능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안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통합물류서버는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각각의 업무처리를 지원하는 구분된 메인화면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각각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처리모듈이 구성된다.
상기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의 각 상기 업무처리모듈에 따라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은 사용자가 상호 유통에 의해 진행되는 거래나 상품 및 업체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게 거래관리, 상품관리, 업체관리에 대한 유통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화면의 맨 위에 카테고리를 두도록 구성하고, 상기 카테고리별로 부수적인 정보항목을 두고 사용자의 원하는 정보만을 클릭하여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회의 업무처리모듈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의 카테고리에는 상기 지회에서 직접 물건을 구매하여 물류를 행할 수 있게 지회물류관리에 대한 카테고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카테고리별 부수적인 정보항목은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별로 구분되어 각각의 정보처리를 지원하는 구별된 정보항목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회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및 방문업체리스트, 상품정보 및 서비스신청정보, 공급사리스트 및 판매업체리스트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공급사나 판매업체로부터 상기 서비스신청정보에 신청요청이 들어오면 지회의 사용자가 서비스에 대한 사용 여부를 승인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급사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및 상품요청리스트, 조합원리스트 및 상품미달정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판매업체에 대한 상기 상품미달정보를 통해 공급사의 사용자가 판매업체의 재고를 관리하는 안전재고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판매업체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공급사리스트, 상품정보 및 상품미달정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공급사로부터 출고하여 판매업체에 입고확정된 물품으로부터 물품별 공급금액 및 총공급금액에 대한 매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매출조회화면을 지회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한다.
공급사로부터 출고하여 판매업체에 입고확정된 물품으로부터 물품별 공급금액 및 총공급금액과 수수료금액에 대한 매출정보를 각 판매업체의 지회별로 확인할 수 있는 매출조회화면을 공급사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공급사의 사용자가 지회별 총공급금액 및 수수료금액에 대해 매달 1회씩 정산처리할 수 있게 정산확정 버튼을 구성한다.
판매업체의 사용자가 물품을 매입하기 위해 공급사에 출고요청하기 전 물품을 조회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공급사마다 등록된 물품의 상세한 설명과 사진, 가격에 대한 물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물품목록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판매업체의 사용자는 물품목록화면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복수의 공급사로부터 등록된 물품 중 물품을 선택하여 출고전표를 작성하도록 구성한다.
판매업체의 업무처리모듈에 사용자가 입력한 물품의 입고요청사항과 공급사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물품의 입고요청사항을 각각 판매업체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판매업체의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판단하여 물품의 입고를 확정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다른 물류시스템의 프로그램을 기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업무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을 향해 전달할 수 있게 호환기능을 행하는 데이터호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마다 기저장된 다른 물류시스템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업무처리모듈에서 업무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상에 출력된 데이터를 불러들일 수 있게 데이터 변환기능을 행하는 데이터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에 의하면 물류거래의 유동관계를 갖는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간에 온라인 물류거래망을 행해지도록 구성하므로 보다 쉽고 간단하게 물품의 거래 및 거래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은 다자간 물품거래에 따른 물품거래금액과 수수료금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므로 공급금액 및 수수료 정산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은 여러 곳의 공급사로부터 실시간으로 물품에 대한 공급조건을 확인할 수 있어 원하는 물품을 최상의 조건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은 공급사에 연계하여 거래하는 다수의 판매업체의 상품미달정보를 확인한 후 발주 여부를 간접적으로 요구가능하고, 판매업체에서는 물품의 재고량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로그인 접속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메인화면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회의 업무처리모듈에서 실행된 카테고리의 정보항목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급사의 업무처리모듈에서 실행된 카테고리의 정보항목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판매업체의 업무처리모듈에서 실행된 카테고리의 정보항목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회의 정보항목 중 서비스신청조회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급사의 메인화면에서 상품미달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급사의 정보항목 중 판매업체를 향한 입고요청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급사의 정보항목 중 매출조회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판매업체의 정보항목 중 상품조회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판매업체의 정보항목 중 상품출고 전표작성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판매업체의 정보항목 중 입고요청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
본 발명은 물류업 중인 지회가 복수의 판매업체에 연계하여 공급사로부터 물품이 공급될 수 있게 유통하는 과정에서 지회를 비롯하여 판매업체 및 공급사에서 각각 사용자에 의해 유통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온라인 유통전표기능을 수행하는 통합물류서버와, 상기 통합물류서버에 각각 사용자가 접속하여 유통전표기능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사용자가 이용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로그인하여 접속하면, 상기 통합물류서버에서 접속 여부를 확인한 다음 각 사용자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맞는 유통전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에 제공되는 유통전표기능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안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통합물류서버는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각각의 업무처리를 지원하는 구분된 메인화면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각각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처리모듈이 구성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의 각 상기 업무처리모듈에 따라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은 사용자가 상호 유통에 의해 진행되는 거래나 상품 및 업체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게 거래관리, 상품관리, 업체관리에 대한 유통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화면의 맨 위에 카테고리를 두도록 구성하고, 상기 카테고리별로 부수적인 정보항목을 두고 사용자의 원하는 정보만을 클릭하여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회의 업무처리모듈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의 카테고리에는 상기 지회에서 직접 물건을 구매하여 물류를 행할 수 있게 지회물류관리에 대한 카테고리를 더 포함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테고리별 부수적인 정보항목은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별로 구분되어 각각의 정보처리를 지원하는 구별된 정보항목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회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및 방문업체리스트, 상품정보 및 서비스신청정보, 공급사리스트 및 판매업체리스트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공급사나 판매업체로부터 상기 서비스신청정보에 신청요청이 들어오면 지회의 사용자가 서비스에 대한 사용 여부를 승인하도록 구성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사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및 상품요청리스트, 조합원리스트 및 상품미달정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판매업체에 대한 상기 상품미달정보를 통해 공급사의 사용자가 판매업체의 재고를 관리하는 안전재고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매업체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공급사리스트, 상품정보 및 상품미달정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급사로부터 출고하여 판매업체에 입고확정된 물품으로부터 물품별 공급금액 및 총공급금액에 대한 매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매출조회화면을 지회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급사로부터 출고하여 판매업체에 입고확정된 물품으로부터 물품별 공급금액 및 총공급금액과 수수료금액에 대한 매출정보를 각 판매업체의 지회별로 확인할 수 있는 매출조회화면을 공급사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공급사의 사용자가 지회별 총공급금액 및 수수료금액에 대해 매달 1회씩 정산처리할 수 있게 정산확정 버튼을 구성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매업체의 사용자가 물품을 매입하기 위해 공급사에 출고요청하기 전 물품을 조회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공급사마다 등록된 물품의 상세한 설명과 사진, 가격에 대한 물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물품목록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판매업체의 사용자는 물품목록화면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복수의 공급사로부터 등록된 물품 중 물품을 선택하여 출고전표를 작성하도록 구성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매업체의 업무처리모듈에 사용자가 입력한 물품의 입고요청사항과 공급사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물품의 입고요청사항을 각각 판매업체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판매업체의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판단하여 물품의 입고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다른 물류시스템의 프로그램을 기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업무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을 향해 전달할 수 있게 호환기능을 행하는 데이터호환부를 더 포함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마다 기저장된 다른 물류시스템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업무처리모듈에서 업무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상에 출력된 데이터를 불러들일 수 있게 데이터 변환기능을 행하는 데이터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라인 유통전표기능을 수행하는 통합물류서버(10)와, 상기 통합물류서버(10)에 접속하여 유통전표기능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합물류서버(10)는 물류업 중인 지회를 비롯하여 판매업체 및 공급사에서 각각 사용자에 의해 유통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온라인상에 연결하게 구성된다. 즉, 물류업 중인 지회가 복수의 판매업체에 연계하여 공급사로부터 물품이 공급될 수 있게 유통하는 과정에서 상호 간에 다양한 유통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는 지회, 판매업체, 공급사마다 각각 구성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에 각각 사용자가 상기 통합물류서버(10)에 접촉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통합물류서버(10)는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를 이용하여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한 후 로그인하여 접속하면, 상기 통합물류서버(10)에서 접속 여부를 확인한 다음 각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컴퓨터(20)에 맞는 유통전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상기 통합물류서버(10)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통합물류서버(10)에 로그인 접속할 수 있는 화면을 해당 클라이언트 컴퓨터(20)로 제공한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컴퓨터(20)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물류서버(10)와 접속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행하면, 상기 통합물류서버(10)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기존 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기존 회원인 것이 확인되면 유통전표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에 제공한다.
상기 통합물류서버(10)는 플랫폼에 자바(JAVA)언어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합물류서버(10)는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의 화면에 제공되는 유통전표기능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화면상에 나타나는 유통전표기능과 관련된 각 페이지의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페이지에 나타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에서 자바(JAVA)는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바언어와, 상기 자바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밍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자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주기 위한 자바 가상머신(JAVA Virtual Machine) 등을 가리키는 자바 플랫폼(Platform)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합물류서버(10)에서는 자바 프로그램 내에서 데이터베이스 질의문을 실행하기 위한 자바 API인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한 클라이언트 컴퓨터(20)의 기종이나 소프트웨어에 관계없이 하나의 프로그램이 어디에서나 동작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통합물류서버(10)는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각각의 업무처리를 지원하는 구분된 메인화면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에 각각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처리모듈(도면에 미도시)이 구성된다.
상기에서 업무처리모듈은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별로 상기 통합물류서버(10)에 각각 구분된 플랫폼을 실행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합물류서버(10)에 지회의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어 로그인 접속하면, 그에 상응하는 구분된 웹페이지나 선택항목을 상기 업무처리모듈로부터 실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로그인 접속에 의해 제공되는 메인화면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사용자의 주요정보를 제공하되 복수의 목록별로 일정한 표에 최근 일자순으로 업데이트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의 화면에 나타나도록 제공한다.
상기 업무처리모듈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은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에 대한 각 사용자별로 다른 목록을 생성시킨다.
상기에서 지회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및 방문업체리스트, 상품정보 및 서비스신청정보, 공급사리스트 및 판매업체리스트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에서 공급사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및 상품요청리스트, 조합원리스트 및 상품미달정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또 상기에서 판매업체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공급사리스트, 상품정보 및 상품미달정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상기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의 각 상기 업무처리모듈에 따라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은 사용자가 상호 유통에 의해 진행되는 거래나 상품 및 업체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게 카테고리를 두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카테고리로는 화면의 맨 윗부분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고, 큰 범주로는 거래관리와 상품관리 및 업체관리에 대한 유통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회의 업무처리모듈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의 카테고리에는 상기 지회에서 직접 물건을 구매하여 물류를 행할 수 있게 지회물류관리에 대한 카테고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지회의 카테고리 상에 지회물류관리에 대한 유통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지회에서 공급사 및 판매업체에 대한 물류관리뿐만 아니라 지회가 자체적으로 직접 물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테고리별로는 보다 작은 범주를 갖는 부수적인 정보항목을 두고 사용자의 원하는 정보만을 클릭하여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카테고리별 부수적인 정보항목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별로 구분되어 각각의 정보처리를 지원하는 구별된 정보항목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회의 카테고리별 부수적인 정보항목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래관리에 지회매출조회 항목, 판매수수료조회 항목, 판매업체 매출순위 항목, 상품별 매출통계 항목, 업체별 매출통계 항목을 구분하여 제공될 수 있게 구비하고, 상품관리에 상품조회 항목을 구비하되 공급사와 판매업체 및 연합회 개개의 상품조회 항목을 구비하며, 업체관리에 업체조회 항목, 서비스신청조회 항목, 지회정보 항목이 구분되어 제공할 수 있게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지회의 카테고리 중 지회물류관리에는 지회상품관리 항목, 상품매입 항목, 상품판매 항목, 재고현황 항목, 재고조정조회 항목이 구분되어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급사의 카테고리별 부수적인 정보항목으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래관리에 입고요청조회 항목, 상품입고/회수 항목, 상품출고 항목, 매출조회 항목, 미수조회 항목, 상품별 매출통계 항목, 업체별 매출통계 항목에 대한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될 수 있게 구비하고, 상품관리에 상품관리 항목, 재고현황 항목, 재고조정 항목을 구비하며, 업체관리에 지회조회 항목, 업체조회 항목, 나의 정보 항목이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게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매업체의 카테고리별 부수적인 정보항목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래관리에 입고요청 항목, 상품출고 항목, 매입조회 항목, 미불조회 항목, 매입통계 항목에 대한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제공될 수 있게 구비하고, 상품관리에 상품조회 항목, 재고조정 항목을 구비하며, 업체관리에 나의 정보 항목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지회는 공급사나 판매업체로부터 상기 서비스신청정보에 신청요청이 들어오면 지회의 사용자가 서비스에 대한 사용 여부를 승인하도록 구성한다. 즉, 도 7에서처럼 공급사와 판매업체는 각각 지회에 서비스신청을 요청하는 절차를 통하고, 지회에서 서비스신청정보를 확인한 후 승인하는 절차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지회의 매출조회 항목은 공급사와 판매업체 간의 매출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급사로부터 출고하여 판매업체에 입고확정된 물품으로부터 물품별 공급금액 및 총공급금액에 대한 매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매출조회화면을 지회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에 제공한다.
상기에서 공급사는 여러 판매업체의 재고를 관리하도록 안전재고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공급사는 도 8에서처럼 메인화면에 제공되는 항목 중 각 판매업체에 대한 상품미달정보 항목을 통해 판매업체의 재고를 파악하고, 공급자의 사용자가 도 9에서처럼 상품입고/회수 항목에서의 입고버튼을 클릭하므로 해당 판매업체에 입고요청 내역서를 작성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공급사의 매출조회 항목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출정보를 각 판매업체가 해당되는 지회별로 확인할 수 있게 매출조회화면을 공급사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에 제공한다. 즉, 공급사로부터 출고하여 판매업체에 입고확정된 물품으로부터 물품별 공급금액 및 총공급금액과 함께 수수료금액에 대한 매출정보를 각 판매업체의 지회별로 확인할 수 있게 매출조회화면을 공급사의 클라이언트 컴퓨터(20)에 제공한다.
상기에서 공급사의 매출조회 항목에서는 지회별 합산처리된 총공급금액 및 수수료금액에 대해 정산처리할 수 있게 정산확정 버튼을 구성한다.
상기 정산확정 버튼은 해당 월에 한 번만 가능하게 구성하여 매달 1회씩 정산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매업체의 사용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품조회 항목을 통해 공급사 별로 제공되는 물품의 목록으로부터 각 목록별 물품의 상세한 내용을 개별로 확인할 수 있는 물품목록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에 제공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판매업체의 사용자가 물품을 매입하기 위해 공급사에 출고요청하기 전 상품조회 항목에서 물품을 조회하는 경우에는 물품을 클릭하여 복수의 공급사마다 등록된 물품의 상세한 설명과 사진, 가격에 대한 물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물품목록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판매업체의 사용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품조회 항목의 물품목록화면에서 물품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품출고 항목에서 출고버튼을 클릭한 후 복수의 공급사로부터 등록된 물품 중 물품을 선택하여 출고전표를 작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품조회 항목에서 확인한 물품의 공급사를 조회한 후 등록된 물품 중에 해당 물품을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출고전표를 작성하므로 상품출고를 요청한다.
상기 판매업체의 업무처리모듈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물품의 입고요청사항과 공급사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물품의 입고요청사항을 각각 판매업체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에 제공하여 판단하고, 도 13에서처럼 판매업체의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판단하여 물품의 입고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로부터 다른 물류시스템의 프로그램을 기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호 간에 물류 데이터를 호환할 수 있는 데이터호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데이터호환부는 상기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업무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을 향해 전달할 수 있게 호환기능을 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에 다른 물류시스템인 하이웨이(카센터 종합관리시스템)나 오토7(정비공장 종합관리시스템)이 기저장된 상태로 계속해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통합 물류시스템의 업무처리모듈을 통해 매입확인 등의 업무처리를 수행할 경우 자동으로 그 데이터가 다른 물류시스템인 하이웨이와 오토7에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호환부를 구성하게 되면, 다른 물류시스템에서 업무처리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입력되어 보다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마다 기저장된 다른 물류시스템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업무처리모듈에서 업무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상에 출력된 데이터를 불러들일 수 있게 데이터 변환기능을 행하는 데이터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데이터변환부는 다른 물류시스템에 서로 연동하여 데이터를 전달가능하게 변환시키되 수동설정에 의해 변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변환부는 하드웨어적이 아닌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데이터변환부에 의해 실행시킬 수 있게 설정된 아이콘 등을 클릭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업무처리모듈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물류시스템의 데이터로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에 의하면, 물류거래의 유동관계를 갖는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간에 온라인 물류거래망을 행해지도록 구성하므로 보다 쉽고 간단하게 물품의 거래 및 거래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자간 물품거래에 따른 물품거래금액과 수수료금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므로 공급금액 및 수수료 정산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곳의 공급사로부터 실시간으로 물품에 대한 공급조건을 확인할 수 있어 원하는 물품을 최상의 조건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공급사에 연계하여 거래하는 다수의 판매업체의 상품미달정보를 확인한 후 발주 여부를 간접적으로 요구가능하고, 판매업체에서는 물품의 재고량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통합물류서버 20 : 클라이언트 컴퓨터

Claims (13)

  1. 물류업 중인 지회가 복수의 판매업체에 연계하여 공급사로부터 물품이 공급될 수 있게 유통하는 과정에서 지회를 비롯하여 판매업체 및 공급사에서 각각 사용자에 의해 유통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온라인 유통전표기능을 수행하는 통합물류서버와, 상기 통합물류서버에 각각 사용자가 접속하여 유통전표기능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사용자가 이용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로그인하여 접속하면, 상기 통합물류서버에서 접속 여부를 확인한 다음 각 사용자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맞는 유통전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에 제공되는 유통전표기능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안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통합물류서버는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각각의 업무처리를 지원하는 구분된 메인화면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각각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처리모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의 각 상기 업무처리모듈에 따라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은 사용자가 상호 유통에 의해 진행되는 거래나 상품 및 업체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게 거래관리, 상품관리, 업체관리에 대한 유통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화면의 맨 위에 카테고리를 두도록 구성하고,
    상기 카테고리별로 부수적인 정보항목을 두고 사용자의 원하는 정보만을 클릭하여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회의 업무처리모듈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의 카테고리에는 상기 지회에서 직접 물건을 구매하여 물류를 행할 수 있게 지회물류관리에 대한 카테고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별 부수적인 정보항목은 지회, 공급사, 판매업체 별로 구분되어 각각의 정보처리를 지원하는 구별된 정보항목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회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및 방문업체리스트, 상품정보 및 서비스신청정보, 공급사리스트 및 판매업체리스트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공급사나 판매업체로부터 상기 서비스신청정보에 신청요청이 들어오면 지회의 사용자가 서비스에 대한 사용 여부를 승인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사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및 상품요청리스트, 조합원리스트 및 상품미달정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판매업체에 대한 상기 상품미달정보를 통해 공급사의 사용자가 판매업체의 재고를 관리하는 안전재고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매업체의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실행되는 메인화면에는 매달 상품입고리스트, 공급사리스트, 상품정보 및 상품미달정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급사로부터 출고하여 판매업체에 입고확정된 물품으로부터 물품별 공급금액 및 총공급금액에 대한 매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매출조회화면을 지회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급사로부터 출고하여 판매업체에 입고확정된 물품으로부터 물품별 공급금액 및 총공급금액과 수수료금액에 대한 매출정보를 각 판매업체의 지회별로 확인할 수 있는 매출조회화면을 공급사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공급사의 사용자가 지회별 총공급금액 및 수수료금액에 대해 매달 1회씩 정산처리할 수 있게 정산확정 버튼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판매업체의 사용자가 물품을 매입하기 위해 공급사에 출고요청하기 전 물품을 조회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공급사마다 등록된 물품의 상세한 설명과 사진, 가격에 대한 물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물품목록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판매업체의 사용자는 물품목록화면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복수의 공급사로부터 등록된 물품 중 물품을 선택하여 출고전표를 작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판매업체의 업무처리모듈에 사용자가 입력한 물품의 입고요청사항과 공급사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물품의 입고요청사항을 각각 판매업체의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판매업체의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판단하여 물품의 입고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다른 물류시스템의 프로그램을 기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업무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을 향해 전달할 수 있게 호환기능을 행하는 데이터호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마다 기저장된 다른 물류시스템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업무처리모듈에서 업무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상에 출력된 데이터를 불러들일 수 있게 데이터 변환기능을 행하는 데이터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KR1020120102908A 2012-06-01 2012-09-17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KR101429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9422 2012-06-01
KR1020120059422 2012-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706A true KR20130135706A (ko) 2013-12-11
KR101429115B1 KR101429115B1 (ko) 2014-08-12

Family

ID=4998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908A KR101429115B1 (ko) 2012-06-01 2012-09-17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030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스페이스리버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543A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출고 상품 정보 파악 및 정보제공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90111235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버즈온라인 다자간 교환거래의 교환거래균형관리와 신용채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272B1 (ko) * 2008-08-12 2009-04-27 (주) 아프로 유통망 전반의 물류 정보 흐름 관리 시스템
US9047282B2 (en) * 2010-03-11 2015-06-02 Ricoh Company, Ltd. Document management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configured to provide user interface customized for specific u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030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스페이스리버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115B1 (ko)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3195B2 (en) System for purchase management and for facilitating distribution
US7346562B2 (en) System for placing orders using customer-specific electronic catalog
KR102244568B1 (ko) 수요 공급 예측을 통한 물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8108942A (zh) 一种企业互联网采购综合管理云服务系统
US20050010491A1 (en) Consolidated procure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80300959A1 (en) Enterprise application procurement system
KR102385853B1 (ko)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KR101384769B1 (ko) 판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RU2642378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осуществления закупок и продаж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терактивной облачной системы
CN104584040A (zh) 交易管理系统和交易管理程序
KR20230150909A (ko) 이알피 연계형 전자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29115B1 (ko)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CN109146614B (zh) 一种基于小程序的商城数据处理方法及系统
KR20120052792A (ko) 판매물품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판매통합관리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JP2011141693A (ja) 業務支援システム、業務支援方法及び業務支援プログラム
KR20150121347A (ko) 배송업체 중심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870938B1 (ko) 사업자 전용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US20040254854A1 (en) Purcha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787423B1 (ko) 통합구매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전자구매시스템의 제어방법
US20050177468A1 (en) Request for quote system and method
KR102358790B1 (ko) 기업운영 보조를 위한 맞춤형 인공지능 총무 서비스 제공 방법
US8032408B2 (en) Contract association method and system
JP2008123286A (ja) 決済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10081690A (ko) 기업특성에 기반한 mro 상품 추천 및 수요 예측에 따른 자재소요계획 시스템 제공방법
KR20020003772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부품 구매대행업 전자상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