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427A - 수직형 부화기 - Google Patents

수직형 부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427A
KR20130134427A KR1020120057922A KR20120057922A KR20130134427A KR 20130134427 A KR20130134427 A KR 20130134427A KR 1020120057922 A KR1020120057922 A KR 1020120057922A KR 20120057922 A KR20120057922 A KR 20120057922A KR 20130134427 A KR20130134427 A KR 20130134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ggs
light source
egg
incub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492B1 (ko
Inventor
배종윤
Original Assignee
(주)오토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일렉스 filed Critical (주)오토일렉스
Priority to KR102012005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49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6Egg-turning appliances for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2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4Grading eggs
    • A01K43/10Grading and stamp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4)과;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80)과; 상기 회전축(14)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수단(80)과 치차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8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수단(40)과; 상기 회전수단(4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수단(40)과 같이 회전하며, 알이 수납되는 다수의 알트레이(42)를 포함하는 수직형 부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화기를 바닥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세워 알이 수납되는 알트레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전란을 실시하여 다수개의 알이 회전축의 거리와 상관없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알트레이가 공전되어 내부에 공급되는 열풍이 알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되어, 부화시기가 동일하게 이루어져 부화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란광원이 내부에 구비되어, 알트레이에 수납된 알에 대한 검란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별도의 검란장치를 이용하여 알에 대한 검란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수직형 부화기{Vertical Incubator}
본 발명은 수직형 부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을 정해진 환경 속에서 일정 기간 동안 유지하여 부화시키는 수직형 부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을 부화시키는 부화기는 집단사육을 하는 곳에서 많이 사용되나, 최근에 자연학습을 위해 몇 개의 알을 집에서 부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제시되었다.
일정한 온도와 가습을 유지하고 알을 전란하는 부화기는 대한민국특허등록 10-0762405호의 부화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전란모터와 전란판이 래크기어와 피니언으로 연결되어 전란판이 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전란판의 상부의 위치한 알트레이에 수납된 알이 전란판의 좌,우 이동에 의해 전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부화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부화기의 내부에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온부재와 팬조립체에 의해 따뜻한 공기가 순환한다. 따라서,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는 온도와 유출되는 온도가 서로 상이하여 알의 수납 위치에 따라 온도가 다르게 적용되어 부화시기에 차이를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우로 이동하는 전란판에 의한 전란은 다수의 알을 전란시키기 위해서는 알트레이에 수납되는 알이 수평으로 수납되어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알트레이에 수납된 알의 검란을 위해서는 알을 부화기의 외부로 배출하여 별도의 검란장치를 이용하여 알을 수작업으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알트레이에 알을 수납하여 수납된 알을 공전시키고, 부화기 내부에 공급되는 열풍이 알에 균일하게 공급되어 알에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고, 알트레이가 공전되면서, 알트레이의 내부에 수납된 알이 자전되어 전란이 이루어지는 수직형 부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부화기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수단과 치차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수단과 같이 회전하며, 알이 수납되는 다수의 알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알트레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기순환홀이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알의 검란을 위해 빛을 발산하는 검란광원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검란광원으로 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알트레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투사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검란광원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투사홀에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한다.
상기 검란광원의 일측에는, 상기 검란광원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부화기를 바닥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세워 알이 수납되는 알트레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전란을 실시하여 다수개의 알이 회전축의 거리와 상관없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알트레이가 공전되어 내부에 공급되는 열풍이 알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되어, 부화시기가 동일하게 이루어져 부화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란광원이 내부에 구비되어, 알트레이에 수납된 알에 대한 검란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별도의 검란장치를 이용하여 알에 대한 검란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화기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알트레이의 내부에 수납된 알이 회전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알트레이와 회전기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검란광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검란광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검란광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부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화기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알트레이의 내부에 수납된 알이 회전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알트레이와 회전기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4)과,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80)과, 상기 회전축(14)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수단(80)과 치차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8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수단(40)과;
상기 회전수단(4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수단(40)과 같이 회전하며, 알이 수납되는 다수의 알트레이(42)를 포함하는 수직형 부화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은 상부 외관을 구성하는 상부하우징(10)과, 하부 외관을 구성하는 하부하우징(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은 중공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원호로 이루어져, 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은 내부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면(12) 중앙에는 회전축(1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4)은 전방으로 일정 높이 만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수단(40)이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수직하게 회전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바닥면(16) 우측에는 제 1 열풍유입홀(18)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열풍유입홀(18)은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열풍유입홀(18)의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에 열풍이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바닥면(16) 좌측에는 제 1 열풍배출홀(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열풍배출홀(20)은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열풍배출홀(20)은 상기 상부하우징(10) 내부를 순환한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 열풍유입홀(18)과 제 1 열풍배출홀(20)을 통해 상기 상부하우징(10)에 공급되는 열풍이 유입 및 배출되도록 안내되어 진다.
상기 제 1 열풍배출홀(20)의 상부에는 필터거치대(22)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거치대(22)는 단면이 "┏"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거치대(22)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거치대(22) 사이에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23)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필터거치대(22)에는 필터(23)가 결합된다. 상기 필터(23)는 일반적으로 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서는 스폰지필터가 적용된다.
상기 제 1 열풍유입홀(18)의 상부에는 장착리브(24)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24)는 제 1 장착리브(26), 제 2 장착리브(28), 제 3 장착리브(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장착리브(26)는 직사각형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면(12)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장착리브(26)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장착리브(26) 사이에 아래에서 설명할 가습패드(3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 1 장착리브(26)의 상부에는 제 2 장착리브(28)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장착리브(28)는 직사각형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면(12)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장착리브(28)에는 아래에서 설명한 가습패드(32)가 지그재그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 2 장착리브(28)의 상부에는 제 3 장착리브(30)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장착리브(30)는 직사각형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면(12)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3 장착리브(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3 장착리브(30) 사이에 아래에서 설명할 가습패드(3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장착리브(24)의 사이에는 가습패드(32)가 설치된다. 상기 가습패드(32)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이 흡수된 상태로 상기 장착리브(24)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제 1 열풍유입홀(18)을 통해 유입되는 열풍이 상부에 설치된 가습패드(32)를 통과하여, 상기 가습패드(32)의 습기를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에 습기를 공급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결합홀(3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34)은 반원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3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기어(84)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로 일부분이 삽입되어 진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의 회전축(14)에는 회전수단(4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수단(40)는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수단(40)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수단(80)과 치차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수단(40)의 전방에는 알트레이(42)가 형성된다. 상기 알트레이(42)는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단(4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알트레이(42)는 상기 회전축(14)을 중심으로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알트레이(42)는 내부에 알을 수납하고, 상기 회전수단(40)의 회전에 따라 알을 공전시키고, 상기 알트레이(42)의 내주면과 알이 접촉되어 전란되도록 한다.
즉, 별도의 전란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알트레이(42)와 상기 회전수단(40)을 이용하여 알의 공전 및 자전을 동시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알트레이(42)의 선단에는 공기순환홀(44)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순환홀(44)은 일정한 폭을 가지며,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공기순환홀(44)은 상기 알트레이(42)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순환홀(44)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이 상기 알트레이(42) 사이와 알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면(12)에는 투시홀(46)이 형성된다. 상기 투시홀(46)의 상기 내부면(12)에 일직선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투시홀(46)은 아래에서 설명할 검란광원(90)의 빛을 상기 알트레이(42)의 내부로 발산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전방에는 상부커버(50)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커버(50)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50)는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의 부품을 보호한다.
상기 상부커버(50)의 중앙에는 고정부재(5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52)는 체결부(56)와, 회전손잡이(5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56)는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56)는 상기 상부커버(5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삽입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14)과 서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체결부(56)의 전방에는 회전손잡이(54)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손잡이(54)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부(56)의 전방에 직교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손잡이(54)는 사용자가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결부(56)와 상기 회전축(14)이 나사결합되도록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상부커버(50)를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전방에 결합하고, 상기 고정부재(52)를 삽입홀에 삽입하여 회전축(14)과 서로 나사 결합하여 상기 상부커버(50)를 상기 상부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의 하부에는 하부하우징(60)이 결합된다. 상기 하부하우징(60)은 직사각형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방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하우징(60)은 내부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하우징(60)의 상부에는 제 2 열풍유입홀(6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열풍유입홀(62)은 상기 제 1 열풍유입홀(18)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열풍유입홀(62)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 1 공기순환팬(64)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제 1 열풍유입홀(18)에 가이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 2 열풍유입홀(62)의 하부에는 제 1 공기순환팬(64)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공기순환팬(64)은 일반적인 팬(Pan)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공기순환팬(64)은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66)를 통과한 열풍을 상기 상부하우징(10) 방향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 1 공기순환팬(64)의 하부에는 히터(66)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66)는 저항히터, 피씨티(PCT)히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발열히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히터(66)는 공기는 가열하여 열풍을 발생한다.
상기 하부하우징(60)의 좌측 상부에는 제 2 열풍배출홀(68)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열풍배출홀(68)은 상기 제 1 열풍배출홀(20)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열풍배출홀(68)은 상기 제 1 열풍배출홀(20)을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를 순환한 열풍이 상기 하부하우징(60)을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하우징(60)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는 제 2 공기순환팬(70)이 설치된다. 상기 제 2 공기순환팬(70)은 일반적인 팬(Pan)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2 공기순환팬(70)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상기 하부하우징(60)의 내부로 유도하고, 상기 히터(66)로 공급한다.
즉, 상기 히터(66)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순환팬(64)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 2 공기순환팬(70)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10)에서 상기 하부하우징(60)으로 배출되어 상기 히터(66) 방향으로 순환된다.
상기 하부하우징(60)의 전면에는 하부커버(72)가 결합된다. 상기 하부커버(72)는 직사각형의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하우징(60)의 전면을 커버한다.
상기 하부하우징(60)의 후방에는 구동수단(8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수단(80)은, 구동모터(82)와 구동기어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82)는 일반적인 회전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모터(82)는 전기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한다.
상기 구동모터(82)의 전방에는 구동기어(84)가 결합된다. 상기 구동기어(84)는 구동모터(82)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구동모터(82)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동기어(84)는 상기 결합홀(34)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수단(40)의 치차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82)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수단(80)의 후방에는 하부판(86)이 결합된다. 상기 하부판(86)은 직사각형의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하우징(60)의 후방을 커버한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검란광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홀(46)의 후방에는 검란광원(90)이 설치된다. 상기 검란광원(90)은 일반적으로 엘이디(LED), 램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검란광원(90)은 다수개의 투시홀(46) 각각에 설치된다. 상기 검란광원(90)은 상기 투시홀(46)을 통해 상기 알트레이(42)의 내부에 빛을 발산하여 알을 검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검란광원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시홀(46)의 후방에는 검란광원(90)이 설치된다. 상기 검란광원(90)은 일반적으로 엘이디(LED), 램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검란광원(90)은 상기 투시홀(46)을 통해 상기 알트레이(42)의 내부에 빛을 발산하여 알을 검란한다.
상기 검란광원(90)의 우측에는 제어부재(92)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재(92)는 상기 검란광원(90)과 일체로 형성되며,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재(92)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검란광원(90)의 우측에는 후방커버(100)가 결합된다. 상기 후방커버(100)는 상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단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커버(100)는 상기 검란광원(9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후방커버(100)의 상단에는 슬라이딩홀(102)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홀(102)은 상기 후방커버(100)의 상단에는 중앙부까지 일정한 폭을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홀(102)에 상기 제어부재(92)가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검란광원(90)을 상,하로 조절한다.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검란광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란광원(90)의 상부에는 제어부재(92)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재(92)는 수직바(94)와 손잡이부(9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바(94)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검란광원(90)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바(94)는 상기 상부하우징(10)의 관통홀(104)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바(94)는 상기 검란광원(9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바(94)의 상단에는 손잡이부(96)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96)는 사각형 육면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쉽게 파지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하게 상,하로 검란광원(90)을 이동시켜, 상기 투시홀(46)에 빛을 선택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부화기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부화기(P)는 바닥면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상부커버(50)를 개방하여 알트레이(42)에 알을 수납한다. 알의 수납이 완료되면 가습패드(32)에 물을 흡수시켜 장착리브(24)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상기 알트레이(42)와 상기 가습패드(32)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상부커버(50)를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장착하여 고정부재(52)의 회전손잡이(54)의 회전시켜 상기 상부커버(50)를 상기 상부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부화기(P)를 바닥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상기 부화기(P)를 작동시킨다.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히터(66)가 작동되어 상기 히터(66)가 발열된다. 상기 히터(66)가 발열되면 제 1 공기순환팬(64)이 작동하여 상기 히터(66)에 의해 가열된 공기인 열풍을 제 1,2 열풍유입홀(18, 62)을 통해 상기 상부하우징(10)을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제 1 공기순환팬(64)에 의해 열풍이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급되면 구동모터(82)가 구동력을 발생하여 구동기어(84)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기어(84)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기어(84)와 치차 결합된 회전수단(40)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수단(4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수단(40)과 일체로 형성된 알트레이(42) 전체가 회전축(14)을 중심으로 공전되어 열풍이 알에 골고루 전달된다.
또한, 상기 알트레이(42)가 공전되면, 상기 알트레이(42)에 수납된 알도 알트레이(42)의 내주면의 마찰과 중력에 의해 자전되어 전란이 이루어진다.
상기 알트레이(42)의 공기순환홀(44)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10)에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알트레이(42)의 중앙부까지 전달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유입된 열풍은 상기 상부하우징(10)을 순환한 후 상기 제 1 열풍유입홀(18)의 좌측에 형성된 제 1 열풍배출홀(18)을 통해 하부하우징(60)으로 안내된다. 상기 하부하우징(60)의 내부에는 제 2 공기순환팬(70)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열풍을 상기 하부하우징(6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상기 제 2 공기순환팬(70)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에 유입되어 일정시간이 지나 냉각된 열풍을 다시 상기 히터(66)로 공급하여 재가열 되도록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0)에 투사홀(46)이 형성되어 검란광원(90)에 의해 빛이 발산되면 상기 알트레이(42)에 수납된 알에 대한 검란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40)에 의해 상기 알트레이(42)가 회전되고 검란광원(90)에 의해 상기 알트레이(42)의 내부에 빛이 발산되면 다수개의 알을 짧은 시간에 검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하우징 10. 상부하우징
12. 내부면 14. 회전축
18. 제 1 열풍유입홀 20. 제 1 열풍배출홀
22. 필터거치대 23. 필터
24. 장착리브 32. 가습패드
40. 회전기어 42. 알트레이
44. 공기순환홀 60. 하우징

Claims (5)

  1.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4)과;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80)과;
    상기 회전축(14)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수단(80)과 치차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8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수단(40)과;
    상기 회전수단(4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수단(40)과 같이 회전하며, 알이 수납되는 다수의 알트레이(42)를 포함하는 수직형 부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알트레이(4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기순환홀(44)이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부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는, 알의 검란을 위해 빛을 발산하는 검란광원(90)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에는 상기 검란광원(90)으로 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알트레이(42)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투사홀(46)이 전,후로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수직형 부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란광원(90)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투사홀(46)에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부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란광원(90)의 일측에는, 상기 검란광원(9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재(9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부화기.



KR1020120057922A 2012-05-31 2012-05-31 수직형 부화기 KR10139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922A KR101397492B1 (ko) 2012-05-31 2012-05-31 수직형 부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922A KR101397492B1 (ko) 2012-05-31 2012-05-31 수직형 부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427A true KR20130134427A (ko) 2013-12-10
KR101397492B1 KR101397492B1 (ko) 2014-05-20

Family

ID=4998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922A KR101397492B1 (ko) 2012-05-31 2012-05-31 수직형 부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4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237A (ko) * 2014-11-04 2016-05-12 배종윤 부화장치
CN105900859A (zh) * 2016-05-10 2016-08-31 无为县金宝生态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鸭蛋孵化装置
CN112005930A (zh) * 2020-08-27 2020-12-01 杭州精合医药科技有限公司 孵化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4390B (zh) * 2015-03-17 2016-08-24 天津开发区合普工贸有限公司 一种均衡移位实验鸡胚自动培养仪
CN105238692B (zh) * 2015-09-18 2018-04-03 天津开发区合普工贸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实验鸡胚培养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525B1 (ko) * 1991-04-27 1993-05-03 김종렬 부란기의 전란장치 및 부란방법
KR100494088B1 (ko) * 2002-10-31 2005-06-13 박성민 인공부화방법 및 장치
KR100714495B1 (ko) * 2006-05-26 2007-05-04 최인겸 전란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부화기
KR100931255B1 (ko) 2009-01-12 2009-12-10 이미경 폐냉장고 부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237A (ko) * 2014-11-04 2016-05-12 배종윤 부화장치
CN105900859A (zh) * 2016-05-10 2016-08-31 无为县金宝生态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鸭蛋孵化装置
CN112005930A (zh) * 2020-08-27 2020-12-01 杭州精合医药科技有限公司 孵化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492B1 (ko)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492B1 (ko) 수직형 부화기
CN110461144B (zh) 宠物用干燥装置
ES2749470T3 (es) Aparato de cocción eléctrico con flujo de aire
EP2896408B1 (en) An apparatus for diffusing a chemical substance
KR20200033098A (ko) 드라이어 거치대
US9877502B2 (en) Food dehydrator
KR20180028214A (ko) 부화기
KR101669718B1 (ko)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JP2007534430A (ja) 輻射乾燥ユニットを備えた洗濯機
KR20210027809A (ko) 이동로봇의 도킹장치
JP2017521150A (ja) 衣服消毒器
WO20192123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ting bumble bee colonies
CN109477641A (zh) 烤箱
KR101880501B1 (ko) 달걀 부화장치
KR101895706B1 (ko) 인덕션 가열장치를 이용한 온수매트용 보일러
JP6390269B2 (ja) 加湿機
KR20170089370A (ko) 블루투스와 인터넷 작동제어형 분쇄 및 건조기
KR101651399B1 (ko) 부화장치
KR20100112337A (ko) 조리기기 및 스팀조리기기
KR101348120B1 (ko) 가습기
KR20210136407A (ko) 가습 장치
KR102371732B1 (ko) 전기 소독기
KR101371916B1 (ko) 콤팩트 구조의 근적외선 히터
US1848409A (en) Air circulating apparatus for incubators or the like
JP6477238B2 (ja) 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