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680A - 쌀 세정도구 - Google Patents

쌀 세정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680A
KR20130135680A KR1020120059469A KR20120059469A KR20130135680A KR 20130135680 A KR20130135680 A KR 20130135680A KR 1020120059469 A KR1020120059469 A KR 1020120059469A KR 20120059469 A KR20120059469 A KR 20120059469A KR 20130135680 A KR20130135680 A KR 20130135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shing
handle
washing unit
concav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485B1 (ko
Inventor
장호두
Original Assignee
장호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두 filed Critical 장호두
Priority to KR102012005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48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쌀함박에 물과 쌀이 혼합된 상태에서 쌀함박의 쌀을 세척부(30)의 오목면(32)으로 문질러서 포합되도록 한 쌀과 쌀함박의 바탕 쌀이 세척부(30)의 오목면(32)으로 문지르기를 반복할 때에 쌀과 쌀이 서로 맞 비벼지도록 함으로써 쌀이 잘 닦일 수 있도록 하는 쌀 세정도구에 관한 것으로 압착력을 지탱할 수 있는 오목판(32)이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목판(32)에 물구멍(36)이 다수개 형성되며 오목면(32)에는 돌기(34)가 있도록 하여 형성된 세척부(30); 또한 세척부(30)의 둘레에는 연질로 된 테두리(38)가 덧대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세척부(30)의 볼록한 면에서 문지르기에 편리한 소정의 각도를 갖추고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된 손잡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손잡이(40)를 볼록한 면에서 연장되게 하되 쌀알이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연장되는 부분이 만곡지도록 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쌀 씻기가 편리하면서도 맞 비벼지게 하여 잘 닦일 수 있도록 하는 쌀 세정도구이다.

Description

쌀 세정도구{rice washing tool}
쌀 씻는 세정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가 부착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세척판을 이용하여 쌀함박의 쌀을 세척판의 오목면으로 압착하여 문지르기를 반복할 때에 오목면의 쌀과 쌀함박의 쌀이 서로 맞 비벼지도록 함으로써 쌀이 잘 닦일 수 있도록 하는 쌀 세정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식당에서 밥짓기를 할 때마다 쌀함박에 쌀 씻기를 자주 함에 있어서 주로 손으로 쌀과 물이 혼합된 상태에서 쌀을 문질러 쌀 씻기를 함으로 손의 피부손상 및 손의 미용에도 문제점이 있었다.특히 겨울철 냉수로 쌀 씻기를 할 경우 손이 차가워 온수로 쌀 씻기를 할 경우 온수에 의해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흔히 주방에서 사용되는 주걱 국자 거품기 등으로 물과 쌀이 혼합된 상태에서 쌀을 뒤적거리거나 휘저어 씻게 되므로 쌀이 쉽게 씻어지지 않아 여러 번 씻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부착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세척판을 이용하여 쌀함박에 물과 쌀이 혼합된 상태에서 쌀함박의 쌀을 세척판의 오목면으로 문질러서 오목면에 포합되도록 한 쌀과 쌀함박의 쌀이 서로 맞 비벼지도록 함으로써 쌀이 잘 닦일 수 있도록 하는 쌀 세정도구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잡이(40)가 부착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세척판(30)을 이용하여 쌀함박에 물과 쌀이 혼합된 상태에서 세척판(30)의 오목면(32)으로 쌀함박의 쌀을 문질러서 오목면(32)에 포합되도록 한 쌀과 쌀함박의 바탕 쌀을 오목면(32)으로 압착하여 문지르기를 반복할 때에 쌀과 쌀이 서로 맞 비벼지도록 함으로써 쌀이 잘 닦일 수 있도록 하는 쌀 세정도구에 관한 것으로
세척판(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압착력을 지탱할 수 있는 오목판(32)이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목판(32)에 물구멍(36)이 다수개 형성되며 오목면(32)에는 돌기(34)가 있도록 하여 형성된 세척부;
또한 세척부(30)의 둘레에는 연질로 된 테두리(38)가 덧대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손잡이(4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30)을 평면으로 하여 세척부(30)의 볼록한 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추고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된 손잡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연장되도록 하되 세척부(30)의 볼록한 면과 손잡이(40)가 연장되는 부분이 만곡지도록 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쌀함박에 물과 쌀이 혼합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쌀함박의 쌀을 세척부의 오목면으로 문질러서 오목면에 포합되도록 한 쌀과 쌀함박의 바탕 쌀을 세척부로 압착하여 문지르기를 반복할 때에 쌀과 쌀이 맞 비벼지도록 하여 쌀이 잘 닦이도록 할 수 있으며 손으로 문질러 씻는 것보다 더 편리하며 손도 보호할 수 있으며 겨울철 온수를 대신하여 찬물로 쌀 씻기를 할 경우 온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쌀 세정도구의 물구멍과 돌기를 보인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쌀 세정도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쌀 세정도구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쌀 세정도구의 물구멍과 돌기를 보인 배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쌀 세정도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쌀 세정도구의 볼록한 면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정도구는 쌀함박에 물과 쌀이 혼합된 상태에서 쌀함박의 쌀을 세척부(30)의 오목면(32)으로 문질러서 오목면(32)에 포합되도록 한 쌀과 포합되지 않은 쌀함박의 바탕 쌀을 세척부(30)의 오목면(32)으로 압착하여 문지르기를 반복할 때에 쌀과 쌀이 서로 맞 비벼지도록 함으로써 쌀이 잘 닦일 수 있도록 하는 쌀 세척도구에 관한 것으로
세척부(30)을 구성함에 있어서
압착력을 지탱할 수 있는 오목판(32)이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물이 오목판(32)을 넘나들 수 있도록 오목판(32)에 물구멍(36)이 다수개 형성되며 오목면(32)에서도 쌀이 비벼지도록 오목면(32)에는 돌기(34)가 있도록 하여 세척부(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척부(30)의 둘레에는 연질로 된 테두리(38)가 덧대어지도록 하여 쌀함박과 세척부(30)가 맞부딪칠 때에 낟 쌀알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4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30)의 볼록한 면에서 세척부(30)을 쌀함박의 제한된 내부공간에서 압착하여 문지르기가 편리할 수 있도록 세척부(30)를 평면에 놓고 볼록한 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추고 연장되도록 하여 손잡이(4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연장되도록 하되 쌀알이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세척부(30)의 볼록한 면과 손잡이(40)가 연장되는 부분이 만곡지게 연장되도록 하여 손잡이(40)를 형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척부(30)을 구성함에 있어서
세척부(30)의 형상은 쌀함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흔히 사용되는 쌀함박이 둥근 형상이므로 환형으로 하며 세척부(30)의 넓이는 쌀함박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왕복하여 문지를 수 있고 손의 힘으로 압착하여 문지르기를 함으로 손바닥 넓이를 내외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그리고 세척부(30)의 오목면(32)의 깊이를 깊게 하면 오목면(32)에 포합된 쌀은 뒤섞이지 않으며 오목면(32)의 깊이를 낮게 하면 쌀함박의 쌀을 세척부(30)가 포합할 수 없어 맞 비벼지게 할 수 없으므로 오그린 손바닥 깊이를 기준으로 하여 오목면(32)의 깊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세척부(30)의 오목면(32)에서도 쌀이 비벼질 수 있도록 오목면(32)에도 돌기(34)가 있도록 형성함에 있어서 모래판 돌기(34)나 점 돌기(34)로 하여 쌀알 크기보다 작게 하여 오목면(32)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쌀함박에 물과 쌀이 혼합된 상태에서 세척부(30)로 문지르기를 반복할 때에 물이 세척부(30)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도록 오목판(32)에 물구멍(36)을 뚫을 때 쌀알이 물구멍(36)에 끼이지 않도록 쌀알보다 작게 하거나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물구멍(36)에 쌀알이 올라앉는 경우가 있으므로 쌀알보다 큰 물구멍(36)으로 하여 작업종료 시에도 쌀 세정도구에 쌀알이 붙어서 쌀함박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쌀알보다 굵게 뚫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또한 쌀함박과 세척부(30)의 둘레가 맞부딪칠 때에 낟 쌀알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세척부(30)의 둘레에 연질로 된 테두리(38)가 덧대어지도록 함에 있어서 세척부(30)의 오목한 형상이 연장되는 상태로 하여 쌀알이 쉽게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손잡이(40)를 구성함에 있어서
쌀함박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반복하여 문지르기가 편리하도록 세척부(30)를 평면으로 하여 볼록한 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추고 압착력을 지탱할 수 있는 상태로 연장되도록 하여 손잡이(40)가 형성된다.
그리고 또한 손잡이(40)를 상기와 같이 연장되게 하되 쌀알이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세척부(30)의 볼록한 면과 손잡이(40)가 연장되는 부분이 만곡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본 발명으로 구성된 쌀 세정도구로 쌀이 맞 비벼지도록 하여 쌀이 잘 닦이게 할 수 있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쌀함박에 쌀과 물이 혼합된 상태에서 세척부(30)로 쌀을 압착하여 문지르기를 반복할 때에 세척부(30)의 물구멍(36)으로 물이 넘나들도록 하여 문지르기를 반복할 때에 세척부(30)의 물 파도에 의하여 쌀알이 밀려나가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오목면(32)에 쌀이 포합이 잘되며 그리고 세척부(30)에서 물이 밀려나간 상태에서 쌀이 더 잘 맞 비벼지도록 할 수 있으며 세척부(30) 오목면(32)의 돌기(34)와 맞닿은 쌀도 돌기(34)로 인하여 비벼질 수 있으며 또한 세척부(30) 둘레에 연질로 된 테두리(38)가 덧대어있도록 함으로써 쌀함박과 세척부(30)가 맞부딪쳐도 낟 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쌀함박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세척부(30)을 반복하여 편리하게 문지를 수 있도록 세척부(30)와 소정의 각도를 갖추고 볼록한 면에서 손잡이(40)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 압착하여 반복적으로 문지르기도 쉽고 또한 연장되는 부분이 만곡지게 하여 손잡이(40)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쌀 씻기를 종료할 때에 쌀알이 쌀 세정도구에서 물에 쉽게 씻겨 내릴 수 있게 하여 쌀알이 쌀함박 밖으로 붙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척부(30)의 볼록한 면과 쌀알보다 큰 물구멍(36)도 쌀알이 세정도구에서 붙어 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작업종료가 편리하며 손잡이(40)를 잡고 세척부(30)로 쌀을 뒤집거나 휘저어 쌀에 섞여있는 이물질이나 부유물질을 확인할 수 있고 쌀 씻기를 함에 있어서 손잡이(40)를 잡고 세척부(30)의 오목면(32)으로 쌀함박의 쌀을 압착하여 문지르면 오목면(32)에 쌀이 포합되며 포합되도록 한 쌀과 쌀함박의 바탕 쌀이 세척부(30)의 오목면(32)으로 문지르는 동작을 반복할 때에 쌀과 쌀이 서로 맞 비벼지도록 하여 쌀 닦기가 편리하면서도 쌀이 잘 닦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30:세척부:세척판 32:오목면:오목판
34:돌기 36:물구멍
38:연질의 테두리 40:손잡이

Claims (3)

  1. 쌀함박에 물과 쌀이 혼합된 상태에서 손잡이(40)를 잡고 세척부(30)의 오목면(32)으로 쌀합박의 쌀을 문질러서 오목면(32)에 포합되도록 한 쌀과 쌀함박의 바탕 쌀이 문지르기를 반복할 때에 쌀과 쌀이 서로 맞 비벼지도록 함으로써 쌀이 잘 닦일 수 있도록 하는 쌀 세정도구에 관한 것으로,
    세척부(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압착력을 지탱할 수 있는 오목판(32)이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목판(32)에는 물구멍(36)이 다수개 형성되며, 오목면(32)에는 돌기(34)가 있도록 하여 형성된 세척부(30);
    손잡이(4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30)를 평면으로 하여 세척부의 볼록한 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추고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된 손잡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정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부(30)의 둘레에는 연질로 된 테두리(38)가 덧대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정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손잡이(40)를 상기와 같이 연장되도록 하되 세척부(30)의 볼록한 면과 손잡이(40)가 연장되는 부분이 만곡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정도구.
KR1020120059469A 2012-06-01 2012-06-01 쌀 세정도구 KR10134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469A KR101348485B1 (ko) 2012-06-01 2012-06-01 쌀 세정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469A KR101348485B1 (ko) 2012-06-01 2012-06-01 쌀 세정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680A true KR20130135680A (ko) 2013-12-11
KR101348485B1 KR101348485B1 (ko) 2014-01-07

Family

ID=4998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469A KR101348485B1 (ko) 2012-06-01 2012-06-01 쌀 세정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15Y1 (ko) * 2014-04-21 2015-07-09 박민식 난류(亂流)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073Y1 (ko) * 1979-08-16 1980-07-16 김남오 곡물 세척구
KR20010087484A (ko) * 2000-03-07 2001-09-21 조이순 쌀 세정장치
KR20080000470U (ko) * 2006-10-11 2008-04-16 조이순 쌀 세정 도구
KR200438087Y1 (ko) 2006-10-13 2008-01-21 조이순 가정용 쌀 세정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485B1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764B2 (en) Mat device for cleaning cosmetic brushes
US9924790B2 (en) Reversible device for cleaning cosmetic brushes
US20170181602A1 (en) Implement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52629Y1 (ko) 목욕용 장갑
KR101348485B1 (ko) 쌀 세정도구
AU2015221549B2 (en) Mat device for cleaning cosmetic brushes
AU2015221550B2 (en) Reversible device for cleaning cosmetic brushes
JP2010088840A (ja) 洗濯用具
KR200383513Y1 (ko) 핸디형 다목적 초음파 세정기
US20150230512A1 (en) Food Cleaning Device
JP2014136142A (ja) 手を濡らさず割れ米や糠を取り除く米とぎ器
CN201454719U (zh) 方便搓澡按摩的淋浴喷头
CN109832782A (zh) 简易清洁刷
KR200495948Y1 (ko) 손톱 세척솔
TWM445949U (zh) 多功能之蓮蓬頭
CN202288068U (zh) 搓背按摩器
CN202636726U (zh) 一种淘米装置
KR20160138327A (ko) 전동 식기 세척기
JP3213772U (ja) 米研ぎ洗米具
JP2002177049A (ja) 用途によってブラシやスポンジ等の付け替えができる多目的充電式電動洗浄器
KR200386803Y1 (ko) 휴대용 안마기 겸용 때밀이
KR101344106B1 (ko) 페이스 클리너
KR20160134304A (ko) 다기능 주방용 세척 주걱
JP2001258769A (ja) 米洗浄器具
KR20220065963A (ko) 샤워기 결합 전동 두피 마사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