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599A -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 Google Patents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599A
KR20130135599A KR1020120059316A KR20120059316A KR20130135599A KR 20130135599 A KR20130135599 A KR 20130135599A KR 1020120059316 A KR1020120059316 A KR 1020120059316A KR 20120059316 A KR20120059316 A KR 20120059316A KR 20130135599 A KR20130135599 A KR 20130135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ermeable
block
pitch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070B1 (ko
Inventor
박문석
한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Priority to KR102012005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07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블록의 불투수층 하부에 저류기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수코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블록의 상부표면 쪽에 투수코어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투수코어 삽입부에 빗물유입용 투수코어가 삽입되어 있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under stream block}
본 발명은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블록의 불투수층 하부에 저류기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수코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블록의 상부표면 쪽에 투수코어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투수코어 삽입부에 빗물유입용 투수코어가 삽입되어 있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도시는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자연적인 배수면적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빗물로 인한 표층수의 지속적인 유출증가를 유발하고 있으며, 인구가 밀집한 지역에서는 이미 95%에 달하는 빗물이 표층수로 전환되어 현재에도 이미 부담을 주는 배수 시스템에 더 많은 압력을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지구 온난화와 같은 이상 기후의 영향으로 강수의 형태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그 패턴 또한 집중 폭우의 형태로 증가 되고 있고 강수량은 일정 기간에 집중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어 많은 강수량에도 불구하고 물부족으로 인한 장기적인 경제적, 사회적 비용의 증가가 예상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선진국에서는 이미 90년대 초부터 도로의 하부 구조를 지속적으로 개량하여 표층수로 배수되는 빗물을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지반으로 자연 배수되도록 하여 배수 부하를 줄이고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게 하는 시공법을 도입 실용화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회적 필요성과 국내의 현실을 감안하여 국내실정에 맞는 지속한 가능한 친환경 투수구조의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돌발성 집중강우의 발생율 증가에 따른 침수 피해의 위험 가중으로 선진국에서는 지속적으로 빗물의 저류시설을 고민하고 설치를 확대해 가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차원에서 도로의 생태 면적율 증가를 위해서 투수포장의 확대하고 있는 시점이며, 그에 따른 연구와 다양한 시공법을 고안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존의 보도에 시행되는 투수의 방법은 포러스형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방법으로 국내의 도심 환경상 시공후 지속적인 사후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시공후 6개월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투수 효율이 저감되어 표면배수로 기존의 배수부하와 동일한 수준으로 복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집중강우 발생률 증가로 인해 서울시의 연평균강우량은 1970년대에 1,231.5㎜/년에서 2000년대에는 1,595.3㎜/년으로, 30년 동안에 30%정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1990년대 후반에 수차례의 집중강우가 발생하여 평균 강우량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서울시의 경우, 집중강우를 나타내는 50㎜/일 이상의 강우일수가 1970년대에는 연중 5일에서 2000년대에는 8일로, 집중강우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집중강우가 6, 7, 8월에 집중하고 있어 홍수기의 침수피해 잠재성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는 상태로서, 돌발성 집중강우의 증가양상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침수방지대책이 시급히 마련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도시화되기 전에는 우수가 대부분 땅속으로 침투되었지만 현재 지표면이 아스팔트와 같은 불투수면으로 포장되면서, 우수배제 정비수준을 초과하는 돌발성 집중호우시에 우수는 대부분 지표면으로 흘러 저지대로 일시에 유입되어 침수피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총면적 605.5㎢중 불투수면적률은 1962년에 7.8%에 불과하였으나 1960년대 후반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1970년에는 18.6%로 증가하였으며, 그 후에도 꾸준히 증가하여 1982년에 37.2%가 되었고 2005년에는 48%에 이르게 된다.
서울시의 경우 산림이 차지하는 면적은 25.4%이며 이 또한, 대부분 시외곽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실질적으로는 시가화 지역은 거의 불투수면으로 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불투수 토양포장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중 1등급에 해당하는 0~10% 미만의 포장율을 보여주는 지역의 비율은 약 44.45%로, 녹지 및 오프스페이스에 속하는 토지이용유형들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서울시 전체면적의 48.20%가 불투수토양포장도 70%이상에 해당되어 개발된 공간의 대부분이 불투수 포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시화 지역내에서 투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복원사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존 연구 결과 및 기존 투수방식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현재 국내의 여건상 유지관리에 상당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표층의 보도블록만 투수로 교체해서 시공 후 사용할 경우 하부 투수층의 유실로 인한 보도블록의 불규형 및 침하 등의 하자 요인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장기적으로 투수 지수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해 기능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현재 국내에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투수 포장은 시공 이후 기능의 유지관리 및 평가에 대한 기준이 없고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점검구를 설치하지 않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투수 지수의 감소 이후에 투수 지수를 기존의 수준으로 회복하게 하는 방법이 정립되지 않아 실제적으로 시공 초기를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그 기능을 유지하기가 힘들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전문 장비를 이용한 관리를 통해 설치 초기의 투수지수로 회복할 수는 있으나 현재 국내의 보도 여건상 대형 장비의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또한, 힘들다고 판다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지속가능한 투수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국내 여건에 맞는 형태의 투수 구조층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유지관리를 위한 새로운 구조의 개발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지구온난화와 같은 이상기후의 영향과 도시의 지속적인 발전 등으로 인하여 강수형태가 변화하게 된다. 즉 강수형태의 변화는 강수형태가 단기간 집중폭우의 형태로 변화하고 강수량이 일정기간 집중됨으로서 자연배수시스템에 더 많은 압력을 증가시키고 투수지수의 지속적인 감소로 투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중 폭우시 배수부하가 높아지고 과다한 우수침투에 의한 투수율저하 및 지반침하의 문제점이 있다. 투수율이 떨어지고 집중폭우에 의한 우수를 대비하여 투수율과 지반의 자연배수율이 떨어지므로 보도표면에 물이 고이게 되어 보행환경을 침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위 문제점들을 투수블록의 개선만으로 방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에 투수블록뿐만 아니라 투수하부구조의 개선을 통하여 위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점오염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투수블록과 빗물저장 공간이 분리되어 시공이 복잡하고 투수블록의 투수력 상실로 인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하나의 블록 자체에 투수와 빗물저장 기능을 결합한 제품으로 기준의 투수블록의 막힘 현상 및 유지보수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고 시공의 단순화로 보행 평탄성을 높이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블록의 불투수층(12) 하부에 저류기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수코어(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블록의 상부쪽에 투수코어 삽입부(16)가 1개 또는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투수코어 삽입부(16)에 빗물유입용 투수코어(20)가 삽입되어 있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준의 투수블록과 빗물저장 공간이 분리되어 시공이 복잡하고 투수블록의 투수력 상실로 인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하나의 블록 자체에 투수와 빗물저장 기능을 결합한 제품으로 기준의 투수블록의 막힘 현상 및 유지보수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고 시공의 단순화로 보행 평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 도심에서 보도 구간의 굴착시 지장물로 인하여 하부저류공간을 구성하기 힘들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으며 향후 굴착 복구 등의 유지 보수시에도 작업이후 블록을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류블록에 저장된 빗물이 모세관 현상으로 고온의 여름철에 도시의 열성화를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투수코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형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투수코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투수코어에서 상부면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투수코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투수코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투수코어에서 상부면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투수코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을 시공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투수코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본 발명은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블록의 불투수층(12) 하부에 저류기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수코어(20, 20-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블록의 상부표면 쪽에 투수코어 삽입부(16)가 1개 또는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16)가 육면체 형태, 원통 형태, 원기둥 형태, 구형 형태 및 각뿔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16)에 빗물유입용 투수코어(20, 20-1)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에 있어서 불투수층(12, 12-1)은 콘크리트 가공층, 석재판, 점토질판 및 자기타일질 판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에 있어서 투수코어(2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코어본체(22); 및 상기 코어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표면이 망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코어상부면(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에 있어서 투수코어(20, 20-1)는 육면체 형태 박스, 원통 형태 박스, 원기둥 형태 박스, 구형 형태 박스 및 각뿔 형태 박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에 있어서 투수코어(20, 20-1)는 코어본체의 내부에 필터층(2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층의 상부에 해당하는 코어본체의 내부에 황토볼, 점토볼, 세라믹볼, 맥반석쇄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친환경재료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에 있어서 투수저류 블록은 지반침하방지용 지오텍스타일층(110) 상부에 입도조절용 쇄석층(100)이 설치되고 입도조절용 쇄석층(100)의 상부에 투수저류 블록(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록의 불투수층(12-1) 하부에 저류기층(14-1)이 접착제층(18)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투수코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블록의 상부표면 쪽에 투수코어 삽입부(16)가 1개 또는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16)가 육면체 형태, 원통 형태, 원기둥 형태, 구형 형태 및 각뿔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16)에 빗물유입용 투수코어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6과 같이 본 발명의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은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블록의 불투수층(12) 하부에 저류기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수코어(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블록의 상부표면 쪽에 투수코어 삽입부(16)가 1개 또는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16)가 육면체 형태, 원통 형태, 원기둥 형태, 구형 형태 및 각뿔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16)에 빗물유입용 투수코어(20)가 삽입되어 있다.
도 1 내지 6과 같이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에서 불투수층(12)은 콘크리트 가공층, 석재판, 점토질판 및 자기타일질 판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에서 불투수층이 콘크리트 가공층으로 형성된 제품은 블록 제작과정에서 시멘트의 접착력과 고압의 진동으로 일체화되어 생산되며, 석재판, 점토질판 및 자기타일질 판재는 별도로 가공된 후 접착제로 상호 접착하여 제품화된다.
도 1 내지 6과 같이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은 규격이 일반적으로 가로 A=200 내지 1000㎜, 세로 B=200 내지 1000㎜ , 높이 T=100 내지 200㎜이고 투수코어의 규격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투수저류 블록(10)의 상부표면쪽에 투수코어 삽입부(16)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에서 투수코어 삽입부(16)의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규격은 가로 A'=50mm, 세로 B'=50mm, 높이 T'=60mm이나 블록의 규격, 디자인 및 투수계수에 따라 변동된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에 있어서 투수코어(20, 20-1)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코어본체(24, 24-1); 및 상기 코어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표면이 망(25, 25-1)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코어상부면(22, 22-1)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에서 투수코어(20, 20-1)는 육면체 형태 박스, 원통 형태 박스, 원기둥 형태 박스, 구형 형태 박스 및 각뿔 형태 박스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육면체 형태 박스 또는 원기둥 박스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은 투수코어(20)를 투수블록(10)의 상부표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다수개를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서 투수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투수량이 증가되고 효과적인 투수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은 기존 투수하부구조의 보조기층을 대체하여 우수임시저장공간을 갖는 저류기층(14) 형태의 블록을 설치함으로서 효과적인 투수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부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에서 투수코어(20, 20-1)의 전체적인 두께는 3㎜ 이상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은 투수코어의 상단부 윗면에 격자의 망(25,25-1) 형태로 설계하여 빗물의 효과적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에서 투수코어는 보행시 구두굽, 하이힐굽이 빠지지않도록 망(25, 25-1)의 홀 크기는 가로, 세로 5㎜ 이상으로 형성하여 쾌적한 보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에서 사용되는 투수코어의 재질은 친환경 재질을 이용함으로서 가격대비 강도가 높고 친환경적인 자재를 사용하며, 투수코어의 두께는 보행시 균열이나 깨지지 않게 제작한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에서 투수코어는 초기 강우로 인하여 발생되는 비점오염원의 흡수 및 상쇄 효과가 있으며, 투수코어를 통해 효과적인 투수기능을 유지하며, 우수임시저장공간을 갖는 저류기층을 통해 우수를 임시로 저장하여 지반으로 자연배수되도록 하기 때문에 집중호우와 장시간 폭우시 보도표면에 물고임 현상과 물넘침 현상을 방지하며 동시에 투수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며 쾌적한 보행환경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은 투수코어를 설치함으로서 빗물의 투수율을 일반적인 투수포장에서보다 증대시킬 수 있으며 집중폭우시 또는 장기간 폭우시 지속적인 투수기능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15와 같이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은 지반침하방지용 지오텍스타일층(110) 상부에 입도조절용 쇄석층(100)이 설치되어 시공시 레벨을 잡기위한 층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은 입도조절용 쇄석층(100)의 상부에 투수저류 블록(1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투수코어는 코어본체의 내부에 비정오염원 저감을 위한 정화수단용 필터층(2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층(28)의 상부에 해당하는 코어본체의 내부에 황토볼, 점토볼, 세라믹볼, 맥반석쇄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친환경재료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투수코어는 코어본체(22) 내부에 황토볼, 점토볼, 세라믹볼, 맥반석쇄석 등을 사용하여 채움으로서 친환경재료를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포장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고, 황토, 점토, 세라믹, 맥반석 등은 자체적으로 물의 정화 및 정수 기능을 가지고 있어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친환경재료 자체 내에서 음이온을 발생시켜 대기중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대기오염을 방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도 13 내지 14와 같이 본 발명은 블록의 불투수층(12-1) 하부에 저류기층(14-1)이 접착제층(18)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투수코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블록의 상부표면 쪽에 투수코어 삽입부(16-1, 16-2)가 1개 또는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가 육면체 형태, 원통 형태, 원기둥 형태, 구형 형태 및 각뿔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16-1, 16-2)에 빗물유입용 투수코어가 삽입되어 있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투수저류 블록(10)은 도 1 내지 6과 같이 불투수층(12)과 저류기층(14)이 결합된 일체형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도 13 내지 도 14와 같이 불투수층(12-1)과 저류기층(14-1)이 분리된 분리형 형태로 제작하여 불투수층(12-1)과 저류기층(14-1)을 접착제층(18)으로 부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10: 투수저류 블록 18: 접착제층
20: 투수코어 200: 원지반

Claims (7)

  1.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블록의 불투수층 하부에 저류기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수코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블록의 상부표면 쪽에 투수코어 삽입부(16)가 1개 또는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16)가 육면체 형태, 원통 형태, 원기둥 형태, 구형 형태 및 각뿔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16)에 빗물유입용 투수코어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수층은 콘크리트 가공층, 석재판, 점토질판 및 자기타일질 판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코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코어본체; 및 상기 코어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표면이 망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코어상부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코어는 육면체 형태 박스, 원통 형태 박스, 원기둥 형태 박스, 구형 형태 박스 및 각뿔 형태 박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코어는 코어본체의 내부에 필터층(2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층의 상부에 해당하는 코어본체의 내부에 황토볼, 점토볼, 세라믹볼, 맥반석쇄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친환경재료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저류 블록은 지반침하방지용 지오텍스타일층(110) 상부에 입도조절용 쇄석층(100)이 설치되고 입도조절용 쇄석층(100)의 상부에 투수저류 블록(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7. 블록의 불투수층 하부에 저류기층이 접착제층(18)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투수코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블록의 상부표면 쪽에 투수코어 삽입부가 1개 또는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가 육면체 형태, 원통 형태, 원기둥 형태, 구형 형태 및 각뿔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수코어 삽입부(16)에 빗물유입용 투수코어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KR1020120059316A 2012-06-01 2012-06-01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KR10137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316A KR101375070B1 (ko) 2012-06-01 2012-06-01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316A KR101375070B1 (ko) 2012-06-01 2012-06-01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99A true KR20130135599A (ko) 2013-12-11
KR101375070B1 KR101375070B1 (ko) 2014-03-14

Family

ID=4998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316A KR101375070B1 (ko) 2012-06-01 2012-06-01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80B1 (ko) * 2014-10-14 2015-12-23 (주)에코청진 투수기능이 지속가능한 투수블록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투수블록 조성물과 투수블록의 제조공법
WO2017099343A1 (ko) * 2015-12-09 2017-06-15 주식회사 세주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5387B (zh) * 2020-09-17 2021-11-02 福州大学 一种蓄水排水一体化的透水砖
KR102657441B1 (ko) 2022-12-14 2024-04-15 주식회사 삼이씨앤지 투수성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투수성 보도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557B1 (ko) * 2004-03-31 2006-08-25 (주)그린메이드 복합 우레탄 탄성 투수 인.보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0951712B1 (ko) * 2007-12-13 2010-04-07 황유하 다공성 필터가 설치된 보도블록
KR20090124056A (ko) * 2008-05-29 2009-12-03 서동수 보도 포장 공법
KR101152212B1 (ko) * 2009-02-20 2012-06-08 에스닷디자인(주) 투수형 보도블록의 하부지반 안정화 및 빗물의 임시저장 공간 형성화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80B1 (ko) * 2014-10-14 2015-12-23 (주)에코청진 투수기능이 지속가능한 투수블록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투수블록 조성물과 투수블록의 제조공법
WO2017099343A1 (ko) * 2015-12-09 2017-06-15 주식회사 세주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070B1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040B1 (ko) 투수코어가 결합된 지속가능한 배수성 투수블럭과 그 시공방법
CN204728165U (zh) 生态透水路面
CN202926388U (zh) 一种公路隧道路面冒水排泄设施
CN206352331U (zh) 海绵城市理念的下凹式绿地结构
CN105544336A (zh) 缝隙透水砖组及使用该砖组铺设而成的生态透水路面
CN204474499U (zh) 一种用于处理河道岸边雨水排水的生态多维滞留系统
CN104032793B (zh) 用于居民小区道路的花园式抗雨水冲击系统
CN104692588A (zh) 用于处理河道岸边雨水排水的生态多维滞留系统
CN202450610U (zh) 一种绿色建筑小区雨水收集截污系统
CN110016886B (zh) 河道近自然生态堤岸
CN105735082A (zh) 透水种植模框及多功能透水路面结构体系及其铺装方法
CN106917522A (zh) 一种基于海绵城市理念的室外停车位系统
KR101375070B1 (ko)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CN205711609U (zh) 透水种植模框及多功能透水路面结构体系
CN106088684B (zh) 一种雨水收集再利用的下沉式广场及其施工方法
CN209958165U (zh) 一种装配式缝隙透水路面
CN206052850U (zh) 一种道路绿化雨水调蓄系统
CN205617188U (zh) 一种城市道路雨水调蓄系统
CN205474666U (zh) 一种新型透水人行道铺装
CN105672094A (zh) 不透水地面雨水导渗系统
CN205295848U (zh) 一种稳固型生态透水铺装系统
CN102561500B (zh) 绿色建筑小区雨水收集截污系统
CN105421647B (zh) 一种收集利用雨水的台阶砌块
CN201704774U (zh) 基于节地环保的下挖通道调蓄式渗井排水装置
CN203866664U (zh) 一种具有导渗导排管的透水混凝土铺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