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754A - 조명 램프 - Google Patents

조명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754A
KR20130134754A KR1020120058492A KR20120058492A KR20130134754A KR 20130134754 A KR20130134754 A KR 20130134754A KR 1020120058492 A KR1020120058492 A KR 1020120058492A KR 20120058492 A KR20120058492 A KR 20120058492A KR 20130134754 A KR20130134754 A KR 20130134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input terminal
light emitting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754A/ko
Publication of KR2013013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7Details of housings or case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base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housings or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하부면에 돌출체결부 및 상기 발광소자의 전극과 연결된 전원입력단자를 구비한 광원유닛;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부, 상기 몸체부 상면 중 상기 돌출체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 상면 중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한 전원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유닛과 상기 전원유닛 결합시,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조명램프를 제공함으로써 발광소자의 고장발생시 용이하게 교체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조명 램프{ILLUMINATING LAMP}
본 발명은 조명램프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원 교체가 용이한 구조의 조명램프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ed Diode) 소자는 화합물 반도체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신호를 적외선 또는 빛으로 변환시키는 소자로서, 형광등과 달리 수은 등의 유해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명 유발원인이 적고, 종래의 광원에 비해 수명이 오래가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광원과 비교하여 저전력을 소비하고, 높은 색온도로 인해 시인성이 우수하며 눈부심이 적은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조명 램프는 종래의 백열전구나 형광등과 같은 전통적인 광원을 이용하는 형태에서 상술한 LED소자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545에 개시된 바와 같이 LED소자를 이용한 조명램프에 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종래의 조명램프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조명램프는 소켓(23) 및 몸체(21)를 구비한 몸체부(20), 몸체부(20)상에 형성되고 LED소자(13)를 포함하는 베이스(11), LED소자(13)와 소켓(23)을 연결하는 배선(15) 및 그로브(17)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조명램프는, 제조과정중에 LED소자(13)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교체하기 위하여 그로브(17)분리, 베이스(11) 분리, 베이스(11)로부터 불량이 발생한 LED소자(13) 분리 및 배선(15)분리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복잡함이 존재하였고, LED소자(13) 교체후 재조립을 해야하는 문제점, 교체과정에서 제품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였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사용과정에서 불량발생시 조명램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54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발광소자를 구비한 광원유닛 및 전원부를 구비한 전원유닛을 상호간에 용이하게 분리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발광소자의 불량 또는 고장발생시 용이하게 교체 가능한 구조의 조명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명 램프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하부면에 돌출체결부 및 상기 발광소자의 전극과 연결된 전원입력단자를 구비한 광원유닛;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부, 상기 몸체부 상면 중 상기 돌출체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 상면 중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한 전원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유닛과 상기 전원유닛 결합시,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램프에 있어서, 상기 돌출체결부와 상기 삽입체결부는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램프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닛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지지부 상부 및 상기 발광소자를 수납하는 그로브;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체결부 및 상기 전원입력단자는 상기 지지부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램프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히트싱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램프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단자는 돌출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돌출구조에 대응하는 함몰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몸체부 상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단자는 함몰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함몰구조에 대응하는 돌출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단자는, 상기 광원유닛 하부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램프는, 상기 돌출구조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소자에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시 광원유닛만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적은 비용으로 조명램프를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유닛의 교체만으로 색온도가 상이한 조명램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명램프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램프 중, 광원유닛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램프는, 종래의 구조와는 달리 발광소자를 조명램프 자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램프 중, 광원유닛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램프는 발광소자를 구비한 광원유닛(100) 및 조명램프의 뭄체를 이루는 몸체부(21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70)를 구비한 전원유닛(200)이 서로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광원유닛(100)은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수납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광원유닛(100)은 지지부(110), 지지부(110) 상면에 실장된 발광모듈 및 지지부(110) 상부에 결합되어 발광모듈을 커버하는 그로브(Globe)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부와 발광모듈 사이에는 발광소자(113)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히트싱크(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광원유닛(100)을 이루는 구성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예컨대 플라스틱 절연물질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트싱크(12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Al, M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이캐스팅(diecasting)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외에도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폴리머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히트싱크(100)를 제조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발광모듈은 기판(111)상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113)가 실장된 모듈을 의미하며, 전원공급시 광을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발광소자(113)로서 LED 소자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발광모듈의 형태는 발광소자가 탑재된 SMD (Surface Mount Device) 패키지를 기판에 실장한 SMD 모듈 또는 기판(PCB 등)상에 복수의 발광소자를 밀집배치하여 실장한 COB(Chip On Board) 모듈 등의 타입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로브(Globe, 170)는 광원유닛(100)의 지지부(110) 상부에 결합되어 발광소자(113)를 커버함으로써 발광소자(113)를 보호하고,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그로브(170)의 형태는 일반적인 돔(dome)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반구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타원형, 다각형 형태 등으로 적절히 설계변경 가능하다. 한편 그로브(170)와 지지부(110)의 결합은 습기유입을 방지하고 조명램프의 견고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착성 물질을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나사결합방식, 스냅결합방식 등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결합방식으로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그로브(170)는 광투과성 및 광확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그로브(170)는 폴리카보네이트(PC;Polycarbonate), 아크릴, ABS RESI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nering Plastics;EP),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PC;Polycarbonate)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유닛(10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10)의 하부면에는 돌출체결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체결부(130)는 광원유닛(100)과 전원유닛(200)을 결합시키는 부분으로서, 외부 측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광원유닛(100)과 전원유닛(200)을 스크류방식으로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부(110)의 하부면에는 돌출구조의 전원공급단자(1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단자(150)는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발광소자의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연결된 양극전원공급단자 및 음극전원공급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원유닛(100)과 전원유닛(200)을 서로 결합시, 전원유닛에 형성된 전원입력단자(2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원유닛(200)은 몸체부(210) 및 몸체부(210) 하부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원부(270)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입력받아 전원공급단자(250)에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파워모듈(power module)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전원부(270)의그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외에도 플러그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몸체부(210)는 조명램프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지지부(110)와 유사하게 플라스틱 절연물질을 사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짐으로써 히트싱크 역할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방열효율 향상을 위해 몸체부(210)에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추가적인 방열판구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부(210)의 상면 중 돌출체결부(130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입체결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체결부(230)는 상술한 돌출체결부(130)가 삽입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원통형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나사선에 형성됨으로써 돌출체결부(130)와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0)의 상면 중 전원입력단자(15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함몰구조의 전원공급단자(2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단자(250)는 광원유닛(100)과 전원유닛(200)이 상호간에 결합시, 전원입력단자(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원부(27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발광소자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단자(250)는 전원부(270)의 양극입력 및 음극입력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전원공급단자 및 음극전원공급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양극전원공급단자 및 음극전원공급단자는 추후 광원유닛(100)과 전원유닛(200)을 결합시 전원입력단자(130)의 양극전원입력단자 및 음극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함몰구조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단자(250)의 형상은, 몸체부(210)의 상면에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유닛(100)과 전원유닛(200)이 스크류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더라도,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전원입력단자(150) 위치와 무관하게 전기적 접속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돌출구조의 전원입력단자(150) 높이는, 함몰구조의 전원공급단자(250) 깊이 이상(동일한 경우를 포함한다)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입력단자(150)의 높이가 전원공급단자(250)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전원입력단자(150)는 지지부(11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지지부(110)와 전원입력단자(150)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형성됨으로써, 광원유닛(100)과 전원유닛(2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원입력단자(150)가 전원공급단자(250)를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전기적 접속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소자를 구비한 광원유닛과 전원유닛이 상호간에 용이하게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한 바, 발광소자에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시 광원유닛만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적은 비용으로 조명램프를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원유닛의 교체만으로 색온도가 상이한 조명램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조명램프는 도 2에 도시된 조명램프와는 달리, 전원공급단자(160)가 함몰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원입력단자(260)가 돌출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10)의 상면 중 전원입력단자(16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돌출구조의 전원공급단자(26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단자(260)는 광원유닛(100)과 전원유닛(200)이 상호간에 결합시, 전원입력단자(1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원부(27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발광소자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외의 설명은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지지부(110)의 하부면에는 함몰구조의 전원공급단자(16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단자(160)는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발광소자의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연결된 양극전원공급단자 및 음극전원공급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원유닛(100)과 전원유닛(200)을 서로 결합시, 전원유닛에 형성된 전원입력단자(2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함몰구조로 이루어진 전원입력단자(160)의 형상은, 지지부의 하면에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유닛(100)과 전원유닛(200)이 스크류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더라도,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전원공급단자(260) 위치와 무관하게 전기적 접속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돌출구조의 전원공급단자(260) 높이는, 함몰구조의 전원입력단자(160) 깊이 이상(동일한 경우를 포함한다)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단자(260)의 높이가 전원입력단자(160)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전원공급단자(260)는 몸체부(21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몸체부와 전원공급단자(260)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형성됨으로써, 광원유닛(100)과 전원유닛(2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원공급단자(260)가 전원입력단자(160)를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전기적 접속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외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소자에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시 광원유닛만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적은 비용으로 조명램프를 수리할 수 있는 효과 및 광원유닛의 교체만으로 색온도가 상이한 조명램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됨은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형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광원유닛
110: 지지부
111: 기판
113: 발광소자
130: 돌출체결부
150, 160: 전원입력단자
170: 그로브
200: 전원유닛
210: 몸체부
230: 삽입체결부
250, 260: 전원공급단자
270: 전원부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하부면에 돌출체결부 및 상기 발광소자의 전극과 연결된 전원입력단자를 구비한 광원유닛;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부, 상기 몸체부 상면 중 상기 돌출체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 상면 중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한 전원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유닛과 상기 전원유닛 결합시,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명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체결부와 상기 삽입체결부는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되는 조명램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닛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지지부 상부 및 상기 발광소자를 수납하는 그로브;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체결부 및 상기 전원입력단자는 상기 지지부 하면에 형성된 조명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히트싱크가 더 구비된 조명램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절연재질로 형성된 조명램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단자는 돌출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돌출구조에 대응하는 함몰구조로 이루어진 조명램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몸체부 상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조명램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단자는 함몰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함몰구조에 대응하는 돌출구조로 이루어진 조명램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단자는, 상기 광원유닛 하부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조명램프.
  10. 청구항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조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 조명램프.

KR1020120058492A 2012-05-31 2012-05-31 조명 램프 KR20130134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492A KR20130134754A (ko) 2012-05-31 2012-05-31 조명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492A KR20130134754A (ko) 2012-05-31 2012-05-31 조명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754A true KR20130134754A (ko) 2013-12-10

Family

ID=4998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492A KR20130134754A (ko) 2012-05-31 2012-05-31 조명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7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007A (ko) * 2017-09-11 2019-03-20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독립전원형 투광 조명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007A (ko) * 2017-09-11 2019-03-20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독립전원형 투광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4515B2 (en) Lighting device having separable light source and circuitry
JP3154671U (ja) Ledランプ
JP3145179U (ja) 電源供給器の交換ができるled灯管
US8154179B2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having replaceable light source module
EP2578924B1 (en) Illumination apparatus
JP3154200U (ja) Ledランプ
US20120075858A1 (en) Led bulb
EP2843291A1 (en) Straight tube type lamp and luminaire
US20140204572A1 (en) System for Adapting an Existing Florescent Light Fixture with an LED Luminaire
CN102725579A (zh) 光源装置
JP2011134665A (ja) 口金付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CN2888267Y (zh) 灯具结构改良
JP2010225409A (ja) 電球型発光ダイオード照明灯
EP2748513B1 (en) Lighting device
JP2011228117A (ja) 発光ユニットを交換可能な発光ダイオード(led)ランプ構造体
KR101414764B1 (ko) 형광등 소켓에 접속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등
TW201239260A (en) Lamp assembly
US20100290218A1 (en) Led lamp tube
US20120043885A1 (en) Led lamp with circling led modules and encapsulation
JP2011187161A (ja) Ledライト
JP2014232673A (ja) 照明用光源及び照明装置
US20160025277A1 (en) System for adapting an existing fluorescent light fixture with an LED luminaire
KR20130134754A (ko) 조명 램프
TWM497737U (zh) 燈杯結構及包含其之led燈具
TWM485363U (zh) 具有防水效果的led雙面燈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