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742B1 - 부화기의 가습 구조 - Google Patents

부화기의 가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742B1
KR101285742B1 KR1020110074052A KR20110074052A KR101285742B1 KR 101285742 B1 KR101285742 B1 KR 101285742B1 KR 1020110074052 A KR1020110074052 A KR 1020110074052A KR 20110074052 A KR20110074052 A KR 20110074052A KR 101285742 B1 KR101285742 B1 KR 101285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ubator
tank
water
water tank
transf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723A (ko
Inventor
황성춘
Original Assignee
황성춘
(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춘, (주)연 filed Critical 황성춘
Priority to KR102011007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7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4Controlling humidity in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2Heating arrangements
    • A01K41/026Heating with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정란을 인공적으로 부화시키는 부화기의 가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정란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으로 개폐문(33)이 구비된 본체의 좌우측 내벽(11) 및 칸막이 역할을 하는 내부격벽(22) 사이의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제1수조(110) 및 제2수조(120); 상기 제1수조(110)와 상기 제2수조(120)의 하부 바닥면을 연결하는 하부이송관(130);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이송관(130)의 일측에 연결되는 보충수주입관(140); 상기 제2수조(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히터(150); 및, 상기 제2수조(1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습기배출밸브(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부화기 내부의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화기의 가습 구조{Incubator Humidifier System}
일반적으로 부화기는 수정란(알)을 부화 조건에 적합한 환경으로 유지시켜 인공적으로 부화시키는 장치인데, 본 발명은 이러한 부화기의 내부 습도를 적합하게 유지시켜 주는 가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부화 중의 수정란은 세포분열을 하는 일종의 살아있는 생명체이다. 따라서 부화기 내부에도 자연상태와 동일한 조건의 산소량이 필요하며, 적정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어야만 한다.
수정란을 평면에 놓은 상태에서 알 속 성분을 보면 부화 과정에서 양분이 되는 노른자, 흰자의 상단부에 떠 있는 배아, 노른자 및 배아(실질적으로 세포분열을 하여 발육을 하는 수정체)를 보호하는 완충제 역할을 하는 흰자, 흰자를 유지하고 있는 알끈, 이러한 성분들을 감싸고 있는 난막과 알껍질로 구성된다.
자연상태에서 어미새가 포란반으로 알을 품을 때 각 조류의 종류마다 부화 적정 온도를 유지해야만 하는 지점은 바로 흰자 위에 떠 있는 배아가 위치한 지점이고, 어미새가 포란반으로 알 속의 배아를 품어 부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양분이 되는 노른자의 경우 완충제인 흰자에 의하여 배아에 비하여 미세하게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자연상태의 부화조건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인공 부화기의 경우에도 배아가 위치한 위쪽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구조가 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온도 조절은 가열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가열을 하게 되면 부화기 내부의 습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온도 조절과 함께 적절한 수분을 공급해 주는 장치가 별도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695479호(부화기)를 보면 종래의 습도 조절 구조의 구체적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화기 내부의 가습을 통하여 부화기 내부의 상태를 자연상태에 근접시키고 부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수정란을 인공적으로 부화시키는 부화기의 가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정란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으로 개폐문이 구비된 본체의 좌우측 내벽(11) 및 칸막이 역할을 하는 내부격벽(22) 사이의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제1수조(110) 및 제2수조(120); 상기 제1수조(110)와 상기 제2수조(120)의 하부 바닥면을 연결하는 하부이송관(130);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이송관(130)의 일측에 연결되는 보충수주입관(140); 상기 제2수조(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히터(150); 및, 상기 제2수조(1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습기배출밸브(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부화기 내부의 적정 습도 유지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둘째, 부화기 본체 내벽(11)과 내부격벽(22) 사이의 공간을 활용하여 수조를 설치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충분한 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셋째, 현재 저장된 물의 양을 눈으로 확인하여 물의 보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넷째, 수위측정센서를 구비하여 물의 수위기 바닥에 근접하면 경고(음성 신호 발생 또는 경고 램프 점등)를 내보내어 즉시 물을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
다섯째, 부화기 내부의 습도가 너무 높다고 판단되면 외기와 연통하는 환기커버를 개방하여 부화기 내부의 습도를 낮출 수 있고, 부화기 내부의 습도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습기배출밸브의 개도를 확대하여 습기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습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은 본 발명이 적용된 부화기의 외형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부화기의 정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부화기 개폐문(33)을 도시하는데, 개폐문(33)의 일측을 따라 보충수주입관(140)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55)이 표시된 것을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부화기의 좌측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개폐문(33)과 그 상부에 있는 환기커버(180) 부분의 도시는 생략한 것이다. 또한 보충수주입관(14)의 도시도 생략한 것으로서 제2수조(120)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부화기의 우측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개폐문(33)과 그 상부에 있는 환기커버(180) 부분의 도시는 생략한 것으로서 제수조(110)를 중심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수조(110)와 제2수조(120)는 도1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기 본체의 좌우측 내벽(11) 및 내부격벽(22) 사이의 공간에 각각 설치된다.
도면 상에서 제1수조(110)는 우측에 설치되고 제2수조(120)는 좌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수조(110)와 제2수조(120)는 하부이송관(130)을 통하여 연결되는데, 하부이송관(130)은 제1수조(110)와 제2수조(120)의 하부 바닥면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제1수조(110)와 제2수조(120)는 항상 수위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제2수조(120)를 통하여 수분(습기)가 부화기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제2수조(120)의 수위가 내려가면 즉시 하부이송관(130)을 통하여 제1수조(110)의 물이 제2수조(120)로 공급되어 수위가 같아지게 되는 것이다.
보충수주입관(14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단부가 하부이송관(130)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보충수주입관(140)으로 주입된 물은 하부이송관(130)을 통하여 제1수조(110) 및 제2수조(120)를 채우게 된다.
보충수주입관(140)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며 부화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육안으로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데, 도1, 도2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조(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개폐문(33)을 닫을 경우 개폐문(33)의 우측에 구비된 표시창(44) 내부로 수납된다. 개폐문(33)의 표시창(44)에는 수직 방향으로 눈금(55)이 새겨져 있어 현재 수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별도 도면으로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폐문(33)의 우측 내측면에는 제1수조(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보충수주입관(14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가열히터(15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조(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를 공급받이 제2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열히터(150)의 종류나 규격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시중에 판매되거나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수위측정센서(170) 가운데 적절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습기배출밸브(160)는 제2수조(1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가열히터(150)에 의하여 제2수조(120)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수분)를 부화기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습기배출밸브(160)는 개도 조절이 가능하여 부화기 내부로 공급되는 수증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수조(110)의 내부 하측에는 수위측정센서(170)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위측정센서(170)는 제1수조(110)의 수위가 바닥면에 접근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수위측정센서(170)에서 감지된 신호는 음향이나 시각(예를 들어 경고음 발생이나 경고등의 점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물을 보충해야 할 시기가 임박하였음을 알려준다.
이러한 수위측정센서(170)의 규격이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중에 판매되거나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수위측정센서(170) 가운데 적절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물의 보충은 보충수주입관(140)의 상단부에 물을 공급하는 관이나 호스를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보충수주입관(140)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가진 물탱크를 부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환기커버(180)는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기의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데, 이러한 환기커버(180)가 열리는 경우 부화기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여 외기가 부화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데,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면과 같이 다수 개의 슬릿절개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환기커버(180)를 열어주면 외기가 유입되면서 부화기 내부의 공기가 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어 부화기 내부의 습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이를 낮추기 위하여 환기커버(18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1:내벽
22:내부격벽
33:개폐문
44:표시창
55:눈금
110:제1수조
120;제2수조
130:하부이송관
140:보충수주입관
150;가열히터
160:습기배출밸브
170:수위측정센서
180:환기커버

Claims (4)

  1. 수정란을 인공적으로 부화시키는 부화기의 가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정란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으로 개폐문(33)이 구비된 본체의 좌우측 내벽(11) 및 칸막이 역할을 하는 내부격벽(22) 사이의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제1수조(110) 및 제2수조(120);
    상기 제1수조(110)와 상기 제2수조(120)의 하부 바닥면을 연결하는 하부이송관(130);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이송관(130)의 일측에 연결되는 보충수주입관(140);
    상기 제2수조(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히터(150); 및,
    상기 제2수조(1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습기배출밸브(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의 가습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제1수조(110) 내부 하측에는 수위측정센서(17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의 가습 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보충수주입관(140)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며 부화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육안으로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의 가습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부화기의 본체 일측에 부화기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개폐되는 환기커버(18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의 가습 구조.
KR1020110074052A 2011-07-26 2011-07-26 부화기의 가습 구조 KR101285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52A KR101285742B1 (ko) 2011-07-26 2011-07-26 부화기의 가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52A KR101285742B1 (ko) 2011-07-26 2011-07-26 부화기의 가습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23A KR20130012723A (ko) 2013-02-05
KR101285742B1 true KR101285742B1 (ko) 2013-07-19

Family

ID=4789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052A KR101285742B1 (ko) 2011-07-26 2011-07-26 부화기의 가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7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818A (ko) * 2000-02-29 2001-09-06 유용근 부화기
KR100931255B1 (ko) 2009-01-12 2009-12-10 이미경 폐냉장고 부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818A (ko) * 2000-02-29 2001-09-06 유용근 부화기
KR100931255B1 (ko) 2009-01-12 2009-12-10 이미경 폐냉장고 부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23A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064B1 (ko) 부화기
KR101490704B1 (ko) 남생이 알 인공 부화시설
CN106258569A (zh) 一种室内种植箱
CN206136756U (zh) 一种室内种植箱
KR20190074766A (ko) 해양생물 및 식생 양식용 수조
KR101285742B1 (ko) 부화기의 가습 구조
CN201067024Y (zh) 温度、湿度自控式仔猪保育箱
CN205284618U (zh) 一种全自动孵化设备
CN205880686U (zh) 一种猪群养殖系统
KR200462379Y1 (ko) 학습용 간이 부화기
KR101972794B1 (ko) 급양이 가능한 부화 장치
KR200169812Y1 (ko) 교육용 인공 부화기
CN215500789U (zh) 一种植物培育装置
JP2012191859A (ja) 顕微鏡観察用培養装置
CN219205184U (zh) 一种带有菌剂的种子培养盒
Agbo et al. Proposed development of a solar powered automated incubator for chickens
CN105955331B (zh) 一种猪群养殖方法及其系统
CN212589642U (zh) 一种孵化育雏保温保湿装置
CN211793715U (zh) 一种鸽子养殖用鸽蛋孵化箱
KR100695479B1 (ko) 부화기
KR200383143Y1 (ko) 경사와수평 변화기능 부화기.
CN203416725U (zh) 滩涂环境模拟装置
RU2108712C1 (ru) Инкубатор
US7389676B2 (en) Egg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SU704566A1 (ru) Герпеинкуб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