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801A -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 및 관련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 및 관련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801A
KR20130133801A KR20137016915A KR20137016915A KR20130133801A KR 20130133801 A KR20130133801 A KR 20130133801A KR 20137016915 A KR20137016915 A KR 20137016915A KR 20137016915 A KR20137016915 A KR 20137016915A KR 20130133801 A KR20130133801 A KR 20130133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controllable
storage device
direct current
energy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1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558B1 (ko
Inventor
페터 포이어스탁
에릭 바이센보른
마르틴 케슬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33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5Sequential battery discharge in systems with a plurality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7Physical arrangements or structures of drive train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pulsion motors of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by batteries charg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4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controlling a combination of batteries and fuel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2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multip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69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otherwise than by variation of field
    • H02J7/1492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otherwise than by variation of field by means of controlling devices between the generator output and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02P27/1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with three or more levels of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 ≥ 1인 조건에서 n상 전기 기계(1)의 제어 및 전기 에너지 공급을 위해 이용되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9)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는 한편으로 기준 레일(T-)과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기 기계(1)의 각각의 위상(U, V, W)과 연결될 수 있는 n개의 병렬 에너지 공급 분기(3-1, 3-2, 3-3)를 포함한다. 중간 회로(10)는, 출력 측에서,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12)를 통해,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3-2, 3-3)과 연결될 수 있고, 입력 측에서는, 하나 이상의 직류원(9)과 연결될 수 있다. 관련된 작동 방법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직류원(9)으로부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3-2; 3-3), 또는 전기 기계(1)의 위상들(U, V, W) 내로 유입되는 전류 흐름은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12)에 의해 제어된다.

Description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 및 관련 작동 방법{SYSTEM FOR COUPLING AT LEAST ONE DC SOURCE TO A CONTROLLABLE ENERGY STORE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 및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래에는, 예컨대 풍력 발전 설비와 같은 고정 적용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서도, 전기 구동 기술과 새로운 에너지 저장 기술을 조합하는 전자 시스템들의 이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가 뚜렷해질 것이다. 종래의 적용 분야에서, 예컨대 3상 기계로서 형성되는 전기 기계는 인버터 형태의 컨버터를 통해 제어된다. 상기 유형의 시스템들에 대한 특징은 이른바 직류 전압 중간 회로이며, 이 직류 전압 중간 회로를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 대개 배터리는 인버터의 직류 전압 측에 연결된다. 각각의 적용에 대해 주어지는 출력 및 에너지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배터리 셀은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유형의 에너지 저장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모든 배터리 셀을 통해 흘러야 하고 하나의 배터리 셀은 제한된 전류만을 전도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전류를 높이기 위해, 빈번히 추가로 배터리 셀들이 병렬로 연결된다.
다수의 배터리 셀의 직렬 연결은 높은 총 전압 외에도, 하나의 배터리 셀이 고장 나면, 더 이상 배터리 전류가 흐를 수 없기 때문에, 전체 에너지 저장 장치가 고장 난다는 문제를 초래한다. 에너지 저장 장치의 상기 고장은 전체 시스템의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차량의 경우 구동 배터리의 고장은 차량의 "정지"를 야기할 수 있다. 예컨대 풍력 발전 설비의 로터 블레이드 조정 장치와 같은 또 다른 적용 분야의 경우, 예컨대 강풍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일반 조건에서, 심지어 안전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항상 에너지 저장 장치의 높은 신뢰도를 달성하고자 노력해야 하며, 여기서 "신뢰도"는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결함 없이 작동하는 시스템의 능력을 나타낸다.
더 오래된 출원 DE 10 2010 027857과 DE 10 2010 027861에는 전기 기계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을 포함하는 배터리들이 설명되어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 라인들은 직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각각의 배터리 모듈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할당되고 제어 가능한 커플링 유닛을 포함하며, 커플링 유닛은 제어 신호들에 따라 각각의 배터리 모듈 라인을 차단하거나, 또는 각각 할당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브리지하거나, 또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 라인 내로 각각 할당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스위칭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예컨대 펄스폭 변조를 이용하여, 커플링 유닛들을 적합하게 제어하는 것을 통해, 전기 기계의 제어를 위한 적합한 위상 신호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별도의 펄스폭 변조 인버터는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기계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펄스폭 변조 인버터는 배터리 내에 통합된다. 공개를 목적으로 더 오래된 상기 두 출원은 전체 범위에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상기 유형의 배터리가 예컨대 전기 자동차에서 이용된다고 한다면, 현재 이용 가능한 배터리 기술은 전기 자동차의 크루징 거리를 대폭 제한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추가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서, 예컨대 전기 자동차의 크루징 거리를 대폭 연장시킬 수 있도록,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추가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연결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n ≥ 1인 조건에서 n상 전기 기계의 제어 및 전기 에너지 공급을 위해 이용되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경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는 n개의 병렬 에너지 공급 분기를 포함하며, 이들 에너지 공급 분기는 한편으로 기준 레일과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기 기계의 각각의 위상과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위해, 출력 측에서,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를 통해, 제어 가능한 저장 장치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과 연결될 수 있고, 입력 측에서는, 하나 이상의 직류원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중간 회로가 제공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직류원으로부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 또는 전기 기계의 위상들 내로 유입되는 전류 흐름은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추가의 직류원을 본 발명에 따라 연결하는 것을 통해, 추가의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예컨대 전기 자동차의 크루징 거리가 대폭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되는 에너지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 기계의 현재의 작동 상태에 따라서, 제어 가능한 에너지원의 에너지 저장 셀들을 충전하기 위해, 또는 전기 기계의 에너지 공급 시 제어 가능한 에너지원의 지원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은 특히 간단하게 실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경제적인 회로 토폴로지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간 회로는 기준 레일과 연결될 수 있고,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는 각각의 에너지 공급 분기에 대해 각각 전류 제어식 직류 전압 컨버터, 특히 강압 컨버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개별 직류 전압 컨버터들의 듀티 사이클을 통해, 동시에 그리고 서로 무관하게 전류가 전기 기계의 위상들 내로, 또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직류뿐 아니라 중첩된 교류는 듀티 사이클의 상응하는 변조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조절은 각각의 시점에 정확한 위상 전압을 보장한다. 그에 따라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의 현재의 순간 값들에 따라서, 전류는 직류 전압 컨버터로부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지원을 위해 전기 기계 내로 유입될 수 있거나, 또는 에너지 저장 셀들의 충전을 위해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기 기계는 중간 회로를 통한 순간 전류 공급의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직류 전압 컨버터로서의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는 n상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인버터 분기는 각각 하나 이상의 추가 인덕터를 통해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각각의 에너지 공급 분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직류원의 상기 유형의 연결은 전기 기계의 위상들 내로, 또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 내로 동시적인, 그리고 서로 무관한 전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인버터의 공간 벡터 변조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공간 벡터 변조와, 직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출력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럼으로써 본 실시예의 경우 기준 레일과 중간 회로의 전기 연결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가 n상 인버터를 포함한다면, 인버터 분기들은 직접, 다시 말하면 추가 인덕터의 중간 연결 없이,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각각의 에너지 공급 분기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중간 회로와 하나 이상의 직류원 사이에 하나 이상의 추가 인덕터가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인덕터는 말하자면 커플링 회로와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 사이의 연결 라인들 내 인덕터들을 대체한다.
높은 가용성 조건에서 특히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은, 직류원이 내연기관을 통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구비한 레인지 익스텐더(range extender)를 포함할 때 달성된다. 이 경우 발전기는 하류에 연결되는 정류기를 구비한 직류 발전기 또는 교류 발전기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예컨대 연료 전지, 광전 모듈 또는 풍력 발전 설비와 같은 임의의 또 다른 직류원들도 이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임의의 수많은 직류원이 임의의 실시예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은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에너지 저장 모듈을 포함하고, 이들 에너지 저장 모듈은 할당되고 제어 가능한 커플링 유닛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전기 에너지 저장 셀을 각각 포함하며, 제어 가능한 커플링 유닛은 제어 신호들에 따라서 각각 할당된 에너지 저장 셀들을 브리지하거나, 또는 각각의 에너지 공급 분기 내로 각각 할당된 에너지 저장 셀들을 스위칭한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이중 기능, 다시 말해 전기 기계의 제어 및 에너지 공급이 특히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실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제시된다.
도 1은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시스템의 실시예들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는 3상 전기 기계(1)에 연결된다.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는 3개의 에너지 공급 분기(3-1, 3-2 및 3-3)를 포함하고, 이들 에너지 공급 분기는 한편으로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낮은 전위를 전달하는 기준 전위(T-)(기준 레일)와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기 기계(1)의 개별 위상들(U, V, W)과 각각 연결된다.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3-2 및 3-3) 각각은 직렬로 연결된 m개의 에너지 저장 모듈(4-11 내지 4-1m; 4-21 내지 4-2m; 4-31 내지 4-3m)을 포함하며, 이때 m ≥ 2이다. 에너지 저장 모듈들(4)은 직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기 에너지 저장 셀을 각각 포함하며, 전기 에너지 저장 셀들은 명확성을 위해 전기 기계(1)의 위상(W)과 연결된 에너지 공급 분기(3-3) 내에서만 도면 부호 5-31 내지 5-3m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모듈들(4)은 각각의 커플링 유닛을 포함하고, 커플링 유닛은 각각의 에너지 저장 모듈(4)의 에너지 저장 셀들(5)에 할당된다. 또한, 명확성을 위해, 커플링 유닛들은 에너지 공급 분기(3-3) 내에서만 도면 부호 6-31 내지 6-3m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라서, 커플링 유닛들(6)은 각각 풀브리지의 형태로 서로 연결되는 4개의 제어 가능한 스위칭 부재(7-311, 7-312, 7-313 및 7-314 내지 7-3m1, 7-3m2, 7-3m3 및 7-3m4)를 통해 형성된다. 이 경우, 스위칭 부재들은 파워 반도체 스위치로서, 예컨대 IGBT(절연 게이트 쌍극 트랜지스터)의 형태로, 또는 MOSFET(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 유닛들(6)은 커플링 유닛(6)의 모든 스위칭 부재(7)를 개방하는 것을 통해 각각의 에너지 공급 분기(3)를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으로서, 에너지 저장 셀들(5)은 커플링 유닛(6)의 스위칭 부재들(7) 중에서 각각 2개의 스위칭 부재의 폐쇄를 통해, 예컨대 스위치(7-312 및 7-314)의 폐쇄를 통해 브리지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스위치(7-312 및 7-313)의 폐쇄를 통해 각각의 에너지 공급 분기(3) 내로 스위칭될 수 있다.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내지 3-3)의 총 출력 전압은 커플링 유닛들(6)의 제어 가능한 스위칭 부재들(7)의 각각의 스위칭 상태를 통해 결정되고, 계단형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계단형 조정은 개별 에너지 저장 모듈들(4)의 전압에 따라 제공된다. 에너지 저장 모듈들(4)이 동일한 유형으로 형성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한다면, 최대 가능한 총 출력 전압은 단일의 에너지 저장 모듈의 전압과 에너지 공급 분기(3)당 직렬로 연결된 에너지 저장 모듈(4)의 개수(m)의 곱의 값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커플링 유닛들(6)은, 높은 기준 전위 또는 낮은 기준 전위 쪽을 향해 전기 기계(1)의 위상들(U, V, W)을 스위칭하는 것을 허용하며, 이런 점에서 공지된 인버터의 기능을 충족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기계(1)의 출력 및 작동 모드는, 커플링 유닛들(6)의 적합한 제어가 이루어질 때,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는, 한편으로 전기 에너지 공급을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전기 기계(1)의 제어를 위해 이용되기 때문에, 그런 점에서 이중 기능을 충족한다.
전기 기계(1)는 공지된 방식으로 성형 연결(star connection)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스테이터 권선부들(8-U, 8-V 및 8-W)을 포함한다.
전기 기계(1)는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3상 기계로서 형성되지만, 3개의 위상보다 적거나 많은 위상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기계의 위상 개수에 따라서 자연히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 내 에너지 공급 분기(3)의 개수도 결정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라서, 각각의 에너지 저장 모듈(4)은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에너지 저장 셀(5)을 포함한다. 그러나 에너지 저장 모듈들(4)은 대안으로서 단일의 에너지 저장 셀만을,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라서, 커플링 유닛들(6)은 각각 풀브리지 형태의 4개의 제어 가능한 스위칭 부재(7)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또한 에너지 저장 모듈의 출력단에서 전압 반전의 가능성도 제공한다. 그러나 커플링 유닛들(6)은, 필요한 기능들(에너지 공급 셀들의 브리지 및 에너지 공급 분기 내 에너지 공급 셀들의 스위칭)이 실현될 수 있다면, 더 많거나 더 적은 제어 가능한 스위칭 부재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커플링 유닛들은 하프 브리지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실시예들은 예시로서 더 오래된 출원 DE 10 2010 027857 및 DE 10 2010 027861에 제시된다.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에는 직류원(9)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중간 회로(직류 전압 중간 회로)(10)는, 출력 측에서,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12)를 통해,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3)과 연결되고, 입력 측에서는, 직류원(9)과 연결되는 중간 회로 커패시터(11)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 경우, 직류원(9)은 내연기관(14)을 통해 구동되는 교류 발전기(15)를 구비한 공지된 레인지 익스텐더(13)를 각각 포함하며, 교류 발전기(15)의 하류에는 정류기(16)가 연결된다. 또한, 하류에 연결되는 정류기(16)를 구비한 교류 발전기(15)에 대한 대안으로서, 직류 발전기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레인지 익스텐더(13)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예컨대 연료 전지 및/또는 광전 모듈과 같은 임의의 또 다른 직류원들도 중간 회로(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중간 회로(10)는 기준 레일(T-)과 연결되고,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12)는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3-2 및 3-3) 각각에 대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강압 컨버터로서 형성되는 각각의 전류 제어식 직류 전압 컨버터(17-1; 17-2; 17-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직류 전압 컨버터(17)는 2개의 제어 가능한 스위칭 부재(18-1a 및 18-1b; 18-2a 및 18-2b; 18-3a 및 18-3b)의 각각의 직렬 회로를 포함한다. 각각 두 스위칭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접촉점(K1)에는 각각의 인덕터(19-1; 19-2; 19-3)가 연결되고, 이 인덕터를 통해 직류 전압 컨버터들(17-1, 17-2 및 17-3)은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3-2; 3-3) 및 전기 기계(1)의 위상들(U; V; W)과 연결된다.
직류 전압 컨버터(17)의 스위칭 부재들(18)은,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유닛들(6)의 스위칭 부재들(7)도 제어하는 미도시된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개별 직류 전압 컨버터들(17-1, 17-2 및 17-3)의 스위칭 부재들(18)을 위한 제어 신호들의 듀티 사이클을 통해, 동시에, 그리고 서로 무관하게 전류가 전기 기계(1)의 위상들(U; V; W) 내로, 또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3-2; 3-3) 내로 공급된다. 듀티 사이클의 대응하는 변조를 통해서는 직류뿐 아니라 중첩된 교류도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조절은 각각의 시점마다 전기 기계의 위상들(U, V, W)에서 정확한 전압을 보장한다. 전기 기계(1)의 위상 전류들의 현재의 순간 값들에 따라서 전류는 직류 전압 컨버터(17)로부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지원을 위해 전기 기계(1) 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에너지 저장 셀들(5)의 충전을 위해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전기 기계(1)는 중간 회로(10)를 통한 순간 전류 공급의 정도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12)는 3상 인버터(20)를 포함하고, 각각의 인버터 분기(21-1, 21-2, 21-3)는 각각 하나 이상의 추가 인덕터(22-1; 22-2; 22-3)를 통해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각각의 에너지 공급 분기(3-1; 3-2; 3-3) 및 전기 기계(1)의 각각의 위상(U; V; W)과 연결된다.
이 경우, 인버터(20)는 파워 스위치들의 형태로 제어 가능한 스위칭 부재들(23a ~ 23f)을 포함하며, 이들 스위칭 부재는 개별 인덕터들(22-1, 22-2, 223)과 연결되고, 높은 전압 전위 또는 낮은 전압 전위 쪽을 향해 상기 인덕터들을 스위칭한다. 스위칭 부재들(23a ~ 23f)은 예컨대 절연 게이트 쌍극 트랜지스터(IGBT)로서,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20)는 각각 스위칭 부재들(23a ~ 23f) 중에서 하나의 스위칭 부재에 대해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프리휠링 다이오드(24a ~ 24f)를 포함한다.
또한, 직류원의 상기 유형의 연결을 통해, 전기 기계(1)의 위상들(U, V, W) 내로, 또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3-2, 3-3) 내로 동시에 그리고 서로 무관하게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인버터(20)의 스위칭 부재들(21)은 여기서도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유닛들(6)의 스위칭 부재들(7)도 제어하는 미도시된 제어 유닛을 통해 제어된다. 이 경우, 스위칭 부재들(21)의 제어와 그에 따른 인버터(30)의 공간 벡터 변조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공간 벡터 변조 및 각각 직류원(9)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출력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3-2 및 3-3)과 전기 기계(1)의 위상들(U, V 및 W)이 인덕터를 통해서가 아니라 인버터 분기들(21-1; 21-2; 21-3)과 직접 연결된다는 점에서만 도 2에 따르는 제 2 실시예와 구별된다. 이를 위해, 인버터(20)와 중간 회로(10) 사이에는 도 2에 따르는 인덕터들(22)의 기능을 담당하는 추가 인덕터(30)가 연결된다. 그러나 제 3 실시예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는 제 2 실시예의 작동 원리와 다르지 않다.
1 n상 전기 기계
2 에너지 저장 장치
3-1, 3-2, 3-3 에너지 공급 분기
4 에너지 저장 모듈
5 에너지 저장 셀
6 커플링 유닛
7 스위칭 부재
9 직류원
10 중간 회로
12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
13 레인지 익스텐더
20 n상 인버터
21-1, 21-2, 21-3 인버터 분기
22-1, 22-2, 22-3 인덕터

Claims (8)

  1.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9)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 n ≥ 1인 조건에서 n상 전기 기계(1)의 제어 및 전기 에너지 공급을 위해 이용되는 상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로서,
    ■ 한편으로 기준 레일(T-)과 연결될 수 있고,
    ■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전기 기계(1)의 각각의 위상(U, V, W)과 연결될 수 있는 n개의 병렬 에너지 공급 분기(3-1, 3-2, 3-3)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와,
    - 출력 측에서,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12)를 통해, 상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상기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3-2, 3-3)과 연결될 수 있고, 입력 측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직류원(9)과 연결될 수 있는 중간 회로(10)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회로(10)는 상기 기준 레일(T-)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12)는 각각의 에너지 공급 분기(3-1, 3-2, 3-3)에 대해 각각의 전류 제어식 직류 전압 컨버터(17-1; 17-2; 17-3), 특히 강압 컨버터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12)는 n상 인버터(20)를 포함하고, 각각의 인버터 분기(21-1; 21-2; 21-3)는 각각 하나 이상의 추가 인덕터(22-1; 22-2; 22-3)를 통해 상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각각의 에너지 공급 분기(3-1; 3-2; 3-3)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12)는 n상 인버터(20)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 인덕터(30)를 통해 상기 중간 회로(1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원(9)은 내연기관(14)을 통해 구동되는 발전기(15)를 구비한 레인지 익스텐더(13)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원(9)은 하나 이상의 연료 전지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광전 모듈을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상기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3-2, 3-3)은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에너지 저장 모듈(4)을 포함하고, 이들 에너지 저장 모듈은 각각 할당된 제어 가능한 커플링 유닛(6)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전기 에너지 저장 셀(5)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가능한 커플링 유닛은 제어 신호들에 따라서 각각 할당된 에너지 저장 셀들(5)을 브리지하거나, 또는 각각의 에너지 공급 분기(3-1, 3-2; 3-3) 내로 각각 할당된 에너지 저장 셀들(5)을 스위칭하는, 연결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직류원(9)으로부터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에너지 공급 분기들(3-1, 3-2; 3-3) 또는 전기 기계(1)의 위상들(U, V, W) 내로 유입되는 전류 흐름은 제어 가능한 커플링 회로(12)에 의해 제어되는, 연결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37016915A 2010-12-29 2011-11-15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 및 관련 작동 방법 KR101965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010064317 DE102010064317A1 (de) 2010-12-29 2010-12-29 System zur Ankopplung mindestens einer Gleichstromquelle an einen steuerbaren Energiespeicher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DE102010064317.3 2010-12-29
PCT/EP2011/070112 WO2012089398A2 (de) 2010-12-29 2011-11-15 System zur ankopplung mindestens einer gleichstromquelle an einen steuerbaren energiespeicher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801A true KR20130133801A (ko) 2013-12-09
KR101965558B1 KR101965558B1 (ko) 2019-04-04

Family

ID=4504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915A KR101965558B1 (ko) 2010-12-29 2011-11-15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 및 관련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35578B2 (ko)
EP (1) EP2658738B1 (ko)
KR (1) KR101965558B1 (ko)
CN (1) CN103269901B (ko)
DE (1) DE102010064317A1 (ko)
WO (1) WO20120893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2806B4 (de) 2011-01-18 2024-02-22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Antriebseinheit
DE102011003863A1 (de) * 2011-02-09 2012-08-09 Robert Bosch Gmbh System zum Laden eines Energiespeichers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 Ladesystems
DE102013224511A1 (de) * 2013-11-29 2015-06-03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s Antriebssystem mit Ladeschaltung für eine Energiespeich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nergiespeichereinrichtung
DE102014202410A1 (de) 2014-02-11 2015-08-13 Robert Bosch Gmbh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 elektrisch betreibbares Fahrzeug und Verfahren zum Laden
DE102015219674A1 (de) * 2015-10-12 2017-04-1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ahrzeugbordnetz
WO2017114802A1 (en) * 2015-12-29 2017-07-06 Vito Nv Device and method for the reconfiguration of a rechargeable energy storage device into separate battery connection strings
DE102018106307A1 (de) * 2018-03-19 2019-09-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auslegung eines Fahrzeugs mit mehreren Antriebsmotoren
DK180754B1 (en) 2018-05-25 2022-02-24 Kk Wind Solutions As Wind turbine converter with integrated battery storage
KR20190138096A (ko) * 2018-06-04 2019-12-12 (주)와이솔 표면 탄성파 소자
DE102018217309A1 (de) 2018-10-10 2020-04-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ehrphasiger Wechselrichter und verwandte Hochspannungstopologie
EP3780305A1 (de) * 2019-08-14 2021-02-17 Wobben Properties GmbH Wechselrichteranordnung für windenergieanlagen und photovoltaikanlag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0699A (en) * 1996-05-28 1998-01-20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electronic interface circuits for batteries and ultracapacitors in electric vehicles and battery storage systems
JPH1070886A (ja) * 1996-06-17 1998-03-10 Yaskawa Electric Corp 多重パルス幅変調方式の電力変換装置
JP2009072040A (ja) * 2007-09-18 2009-04-02 Aisin Seiki Co Ltd 電動機のバッテリ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181A (ja) * 2001-09-25 2003-04-04 Toyota Motor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方法
FR2869476A1 (fr) * 2004-04-21 2005-10-28 Conception Et Dev Michelin Sa Chaine de traction electrique pour vehicule, comportant une resistance electrique de dissipation refroidie par liquide de refroidissement
JP4538057B2 (ja) * 2008-03-25 2010-09-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装置
US8376071B2 (en) * 2008-11-04 2013-02-19 John A. Lind Direct current drive land vehicle
DE102010027861A1 (de) 2010-04-16 2011-10-20 Sb Limotive Company Ltd. Koppeleinheit und Batteriemodul mit integriertem Pulswechselrichter und im Betrieb austauschbaren Zellmodulen
DE102010027857A1 (de) 2010-04-16 2011-10-20 Sb Limotive Company Ltd. Koppeleinheit und Batteriemodul mit integriertem Pulswechselrichter und erhöhter Zuverlässigke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0699A (en) * 1996-05-28 1998-01-20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electronic interface circuits for batteries and ultracapacitors in electric vehicles and battery storage systems
JPH1070886A (ja) * 1996-06-17 1998-03-10 Yaskawa Electric Corp 多重パルス幅変調方式の電力変換装置
JP2009072040A (ja) * 2007-09-18 2009-04-02 Aisin Seiki Co Ltd 電動機のバッテリ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35578B2 (en) 2015-05-19
CN103269901B (zh) 2016-03-23
EP2658738A2 (de) 2013-11-06
US20130293165A1 (en) 2013-11-07
EP2658738B1 (de) 2015-09-02
WO2012089398A2 (de) 2012-07-05
KR101965558B1 (ko) 2019-04-04
CN103269901A (zh) 2013-08-28
WO2012089398A3 (de) 2012-08-23
DE102010064317A1 (de)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558B1 (ko) 제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하나 이상의 직류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 및 관련 작동 방법
US10476401B2 (en) Device for converting voltage, traction network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US9281700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t least one energy storage cell serving as an energy store for a DC link in a power supply system
US93439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the energy storage cells of an energy storage device
US9634601B2 (en) Energy storage device, system comprising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actuating an energy storage device
US9000717B2 (en) Electrical charging system
US9312692B2 (en) System for charging an energy sto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harging system
KR101866168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US9331515B2 (en) System for charging an energy sto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harging system
CN105453370B (zh) 具有直流电压供电电路的蓄能装置和用于从蓄能装置提供直流电压的方法
US9373970B2 (en) System for charging an energy sto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harging system
US9577441B2 (en) Method for charging the energy storage cells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rechargeable energy storage device
US20140232332A1 (en) Charging circuit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an energy storage device
US20130257355A1 (en) System for charging an energy sto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harging system
US9793850B2 (en) Systems for charging an energy sto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harging systems
US20130320912A1 (en) System for charging an energy sto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harging system
US20150380776A1 (en) Internal energy supply of energy storage modules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device with such an internal energy supply
US9425723B2 (en) System comprising an electrically excited machine
US9112359B2 (en) System for charging an energy sto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harging system
JP6953634B2 (ja) Dc/dcコンバータを備える車両充電器
CN103296900B (zh) 储能装置的直流电压截取装置和由储能装置生成直流电压的方法
US9035612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energy between at least two energy storage cells in a controllable energy store
US9178365B2 (en) System for charging an energy sto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harging system
KR20150062999A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전기 구동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저장 장치의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