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15Y1 - 난류(亂流)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난류(亂流)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15Y1
KR200477615Y1 KR2020140003189U KR20140003189U KR200477615Y1 KR 200477615 Y1 KR200477615 Y1 KR 200477615Y1 KR 2020140003189 U KR2020140003189 U KR 2020140003189U KR 20140003189 U KR20140003189 U KR 20140003189U KR 200477615 Y1 KR200477615 Y1 KR 200477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ce
washing
protrusion
turbul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식
Original Assignee
박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식 filed Critical 박민식
Priority to KR2020140003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난류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는 바닥면에서 벽면까지 이어진 난류 발생을 위한 물살돌기가 '활'형상을 갖고, 그 길이가 다르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물살돌기와 함께 하우징, 배수구,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세척용기와 빗살형태로 이루어진 세척주걱이 난류생성리브와 통공부가 교차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쌀 세척 어셈블리는 다수의 물살돌기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고, 시계방향의 회전물살이 발생하게끔 회어진 '활'의 형상의 물살돌기를 바닥면에 구비하고, 벽면까지 이어지게 물살돌기를 구비하여 전체 회전 물살의 승하강을 유도하여, 상기와 같은 특성들로 인해 형성된 복수의 난류들을 중첩시켜 소용돌이 형태의 중첩난류를 통해 쌀알을 회전시키거나 중첩 타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쌀알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추가로 직경이 좁아지는 배출공을 구비하여 '병목현상'을 이용하여 적당한 양의 물과 함께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하고, 나아가 배출공의 내측벽에 부딪혀 상승하는 상승난류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난류들과 함께 쌀알의 회전, 중첩 타격을 투가로 더하여 쌀 세척 효과를 배가하고,
중앙이 움푹하게 파인 리세스(recess)를 갖는 세척주걱을 도입하여 통공부를 유량이 적은 제1통공부와 유량이 많은 제2통공부로 나누어 이에 따른 속도차이에 의한 상승수류로 세척주걱 몸체에 가해지는 중앙부분의 저항력을 줄여주어 '유선형 구조'와 같이 물살을 가르기에 좋은 형태의 수류를 형성하기에 회전수류를 생성하기 위해 물 속에서 세척주걱을 움직일 때, 보다 적은 힘으로 쉽게 움직일 수 있게끔 해주되,
상기와 같은 효과들을 위한 세척용기와 거치홈을 구비한 세척주걱을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한다.

Description

난류(亂流)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Washing Assembly for rice}
본 고안은 난류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바닥면과 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물살돌기를 통해 소용돌이 형태의 중첩난류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바닥면에 추가로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세척 도중 이물질과 함께 물을 배출함과 동시에 상승난류를 형성하여 쌀 세척의 효율성을 높이는 쌀 세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쌀, 콩 등의 곡물을 세척할 때, 바가지형태의 일반 용기에 세척대상물을 담아 놓고 일정량의 물을 담아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데,
쌀, 곡물, 과일 등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수차례 반복할 필요가 있어 세척대상물을 세척하고 난 물을 버릴 필요가 있기에 바닥이 막혀 있지 않거나, 따로 배출구를 필요로 하는 용기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9-0005536호 (2009년01월14일) [다용도 주방용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일반 가정에서 쌀을 세척할 때 사용하는 주방용 세척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용기를 겉용기와 배출홈이 형성된 속용기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쌀이나 국수나 과일 같은 것을 세척한 후 내용물은 버려짐 없이 보존하면서 세척되어진 물의 버림이 용이토록 한 세척용기를 제시하였고,
또 다른 종래기술인 공개실용신안 제1999-0015208호 (1999년05월15일) [쌀세척용 바가지]
에는 주로 일반 가정에서 소량으로 쌀을 세척할 시 사용하는 쌀세척용 바가지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바가지의 일측에 적정의 크기로 내부에 함실이 형성된 돌출부를 형성하여 외측으로는 관통된 상태로 배수공을 다수 천설하므로써 쌀을 세척한 뒤 물을 배출할 경우는 돌출부를 하향으로 기울이면 세척된 쌀은 돌출부의 함실 내부에 잔류하고 물만 배출될 수 있게하여 주로 가정에서 쌀세척용 바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 모두 손으로 직접 세척대상물을 세척해야하는데, 찬물에 의한 피부의 동상(특히 겨울철), 흔히 주부습진이라고 불리는 피부질환 유발, 체온에 의한 세척대상물의 신선도 감소 등 세척대상물을 손으로 직접 세척하는 것에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1348485호 (2013년12월30일) [쌀 세정도구]와 등록실용신안 제20-0438087호 (2008년01월14일) [가정용 쌀 세정 도구]에서는 손에 물을 묻히지 않고 세척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는 도구들이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두 종래기술을 활용함에 있어 일반 세척용기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반복 세척을 해야 하는 경우에 물을 버리는 과정에서 세척대상물(특히 쌀)의 유실을 막기 힘들고,
또한 세척 도구들을 물 속에서 움직이는데 많은 힘이 들어 손으로 세척하는 것에 비해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다수의 물살돌기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고, 시계방향의 회전물살이 발생하게끔 회어진 '활'의 형상의 물살돌기를 바닥면에 구비하고, 벽면까지 이어지게 물살돌기를 구비하여 전체 회전 물살의 승하강을 유도하여,
상기와 같은 특성들로 인해 형성된 복수의 난류들을 중첩시켜 소용돌이 형태의 중첩난류를 통한 효율적인 쌀 세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추가로 직경이 좁아지는 배출공을 통해 적당한 양의 물과 함께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하고, 나아가 상승 난류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난류들에 의한 쌀 세척 효과를 배가하고,
중앙이 움푹하게 파인 리세스(recess)를 갖는 세척주걱을 도입하여 회전수류를 생성하기 위해 물 속에서 세척주걱을 움직일 때, 보다 적은 힘으로 쉽게 움직일 수 있게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상기와 같은 효과들을 위한 세척용기와 거치홈을 구비한 세척주걱을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난류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는
상부가 개구된 보울(bowl) 형상의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벽면 일 측에는 배수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형성된 난류 발생을 위한 복수의 물살돌기와 쌀 표면의 이물질을 포함한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상기 물살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세척용기,
몸체와 손잡이부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손잡이부는 복수의 거치홈을 갖고,
상기 몸체는 빗살형태를 가져, 복수의 난류생성리브와 물과 쌀알이 통과되는 통공부가 교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주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물살돌기는 하우징의 바닥면에서부터 벽면까지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물살돌기는
바닥면에서는 바닥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휘어진 '활' 형상을 갖는 제1물살돌기와 제2물살돌기, 벽면에서는 제3물살돌기와 제4물살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살돌기의 길이는 [제1물살돌기 > 제2물살돌기], [제3물살돌기 > 제4물살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세척주걱의 난류생성리브의 일부 또는 모두가 중앙이 움푹 패인 리세스(recess)를 구비하여 '♡'유사 형상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난류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는 다수의 물살돌기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고, 시계방향의 회전물살이 발생하게끔 회어진 '활'의 형상의 물살돌기를 바닥면에 구비하고, 벽면까지 이어지게 물살돌기를 구비하여 전체 회전 물살의 승하강을 유도하여, 상기와 같은 특성들로 인해 형성된 복수의 난류들을 중첩시켜 소용돌이 형태의 중첩난류를 통해 쌀알을 회전시키거나 중첩 타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쌀알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추가로 직경이 좁아지는 배출공을 구비하여 '병목현상'을 이용하여 적당한 양의 물과 함께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하고, 나아가 배출공의 내측벽에 부딪혀 상승하는 상승난류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난류들과 함께 쌀알의 회전, 중첩 타격을 투가로 더하여 쌀 세척 효과를 배가하고,
중앙이 움푹하게 파인 리세스(recess)를 갖는 세척주걱을 도입하여 통공부를 유량이 적은 제1통공부와 유량이 많은 제2통공부로 나누어 이에 따른 속도차이에 의한 상승수류로 세척주걱 몸체에 가해지는 중앙부분의 저항력을 줄여주어 '유선형 구조'와 같이 물살을 가르기에 좋은 형태의 수류를 형성하기에 회전수류를 생성하기 위해 물 속에서 세척주걱을 움직일 때, 보다 적은 힘으로 쉽게 움직일 수 있게끔 해주되,
상기와 같은 효과들을 위한 세척용기와 거치홈을 구비한 세척주걱을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쌀 세척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쌀 세척 어셈블리의 상측 시점 평면도.
도3은 제1 내지 제3난류, 중첩난류, 상승난류 등을 설명하기 위한 물살 흐름을 표시한 예시도.
도4는 배출공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5는 세척주걱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난류(亂流)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그대로 방향을 특정하면,
직립된 형태로 개구된 부분을 상측, 바닥면(1A)을 하측으로 설정하고 하우징(10) 기준으로 실제로 쌀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내측, 바깥부분을 외측으로 설정한다.
도1 내지 도4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난류(亂流)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A)의 실시와 특징 및 기능을 알아본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쌀 세척 어셈블리(A)는 상부가 개구된 보울(bowl) 형상의 하우징(10)을 갖고, 하우징(10)의 벽면(1B) 일 측에는 배수구(20)가 구비되어 있고, 하우징(10)의 바닥면(1A)에는 형성된 난류 발생을 위한 복수의 물살돌기(30)와 쌀 표면의 이물질을 포함한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상기 물살돌기(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세척용기와,
몸체(50)와 손잡이부(60)가 일체를 이루며, 손잡이부(60)는 복수의 (61)을 갖고, 상기 몸체(50)는 빗살형태를 가져, 복수의 난류생성리브(51)와 물과 쌀알이 통과되는 통공부(53)가 교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주걱(5)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1A)에 형성된 물살돌기(30)는 하우징(10)의 바닥면(1A)에서부터 벽면(1B)까지 이어지고, 상기 물살돌기(30)는 바닥면(1A)에서는 바닥면(1A)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휘어진 '활' 형상을 갖는 제1물살돌기(30a)와 제2물살돌기(30b), 벽면(1B)에서는 제3물살돌기(30c)와 제4물살돌기(30d)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살돌기(30)의 길이는 [제1물살돌기(30a) > 제2물살돌기(30b)], [제3물살돌기(30c)>제4물살돌기(30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1A)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척주걱(5)의 난류생성리브(51)의 일부 또는 모두가 중앙이 움푹 패인 리세스(recess)(511)를 구비하여 '♡'유사 형상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1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쌀 세척 어셈블리(A)를 통한 쌀 씻기 과정을 살펴보면,
(쌀 씻는 과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일반 사용자들도 별 무리 없이 이해할 수 있기에 도면에 쌀 씻는 과정은 생략한다.)
상기 세척용기(1) 내부에 쌀과 물을 넣고 상기 세척주걱(5)을 시계방향으로 저어주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수류(70)가 생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물살돌기(30a, 30b, 30c, 30d)에 의해 상기 회전수류(70)에서 파생된 제1 내지 제3난류(71)(72)(73)가 형성되고, 이 제1 내지 제3난류(71)(72)(73)에 의해 중첩난류(74)가 소용돌이의 형태로 생성되어 쌀알에 충격을 가하거나 또는 쌀알을 회전시켜 쌀알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또한 상기 배출공에 의해 상승난류(75)가 형성되어 역시 상기 제1 내지 제3난류(71)(72)(73)와 함께 쌀알 표면 세척을 돕는다.
이러한 과정으로 분리된 쌀알 표면의 이물질은 물과의 밀도 차에 의해 자연스럽게 바닥면(1A) 쪽으로 침강하게 되고 상기 세척용기(1)의 하우징(10)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세척용기 외부로 물과 함께 배출된다.
상기 배출공은 내부직경보다 외부직경이 더 큰 '원추' 유사형태를 띄기 때문에 '병목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현상을 통해 과도하게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쌀 세척이 끝나면 상기 하우징(10)의 벽면(1B)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남은 물을 배출시킬 수 있고 배출구는 쌀알의 크기보다는 작은 폭을 갖기 때문에 쌀알은 세척용기(1) 내부에 그대로 남고 물만 세척용기(1)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쌀 세척 어셈블리(A)의 특징들을 도면을 통해 알아본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쌀 세척 어셈블리(A)의 핵심 구성요소인 물살돌기(30)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1A)에서부터 벽면(1B)까지 이어져 있고, 상기 바닥면(1A)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휘어진 '활'형상을 갖는 제1물살돌기(30a)와 제2물살돌기(30b)로 이루어져 있고, 제1물살돌기(30a)는 제2물살돌기(30b)보다 길이가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0)의 벽면(1B)에는 상기 제1물살돌기(30a)와 일체를 이루는 제4물살돌기(30d)가, 제2물살돌기(30b)와 일체를 이루는 제3물살돌기(30c)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3물살돌기(30c)가 제4물살돌기(30d)보다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특성에 의해 세척주걱(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킬 때 발생하는 수류(水流)가 속도 차를 갖고 이러한 속도의 차이를 통해 소용돌이와 같은 난류가 발생하고 이를 통해 쌀알 표면의 이물질을 보다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수류와 관련된 쌀알의 세척 과정은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을 통해 전기한 수류와 관련하여 쌀알을 세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1A)에는 길이가 짧은 제2물살돌기(30b)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연결된 제3물살돌기(30c)가 하우징(10)의 벽면(1B)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물살돌기(30b)를 타고 넘어가는 제1난류(71)와 제2물살돌기(30b)의 단부를 지나가는 제2난류(72)의 특징을 살펴보면, 제1난류(71)는 v1의 속력을 갖고 제2난류(72)는 v2의 속력을 갖는데, 돌기의 저항으로 인해 [v1 < v2]와 같이 제2난류(72)의 속력이 빠르고 이러한 제2난류(72)는 다음에 형성된 제1물살돌기(30a)에 의한 저항에 의해 일부는 제1물살돌기(30a)를 타고 넘어가지만 일부는 하우징(10)의 벽면(1B)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또한 제3물살돌기(30c)와 제4물살돌기(30d)의 길이 차이로 인한 제3난류(73)가 형성되는데,
제3물살돌기(30c)의 길이가 제4물살돌기(30d)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제3물살돌기(30c)에서의 물살 속력(v3)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제4물살돌기(30d)에서의 물살 속력(v4)보다 느려 [v3 > v4]가 된다.
또한 제3물살돌기(30c)가 더 길기 때문에 더 많은 저항력을 받기에 제3물살돌기(30c)부근에서는 더욱 많은 양의 수류가 제3물살돌기(30c)의 단부로 유입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B) 측으로 제3물살돌기(30c)를 선회하여 수류가 형성되고 제4물살돌기(30d)에서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벽면(1B) 기준으로 하향하는 수류가 형성되어 이는 상기 제2및 제3물살돌기(30b, 30c)를 타고 세척용기 내 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3난류(73)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난류(71)(72)(7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의 소용돌이 형상을 갖는 중첩난류(74)를 형성한다.
이러한 난류들은 쌀알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상기 세척주걱(5)과 함께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데, 다양한 방향에서 쌀알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때문에 쌀알 포면을 회전시키거나 중첩 타격하여 단방향의 수류에 비해 강한 세척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핵심 특징은 하우징(10)의 바닥면(1A)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점인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세척동안 너무 많은 양의 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보다 자세히 상기 특징을 도4를 통해 확인하면, 상기 배출공은 내측직경(41a)이 외측직경(41b)보다 큰 원추 유사형상을 띄고 이 내측직경(41a)은 쌀알의 크기보다는 작되, 쌀알의 이물질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직경 역시 이물질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쌀 세척 과정 중에 쌀알 표면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물보다 비중이 큰 성분도 있고 작은 성분도 있는데, 이 중 물보다 비중이 큰 성분은 바닥면(1A) 측으로 자연스럽게 침전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세척용기(1)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물보다 비중이 작아서 물 표면으로 부상한 이물질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므로 모든 이물질이 물과 함께 완벽히 배출되어 세척된 쌀알만 세척용기(1) 내부에 남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공의 내측면에 부딪힌 수류는 상측으로 꺾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난류(75)를 형성하는데, 이 상승난류(75)는 전기한 제1 내지 제3난류(71)(72)(73)에 의한 중첩난류(74)와 함께 쌀알을 회전 또는 중첩 타격하여 쌀 세척 효율을 보다 상승시켜주는 효과를 갖는다.
또 다른 본 고안의 핵심 특징인 상기 세척주걱(5)에 대해서 도5를 통해 살펴보면,
상기 세척주걱(5)은 몸체(50)와 손잡이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도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60)의 뒷면에는 거치홈(61)이 형성되어 있어 손으로 파지할 경우에 미끄럼을 예방하고 쌀 세척을 중단할 시에 상기 세척용기(1)의 상 측 단부에 걸쳐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치홈(61)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어 미끄럼방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거치 시의 각도의 조절을 용이하게끔 해준다.
나아가 상기 세척주걱(5)의 몸체(50)는 난류생성리브(51)와 통공부(53)가 교차로 형성되어 있으며, 난류생성리브(51)의 일부 또는 모두가 중앙이 움푹 패인 리세스(recess)(511)를 구비하여 '♡'유사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를 통해 상기 특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난류생성리브(51)는 중앙으로 움푹 패인 리세스(511)를 갖고 리세스(511)의 좌우측으로는 돌출부를 갖는 '만 (灣)'의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각 부위마다의 저항력이 다르고 이로 인해 수류의 속력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를 통해 보다 수월하게 세척주걱(5)으로 회전수류(70)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류의 속력 차이에 의한 특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알아보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511)를 통과하는 수류는 리세스(511)를 타고 넘어가는 수류와 리세스(511)로 인해 바로 통과되는 수류 두가지의 방향성을 갖는데, 리세스(511)에 의해 난류생성리브(51) 하부측으로 바로 통과되는 수류의 속력(v5)는 난류생성리브(51)를 타고 넘어가는 수류의 속력(v6)보다 빠르고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먼저 다음 난류생성리브(51)에 도착하여 충돌하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승수류(55)를 생성하게 된다. 이 상승수류(55)는 리세스(511)가 형성된 부분의 제1통공부(531)의 물을 좌, 우, 상으로 밀어내어 제1통공부(531)의 유량을 적게 만들고, 돌출부(513) 부분의 제2통공부(533)의 유량을 늘려준다.
유량에 따라 상기 난류생성리브(51)와 물의 마찰력, 저항력이 결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량이 적은 제1통공부(531)측은 물에 의한 저항력을 덜 받게 되고 세척주걱(5) 진행방향 기준으로 중앙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적기 때문에 보다 수월하게 진행방향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제1통공부(531) 좌우측으로 밀어낸 물은 '유선형 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물의 저항을 덜 받게 되기 때문에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회전수류(70)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는 '쌀 세척'용 어셈블리로 특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세척 대상이 반드시 '쌀'에 국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곡물, 기타 세척 대상에도 얼마든지 변형 적용가능하며, 이를 청구범위 해석에 있어 제한을 두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쌀 세척 어셈블리(A)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셈블리: A 세척용기: 1
바닥면: 1A 벽면: 1B
하우징: 10 배수구: 20
물살돌기: 30 제1 내지 제4 물살돌기(30a, 30b, 30c, 30d)
배출공: 40 세척주걱: 5
몸체: 50 난류생성리브: 51
둘출부: 513 리세스: 511
통공부: 53 손잡이부: 60
거치홈: 61 회전수류: 70
제1난류: 71 제2난류: 72
제3난류: 73 중첩난류: 74
상승난류: 75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된 보울(bowl) 형상의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벽면 일 측에는 배수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형성된 난류 발생을 위한 복수의 물살돌기와 쌀 표면의 이물질을 포함한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상기 물살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세척용기;
    몸체와 손잡이부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손잡이부는 복수의 거치홈을 갖고, 상기 몸체는 빗살형태를 가져, 복수의 난류생성리브와 물과 쌀알이 통과되는 통공부가 교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주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물살돌기는 하우징의 바닥면에서부터 벽면까지 이어지고,
    상기 물살돌기는 바닥면에서는 바닥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휘어진 '활' 형상을 갖는 제1물살돌기와 제2물살돌기, 벽면에서는 제3물살돌기와 제4물살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살돌기의 길이는 [제1물살돌기 > 제2물살돌기], [제3물살돌기 > 제4물살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주걱의 난류생성리브의 일부 또는 모두가 중앙이 움푹 패인 리세스(recess)를 구비하여 '♡'유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어셈블리.
KR2020140003189U 2014-04-21 2014-04-21 난류(亂流)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 KR200477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189U KR200477615Y1 (ko) 2014-04-21 2014-04-21 난류(亂流)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189U KR200477615Y1 (ko) 2014-04-21 2014-04-21 난류(亂流)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15Y1 true KR200477615Y1 (ko) 2015-07-09

Family

ID=5379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189U KR200477615Y1 (ko) 2014-04-21 2014-04-21 난류(亂流)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350B1 (ko) * 2017-03-20 2018-12-19 차재명 야채 및 과일 세척기
CN109924907A (zh) * 2019-03-28 2019-06-25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的扰流装置识别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208U (ko) * 1997-10-14 1999-05-15 이의진 쌀세척용 바가지
KR200438087Y1 (ko) * 2006-10-13 2008-01-21 조이순 가정용 쌀 세정 도구
KR20090005536A (ko) * 2007-07-09 2009-01-14 김형진 다용도 주방용기
KR101348485B1 (ko) * 2012-06-01 2014-01-07 장호두 쌀 세정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208U (ko) * 1997-10-14 1999-05-15 이의진 쌀세척용 바가지
KR200438087Y1 (ko) * 2006-10-13 2008-01-21 조이순 가정용 쌀 세정 도구
KR20090005536A (ko) * 2007-07-09 2009-01-14 김형진 다용도 주방용기
KR101348485B1 (ko) * 2012-06-01 2014-01-07 장호두 쌀 세정도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350B1 (ko) * 2017-03-20 2018-12-19 차재명 야채 및 과일 세척기
CN109924907A (zh) * 2019-03-28 2019-06-25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的扰流装置识别方法
CN109924907B (zh) * 2019-03-28 2021-09-1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的扰流装置识别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65483Y (zh) 具有空心搅拌器的洗衣机
CN204429523U (zh) 一种节水喷头及应用该喷头的洁具
KR200477615Y1 (ko) 난류(亂流) 발생 원리를 이용한 쌀 세척 어셈블리
CN106137075A (zh) 一种洗碗机顶喷淋组件及洗碗机
CN204842301U (zh) 一种高效冲冼装置
CN105170061A (zh) 一种高质量反应釜
CN105944852B (zh) 一种带防垢球的花洒
CN105297862B (zh) 一种智能马桶喷水机构的喷头装置
JP2016176282A (ja) 水洗式便器
JP2009150160A (ja) 便器構造
JP6341359B2 (ja) 水洗大便器
CN108380407A (zh) 一种手持花洒
CN205797533U (zh) 一种手持花洒
JP2018119400A (ja) 水洗大便器
CN205776634U (zh) 坐便器
WO2017026202A1 (ja) 水洗大便器
CN206376341U (zh) 一种新型蹲便器
CN109394127B (zh) 一种清洗机
CN109247895A (zh) 一种洗碗机洗涤泵及洗碗机
CN106723933A (zh) 一种厨房用盥洗刷
JP2018111949A (ja) 水洗式便器
CN105816132B (zh) 婴儿器皿洗涤机的喷臂装置
JP6551826B2 (ja) 水洗便器
CN106000683B (zh) 一种带清洁器的防堵花洒
CN104511381A (zh) 一种节水喷头及应用该喷头的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