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255B1 - 폐냉장고 부화기 - Google Patents

폐냉장고 부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255B1
KR100931255B1 KR1020090002163A KR20090002163A KR100931255B1 KR 100931255 B1 KR100931255 B1 KR 100931255B1 KR 1020090002163 A KR1020090002163 A KR 1020090002163A KR 20090002163 A KR20090002163 A KR 20090002163A KR 100931255 B1 KR100931255 B1 KR 100931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ubator
plate
egg
refrigerato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경 filed Critical 이미경
Priority to KR102009000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2Heating arrangements
    • A01K41/023Devices for regulating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4Controlling humidity in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6Egg-turning appliances for incub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36/00Automatic temperature and humidity regul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창이 형성된 개폐수단이 있는 폐냉장고 몸체로 이루어진 부화기가 있고, 상기 폐냉장고 몸체 내부에 전란판 있고 전란판에 연동된 전란판 구동수단과 전란판 구동수단과 연계된 시간조절기를 구비하고, 상기 폐냉장고 몸체 내부에 가열장치가 있고 가열장치에 연계된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란판은 개량입체형 전란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및 조류 부화기를 제공한다.
폐냉장고, 개량입체식 전란방식

Description

폐냉장고 부화기{an artificial incubator using recycled refrigerator}
본 발명은 닭, 꿩, 오리, 메추리 등의 가금류 및 조류의 인공적인 부화를 위한 부화기에 관한 발명으로 특히 소형 부화실에 닭이나, 오리 등과 같은 조류의 수 정란을 여러개 안착시키고 히터와 송풍기를 통해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줌과 동시에 부화실내의 수정란을 간헐적으로 전란시켜 부화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해 줌으로써 건강한 병아리가 부화되게 하는 장치인 것이다.
또한 아이들 또는 학생들이 알에서 병아리가 탄생되기까지의 과정을 몸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 학습효과의 향상은 물론 아이들의 정서함양 및 EQ지능지수를 높일 수 있는 학습목적을 위한 부화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종래의 부화기는 평면에서 수정란을 굴리는 평면전란 방식과 수정란의 기실이 위로 향하게 하여서 45도로 시소(seesaw) 위치변동케 하여서 종란을 90도 반복 전란되게 하는 입체전란 방식의 부화기가 있으며 평면전란방식 부화기는 수준이 낮은 부화기로서 부화율이 매우 낮아서 저가의 학생교육 실습용수준 외에는 사용되지 않는 부화기이고, 입체전란방식 부화기는 범용되는 종래의 기술이지만 만족할만한 최상의 기술이라 할 수 없으며 좀 더 우수한 부화율의 향상을 위하여 부화기술의 혁신적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편명전란방식이란 상기한 바와 같이 평상에 수정란을 놓고 평상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수정란을 굴리는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입체전란방식이란 상기한 바와 같이 수정란의 기실이 위로 향하게 위치시키는 홀더를 구비하고 수정란을 잡은 상기 홀더가 자전 및 수평회전하면서 수정란을 전란시키는 방법인데 부화기업계에서는 "입체전란 방식"이라 칭하며 범용의 부화기에서 이용되는 보편적인 전란방법이라 할수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10-0232215호(이하 선행발명)는 내부가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물이 담겨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닥과 일정간격 떨어진 상부에 수정란을 안착시키는 스크린과: 스크린 상에 설치되어 수정란을 주기적으로 굴려주는 전란틀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적당한 높이의 부화실을 갖도록 씌워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부화실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기와; 상기 온도조절기에 의해 설정된 온도와 온도센서에 의해 센싱된 부화실 내의 온도를 비교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부화실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는 히터와; 뚜껑의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개의 설치된 지지대에 고정설치된 공기 유통구를 갖는 보호판들로 구성한 학습용 자동부화기를 제시하였다.
상기의 업계에서 입체전란 방식이라 칭하는 방식은 실질적으로 입체적으로 전란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즉 수정란이 고정되면서 자전과 수평회전을 한다고 하지만 수정란의 균일한 온도전달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여 실제로 부화율이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선행발명은 부화기 내의 온도와 습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긴 하였으나 통상적인 전란방식을 채용함에 따라 부화율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 이 있었고, 특히 부화기 자체가 열차단효과를 갖지 못하여 에너지 소모가 많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도조절도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더욱이,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체제에도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창이 형성된 개폐수단이 있는 폐냉장고 몸체로 이루어진 부화기가 있고, 상기 폐냉장고 몸체 내부에 전란판이 있고, 상기 전란판과 연계된 전란판 작동장치와 전란판작동장치와 연계된 시간조절기를 구비하고, 상기 폐냉장고 몸체 내부에 가열장치가 있고 가열장치에 연계된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란판은 개량입체형 전란방식으로 전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및 조류 부화기를 제공한다.
종래의 부화기가 단열성이 없는 재료로 만들어져 있어서 부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의 유지에 곤란함이 있어 부화율을 떨어트렸는데, 본 발명은 폐냉장고를 이용하여 단열성이 현저히 우수하여 부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유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서 부화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개량된 부화기가 고가의 단열성 재료를 이용하여 부화기를 제조함으로써 부화기 제조비가 많은 단점이 있었는데 이런 단점도 일거에 해결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폐냉장고는 폐기물로 분류되어 처리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는데 폐기물의 재활용이라는 환경보호적 효과 및 부화기에 사용되는 원료절감이라는 효과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란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개량입체전란방식을 취하여 알의 전체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어 부화율을 현저히 높이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가금류 및 조류의 부화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종래의 부화기에 있어서 부화율을 높이기 위하여 부화기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기술적 요소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부화기는 이런 온도특성을 무시하고 사용되었음은 물론 개량된 기술을 활용하였는데 그것은 부화기자체의 온도유지를 위하여 부화기에 특수한 단열장치를 구성한다거나 단열성이 뛰어난 특수소재를 이용하여 부화기를 제작하는 수준인 것이었다.
또한 부화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알에 일정한 온도로 알전체에 균일하게 작용하여야 하는 점이 기술적인 핵심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알을 전란판에 위치시키고 전란판을 지그재그형 상하운동만 가능하게 하여 알전체에 골 고루 열을 전달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폐기물로 분류되어 처리되어야 하는 폐냉장고를 이용하여 특별한 추가 비용없이 부화기를 제조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런 폐냉장고를 활용하면 폐냉장고를 폐기물로 처리하여야 하는 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재활용이라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또한 폐냉장고는 그 자체로 단열력이 매우 우수하여 부화기로 활용할 경우 일정한 온도 유지가 매우 용이하게 실현되어 폐냉장고를 부화기로 제작할 경우 별도의 단열수단을 채용한다거나 단열소재를 이용하여 부화기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일석삼조(一石三鳥)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개량입체형전란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알전체에 고른 열전달이 가능하므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알자체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부화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폐냉장고를 수거하여 냉장고 문을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체를 구비한 냉장고 문으로 제작하여 부착한다.
따라서 폐냉장고 몸체(10)는 부화기 몸체가 되며, 부화기 자체가 좋은 단열재로 만들어진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투명체(21)를 구비한 폐냉장고 문(20)은 부화기의 개폐수단이 되며 내부를 볼 수 있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폐냉장고 몸체 내부에는 전란판(30)이 설치되어 있다. 전란판은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폐냉장고 내부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전란판은 알들을 부화시키기 위해 알들을 위치시키는 판을 의미하며 알들이 전란하는 도중에 전란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일예로 전란판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의 벽이 형성되어 있어 알들이 전란하는 도중에 전란판을 이탈하지 못하게 함은 자명한 사항이다.
전란판의 재질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폐냉장고 몸체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도록 전란판 바닥이 통풍이 될 수 있는 재료, 즉 망이 형성되어 있는 재료가 매우 효과적이다.
전란판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다각형 또는 원형이든 관계없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다음에서 언급할 바와 같이 전란판의 구동장치와 용이하게 연동될 수 있는 구성을 취하기 위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이 좋다.
또한 전란판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란판의 면적이 매우 넓어서 본 발명의 특징인 개량입체형 전란이 행하여지는 과정에서 알들이 서로 부딪혀서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칸막이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5는 전란판에 칸막이가 있는 경우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칸막이는 알들이 서로 부딪혀서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은 전란판의 전란방식이 개량입체형 전란방식이라는 것이다.
종래의 전란판은 대부분 평면전란방식이고 일부가 입체전란 방식이어서 알전체에 골고루 균일한 온도의 열을 전달할 수 없었다. 또한 일일이 손으로 알을 뒤집어 주는 수동식 전란방식은 더욱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입체전란방식과 평면전란방식의 문제점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개량입체형 전란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개량입체형 전란방식은 전란판을 정면에서 봤을 때 시소(seesaw)처럼 상하로 움직일 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봤을 때도 전란판이 시소(seesaw)처럼 상하로 움직이면서 전란판 전체가 상하 및 좌우로 회전운동을 하여 전란판 전체가 마치 비틀리듯 회전운동하는 전란방식을 의미한다.
개량입체형 전란방식은 알들이 전란판에 놓여졌을 때 알의 전체에 골고루 열이 전달되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그 작용원리는 전란판의 개량입체형 전란운동에 의해서 알이 굴려지고 뒤집혀지는 효과가 현저하여 가열수단에서 나오는 열이 알의 표면 전체에 골고루 전달될 뿐만 아니라 알의 앞과 뒤에도 골고루 열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개량입체형 전란방식을 통하여 부화율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이다.
개량입체형 전란방식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예는 아래와 같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냉장고 내부에 전란판이 구비되어 있고, 전란판의 일측면이 폐냉장고 일측면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전란판이 개량입체형 전란운동 을 할 수 있도록 전란판의 일측면을 위치고정시키면서 한편 전란판이 전체적으로 움직일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를 취하는 것이다. 즉, 전란판의 일측면을 폐냉장고 내부에 위치고정시키면서 전란판이 전체적으로 움직일수 있도록 허용하는 수단(33)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란판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수단(33)은 폐냉장고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전란판 일측면과도 연결되어 있는 바(bar)와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전란판 반대편 측면은 편심회전판(32)의 축에 연결되어 있고, 편심회전판의 축은 감속기와 같은 전란판 구동수단(31)에 연동되어 있다. 이러한 편심회전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란판이 전체적으로 개량입체형 전란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도 4에 보는 바와 같이 전란판의 일측면이 편심회전을 전달하는 감속기와 같은 구동수단(31)에 의해 연동되어 있고, 전란편의 반대측면 또한 편심회전을 전달하는 감속기와 같은 구동수단(31')에 의해 연동되어 있는 구성으로 전란판 전체가 개량입체형 전란운동을 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전란판이 폐냉장고에 위치고정되는 경우 전란판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란판 밑에 전복방지대(35)가 구성되어 있을 수가 있다. 상기의 전복방지대는 전란판이 평형을 잃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간단한 지지막대, 지지판 등을 의미하며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취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전란판은 폐냉장고 내에 여러개 설치되어 있고, 전란판 서로가 연동되어 있어 일체적으로 개량입체형 전란운동을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전복방지 대는 부수적으로 필요한 사항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전란판이 개량입체형 전란방식으로 운동하는 수단은 상기한 예 외에도 본 발명을 보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채용할 수 있는 어떤 경우도 허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란판이 전란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시간조절기(34)가 전란판과 연동되어 있는 구동수단(31,31')에 연계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전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폐냉장고 내부에는 가열수단(40)이 구비되어 있다.
가열수단은 폐냉장고 내부의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통상의 가열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떠한 종류든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가열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수단은 백열전구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밖에 어떠한 가열수단도 취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가열수단에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기(41)가 구비되어 있어, 부화실인 폐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온도조절기는 통상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온도조절장치이면 다 허용이 된다.
폐냉장고 내부에는 부화판(50)이 장착되어 있다.
부화판은 알들이 전란을 중지한 시점에서 부화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들이 폐냉장고 내부로 유입되는 시기가 각각 다를 수가 있어 부화를 준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화판은 폐냉장고 내부에 수평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수평하게 위치하는 것은 아니다.
폐냉장고 내부에는 또한 습도유지를 위한 수분공급수단(60)과 이와 연계된 습도조절장치(61)가 구비되어 있다. 수분공급부는 증발되는 수분을 보충하는 수단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수분공급부와 연계된 습도조절기에 의해서 폐냉장고 내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습도조절기는 습도감지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일정한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수정된 계란의 경우, 전란을 멈추기 전, 즉 19일까지는 습도가 65-70%를 유지해 줘야 하고 그 이후 수정계란이 부화될 때까지는 83~88%의 습도를 유지해 주어야 부화율이 현저히 상승한다.
따라서 폐냉장고 내부의 습도조절은 부화율과 많은 관련이 있으므로 수분공급부와 습도조절기의 기능은 이런 면에서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폐냉장고 내부에는 공기순환장치(70)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는 폐냉장고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주는 장치이다. 알들이 부화되는데 있 어 폐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폐냉장고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산소농도도 균일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하기 위하여 공기순환장치가 장착되어 있을 수가 있다.
또한 폐냉장고에는 폐냉장고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작은 크기의 보조 통풍구(8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통풍구는 알들이 부화되면서 소비되는 산소의 공급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단이다. 일반적으로 알들은 부화되면서 다량의 산소의 소비를 하게 되어 있어, 꾸준한 산소의 공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조통풍구는 이런 폐냉장고의 내부에 산소공급을 꾸준히 해 주며 상기한 공기순환장치에 의해 폐냉장고 내부에 균일하게 산소를 유지해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폐냉장고를 활용하여 가금류 및 조류의 부화를 위한 부화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화기를 이용하여 닭의 수정란에 대한 부화율을 일반 평면전란 방식 및 입체전란방식을 사용한 일반부화기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가금류의 부화온도 및 부화일수는 아래 [표1]과 같다.
[표1]
오리 거위 메추리 칠면조
부화일수 21 28 28-34 23-28 17 28
온도(℃) 37.5 37.5 37.5 37.2 37.5 37.3
전란중단후 습도(%) 85-87 84-86 86-88 86-88 84-86 83-85
전란중단일 19 25 21 21 15 25
[표2]는 본 발명인 폐냉장고 부화기와 일반 부화기에서 닭의 수정란 부화율은 다음과 같다.
[표2]
입체전란식 부화기 평면전란식 부화기 본원 발명 부화기
부화율(%) 75-75 75-78 85-89
상기의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인 폐냉장고 부화기를 이용하여 닭의 수정란을 부화한 결과 통상의 입체전란식 부화기나 평면전란식 부화기에 비하여 훨씬 높은 부화율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높은 부화율과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양계업계 또는 가금류를 생산하는 업계에서 각광을 받을 전망이다.
또한 어린이 학습용 자연체험 기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 환경적인 인식을 제고시키고 가금류나 조류가 부화하는 과정을 실제로 볼 수 있어 어린이 학습효과를 두배 로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폐냉장고 부화기의 사시도의 일예
도 2는 본 발명인 폐냉장고 부화기의 정면원근도의 일예
도 3은 개량입체식 전란방식의 구동방법 일예
도 4는 개량입체식 전란방식의 구동방법 일예
도 5는 칸막이가 설치된 전란판의 일예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폐냉장고 몸체(부화기) 20 : 문
21 : 투명체 30 : 전란판
31, 31' : 전란판 구동수단 32, 32' : 편심회전판
33 : 전란판 움직임 허용 수단 34 : 전란판 시간조절기
35 : 전복방지대 40 : 가열수단
41 : 온도조절기 50 : 부화판
60 : 수분공급수단 61 : 습도조절장치
70 : 공기순환장치

Claims (3)

  1. 투명체(21)가 형성된 문(20)이 있는 폐냉장고 몸체(부화기)(10)의 내부에는 수분공급수단(60) 및 습도조절장치(61)가 형성됨과 동시에 전복방지대(35) 위에 계란 입체형 전란판(30)이 위치하고, 상기 전란판(3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장착되어 편심회전판(32)(32')을 상하좌우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구동하는 전란판 구동장치(31)(31')를 연결하고, 상기 전란판 구동수단(31)(31')과 연계된 시간조절기(34)를 구비하고, 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가열수단(40)과 상기 가열수단에 연계된 온도조절기(41)가 구비됨은 물론, 알이 부화를 할 수 있는 부화판(50)과 공기순환장치(70) 및 통풍구(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및 조류 부화기.
  2. 삭제
  3. 삭제
KR1020090002163A 2009-01-12 2009-01-12 폐냉장고 부화기 KR100931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163A KR100931255B1 (ko) 2009-01-12 2009-01-12 폐냉장고 부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163A KR100931255B1 (ko) 2009-01-12 2009-01-12 폐냉장고 부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255B1 true KR100931255B1 (ko) 2009-12-10

Family

ID=4168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163A KR100931255B1 (ko) 2009-01-12 2009-01-12 폐냉장고 부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255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9007A (zh) * 2012-04-21 2012-09-19 张春平 植物禽类种苗孵化繁育器
KR101232064B1 (ko) 2011-01-26 2013-02-12 이상두 부화기
KR101286447B1 (ko) 2011-07-20 2013-07-16 황성춘 부화기의 선반 구조
KR101285742B1 (ko) 2011-07-26 2013-07-19 황성춘 부화기의 가습 구조
KR101367731B1 (ko) * 2011-12-10 2014-03-03 박지슬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전란장치 및 전란방법
KR101397492B1 (ko) 2012-05-31 2014-05-20 (주)오토일렉스 수직형 부화기
CN104396796A (zh) * 2014-10-31 2015-03-11 隆安凤鸣农牧有限公司 一种具有停电应急功能的孵化箱
CN104782530A (zh) * 2015-04-16 2015-07-22 柳州市大金农业科技有限公司 乳鸽全人工喂养方法的专用设备
CN105815232A (zh) * 2016-03-29 2016-08-03 马骏 一种基于物联网的禽蛋暖化装置
CN107535385A (zh) * 2017-09-01 2018-01-05 广西驰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鹅雏孵化箱
CN108935215A (zh) * 2018-09-11 2018-12-07 台山市河东禽业有限公司 一种孵化机的孵化方法及孵化箱
CN110074013A (zh) * 2019-05-17 2019-08-02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具有自动控温功能的全自动鹌鹑孵化装置
CN110800645A (zh) * 2019-12-03 2020-02-18 福建省新魁强禽业发展有限公司 一种鸡蛋孵化装置
CN112400755A (zh) * 2020-12-07 2021-02-26 江西省昌铄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狮头鹅的孵化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873Y1 (ko) * 2001-11-23 2002-02-19 우종천 폐냉장고를 이용한 부화기
KR200376422Y1 (ko) * 2004-11-17 2005-03-10 (주)오토일렉스 자동 제어가 용이한 교육용 부화기
KR200383143Y1 (ko) * 2004-11-22 2005-05-03 경보영 경사와수평 변화기능 부화기.
KR20070034684A (ko) * 2005-09-26 2007-03-29 (주)오토일렉스 부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873Y1 (ko) * 2001-11-23 2002-02-19 우종천 폐냉장고를 이용한 부화기
KR200376422Y1 (ko) * 2004-11-17 2005-03-10 (주)오토일렉스 자동 제어가 용이한 교육용 부화기
KR200383143Y1 (ko) * 2004-11-22 2005-05-03 경보영 경사와수평 변화기능 부화기.
KR20070034684A (ko) * 2005-09-26 2007-03-29 (주)오토일렉스 부화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064B1 (ko) 2011-01-26 2013-02-12 이상두 부화기
KR101286447B1 (ko) 2011-07-20 2013-07-16 황성춘 부화기의 선반 구조
KR101285742B1 (ko) 2011-07-26 2013-07-19 황성춘 부화기의 가습 구조
KR101367731B1 (ko) * 2011-12-10 2014-03-03 박지슬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전란장치 및 전란방법
CN102669007A (zh) * 2012-04-21 2012-09-19 张春平 植物禽类种苗孵化繁育器
KR101397492B1 (ko) 2012-05-31 2014-05-20 (주)오토일렉스 수직형 부화기
CN104396796A (zh) * 2014-10-31 2015-03-11 隆安凤鸣农牧有限公司 一种具有停电应急功能的孵化箱
CN104782530A (zh) * 2015-04-16 2015-07-22 柳州市大金农业科技有限公司 乳鸽全人工喂养方法的专用设备
CN105815232A (zh) * 2016-03-29 2016-08-03 马骏 一种基于物联网的禽蛋暖化装置
CN107535385A (zh) * 2017-09-01 2018-01-05 广西驰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鹅雏孵化箱
CN108935215A (zh) * 2018-09-11 2018-12-07 台山市河东禽业有限公司 一种孵化机的孵化方法及孵化箱
CN110074013A (zh) * 2019-05-17 2019-08-02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具有自动控温功能的全自动鹌鹑孵化装置
CN110074013B (zh) * 2019-05-17 2024-05-14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具有自动控温功能的全自动鹌鹑孵化装置
CN110800645A (zh) * 2019-12-03 2020-02-18 福建省新魁强禽业发展有限公司 一种鸡蛋孵化装置
CN112400755A (zh) * 2020-12-07 2021-02-26 江西省昌铄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狮头鹅的孵化箱
CN112400755B (zh) * 2020-12-07 2022-02-22 江西省昌铄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狮头鹅的孵化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255B1 (ko) 폐냉장고 부화기
KR101232064B1 (ko) 부화기
CN206314408U (zh) 一种节能型鸡蛋孵化装置
CN206323992U (zh) 一种多功能全自动孵化箱
CN108935215A (zh) 一种孵化机的孵化方法及孵化箱
CN205106009U (zh) 一种全自动多用型孵化装置
CN205093359U (zh) 新型孵化器
CN104137790A (zh) 一种自动控制孵出提醒的孵蛋装置
RU133386U1 (ru) Инкубатор
KR200463653Y1 (ko) 부화기
CN204707732U (zh) 孵蛋育雏箱
KR200232215Y1 (ko) 부화기
CN106857314A (zh) 智能鸡鸭鹅通用型孵化机
CN205962331U (zh) 珍稀禽类种蛋孵化器的自动翻蛋装置
CN110521634A (zh) 一种孵蛋机
CN203775880U (zh) 养殖箱
CN206978414U (zh) 一种全自动畜牧养殖场孵化设备
CN109819909A (zh) 一种保育筐、保育设备及保育方法
CN106417091B (zh) 一种琅琊鸡孵化装置
CN212184772U (zh) 一种黑水虻成虫繁殖箱
KR200462379Y1 (ko) 학습용 간이 부화기
CN209845973U (zh) 一种福利育雏育成鸡舍
CN208692048U (zh) 一种节能型全自动孵化箱
CN109463309A (zh) 一种鸡苗孵化器
CN208490580U (zh) 一种小型全自动散养蛋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