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195A -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195A
KR20130134195A KR1020120057533A KR20120057533A KR20130134195A KR 20130134195 A KR20130134195 A KR 20130134195A KR 1020120057533 A KR1020120057533 A KR 1020120057533A KR 20120057533 A KR20120057533 A KR 20120057533A KR 20130134195 A KR20130134195 A KR 20130134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file
electronic device
value
global gain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훈
오경석
최용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195A/ko
Priority to US13/847,090 priority patent/US20130325154A1/en
Priority to EP13165204.2A priority patent/EP2669893A3/en
Priority to CN2013101502299A priority patent/CN103456313A/zh
Publication of KR2013013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10L21/10Transforming into visible information
    • G10L21/14Transforming into visible information by displaying frequency domai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musical phrases, isolation of musically relevant segments, e.g. musical thumbnail generation, or for temporal structure analysis of a musical piece, e.g. determination of the movement sequence of a musical wor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10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 G10H2220/10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using icons, e.g. selecting, moving or linking icons, on-screen symbols, screen regions or segments representing musical elements or parame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특정 오디오 파일(audio file)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프레임 헤더(frame header)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average volume)인 글로벌 게인(global gain) 값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filtering)하는 과정; 및 상기 필터링된 값을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APPARATAS AND METHOD FOF HIGH SPEED VISUALIZATION OF AUDIO STREAM IN A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나 레코더(recorder)의 기능이 구비된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미디어 플레어어 기능이 구비된 전자 장치에서 특정 오디오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그래프의 높낮이로 현재 재생되고 있는 해당 오디오 파일의 음향을 표시부에 시각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을 청각만이 아니라 시각으로도 즐길 수 있어, 오디오 스트림의 기능이 구비된 전자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디오 스트림의 기능이 구비된 전자 장치의 경우,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 전체를 풀 디코딩(full decoding)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인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각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인 지연이 없이 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의 데이터(raw data) 전체를 풀 디코딩(full decoding)하지 않고, 프레임 헤더(frame header)만을 분석해 시간적인 지연없이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디오 파일의 데이터 전체를 풀 디코딩하지 않기 때문에, 포맷별 디코더가 구비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오디오 스트림을 시각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디오 스트림을 시각화하여 음악의 섹션을 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특정 부분만을 추출하여 재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디오 스트림을 웨이브 폼(waveform)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특정 색상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특정 오디오 파일(audio file)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프레임 헤더(frame header)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average volume)인 글로벌 게인(global gain) 값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filtering)하는 과정; 및 상기 필터링된 값을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된 프레임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프레임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side information)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주변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는 과정; 상기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normalization)하는 과정; 및 상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smoothing)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하는 과정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하는 과정은, 이동 평균(moving average)의 방법으로 평활화하는 과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링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오디오 스트림 파형(audio stream waveform)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디오 스트림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전주(verse), 인트로(intro), 간주(bridge) 및 하이라이트(chorus)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매칭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별된 네 부분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입력받은 부분의 영역만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받는 과정;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과정;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skip)하는 과정; 및 상기 자동으로 스킵한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링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gradation)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제1 색상 내지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색상 내지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매칭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별된 네 부분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입력받은 부분의 영역만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받는 과정;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과정; 상기 색상의 단계적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skip)하는 과정; 및 상기 자동으로 스킵한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특정 오디오 파일(audio file)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프레임 헤더(frame header)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average volume)인 글로벌 게인(global gain) 값을 추출하는 메모리; 상기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filtering)하는 프로세서 유닛; 및 상기 필터링된 값을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는, 상기 추출된 프레임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side information)를 추출하는 주변 정보 추출 모듈; 및 상기 추출된 주변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는 필터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normalization)하며, 상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smoothing)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정규화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이동 평균(moving average)의 방법으로 평활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오디오 스트림 파형(audio stream waveform)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전주(verse), 인트로(intro), 간주(bridge) 및 하이라이트(chorus)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매칭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구별된 네 부분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부분의 영역만을 재생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skip)하며, 상기 자동으로 스킵한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gradation)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제1 색상 내지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매칭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구별된 네 부분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부분의 영역만을 재생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고, 상기 색상의 단계적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skip)하고, 상기 자동으로 스킵한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의 데이터 전체를 풀 디코딩하지 않고, 프레임 헤더만을 분석해 시간적인 지연없이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된 오디오 스트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를 추출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하는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분석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상의 단계적 차이를 분석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읠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된 오디오 스트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기능이 구비된 전자 장치를 전제로 한다. 즉, 오디오 파일(audio file)을 재생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전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뿐만 아니라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의 오디오 스트림을 함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오디오 스트림이란,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을 설정된 파형(waveform)의 형태 또는 색상의 단계적 차이(gradation)에 따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파일의 섹션(section) 등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오디오 스트림은 특정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프레임 헤더(frame header)만을 분석해 설정된 파형의 형태 또는 색상의 단계적 차이에 따른 형태로 고속 시각화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오디오 스트림 기능이 구비된 전자 장치의 경우,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 전체를 풀 디코딩(full decoding)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인 지연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는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 전체가 풀 디코딩이 완료될 때까지 오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어 빠른 피드백을 요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자 장치에서는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 전체를 풀 디코딩 하지 않아도, 특정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각각의 프레임 헤더만을 분석해 오디오 스트림을 빠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전자 장치에는 A곡이 재생되고 있으며, 미디어 플레이어의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 101)는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은 웨이브 폼의 오디오 스트림(102)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약 웨이브 폼의 형태인 오디오 스트림(102)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미디어 플레이어의 프로그래스 바(101)만을 보고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의 위치나 특정 부분의 위치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시킨 후, 해당 오디오 파일의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듣고 싶다고 가정하자. 사용자는 프로그래스 바(101)를 이동하여 대략적으로 하이라이트 부분을 예상하여 이동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는 해당 오디오 파일의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바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프로그래스 바(101) 위에 웨이브 폼의 오디오 스트림(102)을 도시하여 사용자에게 빠른 오디오 스트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예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브 폼의 오디오 스트림(102)을 보고 가장 파형이 높게 형성된 부분이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몇 번의 시행착오 없이 바로 해당 오디오 파일의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를 추출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파일은 파일 헤더(201)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2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203)와 데이터(204)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2의(a)는 오디오 파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파일은 파일 헤더(201)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2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파일은 앞 부분에 파일 헤더(201)가 위치하는데, 파일 헤더(201)에는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프레임의 수와 테깅(tagging)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즉, 오디오 파일의 파일 헤더(201)에는 오디오 파일에 현재 포함된 총 프레임의 수에 관한 정보와 해당 오디오 파일의 테킹 정보인 아티스트(artist), 타이틀(title) 및 앨범 정보(album information)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2의(b)는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각각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특정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203)와 데이터(204)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프레임의 앞 부분에는 프레임 헤더(203)가 위치하는데, 프레임 헤더(203)에는 해당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204)의 데이터 크기(data size)와 디코딩 정보(decoding information) 등이 포함되어 있다. 즉, 특정 프레임의 헤더(203)에는 해당 프레임에 데이터 크기와 인코딩 압축 옵션(encoding compression option), 비트 레이트(bit rate)에 관한 정보 및 주변 정보(side information)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라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이후,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재생하라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해당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202) 중 각각의 프레임 헤더(203) 정보만을 추출한다. 즉, 전자 장치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202)에 포함된 각각의 프레임 헤더(203)의 정보를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헤더(203)에 포함된 정보 중 주변 정보를 추출하여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average volume)인 글로벌 게인(global gain) 값을 추출한다.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였으면, 전자 장치는 추출한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고,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normalization)시키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smoothing)시키는데, 정규화 및 평활화시키는 과정은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후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a)는 정규화되기 전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b)는 정규화된 후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2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라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라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전자 장치는 해당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각각의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정보 중 주변 정보를 추출하여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한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한다. 즉, 도 3의(a)에 도시된 f(x)는 각각의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각각 연결한 후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b)에 도시된 f'(x)는 도 3의(a)에 도시된 f(x)를 정규화시킨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x)를 f(x)와 비교해 보면 두 그래프의 형태는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정규화되기 전에는 y축의 범위가 A부터 B까지로 도시되어 있지만, 정규화된 후에는 y축의 범위가 A'부터 B'까지로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y축의 범위는 최소 피크 값과 최대 피크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지칭하는 것이다. 즉, 정규화되기 전에는 다이나믹 레인지의 범위가 A부터 B까지로 도시될 수 있지만, 정규화된 후에는 다이나믹 레인지의 범위가 A'부터 B'까지로 줄어들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나믹 레인지의 범위를 줄여서 정규화시키는 이유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큰 데이터인 경우, 프로세싱(processing)을 하는데 큰 메모리가 소요되기 때문이다. 즉, 전자 장치는 정규화되기 전인 f(x) 그래프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줄여주기 위하여 정규화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여기서, 글로벌 게인 값의 정규화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f'(x)는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이 연결된 후 정규화된 값을 나타낸 것이고, A는 정규화되기 전 최대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정규화되기 전 최소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며, A'는 정규화된 후 최대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정규화된 후 최소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각각의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여 정규화시키는 이유는 디코딩되기 전의 오디오 파일(raw data)의 범위가 A부터 B까지로 큰 경우, 상술한 <수학식 1>에 따라 f'(x)의 그래프로 정규화시켜 전자 장치에서 프로세싱을 하는데 메모리 소비량을 줄여주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이유는 각진 모양의 평활화되기 전 데이터(401)를 이동 평균(moving average)의 방법으로 필터링하여 매끄러운 모양의 평활화된 그래프(402)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도 3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과정은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하는 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하는 과정에는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는 과정,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하는 과정 및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즉, 도 4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하는 과정은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하는 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이동 평균의 개념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동 평균이란, 지정된 개수의 최근 측정값만의 평균으로, 이전 데이터는 반영하지 않고, 최근 값만으로 평균을 구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계열의 각 항에 대하여 그것을 중심으로 하는 전후 일정 항 수의 평균값을 연결하여 경향선을 구하는 방법이다. 상술한 이동 평균의 방법은 이해하기가 쉽고 계산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정규화된 값을 이동 평균으로 평활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의(a)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확인하여 설정된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매칭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하고, 이후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여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매칭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여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고,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하는데, 정규화 및 평활화 과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은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의 필터링이 완료되었다는 의미이다. 이후,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각각 확인하여 설정된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매칭시킨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하여 제1 기준 값과 제2 기준 값이 설정되면, 전자 장치에서는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한다. 먼저, 필터링된 피크 값(501)이 제1 기준 값 미만으로 확인되면 해당 부분은 전체 오디오 파일에서 전주(verse) 부분 또는 간주(bridge)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필터링된 피크 값(502)이 제1 기준값 이상에서 제2 기준 값 미만으로 확인되면 해당 부분은 전체 오디오 파일에서 인트로(intro)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필터링된 피크 값(503)이 제2 기준값 이상으로 확인되면 해당 부분은 전체 오디오 파일에서 하이라이트(chorus) 부분일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오디오 파일 마다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고, 특정 부분이 생략된 오디오 파일도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오디오 파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네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각각 확인하여, 전체 오디오 파일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주와 간주 부분은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이 제1 기준 값 이하로 같지만, 전자 장치는 전체 오디오 파일 중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이 제1 기준 값 이하로 확인된 가장 처음의 부분을 전주 부분, 다음으로 확인된 부분을 간주 부분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501)이 제1 기준 값 이하로 확인된 영역은 전주 부분 또는 간주 부분일 수 있다.
도 5의(b)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오디오 스트림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a)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확인하여 전체 오디오 파일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 중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체 오디오 파일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b)에 도시된 프로그래스 바 위에는 전체 오디오 파일을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오디오 파일이 처음 시작되는 부분이 전주 부분(504)임을 알 수 있고, 전주 부분(504) 이후에 전주 부분(504) 보다 높은 피크 값을 보여 주는 부분이 처음 보이스(voice)가 포함되는 부분인 인트로 부분(505)임을 알 수 있으며, 가장 높은 피크 값을 보여 주는 부분이 해당 오디오 파일의 하이라이트 부분(506)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이라이트 부분(506) 이후에 하이라이트 부분(506)보다 피크 값이 낮게 표시된 부분이 간주 부분(507)임을 알 수 있으며, 다시 높은 피크 값을 보여 주는 부분이 하이라이트 부분(508)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입력받은 특정 오디오 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이용하여 시간적 지연 없이 오디오 스트림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보고 전체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의(a)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확인하여 설정된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매칭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하고, 이후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여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매칭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여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고,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하는데, 정규화 및 평활화 과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은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의 필터링이 완료되었다는 의미이다. 이후,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각각 확인하여 설정된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매칭시킨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하여 제1 기준 값과 제2 기준 값이 설정되면, 전자 장치에서는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한다. 먼저, 필터링된 피크 값(601)이 제1 기준 값 미만으로 확인되면 해당 부분은 전체 오디오 파일에서 전주 부분 또는 간주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필터링된 피크 값(602)이 제1 기준값 이상에서 제2 기준 값 미만으로 확인되면 해당 부분은 전체 오디오 파일에서 인트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필터링된 피크 값(603)이 제2 기준값 이상으로 확인되면 해당 부분은 전체 오디오 파일에서 하이라이트 부분일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오디오 파일 마다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고, 특정 부분이 생략된 오디오 파일도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오디오 파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네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각각 확인하여, 전체 오디오 파일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주와 간주 부분은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이 제1 기준 값 이하로 같지만, 전자 장치는 전체 오디오 파일 중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이 제1 기준 값 이하로 확인된 가장 처음의 부분을 전주 부분, 다음으로 확인된 부분을 간주 부분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601)이 제1 기준 값 이하로 확인된 영역은 전주 부분 또는 간주 부분일 수 있다.
도 6의(b)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a)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확인하여 전체 오디오 파일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 중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체 오디오 파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b)에 도시된 프로그래스 바에는 전체 오디오 파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프로그래스 바에 디스플레이된 제1 색상(604)이 처음 시작되는 전주 부분임을 알 수 있고, 제1 색상(604) 이후에 제2 색상(605)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처음 보이스가 포함되는 인트로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제2 색상(605) 이후에 제3 색상(606)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해당 오디오 파일의 첫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3 색상(606) 이후에 다시 제1 색상(607)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간주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다시 제3 색상(608)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두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섹션은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처음에 제1 색상(604)으로 표시된 부분은 전주 부분, 제1 색상(604) 이후에 제2 색상(605)으로 표시된 부분은 인트로 부분, 제2 색상(605) 이후에 제3 색상(606)으로 표시된 부분은 첫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 다시 제1 색상(607)으로 표시된 부분은 간주 부분, 마지막으로 다시 제3 색상(608)으로 표시된 부분이 두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입력받은 특정 오디오 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이용하여 시간적 지연 없이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색상의 단계적 차이를 확인하여 전체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오디오 스트림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라는 명령어를 입력받으면, 해당 오디오 파일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추출하여 빠르게 오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의(a)는 오디오 스트림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한 것으로, 미디어 플레이어에 구비된 프로그래스 바 위에 전체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파형의 형태로 나타낸 일 실시예이다. 도 7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오디오 파일은 전주 부분(701)으로 시작하여 보이스가 포함된 인트로 부분(702)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인트로 부분(702)에서 첫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703)으로 진행되고, 첫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703)에서 간주 부분(704)으로 넘어간 후, 다시 두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705)이 나오고 해당 오디오 파일이 끝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입력받은 특정 오디오 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이용하여 시간적 지연 없이 오디오 스트림을 파형의 형태로 빠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보고 전체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7의(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된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의 형태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플레이어의 프로그래스 바 위에는 현재 재생 중인 특정 오디오 파일의 섹션이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7의(a)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특정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7의(b)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된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의 형태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전자 장치가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라는 명령어를 입력받으면, 전자 장치는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된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추출하여 전제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지 않고, 빠르게 해당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오디오 스트림이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것을 보고, 해당 오디오 파일의 전체적인 섹션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오디오 파일을 처음부터 듣지 않고, 하이라이트 부분이라는 특정 부분만을 듣고 싶다고 가정해 보자. 사용자는 미디어 플레이어의 프로그래스 바 위에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오디오 스트림을 보고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의 하이라이트 부분(705)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해당 오디오 파일의 전체적인 섹션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바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인 하이라이트 부분(705)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오디오 스트림을 제공하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술한 예와 같은 경우 특정 부분부터 재생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래스 바 위에 해당 오디오 파일의 전체적인 섹션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해주고 있기 때문에 몇 번의 시행착오 없이 바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8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gradation)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라는 명령어를 입력받으면, 해당 오디오 파일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추출하여 빠르게 오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의(a)는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한 것으로, 미디어 플레이어에 구비된 프로그래스 바에 전체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제1 색상 내지 제3 색상으로 나타낸 일 실시예이다. 도 8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오디오 파일은 전주 부분(제1 색상, 801)으로 시작하여 보이스가 포함된 인트로 부분(제2 색상, 802)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인트로 부분(802)에서 첫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제3 색상, 803)으로 진행되고, 첫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803)에서 간주 부분(제1 색상, 704)으로 넘어간 후, 다시 두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제3 색상, 705)이 나오고 해당 오디오 파일이 끝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입력받은 특정 오디오 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이용하여 시간적 지연 없이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빠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오디오 스트림의 색상만을 보고 전체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8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된 오디오 스트림을 이용하여 특정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플레이어의 프로그래스 바에는 현재 재생 중인 특정 오디오 파일의 섹션이 제1 색상 내지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8의(a)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특정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8의(b)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된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전자 장치가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라는 명령어를 입력받으면, 전자 장치는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된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추출하여 전제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지 않고, 빠르게 해당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제1 색상 내지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오디오 스트림이 디스플레이된 색상만을 보고, 해당 오디오 파일의 전체적인 섹션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오디오 파일을 처음부터 듣지 않고, 하이라이트 부분이라는 특정 부분만을 듣고 싶다고 가정해 보자. 사용자는 미디어 플레이어의 프로그래스 바에 제1 색상 내지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오디오 스트림을 보고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의 두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805)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해당 오디오 파일의 전체적인 섹션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인 하이라이트 부분(805)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오디오 스트림을 제공하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술한 예와 같은 경우 특정 부분부터 재생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래스 바에 특정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해주고 있기 때문에 몇 번의 시행착오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b)에 도시된 프로그래스 바에는 전체 오디오 파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프로그래스 바에 디스플레이된 제1 색상(801)이 처음 시작되는 전주 부분임을 알 수 있고, 제1 색상(801) 이후에 제2 색상(802)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처음 보이스가 포함되는 인트로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제2 색상(802) 이후에 제3 색상(803)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해당 오디오 파일의 첫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3 색상(803) 이후에 다시 제1 색상(804)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간주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다시 제3 색상(805)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두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9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복수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고 할 때,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먼저,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로컬(local) 부분을 선택받으면, 전자 장치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을 모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후, 도 9의(a)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오디오 파일 중 A곡, B곡 및 D곡을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선택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오디오 파일 중에서 특정 곡을 터치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9의(a)는 사용자의 터치의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보여 준다. 즉, 도 9의(a)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선택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의 터치가 아닌 특정 명령어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선택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받은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의(a)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선택되었으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선택받기 위하여,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선택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예에서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A곡, B곡 및 D곡을 선택받았다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A곡, B곡 및 D곡의 재생범위를 세부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9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분 재생, 전주 부분만 재생, 인트로 부분만 재생, 간주 부분만 재생 및 하이라이트 부분만 재생 등 세부적인 부분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선택한 곡들의 재생범위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듣고 싶다면,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세부적인 부분 중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선택하면 된다.
도 9의(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분석하여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아,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분석하여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skip)하여 해당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한다. 상술한 예에서,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A곡, B곡 및 D곡을 선택받아 해당 곡들의 하이라이트 부분(901)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았다면, 전자 장치는 A곡, B곡 및 D곡의 하이라이트 부분(901)만을 자동으로 스킵하여, 차례로 A곡, B곡 및 D곡의 하이라이트 부분(901)만을 재생시킨다. 종래에는 오디오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도 9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사용자가 A곡, B곡 및 D곡의 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을 모두 재생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세부적인 재생범위에서 "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을 동시에 선택하면, 전자 장치는 A곡, B곡 및 D곡의 "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함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0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선택받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복수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먼저,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로컬 부분을 선택받으면, 전자 장치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을 모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후, 도 10의(a)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오디오 파일 중 A곡 및 C곡을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선택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오디오 파일 중에서 특정 곡을 터치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10의(a)는 사용자의 터치의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보여 준다. 즉, 도 10의(a)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선택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의 터치가 아닌 특정 명령어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선택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받은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선택받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a)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선택되었으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선택받기 위하여,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선택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예에서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A곡 및 C곡을 선택받았다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A곡 및 C곡의 재생범위를 세부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10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분 재생, 전주 부분만 재생, 인트로 부분만 재생, 간주 부분만 재생 및 하이라이트 부분만 재생 등 세부적인 부분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선택한 곡들의 재생범위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전주 부분만을 듣고 싶다면,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세부적인 부분 중 "전주 부분"만을 선택하면 된다.
도 10의(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스트림의 단계적 차이를 분석하여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된 오디오 스트림을 분석하여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하여 해당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한다. 상술한 예에서,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A곡 및 C곡을 선택받아 해당 곡들의 전주 부분(1001)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았다면, 전자 장치는 A곡 및 C곡의 전주 부분(1001)만을 자동으로 스킵하여, 차례로 A곡 및 C곡의 전주 부분(1001)만을 재생시킨다. 종래에는 오디오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도 10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사용자가 A곡 및 C곡의 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을 모두 재생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세부적인 재생범위에서 "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을 동시에 선택하면, 전자 장치는 A곡 및 C곡의 "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함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자 장치는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11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로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사용자로부터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복수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고 할 때,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특정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먼저,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로컬 부분을 선택받으면, 전자 장치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을 모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전체 오디오 파일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선택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오디오 파일 중에서 특정 곡을 터치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전자 장치는 특정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다(1102).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파일은 파일 헤더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와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으면, 특정 오디오 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해당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다.
특정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 전자 장치는 추출된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를 추출한다(1103).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프레임의 앞 부분에는 프레임 헤더가 위치하는데, 프레임 헤더에는 해당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와 디코딩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즉, 특정 프레임의 헤더에는 해당 프레임에 데이터 크기와 인코딩 압축 옵션, 비트 레이트에 관한 정보 및 주변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주변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를 추출한 전자 장치는 주변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한다(1104).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정보 중 주변 정보를 추출하여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글로벌 게인 값이란,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정보 중 추출된 주변 정보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한다(1105).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였으면, 전자 장치는 추출한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고,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킨다. 즉,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하는 과정은 추출한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는 과정,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는 과정 및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는 이유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큰 데이터인 경우, 프로세싱을 하는데 큰 메모리가 소요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이유는 각진 모양의 데이터를 이동 평균의 방법으로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한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을 오디오 스트림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1106).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확인하여 전체 오디오 파일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 중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오디오 파일이 처음 시작되는 부분이 전주 부분임을 알 수 있고, 전주 부분 이후에 전주 부분 보다 높은 피크 값을 보여 주는 부분이 처음 보이스가 포함되는 부분인 인트로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가장 높은 피크 값을 보여 주는 부분이 해당 오디오 파일의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이라이트 부분 이후에 하이라이트 부분 보다 피크 값이 낮게 표시된 부분이 간주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다시 높은 피크 값을 보여 주는 부분이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입력받은 특정 오디오 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이용하여 시간적 지연 없이 오디오 스트림을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보고 전체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하는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자 장치는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12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로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사용자로부터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복수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고 할 때,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특정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먼저,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로컬 부분을 선택받으면, 전자 장치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을 모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전체 오디오 파일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선택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오디오 파일 중에서 특정 곡을 터치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전자 장치는 특정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다(1202).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파일은 파일 헤더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와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으면, 특정 오디오 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해당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다.
특정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 전자 장치는 추출된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를 추출한다(1203).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프레임의 앞 부분에는 프레임 헤더가 위치하는데, 프레임 헤더에는 해당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와 디코딩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즉, 특정 프레임의 헤더에는 해당 프레임에 데이터 크기와 인코딩 압축 옵션, 비트 레이트에 관한 정보 및 주변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주변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를 추출한 전자 장치는 주변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한다(1204).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정보 중 주변 정보를 추출하여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글로벌 게인 값이란,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정보 중 추출된 주변 정보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한다(1205).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였으면, 전자 장치는 추출한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고,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킨다. 즉,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하는 과정은 추출한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는 과정,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는 과정 및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는 이유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큰 데이터인 경우, 프로세싱을 하는데 큰 메모리가 소요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이유는 각진 모양의 데이터를 이동 평균의 방법으로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한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한다(1206).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확인하여 전체 오디오 파일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 중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프로그래스 바에 디스플레이된 제1 색상이 처음 시작되는 전주 부분임을 알 수 있고, 제1 색상 이후에 제2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처음 보이스가 포함되는 인트로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제2 색상 이후에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해당 오디오 파일의 첫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3 색상 이후에 다시 제1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간주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다시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두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섹션은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처음에 제1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은 전주 부분, 제1 색상 이후에 제2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은 인트로 부분, 제2 색상 이후에 제3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은 첫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 다시 제1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은 간주 부분, 마지막으로 다시 제3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이 두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입력받은 특정 오디오 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이용하여 시간적 지연 없이 오디오 스트림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색상의 단계적 차이를 확인하여 전체 오디오 파일의 섹션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분석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13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로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복수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고 할 때,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먼저,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로컬 부분을 선택받으면, 전자 장치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을 모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전체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선택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오디오 파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곡을 터치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전자 장치는 재생하도록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입력받는다(1302).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선택받기 위하여,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선택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A곡 및 B곡을 선택받았다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A곡 및 B곡의 재생범위를 세부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전부분 재생, 전주 부분만 재생, 인트로 부분만 재생, 간주 부분만 재생 및 하이라이트 부분만 재생 등 세부적인 부분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선택한 곡들의 재생범위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전주 부분만을 듣고 싶다면,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세부적인 부분 중 "전주 부분"만을 선택하면 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재생하도록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다(1303).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파일은 파일 헤더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와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입력받은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다.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 전자 장치는 추출된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를 추출한다(1304).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프레임의 앞 부분에는 프레임 헤더가 위치하는데, 프레임 헤더에는 해당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와 디코딩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즉, 특정 프레임의 헤더에는 해당 프레임에 데이터 크기와 인코딩 압축 옵션, 비트 레이트에 관한 정보 및 주변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주변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를 추출한 전자 장치는 주변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한다(1305).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정보 중 주변 정보를 추출하여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글로벌 게인 값이란,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정보 중 추출된 주변 정보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한다(1306).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였으면, 전자 장치는 추출한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고,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킨다. 즉,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하는 과정은 추출한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는 과정,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는 과정 및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는 이유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큰 데이터인 경우, 프로세싱을 하는데 큰 메모리가 소요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이유는 각진 모양의 데이터를 이동 평균의 방법으로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한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을 오디오 스트림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1307).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확인하여 전체 오디오 파일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 중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오디오 파일이 처음 시작되는 부분이 전주 부분임을 알 수 있고, 전주 부분 이후에 전주 부분 보다 높은 피크 값을 보여 주는 부분이 처음 보이스가 포함되는 부분인 인트로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가장 높은 피크 값을 보여 주는 부분이 해당 오디오 파일의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이라이트 부분 이후에 하이라이트 부분 보다 피크 값이 낮게 표시된 부분이 간주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다시 높은 피크 값을 보여 주는 부분이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분석하여,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차례로 재생한다(1308).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분석하여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하여 해당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A곡 및 D곡을 선택받아 해당 곡들의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았다면, 전자 장치는 A곡 및 D곡의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자동으로 스킵하여, 차례로 A곡 및 D곡의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재생시킨다. 종래에는 오디오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도 1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사용자가 A곡 및 D곡의 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을 모두 재생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세부적인 재생범위에서 "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을 동시에 선택하면, 전자 장치는 A곡 및 D곡의 "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상의 단계적 차이를 분석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14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로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복수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고 할 때,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먼저,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로컬 부분을 선택받으면, 전자 장치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을 모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전체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선택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오디오 파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곡을 터치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전자 장치는 재생하도록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입력받는다(1402).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선택받기 위하여,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재생범위를 선택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A곡 및 B곡을 선택받았다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A곡 및 B곡의 재생범위를 세부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전부분 재생, 전주 부분만 재생, 인트로 부분만 재생, 간주 부분만 재생 및 하이라이트 부분만 재생 등 세부적인 부분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선택한 곡들의 재생범위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전주 부분만을 듣고 싶다면,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세부적인 부분 중 "전주 부분"만을 선택하면 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재생하도록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각각의 프레임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다(1403).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파일은 파일 헤더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와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입력받은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다.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 전자 장치는 추출된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를 추출한다(1404).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프레임의 앞 부분에는 프레임 헤더가 위치하는데, 프레임 헤더에는 해당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와 디코딩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즉, 특정 프레임의 헤더에는 해당 프레임에 데이터 크기와 인코딩 압축 옵션, 비트 레이트에 관한 정보 및 주변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주변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를 추출한 전자 장치는 주변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한다(1405).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정보 중 주변 정보를 추출하여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글로벌 게인 값이란,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정보 중 추출된 주변 정보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한다(1406).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였으면, 전자 장치는 추출한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고,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킨다. 즉, 추출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하는 과정은 추출한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는 과정,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는 과정 및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시키는 이유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큰 데이터인 경우, 프로세싱을 하는데 큰 메모리가 소요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시키는 이유는 각진 모양의 데이터를 이동 평균의 방법으로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필터링된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한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한다(1407). 보다 구체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필터링된 값의 피크 값을 확인하여 전체 오디오 파일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 중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프로그래스 바에 디스플레이된 제1 색상이 처음 시작되는 전주 부분임을 알 수 있고, 제1 색상 이후에 제2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처음 보이스가 포함되는 인트로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제2 색상 이후에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해당 오디오 파일의 첫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3 색상 이후에 다시 제1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간주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다시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두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섹션은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처음에 제1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은 전주 부분, 제1 색상 이후에 제2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은 인트로 부분, 제2 색상 이후에 제3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은 첫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 다시 제1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은 간주 부분, 마지막으로 다시 제3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이 두 번째 하이라이트 부분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색상의 단계적 차이를 분석하여,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차례로 재생한다(1408).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된 오디오 스트림을 분석하여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하여 해당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A곡 및 C곡을 선택받아 해당 곡들의 전주 부분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았다면, 전자 장치는 A곡 및 C곡의 전주 부분만을 자동으로 스킵하여, 차례로 A곡 및 C곡의 전주 부분만을 재생시킨다. 종래에는 오디오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특정 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도 1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사용자가 A곡 및 C곡의 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을 모두 재생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세부적인 재생범위에서 "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을 동시에 선택하면, 전자 장치는 A곡 및 C곡의 "간주 부분"과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본 발명읠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1500)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500)는 메모리(15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 1520), 입출력(IO, Input Output,) 시스템(1530), 터치 스크린(1540),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1550), 오디오 서브 시스템(1560) 및 외부 포트(1570)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5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모듈(1511), 프레임 헤더 리딩 모듈(1512), 주변 정보 추출 모듈(1513) 및 필터링 모듈(15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디오 컨텐츠 재생 모듈(1511)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시킨다. 프레임 헤더 리딩 모듈(1512)은 특정 오디오 파일(audio file)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한다. 주변 정보 추출 모듈(1513)은 추출된 프레임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side information)를 추출한다. 필터링 모듈(1514)은 추출된 주변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한다.
프로세서 유닛(15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5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52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 15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유닛(15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프로세서(15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5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1522)는 메모리(15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1522)는 메모리(15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5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523)는 전자 장치(1500)의 여러 가지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1522) 및 메모리(1510)(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에 연결시킨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 유닛(1520)은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filtering)하고,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고,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normalization)하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smoothing)한다. 또한, 이동 평균(moving average)의 방법으로 평활화하고,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며,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매칭한다. 또한, 입력받은 부분의 영역만을 재생하고,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skip)하며, 자동으로 스킵한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한다. 또한,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매칭하며, 입력받은 부분의 영역만을 재생한다. 또한, 색상의 단계적 차이를 분석하여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skip)하고, 자동으로 스킵한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한다.
입출력(I/O, Input/Output) 시스템(153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1531)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153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1531)는 터치 스크린(154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54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1531)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154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153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55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550)에 하나 이상의 버튼,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등 일수 있다.
터치스크린(1540)은 전자 장치(15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154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1500)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15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 (154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터치스크린(154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 스크린(1540)은, 필터링된 값을 디스플레이(display)하고,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으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오디오 스트림 파형(audio stream waveform)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전주(verse), 인트로(intro), 간주(bridge) 및 하이라이트(chorus)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고, 구별된 네 부분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으며,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받고,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다. 또한,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gradation)로 디스플레이하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제1 색상 내지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구별된 네 부분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고,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받아,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560)은 스피커(speaker, 1561) 및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오디오 서브시스템(1560)은 프로세서 유닛(1520)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523)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스트림(electric signal)는 스피커로 전달된다. 스피커(1561)는 전기 스트림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560)은 수신한 전기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532)로 전송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56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프로그래스 바 102: 웨이브 폼의 오디오 스트림
201: 파일 헤더 202: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203: 프레임 헤더 204: 데이터
401: 평활화되기 전 그래프 402: 평활화된 후 그래프
501: 필터링된 피크 값(전주 또는 간주 부분)
502: 필터링된 피크 값(인트로 부분)
503: 필터링된 피크 값(하이라이트 부분)
504: 전주 부분 505: 인트로 부분
506: 하이라이트 부분 507: 간주 부분
508: 하이라이트 부분
601: 필터링된 피크 값(전주 또는 간주 부분)
602: 필터링된 피크 값(인트로 부분)
603: 필터링된 피크 값(하이라이트 부분)
604: 제1 색상 605: 제2 색상
606: 제3 색상 607: 제1 색상
608: 제3 색상 701: 전주 부분
702: 인트로 부분 703: 하이라이트 부분
704: 간주 부분 705: 하이라이트 부분
801: 제1 색상 802: 제2 색상
803: 제3 색상 804: 제1 색상
805: 제3 색상 901: 하이라이트 부분
1001: 전주 부분 1500: 전자 장치
1510: 메모리 1511: 오디오 컨텐츠 재생 모듈
1512: 프레임 헤더 리딩 모듈 1513: 주변 정보 추출 모듈
1514: 필터링 모듈 1520: 프로세서 유닛
1521: 메모리 인터 페이스 1522: 프로세서
1523: 주변 장치 인터 페이스 1530: 입출력 시스템
1531: 터치 스크린 제어기 1532: 기타 입력 제어기
1540: 터치 스크린 1550: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
1560: 오디오 서브 시스템 1561: 스피커
1570: 외부 포트

Claims (32)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특정 오디오 파일(audio file)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프레임 헤더(frame header)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average volume)인 글로벌 게인(global gain) 값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filtering)하는 과정; 및
    상기 필터링된 값을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프레임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인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프레임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side information)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주변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는 과정;
    상기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normalization)하는 과정; 및
    상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smoothing)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하는 과정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pat00004

    여기서, f'(x)는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이 연결된 후 정규화된 값을 나타낸 것이고, A는 정규화되기 전 최대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정규화되기 전 최소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며, A'는 정규화된 후 최대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정규화된 후 최소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하는 과정은,
    이동 평균(moving average)의 방법으로 평활화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오디오 스트림 파형(audio stream waveform)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스트림 파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전주(verse), 인트로(intro), 간주(bridge) 및 하이라이트(chorus)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매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된 네 부분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입력받은 부분의 영역만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받는 과정;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과정;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skip)하는 과정; 및
    상기 자동으로 스킵한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gradation)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의 단계적 차이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제1 색상 내지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 내지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매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된 네 부분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입력받은 부분의 영역만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받는 과정;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는 과정;
    상기 색상의 단계적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skip)하는 과정; 및
    상기 자동으로 스킵한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특정 오디오 파일(audio file)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프레임 헤더(frame header)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의 평균 볼륨(average volume)인 글로벌 게인(global gain) 값을 추출하는 메모리;
    상기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필터링(filtering)하는 프로세서 유닛; 및
    상기 필터링된 값을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추출된 프레임 헤더 정보에서 주변 정보(side information)를 추출하는 주변 정보 추출 모듈; 및
    상기 추출된 주변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글로벌 게인 값을 추출하는 필터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추출된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정규화(normalization)하며, 상기 정규화된 값을 평활화(smooth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연결된 글로벌 게인 값을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정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Figure pat00005

    여기서, f'(x)는 각각의 글로벌 게인 값이 연결된 후 정규화된 값을 나타낸 것이고, A는 정규화되기 전 최대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정규화되기 전 최소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며, A'는 정규화된 후 최대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정규화된 후 최소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다.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이동 평균(moving average)의 방법으로 평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오디오 스트림 파형(audio stream waveform)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전주(verse), 인트로(intro), 간주(bridge) 및 하이라이트(chorus)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매칭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구별된 네 부분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부분의 영역만을 재생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skip)하며, 상기 자동으로 스킵한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색상의 단계적 차이(gradation)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전체 영역을 전주, 인트로, 간주 및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제1 색상 내지 제3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값의 각각의 피크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피크 값을 설정된 세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매칭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구별된 네 부분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부분의 영역만을 재생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입력받고,
    상기 색상의 단계적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스킵(skip)하고, 상기 자동으로 스킵한 부분만을 차례로 재생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057533A 2012-05-30 2012-05-30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30134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33A KR20130134195A (ko) 2012-05-30 2012-05-30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3/847,090 US20130325154A1 (en) 2012-05-30 2013-03-19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peed visualization of audio stream in an electronic device
EP13165204.2A EP2669893A3 (en) 2012-05-30 2013-04-24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peed visualization of audio stream in an electronic device
CN2013101502299A CN103456313A (zh) 2012-05-30 2013-04-26 电子设备中用于音频流的高速可视化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33A KR20130134195A (ko) 2012-05-30 2012-05-30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95A true KR20130134195A (ko) 2013-12-10

Family

ID=4857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533A KR20130134195A (ko) 2012-05-30 2012-05-30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325154A1 (ko)
EP (1) EP2669893A3 (ko)
KR (1) KR20130134195A (ko)
CN (1) CN1034563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01A1 (ko) * 2017-07-20 2019-01-24 박준희 그라디에이션을 이용하여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 그의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7555B2 (en) 2011-12-21 2017-06-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fusing fluid
US9295778B2 (en) 2011-12-21 2016-03-2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US9744300B2 (en) 2011-12-21 2017-08-2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and related method
US9789247B2 (en) 2011-12-21 2017-10-17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and related method and system
US10722645B2 (en) 2011-12-21 2020-07-2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and related method and system
US9675756B2 (en) 2011-12-21 2017-06-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for infusing fluid
US11217340B2 (en) 2011-12-21 2022-01-0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having a pressure sensor assembly
US11295846B2 (en) 2011-12-21 2022-04-0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fusing fluid
USD732062S1 (en) * 2013-02-22 201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L2013001374E1 (es) * 2013-02-22 201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bujo industrial aplicable a la pantalla de un dispositivo de comunicacion movil, conformado por una porcion horizontal rectangular recta que cercano a uno de sus extremos tiene un circulo con ocho radios exteriores, mas una barra horizontal central delgada con una porcion izquierda pigmentada.
CL2013001365E1 (es) * 2013-03-13 2013-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bujo industrial aplicable a la pantalla de un dispositivo de comunicacion movil, conformado por un rectangulo horizontal que cercano a su lado superior presenta una barra horizontal rectangular que en su primer cuarto a la izquierda esta pigmentado y con un circulo sobrepuesto.
KR101518294B1 (ko) * 2013-05-07 2015-05-07 주식회사 인코렙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 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방법, 및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
USD735319S1 (en) 2013-06-11 2015-07-2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pump
USD767756S1 (en) 2013-06-11 2016-09-27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pump
USD736370S1 (en) 2013-06-11 2015-08-1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pump
USD760782S1 (en) 2013-12-20 2016-07-0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Display screen of a medical pump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8716S1 (en) * 2013-12-20 2016-10-1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Display screen of a medical pump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772S1 (en) * 2014-01-03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MX2016010876A (es) 2014-02-21 2016-10-26 Deka Products Lp Bomba de jeringa que tiene un ensamble sensor de presion.
CN104598215B (zh) * 2014-05-30 2018-01-0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音频图形展示方法及装置
RU2589851C2 (ru) * 2014-08-26 2016-07-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страсофт"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вода речевого сигнала в транскрипционное представление с метаданными
USD760759S1 (en) * 2014-09-01 2016-07-0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6794302B (zh) 2014-09-18 2020-03-20 德卡产品有限公司 通过将管适当加热来穿过管输注流体的装置和方法
CN104575542A (zh) * 2014-12-15 2015-04-29 天脉聚源(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音频区域播放的方法及装置
USD781877S1 (en) * 2015-01-05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3386S1 (en) 2015-02-10 2017-11-2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medical pump
USD803387S1 (en) 2015-02-10 2017-11-2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medical pump
USD805183S1 (en) 2015-02-10 2017-12-1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pump
USD801519S1 (en) 2015-02-10 2017-10-3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Peristaltic medical pump
AU2016101424A4 (en) * 2015-09-08 2016-09-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udiovisual feedback
US9990113B2 (en) 2015-09-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ving a current focus using a touch-sensitive remote control
CN106887240A (zh) * 2015-12-15 2017-06-23 卓望数码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iOS平台的音频处理方法、系统及iOS设备
CN105931657A (zh) * 2016-04-19 2016-09-0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音频文件的播放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7068145B (zh) * 2016-12-30 2019-02-15 中南大学 语音评测方法及系统
KR102431737B1 (ko) * 2017-02-28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하이라이트를 찾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US10540941B2 (en) 2018-01-30 2020-01-21 Magic Leap, Inc. Eclipse cursor for mixed reality displays
US11567627B2 (en) 2018-01-30 2023-01-31 Magic Leap, Inc. Eclipse cursor for virtual content in mixed reality displays
US11157159B2 (en) 2018-06-07 2021-10-26 Magic Leap, Inc. Augmented reality scrollbar
CN117838976A (zh) 2018-08-16 2024-04-09 德卡产品有限公司 滑动夹组件和用于治疗患者的系统
USD905730S1 (en) * 2018-10-03 2020-12-22 Allstate Insurance Company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9653S1 (en) * 2018-10-12 2021-05-18 Vasona Network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62981S1 (en) * 2019-05-29 2022-09-06 Magic Leap,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scrollbar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0696S1 (en) * 2019-10-10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6093S1 (en) * 2019-10-10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0742S1 (en) * 2019-12-13 2022-01-11 Ip.Com I, Llc Portion of display screen with an icon
USD1006038S1 (en) * 2021-08-05 2023-11-28 Adp,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4020A (en) * 1992-12-31 1997-05-27 Avid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udio data as a discrete waveform
JPWO2006075457A1 (ja) * 2005-01-11 2008-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装置
CN1779777B (zh) * 2005-08-16 2011-01-05 万纳特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通过截取音频波形进行音频编辑和转化的方法
KR20100028312A (ko) * 2008-09-04 201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파일 편집 방법 및 장치
US20120014673A1 (en) * 2008-09-25 2012-01-19 Igruuv Pty Ltd Video and audio cont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01A1 (ko) * 2017-07-20 2019-01-24 박준희 그라디에이션을 이용하여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 그의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56313A (zh) 2013-12-18
EP2669893A3 (en) 2014-01-22
EP2669893A2 (en) 2013-12-04
US20130325154A1 (en)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4195A (ko) 오디오 스트림을 고속 시각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601633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visualizing audio data
JP6464411B6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198583A1 (en) Indicating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 system
JP6717940B2 (ja) オーディオファイルの再録音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JPWO201311838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14069114A1 (ja) 情報処理装置、再生状態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67449B1 (ko) 음성인식에 기반한 애니메이션 재생이 가능한 전자책 단말기 및 그 방법
US839154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US97111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editing and publishing recorded videos
US9412380B2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13377326B (zh) 一种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5039020B2 (ja) 電子機器および映像コンテンツ情報表示方法
CN105373585B (zh) 歌曲收藏方法和装置
KR101551968B1 (ko) 차량에 적용된 미디어를 통한 음원 정보 제공 방법
KR102058025B1 (ko)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218336B1 (ko) 오디오 신호의 시각화 장치
KR20080024876A (ko) 오디오 구간 검색장치와 방법
JP6223678B2 (ja) 電子機器及び再生制御方法
US20230197114A1 (en) Storage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storage method, playback method, and medium
US2017009233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visualizing audio data
KR101562901B1 (ko) 대화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3217003A1 (zh) 音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054690B1 (ko) 휴대 단말기 및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장치 조작 방법
US10817562B2 (en) Disregarding audio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