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569A - 분석 작업 실행 이력을 이용한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석 작업 실행 이력을 이용한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4569A KR20130134569A KR1020120058175A KR20120058175A KR20130134569A KR 20130134569 A KR20130134569 A KR 20130134569A KR 1020120058175 A KR1020120058175 A KR 1020120058175A KR 20120058175 A KR20120058175 A KR 20120058175A KR 20130134569 A KR20130134569 A KR 201301345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b
- task
- resource
- virtual cluster
- virtu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06F8/41—Compilation
- G06F8/42—Syntactic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작업 스케줄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자원 추정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작업 복잡도 분석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작업 이력 분석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 추정을 이용한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02: 작업 스케줄러
104: 가상 자원 관리자
106: 클라우드 자원
202: 작업 플래너
204: 작업 대기부
206: 작업 실행기
214: 자원 추정기
302: 작업 복잡도 분석기
304: 작업 이력 분석기
306: 작업 실행 이력 데이터베이스
308: 자원 규모 추정기
Claims (21)
- 클라우드 자원을 이용한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자원 요청 정보, 및 과거 작업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클러스터 규모를 추정하는 자원 추정기를 포함하는 작업 스케줄러; 및
추정된 상기 가상 클러스터 규모에 따라 클라우드 자원 상에 가상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가상 자원 관리자를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추정기는,
상기 자원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의 작업 복잡도 유형을 분류하는 작업 복잡도 분석기;
상기 자원 요청 정보 및 상기 작업의 복잡도 유형을 이용하여 과거 작업 실행 이력 중에서 현재 요청된 작업과 유사한 작업 실행 이력을 선택하여 유사 작업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 이력 분석기; 및
상기 유사 작업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를 추정하는 자원 규모 추정기를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복잡도 분석기는, 상기 자원 요청 정보로부터 작업 수행에 사용될 분석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의 소스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작업 복잡도 유형을 분류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이력 분석기는, 상기 자원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작업 형태 및 상기 작업의 복잡도 유형과 같은 작업 형태 및 작업의 복잡도 유형을 갖는 작업 이력을 조회하여 과거 작업 이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과거 작업 이력 정보 중 상기 자원 요청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양 및 작업 수행 시간이 유사한 작업 이력을 선택하여 유사 작업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양 및 상기 작업 수행 시간과 유사한 작업 이력을 선택하는 것은, 정규 분포(normal distribution)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양과 작업 수행 시간을 평균으로 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 수행 서비스 수준에 해당하는 정규 분포의 신뢰 구간에 작업 이력이 속하는지 여부로 선택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규모 추정기는, 상기 유사 작업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클러스터의 가상 머신 노드 수(NN;Number of Nodes), CPU 코어 수(NC; Number of Cores), CPU 클록(CC; CPU Clock), RAM 사이즈(RS; RAM Size)를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를 추정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노드 수(NN)는 과거 작업 실행에 성공한 작업에서 각각 사용된 가상 클러스터의 가상 머신 노드 수(NNi)에 가중치(wi)를 가중한 평균한 값으로 추정되며, 다음의 수식 1 및 2와 같이,
[수식 1]
(여기서, ERi는 과거 작업 각각의 수행 결과를 의미함)
및
[수식 2]
(여기서, AD(Amount of Data)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양, ET(Execution Time)은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 수행 시간, ADi는 과거 작업 각각의 데이터 양, ETi는 과거 작업 각각의 작업 수행 시간, σ는 표준 편차를 의미함)
에 의해 추정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PU 코어수(NC)는 상기 가중치(wi)가 최대인 i 번째 작업 이력의 가상 머신의 CPU 코어수이며, 다음의 수식 3과 같이,
[수식 3]
에 의해 추정되고,
상기 CPU 클록(CC)은 상기 가중치(wi)가 최대인 i 번째 작업 이력의 가상 머신의 CPU 클록이며, 다음의 수식 4와 같이,
[수식 4]
에 의해 추정되고,
상기 RAM 사이즈(RS)는 상기 가중치(wi)가 최대인 i 번째 작업 이력의 가상 머신의 RAM 사이즈이며, 다음의 수식 5와 같이,
[수식 5]
에 의해 추정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복잡도 분석기는,
상기 소스코드 내의 루프 구조를 분석하는 루프 분석기, 상기 소스코드 내의 연산을 분석하는 연산 분석기, 및 상기 소스코드의 함수를 분석하는 함수 분석기를 이용하여 소스코드를 분석하는 소스코드 분석기; 및
상기 소스코드의 결과에 따라 작업 복잡도 유형을 분류하는 작업 복잡도 유형 분류기를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이력 분석기는,
상기 사용자의 작업 형태 및 상기 작업 복잡도 분석기로부터 받은 작업 복잡도 유형과 같은 작업 형태 및 복잡도 유형을 갖는 과거 이력들을 작업 실행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하는 질의어 생성기;
상기 질의 결과인 작업 이력 정보를 받아 각각의 작업 이력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의 양 및 종류, 작업 수행 시간과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작업 유사도 분석기; 및
상기 작업 유사도 계산의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과 유사한 작업 이력들에 대한 정보인 유사 작업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자원 규모 추정기로 전달하는 유사 작업 필터를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스케줄러는,
상기 가상 자원 관리자의해 추정된 상기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를 구축하기 위한 클라우드 자원 상에서 물리적 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를 수정하는 자원 요청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 클라우드 자원을 이용한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에 있어서,
작업 복잡도 분석기에서, 사용자가 제공한 작업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의 작업 복잡도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
작업 이력 분석기에서, 상기 작업 요청 정보 및 상기 작업 복잡도 유형을 이용하여 과거 작업 실행 이력 중에서 현재 요청된 작업과 유사한 작업 실행 이력을 선택하여 유사 작업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자원 규모 추정기에서, 상기 유사 작업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에 필요한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를 추정하는 단계; 및
가상 자원 관리자에서, 추정된 상기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를 갖는 가상 클러스터를 클라우드 자원 상에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복잡도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자원 요청 정보로부터 작업 수행에 사용될 분석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의 소스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작업 복잡도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작업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작업 형태 및 상기 복잡도 유형과 같은 작업 형태 및 복잡도 유형을 갖는 과거 이력들을 작업 실행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하는 단계;
상기 질의 결과인 작업 이력 정보를 받아 각각의 작업 이력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의 양 및 종류, 작업 수행 시간과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유사도 계산의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과 유사한 작업 이력들을 필터링하여 유사 작업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유사 작업 필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이력과 상기 데이터 양 및 작업 수행 시간과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것은, 정규 분포(normal distribution)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양과 작업 수행 시간을 평균으로 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 수행 서비스 수준에 해당하는 정규 분포의 신뢰 구간에 작업 이력이 속하는지 여부로 계산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사 작업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클러스터의 가상 머신 노드 수(NN;Number of Nodes), CPU 코어 수(NC; Number of Cores), CPU 클록(CC; CPU Clock), RAM 사이즈(RS; RAM Size)를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노드 수(NN)는 과거 작업 실행에 성공한 작업에서 각각 사용된 가상 클러스터의 가상 머신 노드 수(NNi)에 가중치(wi)를 가중한 평균한 값으로 추정되며, 다음의 수식 1 및 2와 같이,
[수식 1]
(여기서, ERi는 과거 작업 각각의 수행 결과를 의미함)
및
[수식 2]
(여기서, AD(Amount of Data)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양, ET(Execution Time)은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 수행 시간, ADi는 과거 작업 각각의 데이터 양, ETi는 과거 작업 각각의 작업 수행 시간, σ는 표준 편차를 의미함)
에 의해 추정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CPU 코어수(NC)는 상기 가중치(wi)가 최대인 i 번째 작업 이력의 가상 머신의 CPU 코어수이며, 다음의 수식 3과 같이,
[수식 3]
에 의해 추정되고,
상기 CPU 클록(CC)은 상기 가중치(wi)가 최대인 i 번째 작업 이력의 가상 머신의 CPU 클록이며, 다음의 수식 4와 같이,
[수식 4]
에 의해 추정되고,
상기 RAM 사이즈(RS)는 상기 가중치(wi)가 최대인 i 번째 작업 이력의 가상 머신의 RAM 사이즈이며, 다음의 수식 5와 같이,
[수식 5]
에 의해 추정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코드는 상기 소스코드의 루프 구조를 분석하는 루프 분석기, 상기 소스코드 내의 연산을 분석하는 연산 분석기, 및 상기 소스코드의 함수를 분석하는 함수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클러스터를 클라우드 자원 상에 구축하는 단계는,
추정된 상기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를 구축할 물리적 자원이 클라우드 자원에 충분하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 자원에 물리적 자원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추정된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에 맞는 가상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클러스터를 클라우드 자원 상에 구축하는 단계는,
클라우드 자원에 물리적 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가 허용한 작업 수행 시간 내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추정된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의 수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의 수정이 가능한 경우, 상기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의 수정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클러스터 자원 규모의 수정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가상 클러스터의 구축 작업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클러스터 구축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175A KR101374120B1 (ko) | 2012-05-31 | 2012-05-31 | 분석 작업 실행 이력을 이용한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175A KR101374120B1 (ko) | 2012-05-31 | 2012-05-31 | 분석 작업 실행 이력을 이용한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4569A true KR20130134569A (ko) | 2013-12-10 |
KR101374120B1 KR101374120B1 (ko) | 2014-03-13 |
Family
ID=4998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8175A Active KR101374120B1 (ko) | 2012-05-31 | 2012-05-31 | 분석 작업 실행 이력을 이용한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4120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7766A (ko) * | 2014-05-30 | 2015-12-09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가상머신 스택 생성 시스템 및 방법 |
KR101695238B1 (ko) * | 2016-06-29 | 2017-01-11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다중 컴퓨팅 자원을 이용한 작업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
US10120727B2 (en) | 2014-02-27 | 2018-11-06 | Intel Corporation | Techniques to allocate configurable computing resources |
CN110868330A (zh) * | 2018-08-28 | 2020-03-06 |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 云平台可划分cpu资源的评估方法、装置及评估系统 |
CN110908803A (zh) * | 2019-11-22 | 2020-03-24 | 神州数码融信软件有限公司 | 一种基于余弦相似度算法的作业分配方法 |
KR20200103181A (ko) * | 2019-02-13 | 2020-09-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
KR20240009211A (ko) * | 2022-07-13 | 2024-01-22 |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 클라우드 환경에서 완전동형암호에 필요한 컴퓨팅 파워 예측에 기반한 컴퓨팅 파워별 연산 장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CN117555586A (zh) * | 2024-01-11 | 2024-02-13 | 之江实验室 | 一种算法应用发布、管理及评分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31783A1 (en) | 2017-08-09 | 2019-02-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N-DEMAND FUNCTION SUPPLY SYSTEM (FAA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
KR20190109795A (ko) | 2018-03-19 | 2019-09-2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한 클러스터 구축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저장 매체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4906B1 (ko) * | 2001-12-20 | 2003-11-0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클러스터 시스템의 고 가용성 구현장치 및 방법 |
KR20110058679A (ko) * | 2009-11-24 | 2011-06-0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모바일 자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12
- 2012-05-31 KR KR1020120058175A patent/KR101374120B1/ko active Active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20727B2 (en) | 2014-02-27 | 2018-11-06 | Intel Corporation | Techniques to allocate configurable computing resources |
KR20150137766A (ko) * | 2014-05-30 | 2015-12-09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가상머신 스택 생성 시스템 및 방법 |
KR101695238B1 (ko) * | 2016-06-29 | 2017-01-11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다중 컴퓨팅 자원을 이용한 작업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
CN110868330A (zh) * | 2018-08-28 | 2020-03-06 |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 云平台可划分cpu资源的评估方法、装置及评估系统 |
CN110868330B (zh) * | 2018-08-28 | 2021-09-07 |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 云平台可划分cpu资源的评估方法、装置及评估系统 |
KR20200103181A (ko) * | 2019-02-13 | 2020-09-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
US11650855B2 (en) | 2019-02-13 | 2023-05-16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Cloud computing-based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CN110908803A (zh) * | 2019-11-22 | 2020-03-24 | 神州数码融信软件有限公司 | 一种基于余弦相似度算法的作业分配方法 |
CN110908803B (zh) * | 2019-11-22 | 2022-07-05 | 神州数码融信软件有限公司 | 一种基于余弦相似度算法的作业分配方法 |
KR20240009211A (ko) * | 2022-07-13 | 2024-01-22 |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 클라우드 환경에서 완전동형암호에 필요한 컴퓨팅 파워 예측에 기반한 컴퓨팅 파워별 연산 장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CN117555586A (zh) * | 2024-01-11 | 2024-02-13 | 之江实验室 | 一种算法应用发布、管理及评分方法 |
CN117555586B (zh) * | 2024-01-11 | 2024-03-22 | 之江实验室 | 一种算法应用发布、管理及评分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4120B1 (ko) | 2014-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4120B1 (ko) | 분석 작업 실행 이력을 이용한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 |
CN108089921B (zh) | 用于云端大数据运算架构的服务器及其运算资源最佳化方法 | |
US11567807B2 (en) | Allocation of shared computing resources using source code feature extraction and machine learning | |
US9965322B2 (en) | Scheduling tasks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with both reconfigurable and configurable processors | |
US11630685B2 (en) | Hypervisor and container placement and cost optimization utilizing machine learning | |
JP6953800B2 (ja) | シミュレーションジョブを実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EP4244720A1 (en) | Techniques for modifying cluster computing environments | |
CN113378007B (zh) | 数据回溯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 |
US20120254434A1 (en) | Placement goal-based database instance consolidation | |
US20120266164A1 (en) | Determining starting values for virtual machine attributes in a networked computing environment | |
US20220374285A1 (en) | Topology-based migration assessment | |
JP2018067302A (ja) | ソフトウェアサービス実行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 |
KR101324850B1 (ko) | 모바일 클라우드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가상 머신 할당 장치 및 그 방법 | |
US9781220B2 (en) | Identity management in a networked computing environment | |
CN101495978B (zh) | 减少总线连接的消费者和产生者之间的消息流 | |
KR20160139082A (ko) | 역경매 방식 자원할당 장치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버 및 그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 |
JP2022079755A (ja) | 特許情報処理装置、特許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376226B1 (ko) | 오픈 소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서버 | |
CN104781788A (zh) | 资源管理系统、资源管理方法和程序 | |
CN118860350A (zh) | 一种代码开发方法及相关设备 | |
US20130318532A1 (en) | Computer product, execution control device, and execution control method | |
CN115220890A (zh) | 密码计算任务调度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 |
KR20230067369A (ko) | 기계 학습 작업 스케줄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063834B1 (ko) |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활용한 협업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벤트 기반 협업 흐름 제어 방법 | |
US20240126623A1 (en) | Tracing service interactions without global transaction identifi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