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300A -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 Google Patents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300A
KR20130134300A KR1020120057726A KR20120057726A KR20130134300A KR 20130134300 A KR20130134300 A KR 20130134300A KR 1020120057726 A KR1020120057726 A KR 1020120057726A KR 20120057726 A KR20120057726 A KR 20120057726A KR 20130134300 A KR20130134300 A KR 20130134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anding
memo
ben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환
Original Assignee
정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환 filed Critical 정동환
Priority to KR102012005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300A/ko
Publication of KR2013013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금속패널에서 상향 절곡되어 기립되는 기립판(3)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기립판(3) 사이로 메모지를 꽂을 수 있도록 하면서 메모꽂이(1)에서 다양한 용도가 부가되도록 한 다단 기립판(3)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1)를 제공코자 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얇은 금속판을 에칭공법에 의해서 보다 정교하게 원하는 형태와 모양을 갖는 다양한 형상의 기립판(3) 수개를 받침판(2)과 구획되게 형성하여 제작 시에나 평소에는 평판형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메모꽂이(1) 등으로 사용코자 할 시에는 기립판(3)을 상향 절곡시켜서 다단으로 기립되도록 구성하며, 기립판(3)에 다관절절곡부(6)를 형성하여 기립판(3)의 상향 절곡 시 기립판(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메모꽂이(1)의 가장자리에 날개편(7)을 형성하거나 일측 날개편(7)에 절곡되는 덮개판(8)을 형성하여 상하로 절곡 시 상부와 하부로 각각 수납함 또는 포장박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받침판(2)이나 기립판(3), 날개편(7) 및 덮개판(8)에 필기구수납공(9)이나 필기구수납링(10)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메모꽂이(1)를 수납함 및 포장박스, 장식용 입체 조형물, 필기구꽂이, 벽걸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디자인을 다양화시키면서 평판형태로 보관 및 이송시킬 수 있는 등 그 효용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A multipurpose memo holder with the multistage standing plate}
본 발명은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금속판이나 종이판으로 이루어진 평판형 패널에서 상향 절곡되어 기립되는 기립판을 2개 이상 다단으로 형성하여 기립판 사이로 메모지를 꽂을 수 있도록 하면서 메모꽂이에서 메모꽂이 외의 다양한 용도가 부가되도록 한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메모지를 꽂아 두는 메모꽂이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4-002043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모지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일면에 다른 물체에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 사각통형상으로 구성되거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867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구형의 몸체 일측에 상광하협의 경사상 절결부를 형성하되 절결부를 원호중심이 몸체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원호상으로 형성하고 내부 저면에는 중량체를 충전하여 구성되도록 한 것으로서, 단순히 사각통형상이나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실내, 자동차안의 벽체에 부착하거나 탁상 위에 안치 및 부착하여 사용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일반적인 메모꽂이들은 디자인이 단순하고, 메모꽂이 외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서 효용성에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메모꽂이에 다양한 필기구를 수납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6-0033800호,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7473호에서와 같이 사각통형태의 메모꽂이에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삽입공간부를 형성하거나, 사각통형태의 메모꽂이에 필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자성체로 부착된 필기구홀더를 구성하여 메모꽂이에 필기구를 수납 및 고정하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며, 근자에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65573호에서와 같이 필기구 꽂이수단을 구비하여 메모꽂이에 필기구꽂이수단을 부가하면서 메모꽂이를 단순한 사각통형태에서 벗어나 스프링에 탄력 지지된 고정볼에 의해서 메모지를 잡아주도록 한 구성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종래 메모꽂이들은 용도면에서 메모꽂이에 단순히 필기구를 수납 및 고정하기 위한 수단만이 더 있을 뿐 그 밖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형태면에서 단순한 사각통형태나 메모지 수납을 위한 삽입홈이 하부로 개방되게 구성된 형태로서 여전히 단순한 디자인이며,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미적으로 수려하지 못하고, 제작상에 있어서 사출금형이 사용되어 고가이며, 여러 개를 한 번에 보관 및 운송할 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지 못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20-1994-0020433 U 1994. 9. 17. KR 20-0198672 Y1 2000. 7. 25. KR 20-1996-0033800 U 1996. 11. 19. KR 20-0427473 Y1 2006. 9. 20. KR 10-0865573 B1 2008. 10. 21.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얇은 금속판 또는 철심이 내입되거나 철편이 부착된 종이판으로 이루어진 얇은 평판형 패널을 정교하게 원하는 형태와 모양을 갖는 다양한 형상의 기립판 수개를 받침판과 구획되게 형성하여, 제작 시에나 평소에는 평판형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메모꽂이 등으로 사용코자 할 시에는 기립판을 상향 절곡시켜서 다단으로 기립되도록 하며, 기립판에 다관절절곡부를 형성하여 기립판의 상향 절곡 시 기립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메모꽂이의 가장자리에 날개편을 형성하여 상하로 절곡 시 상부와 하부로 각각 수납함 또는 포장박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기립판이나 받침판 및 날개편에 필기구수납공이나 필기구수납링을 형성할 수 있어서 메모꽂이, 수납함 및 포장박스, 장식 조형물, 필기구꽂이 등 다양한 용도를 갖도록 한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를 제공함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를 구성하되, 상기 메모꽂이는 얇은 금속판을 에칭(etching)공법, 레이저가공법 및 프레스가공법으로 가공하거나, 내부로 철심이 내장되거나 일측에 철편이 부착된 얇은 종이판을 단순 절단가공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절개시켜서 제거하여 받침판과 받침판에서 상향 절곡되는 수개의 기립판을 구획되게 형성하면서 수개의 기립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이격되게 구성하면서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기립판과 받침판의 표면에 에칭으로 원하는 문양이나 문구를 아로새겨 제작 시 또는 평소에는 평판형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기립판을 상향 기립 시 기립판 사이로 메모지를 꽂아서 사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서 기립판에 다관절절곡부를 형성하여 기립판의 상향 절곡 시 기립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메모꽂이의 가장자리에 날개편을 1개 이상 형성하거나 일측 날개편에 절곡되는 덮개판을 형성하여 날개편을 상하로 절곡 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납함 또는 포장박스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받침판이나 기립판, 날개편 및 덮개판에 필기구수납공 또는 필기구수납링을 형성하여 필기구꽂이를 부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얇은 금속판을 에칭공법 등으로 내지 얇은 철심이 내장되거나 철편이 부착된 종이판을 단순 절단에 의해서 다양한 형상을 갖는 수개의 기립판과 받침판을 구비토록 하면서 금속판일 경우 표면에 원하는 문양이나 문구를 아로새겨서 수개의 기립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이격되게 구성함으로써, 메모꽂이의 디자인을 정교하게 다양화시켜서 장식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메모꽂이를 제작 시 또는 평소에는 평판형태를 유지토록 하여 수개의 메모꽂이를 적층시킬 수 있어서 대량으로 보관 및 이송할 수 있으며, 기립판에 다관절절곡부를 형성하여 상향 절곡되는 기립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하여 수납되는 메모지 등의 양에 따라 가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메모꽂이의 가장자리에 상하로 절곡되는 날개편을 1개 이상 형성하여 메모꽂이 외에도 다양한 수납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 또는 포장대상물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박스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꽂이의 기립판, 받침판 및 날개편에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필기구수납공 또는 필기구수납링을 형성하여 각종 필기구가 수납 가능한 필기구꽂이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서, 받침판과 수개의 기립판이 구획되게 형성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입체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기립판에 다관절절곡부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입체도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가장자리로 날개편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입체도
도 11 내지 12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받침판 내측 사방으로 기립판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입체도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가장자리에 형성된 날개편으로 덮개판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입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서, 벽걸이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입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서, 메모꽂이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본 발명은 받침판(2)에서 상향 절곡되는 수개의 기립판(3)을 갖는 메모꽂이(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받침판(2)과 기립판(3)이 연결되어 절곡되는 기초절곡부(4)는 수개의 관통구멍이나 표면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져서 기립판(3)이 받침판(2)에서 보다 쉽게 절곡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철판이나 철판에 금, 은 등을 도금한 도금판 또는 황동, 청동,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금, 은 등의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비철금속판 등 각종 금속으로 이루어진 얇은 금속판이나 내부에 철심이 내장되거나 일측에 철편이 부착된 얇은 종이판, 코팅지판, 수지판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되, 금속판의 경우 에칭공법이나 레이저가공법 및 프레스가공법으로 가공하며 종이판의 경우 단순 절단공법으로 가공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절개해서 제거하고, 메모꽂이(1)를 받침 지지하는 받침판(2)과 받침판(2)에서 상향 절곡되는 수개의 기립판(3)을 구획되게 형성하여 상기 수개의 기립판(3)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이격되게 함으로써 기립판(3) 사이로 메모지, 탁상달력, 사진, 엽서, 명함, 단어장, 낱말카드, 팸플릿 등을 수납 및 인출토록 구성하되, 전방으로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장식성을 가지면서 메모지 등의 전방을 받쳐주는 전방기립판(3a)을 2단으로, 후방으로는 여러 문양이나 문구가 아로새겨지면서 메모지 등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도록 하향으로 개방되는 개략 "ㄷ"자형태의 후방기립판(3b)을 각각 구성하며, 이때 후방기립판(3b)도 원형이나 반달, 산등성이 형상이나 건축물, 나무, 사람, 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장식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꽂이(1)가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받침판(2)과 전방기립판(3a) 및 후방기립판(3b)으로 이루어진 기립판(3)의 표면에 에칭으로 원하는 문양이나 문구를 보다 정교하게 아로새겨서 메모꽂이(1)를 미적으로 수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작 시에나 평소에는 도 1과 같이 평판형태를 유지하고, 메모지 등을 수납할 시에는 도 2와 같이 받침판(2)에서 기초절곡부(4)를 경계로 하여 받침판(2)에 일체로 형성된 전방기립판(3a) 및 후방기립판(3b)을 상향 절곡시켜서 전방기립판(3a)과 후방기립판(3b) 사이로 하나의 수납공간(5)이 형성되도록 하여 수납공간(5)으로 메모지 등을 수납하여 사용 시 인출시킬 수 있는 메모꽂이(1) 등으로 사용한다.
상기 메모꽂이(1)의 받침판(2)과 수개의 기립판(3)에는 각각 컬러채색을 더하거나, 금도금, 보석, 귀금속 및 칠보·자개공예를 적용하여 장식성을 배가시키면서 고급화를 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캐릭터 등이 적용된 장식물(3-1)을 각종 자석, 테이프 또는 끼움방식 등으로 탈착 가능토록 결합 구성하여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싫증을 방지하므로 캐릭터의 교체 시 새로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내지 5는 상기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받침판(2)으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수개의 기립판(3)을 형성하여 상기 수개의 기립판(3)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이격되게 하며, 기립판(3) 사이사이로 메모지 등을 수납 및 인출토록 구성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방으로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장식성을 갖는 전방기립판(3a)을, 후방으로는 메모지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도록 하향으로 개방되는 개략 "ㄷ"자형태의 후방기립판(3b)을 2단으로 각각 중첩되게 구성하며, 이때 상기 전방기립판(3a)이나 후방기립판(3b)에는 기초절곡부(4) 외에 기초절곡부(4) 상부로 다관절절곡부(6)를 더 구성한 것이며, 제작 시에나 평소에는 도 3과 같이 평판형태를 유지토록 하고, 메모지를 수납할 시에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받침판(2)에서 기초절곡부(4)를 경계로 하여 수개의 기립판(3)을 상향 절곡시켜서 2개 이상의 수납공간(5)을 형성한 메모꽂이(1)로 사용되도록 하며, 상기 전방기립판(3a)과 전방에 위치하는 후방기립판(3b) 사이의 전방 수납공간(5)을 기본으로 설명할 시 전방 수납공간(5)으로 수납되는 메모지의 양이 적을 때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전방기립판(3a)은 전방기립판(3a)의 다관절절곡부(6)를 경계로 하여 상향 절곡시키면서 후방기립판(3b)은 기초절곡부(4)를 경계로 하여 상향 절곡시켜서 수납공간(5)의 너비를 좁게 형성하며, 전방 수납공간(5)으로 수납되는 메모지의 양이 많을 때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전방기립판(3a)은 기초절곡부(4)를 경계로 하여 상향 절곡시키면서 후방기립판(3b)은 후방기립판(3b)의 다관절절곡부(6)를 경계로 하여 상향 절곡시켜서 수납공간(5)의 너비를 넓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전방기립판(3a)과 후방기립판(3b)에 형성된 다관절절곡부(6)에 의해서 기립판(3) 사이의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여 수납공간(5)의 너비를 조절함으로 해서 메모지의 양에 따라 기립판(3)의 형태가 가변되는 메모꽂이(1)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모꽂이(1)는 받침판(2)이나 기립판(3)의 표면에 회사명, 성명, 직급, 회사주소, 연락처 및 e-mail 등을 기재하여 명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립판(3)을 기초절곡부(4) 등을 경계로 상향 절곡 시 입체적인 명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꽂이(1)의 하부에는 고무자석이나 양면테이프 등의 부착수단을 부착 구성하여 철판이나 탁상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각종 포장상자 등에 부착시켜 포장상자의 장식성을 배가시키거나, 하부에 고발포 스펀지 등을 부착시킬 수도 있으므로 그 용도와 기능을 다양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메모꽂이(1)의 가장자리에 상하로 절곡되게 구성되며,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표면에 에칭 등으로 원하는 문양이나 문구가 아로새겨지며, 종이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표면에 원하는 문양이나 문구가 인쇄된 1개 이상의 날개편(7)을 더 부가한 구성이며, 상기 날개편(7)은 메모꽂이(1)의 일측에 1개 이상을 형성하거나 양측이나 전후로 2개 이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으로 4개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도 6내지 8은 메모꽂이(1)가 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른 것으로 메모꽂이(1)의 형상이 사각이 아니라 원형이나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도형 또는 나뭇잎, 지도, 동물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날개편(7)이 형성되는 위치도 다양해지며 상기 날개편(7)은 상향 또는 하향의 일방향 내지 상하향의 복합된 방향으로도 절곡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도 7과 같이 날개편(7)을 상부로 절곡 시에는 기립판(3)을 상향 절곡하지 않고 날개편(7)에 의해서 내측으로 메모지나 필기구 또는 지우개 등의 각종 문구류, 귀걸이나 반지 등의 장신구, 방향제 및 향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이 상부에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도 8에서와 같이 날개편(7)을 하부로 절곡 시에는 날개편(7)이 메모꽂이(1)를 지면에 받쳐주도록 하는 받침 역할을 하도록 하여 기립판(3)을 상향 절곡 시 장식성을 높이면서 메모꽂이(1)의 받침판(2) 하부에 날개편(7)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공간으로 클립이나 핀, 동전 등이 수납된 수납상자가 내입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메모꽂이(1)의 가장자리에 날개편(7)을 형성하여 메모꽂이(1)를 수납함이나 받침이 있는 장식용 입체 조형물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도 9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메모꽂이(1)의 일측으로 1개의 날개편(7)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기립판(3b)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1개의 날개편(7)을 상기 후방기립판(3b)의 상향 기립 시에 후방기립판(3b)의 후측으로 하부가 경사지게 절곡시켜서 후방기립판(3b)의 전방 수납공간(5)으로 메모지 등을 수납할 때 메모꽂이(1)가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으므로 기립판(3)의 상향 기립시켜서 입체적으로 구현할 시 메모꽂이(1)를 후방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하게 기립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메모꽂이(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후측의 후방기립판(3b) 양측으로 1개 이상의 날개편(7)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에서 전방기립판(3a)과 2개의 후방기립판(3b)을 상향 절곡시켜 메모꽂이(1)를 입체적으로 구현시킬 때 후측의 후방기립판(3b)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날개편(7)을 전방으로 절곡(평면 상태에서는 상향 절곡되는 것임)시킨 후 2개의 후방기립판(3b) 사이로 메모지 등을 수납하게 되면 메모지 등이 옆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날개편(7)에 의해서 메모지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며, 이때 후방기립판(3b) 양측의 날개편(7)은 후방으로도 절곡(평면 상태에서는 하향 절곡되는 것임)이 가능하며, 후방으로 절곡 시 메모꽂이(1)의 후방으로 별도의 사진 등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날개편(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 절곡 시 수납기능, 하향 절곡 시 메모꽂이(1)의 받침기능, 후방으로 절곡 시 메모꽂이(1)의 넘어짐 방지기능, 메모지 등의 이탈 방지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 내지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상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메모꽂이(1)의 가장자리에 상하로 절곡되는 1개 이상의 날개편(7)을 형성하되, 메모꽂이(1)의 받침판(2)에서 기초절곡부(4)를 경계로 하여 상향 절곡되는 기립판(3)을 전후로 2개 이상, 좌우로 2개 이상 형성하여 메모꽂이(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날개편(7)을 하향 절곡시켜서 받침으로 사용할 시 전후, 좌우의 기립판(3)을 상향 절곡시키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이 있는 수납함을 구현할 수 있어서 용도의 다양성과 디자인의 다변화를 동시에 득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4실시예에서 기립판(3)을 전후로만 2개 형성하거나 좌우로만 2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전후의 기립판(3) 2개는 전방기립판(3a)과 후방기립판(3b)이 되며, 좌우의 기립판(3) 2개도 메모꽂이(1)를 평면에서 90도 회전시키면 전방기립판(3a)과 후방기립판(3b)이 되는 것이다.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상기 도 6 내지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메모꽂이(1)의 가장자리에 상하로 절곡되는 1개 이상의 날개편(7)을 형성하되, 상기 날개편(7)을 메모꽂이(1)의 사방에 각각 상하로 절곡되게 형성하고, 상기 사방의 날개편(7) 중 하나에 덮개판(8)을 절곡되게 형성하여 제작 시에나 평소에는 도 13과 같이 평판형태를 유지토록 하고, 사용 시에는 도 14 또는 도 15와 같이 사방의 날개편(7)을 상향 또는 하향되게 절곡시킨 다음 일측 날개편(7)의 덮개판(8)을 절곡시켜서 메모꽂이(1)의 받침판(2)과 상부나 하부로 평행하게 하여 박스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메모꽂이(1)의 용도를 다양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박스형태의 메모꽂이(1) 구성할 시 덮개판(8)을 절곡하기 전에 사방의 날개편(7) 내부로 클립이나 핀 등이 수납된 각종 수납상자나 메모지, 방향제 등의 각종 포장대상물을 내입시킨 후 덮개판(8)을 절곡시켜 덮이도록 하여 포장박스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때 메모꽂이(1)의 좌우측으로 날개편(7)을 형성하지 않고 전후측으로만 날개편(7)을 형성하여 일측 날개편(7)에 덮개판(8)을 형성하여 날개편(7)과 덮개판(8)을 절곡하게 되면 터널식으로 좌측이 개방된 박스형태를 취하여 내부로 수납상자나 포장대상물 등을 서랍식으로 슬라이드 수납 및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메모꽂이(1)는 받침판(2), 기립판(3), 날개편(7) 또는 덮개판(8)에 필기구를 꽂을 수 있도록 필기구수납공(9)을 상하로 관통되게 내부를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에칭 등으로 절개하고 종이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순히 절단하여 제거되도록 형성하거나, 상기 받침판(2), 기립판(3), 날개편(7) 또는 덮개에 필기구를 꽂을 수 있도록 일측이 메모꽂이(1)에 연결되어 절곡되는 환형의 필기구수납링(10)을 에칭으로 절개되도록 형성하여 메모꽂이(1)의 사용 형태에 따라서 상기 관통된 필기구수납공(9) 또는 전후로 절곡시킨 필기구수납링(10)에 볼펜이나 연필 등의 각종 필기구를 수납 후 필요 시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필기구꽂이로 사용하거나, 필기구꽂이를 겸한 메모꽂이(1)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기구 외에도 꽃의 줄기부분을 수납할 수도 있으며, 특히 수평으로 절곡되는 필기구수납링(10)은 귀걸이 등의 작은 장신구를 걸어두어 항상 잘 보이는 곳에 둠으로 해서 분실 등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필기구꽂이로 사용되는 예시를 도시된 도면들에서 살펴보면, 본 발명의 메모꽂이(1)는 사용 형태에 따라서 각종 필기구 등이 상기 필기구수납공(9)이나 필기구수납링(10)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2, 도 4, 도 5에서와 같이 받침판(2)에서 상향 절곡되는 전방기립판(3a)이나 후방기립판(3b)의 일측에 형성된 필기구수납링(10)을 전방 또는 후방 등의 수평으로 절곡시켜 각종 필기구 등을 수납되게 하거나,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2, 도 14에서와 같이 상하로 절곡되는 날개편(7)이나 기립판(3) 등에 형성된 필기구수납링(10)을 수평으로 절곡시켜 각종 필기구 등을 수납되게 하거나, 도 8, 도 12, 도 14, 도 15에서와 같이 날개편(7)이 하향 또는 상향 절곡되어 받침 역할을 할 경우에는 받침판(2)이나 상향 절곡되지 않은 누운 상태의 기립판(3) 및 덮개판(8) 등에 각각 필기구수납공(9)을 형성하여 각종 필기구 등을 수납되게 하거나, 필요에 따라 도 2, 도 4, 도 5, 도 7, 도 9, 도 10에서와 받침판(2)이 바닥에 접하게 구성되었을 시에도 받침판(2)의 하부에 고발포 스펀지나 포장상자 등을 부착 구성하게 되면 받침판(2)의 하부로 공간이 형성되어 받침판(2)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필기구수납공(9)으로 각종 필기구 등을 수납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메모꽂이(1)는 도 16에 도시된 제6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꽂이(1)가 금속판인 경우 표면에 에칭 등으로 다양한 문양이나 문구를 아로새기며 종이판인 경우 표면에 인쇄방식으로 다양한 문양이나 문구를 인쇄하여 전체적으로 장식성이 뛰어나므로 메모꽂이(1)의 일측에 걸이공(11)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벽체에 박힌 못이나 벽체에 부착된 벽걸이 훅에 걸이공(11)을 걸어서 벽걸이 메모꽂이(1) 또는 벽걸이 메모꽂이(1) 겸용 필기구꽂이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받침판(2)에서 기초절곡부(4)를 경계로 하여 기립판(3)을 수평으로 절곡한 후 다관절절곡부(6)를 경계로 하여 기립판(3)의 상단이 상향되게 절곡시켜서 받침판(2)과 기립판(3) 사이로 메모지나 달력, 사진, 명함 등을 다양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받침판(2)이나 기립판(3)에 상기 필기구수납링(10)을 형성하여 필기구수납링(10)을 수평으로 절곡시켜서 각종 필기구 등을 수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본 발명의 메모꽂이(1)는 제7실시예를 보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2실시예의 메모꽂이(1)를 전후로 마주보게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모꽂이(1)의 가장자리에 1개 이상의 날개편(7)이 일체로 형성된 제3 내지 제4실시예의 메모꽂이(1)도 전후로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가장자리에 날개편(7)이 1개 이상 형성된 메모꽂이(1)의 일측에 날개편(7) 대신 마주보는 메모꽂이(1)를 대향되게 일체로 구성하면 되는 것이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메모꽂이(1)를 좌우로 연속 내지 반복되게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꽂이(1)에 받침판(2)에서 상향 절곡되는 수개의 기립판(3)을 형성하여 거치식 메모꽂이(1)로 사용이 가능하며, 기립판(3)에 다관절절곡부(6)를 형성하여 수납되는 메모지 등의 양에 따라 기립판(3)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식 메모꽂이(1)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그 밖에도 수납함이나 장식용 입체 조형물, 포장박스, 저금통, 필기구꽂이, 액세서리걸이, 화장지포장케이스, 벽걸이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메모지, 달력, 사진, 엽서, 명함, 각종 필기구나 지우개, 자, 칼 등의 문구류, 귀걸이나 반지 등의 장신구, 방향제, 향수 등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였다가 필요 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기능도 매우 다양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메모꽂이 2:받침판
3:기립판 3a:전방기립판
3b:후방기립판 3-1:장식물
4:기초절곡부 5:수납공간
6:다관절절곡부 7:날개편
8:덮개판 9:필기구수납공
10:필기구수납링 11:걸이공

Claims (7)

  1. 받침판(2)과 받침판(2)에 연결된 기초절곡부(4)를 경계로 하여 상향 절곡되는 수개의 기립판(3)이 상호 구획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개의 기립판(3)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이격되어 기립판(3)의 상향 절곡 시 기립판(3) 사이에 수납공간(5)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제작 시 또는 평소에는 평판형태를 유지하다가 사용 시 기립판(3)을 기초절곡부(4)를 경계로 하여 상향 절곡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꽂이(1)의 받침판(2)과 수개의 기립판(3) 표면에 에칭공법 또는 인쇄방식으로 원하는 문양 또는 문구를 아로새기거나 인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립판(3)의 기초절곡부(4) 상부로 1개 이상의 다관절절곡부(6)를 형성하여서 기립판(3)을 기초절곡부(4) 또는 다관절절곡부(6)를 경계로 하여 상향 절곡시켜서 기립판(3) 사이의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꽂이(1)의 가장자리에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되는 날개편(7)을 1개 이상 형성하여 수납함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모꽂이(1)의 가장자리에 상하로 절곡되게 형성된 날개편(7) 중 하나에 상하로 절곡되는 덮개판(8)을 형성하여 받침판(2)과 평행하게 절곡시켜서 포장박스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 기립판(3), 날개편(7), 덮개판(8) 중 어느 하나에 필기구를 꽂을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필기구수납공(9)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 기립판(3), 날개편(7), 덮개판(8) 중 어느 하나에 필기구를 꽂을 수 있도록 일측이 메모꽂이(1)에 연결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환형의 필기구수납링(1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KR1020120057726A 2012-05-30 2012-05-30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KR20130134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726A KR20130134300A (ko) 2012-05-30 2012-05-30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726A KR20130134300A (ko) 2012-05-30 2012-05-30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300A true KR20130134300A (ko) 2013-12-10

Family

ID=4998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726A KR20130134300A (ko) 2012-05-30 2012-05-30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3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933A (ko) * 2018-11-26 2020-06-03 정동환 다용도 입체 조형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933A (ko) * 2018-11-26 2020-06-03 정동환 다용도 입체 조형물
WO2020111701A1 (ko) * 2018-11-26 2020-06-04 정동환 다용도 입체 조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1990B2 (en) Desk organizer
KR20130134300A (ko) 다단 기립판을 갖는 다용도 메모꽂이
KR101125831B1 (ko) 입체적 장식성을 갖는 포장재
KR200424955Y1 (ko) 다용도 꽂이
KR101377265B1 (ko) 다용도 필기구 홀더
JP2013233666A (ja) ページ押さえ具
KR20130000535U (ko) 사무용품 수납함
CN208515222U (zh) 节日对开书本式倒计时日历礼物盒
CN104354514A (zh) 一种多功能文具座
CN205853716U (zh) 一种和纸张或布艺纺织品相结合的立体贵金属组合件
JP3227906U (ja) 缶バッジの飾り立て
KR200296320Y1 (ko) 광고 장식 효과를 갖는 조립식 다용도 메모꽂이
CN217145493U (zh) 一种可灵活组装拓展的课桌功能摆件
CN210842174U (zh) 一种多功能书立
CN211106634U (zh) 一种多功能文具收纳盒
KR200459150Y1 (ko) 다용도 서류가방
RU132323U1 (ru) Блок для хранения наград и наградных документов
KR20110060467A (ko) 다용도 기립형 입체 조형물
CN202826911U (zh) 新型笔筒
KR200429431Y1 (ko) 입체장식 카드
CN207388730U (zh) 一种吸塑嵌套式工艺品结构
KR200355198Y1 (ko) 주화 상감 공예품
WO2006102709A1 (en) Upright note holder
JP6622567B2 (ja) カレンダー
KR200361458Y1 (ko) 골프클럽 형상의 탁상용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