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584A -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584A
KR20130133584A KR1020120056960A KR20120056960A KR20130133584A KR 20130133584 A KR20130133584 A KR 20130133584A KR 1020120056960 A KR1020120056960 A KR 1020120056960A KR 20120056960 A KR20120056960 A KR 20120056960A KR 20130133584 A KR20130133584 A KR 2013013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mall base
base stations
small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091B1 (ko
Inventor
정연준
김창영
조규성
박진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6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09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지국 간의 X2 인터페이스 연결 및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GATEW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지국 간의 X2 인터페이스 연결 및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LTE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Cell 크기를 가지는 기지국장치가 동일한 지역에 배치되어 주파수 사용률을 높이는 Heterogeneous network 기술이 대두 되고 있다. 일반적인 매크로기지국 외, 더 작은 커버리지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소형기지국들이 배치된다. 소형기지국들 중 커버리지에 따라 Femto, Pico, Micro, Metro cell 등 다양한 종류의 기지국장치가 중첩된 영역에서 커버리지를 형성하며 사용자에게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heterogeneous network 상황에서 많은 수의 소형기지국이 각각 코어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소형기지국의 수가 많아 질수록 소형기지국들 각각이 코어네트워크와 교환해야 하는 signaling 트래픽이 증가하고, 코어네트워크에서 관리해야 하는 소형기지국을 통한 사용자단말의 data 트래픽이 증가하므로, 결국 코어네트워크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형기지국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heterogeneous network 상황을 감안하여, 많은 수의 다양한 소형기지국 및 코어네트워크를 중계하여 코어네트워크의 부하 증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수의 소형기지국이 코어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될 때, 코어네트워크는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리소스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는데,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지국 간의 X2 인터페이스 연결 및 연동을 가능하게 하고 코어네트워크 대신 다수의 소형 기지국을 관리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코어네트워크로 하여금 다수의 소형 기지국 대신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와 통신할 수 있어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 및 관리에 따른 리소스를 줄일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동부; 코어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연동부; 및 상기 소형기지국연동부에 연결되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연동부에 연결되는 상기 코어네트워크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기지국중계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형기지국연동부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중 특정 소형기지국에 2 이상의 통신포트 또는 단일의 통신포트를 할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중계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에 포함되지 않는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상기 코어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개수와 대응하는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를 할당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 각각을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 각각을 통해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중계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에 포함되지 않는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상기 코어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할당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통해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를 다대일 중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결단계; 코어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연결단계; 상기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되는 코어네트워크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기지국중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결단계;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에 포함되지 않는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코어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에 포함되는 특정 소형기지국에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개수와 대응하는 2 이상의 통신포트 또는 단일의 통신포트를 할당하는 포트할당단계; 및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를 할당한 경우,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 각각을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 각각을 통해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하는 인터페이스중계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할당한 경우,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통해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를 다대일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지국 간의 X2 인터페이스 연결 및 연동을 가능하며 코어네트워크 대신 다수의 소형 기지국을 관리할 수 있고, 따라서 코어네트워크로 하여금 다수의 소형 기지국 대신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와 통신할 수 있어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 및 관리에 따른 리소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 다수의 매크로기지국(10,20), 다양한 종류의 코어네트워크(300,400),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 및 코어네트워크(300,4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포함한다.
소형기지국(1,2,3,4)는, Femto, Pico, Micro, Metro cell 등 다양한 종류의 small cell 기지국일 수 있다.
코어네트워크(300,400)는, heterogeneous network 상황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LTE 망, 3G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과 연결되고, 하나 또는 다수의 코어네트워크(300,400)와 연결된다. 즉,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코어네트워크와는 1:1, 1:다, 다:1, 다:다의 연결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2,3,4) 각각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코어네트워크(300,4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2,3,4) 및 코어네트워크(300,4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
이에,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 각각을 각 셀(Cell)로서 인식하여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을 셀로 가질 수 있다.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 각각은,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기존의 코어네트워크로서 인식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존재를 인지할 필요 없이 기존과 같이 코어네트워크에 바로 연결되는 것으로 인지할 것이다.
그리고, 각 매크로기지국(10,20)은,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이 연결된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하나의 기지국인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이에,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은, 서로 직접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할 필요가 없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통해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은,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통해 매크로기지국(10,20)과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맺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동부(110)와, 코어네트워크(300,400)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연동부(120)와, 소형기지국연동부(110)에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 각각에 대응하여 네트워크연동부(120)에 연결되는 코어네트워크(300,4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기지국중계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형기지국(1,2)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소형기지국연동부(11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소형기지국연동부(110)는,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을 각 셀(Cell)로서 인식하고,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IP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간을 연결하는 백홀(backhaul)은, 낮은 지연속도와 낮은 비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소형기지국연동부(110)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간을 연결하는 백홀은, 다음의 세가지 중 하나의 구성으로 설계될 수 있다.
첫째로, Hybrid microwave radio로 소형기지국연동부(110)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간을 연결하는 백홀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홀을 구성하면, point-to-point 또는 point to multi-point 구성을 실현하기에 용이하다. 이에,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 특히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소형기지국연동부(11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과 연결되기 때문에, Hybrid microwave radio를 사용해서 백홀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둘째로,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로 소형기지국연동부(110)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간을 연결하는 백홀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홀을 구성하면, 다수의 소형기지국(1,2)의 traffic을 한 개의 링크로 multiplexing하여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 특히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소형기지국연동부(110)로 전송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SONET/SDH를 이용하는 경우, ATM, T1/E1 및 microwave를 이용하는 백홀과 연동을 하여 multiplexing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셋째로, PON(Passive Optical Network)을 이용하여 소형기지국연동부(110)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간을 연결하는 백홀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홀을 구성하면, 광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빠른 응답속도 및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고, PON의 광 대역을 이용하여 다수의 소형기지국(1,2)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빌딩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연동부(120)는, 코어네트워크1(300)와 연결될 수 있고, 코어네트워크2(400)와 연결될 수 있고, 코어네트워크(300,400) 모두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어네트워크1(300)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소형기지국연동부(110)에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응하여 네트워크연동부(120)에 연결되는 코어네트워크1(3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2) 및 코어네트워크1(3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소형기지국연동부(110)에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예컨대 소형기지국1(1)이 코어네트워크1(3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절차와 관련 메시지, 소형기지국1(1)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타 기지국(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 타 기지국(소스 기지국)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소형기지국1(1)으로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signaling 트래픽, 소형기지국1(1)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이용,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관련된 data 트래픽을 네트워크연동부(120)에 연결되는 코어네트워크1(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네트워크연동부(120)에 연결되는 코어네트워크1(300)로부터 소형기지국1(1)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정보, 예컨대 소형기지국1(1)이 코어네트워크1(3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절차와 관련 메시지, 소형기지국1(1)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타 기지국(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 타 기지국(소스 기지국)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소형기지국1(1)으로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signaling 트래픽, 소형기지국1(1)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이용,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관련된 data 트래픽을 소형기지국연동부(110)에 연결되는 해당 소형기지국1(1)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연결된 소형기지국 10개 및 연결된 코어네트워크1(300)을 통한 매크로기지국 1개 간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경우, 소형기지국 10개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멀티플랙싱하여 코어네트워크1(300)을 통해 매크로기지국 1개로 송신할 수 있고, 매크로기지국 1개로부터 수신되는 소형기지국 10개에 대한 멀티블랙싱된 정보를 디멀티플랙싱하여 해당되는 소형기지국 10개 각각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매크로기지국 1개로부터 수신되는 소형기지국 10개 각각에 대한 정보를 해당되는 소형기지국 10개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는 코어네트워크로서 연결되고 코어네트워크1(300)에는 기지국장치로서 연결되어, 다수의 소형기지국(1,2) 및 코어네트워크1(300) 간의 정보 송수신을 중간에서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2) 및 코어네트워크1(3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가, 다수의 소형기지국(1,2)과 코어네트워크1(300)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지국 간의 X2 인터페이스 연결 및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소형기지국연동부(11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 중 특정 소형기지국에 다수의 통신포트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소형기지국은, 소형기지국연동부(110)에 연결된 다수의 소형기지국(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형기지국1(1)을 언급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지 않는 2 이상의 대상기지국(예 : 도 1의 매크로기지국1(10), 매크로기지국2(20)) 각각에 대하여 코어네트워크1(300)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소형기지국1(1)에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개수(예 : 2개)와 대응하는 2 이상의 통신포트(예 : 2개)를 할당하도록 하고, 소형기지국1(1)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 각각을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2 이상의 대상기지국 즉 매크로기지국1(10), 매크로기지국2(20) 각각에 대하여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소형기지국1(1)에 대하여 2 이상의 통신포트 즉 2개의 통신포트 각각을 통해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연결, 매크로기지국2(2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의 순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는 소형기지국1(1)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지 않는 대상기지국(예 : 도 1의 매크로기지국1(10))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되면, 매크로기지국1(10)과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고, 소형기지국1(1)에 다수의 통신포트 중 하나를 할당하여 상기 할당한 통신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직접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하여 소형기지국1(1) 및 매크로기지국1(10)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형기지국연동부(110)는, 전술과 같이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을 각 셀로 인식하고 각 셀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IP를 할당함과 아울러, 각 셀에 대응하는 IP에 다수의 통신포트를 할당할 수 있는 리소스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통신포트는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포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는 특정 소형기지국 예컨대 소형기지국1(1)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지 않는 대상기지국(예 : 도 1의 매크로기지국1(10))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예컨대, 소형기지국1(1)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이 매크로기지국1(10)으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경우, 또는 매크로기지국1(10)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이 소형기지국1(1)으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경우, 소형기지국1(1) 및 매크로기지국1(10)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처럼,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 매크로기지국1(10)과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 이 경우, 매크로기지국1(10)은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기지국중계제어부(130)를 하나의 기지국인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이때, 기지국중계제어부(130)가 매크로기지국1(10)과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은, 기존의 기지국 간에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연결 즉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는 절차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더불어,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 소형기지국연동부(110)가 소형기지국1(1)에 할당 가능한 다수의 SCTP포트 중 매크로기지국1(10) 개수(1개)에 대응하여 하나를 할당하도록 하고, 할당한 SCTP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 이 경우, 소형기지국1(1)은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기지국중계제어부(130)를 하나의 기지국인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여기서, 통신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중계제어부(130)가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은, 기존의 기지국 간에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연결 즉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는 절차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전술과 같이 매크로기지국1(10)과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면, 직접인터페이스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소형기지국1(1)에 여러 개의 매크로기지국과 관련되는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매크로기지국2(2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 다른 매크로기지국2(20)과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
더불어,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매크로기지국2(2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 소형기지국연동부(110)가 소형기지국1(1)에 할당 가능한 다수의 나머지 SCTP포트 중 매크로기지국2(20)의 개수(1개)에 대응하여 하나를 할당하도록 하고, 할당한 SCTP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전술과 같이 매크로기지국2(20)과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면, 직접인터페이스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2(2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소형기지국1(1) 및 다른 매크로기지국2(20) 사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통해 X2 인터페이스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된 소형기지국1(1)에 대하여 다수의 SCTP 포트를 할당하여 소형기지국1(1)과 다수의 SCTP 세션을 맺을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소형기지국1(1)과 다수의 매크로기지국이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요한 경우 소형기지국1(1) 및 각 매크로기지국 간에 각각의 물리적인 일대일 SCTP pair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소형기지국연동부(11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 중 특정 소형기지국에 단일의 통신포트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소형기지국은, 소형기지국연동부(110)에 연결된 다수의 소형기지국(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형기지국1(1)을 언급하도록 한다.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지 않는 2 이상의 대상기지국(예 : 도 1의 매크로기지국1(10), 매크로기지국2(20)) 각각에 대하여 코어네트워크1(300)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소형기지국1(1)에 단일의 통신포트를 할당하도록 하고, 소형기지국1(1)에 대하여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2 이상의 대상기지국 즉 매크로기지국1(10), 매크로기지국2(20) 각각에 대하여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소형기지국1(1)에 대하여 단일의 통신포트를 통해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를 다대일로 중계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연결, 매크로기지국2(2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의 순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는 소형기지국1(1)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지 않는 대상기지국(예 : 도 1의 매크로기지국1(10))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되면, 매크로기지국1(10)과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고, 소형기지국1(1)에 할당한 단일의 통신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직접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를 중계하여 소형기지국1(1) 및 매크로기지국1(10)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형기지국연동부(110)는, 전술과 같이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을 각 셀로서 인식하고 각 셀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IP를 할당함과 아울러, 각 셀에 대응하는 IP에 단일의 통신포트 즉 SCTP 포트를 할당하는 리소스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 매크로기지국1(10)과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
더불어,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 소형기지국연동부(110)가 소형기지국1(1)에 할당한 단일의 SCTP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전술과 같이 매크로기지국1(10)과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면, 직접인터페이스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중계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소형기지국1(1)에 여러 개의 매크로기지국과 관련되는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매크로기지국2(2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 매크로기지국2(20)과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중계제어부(130)는, 매크로기지국2(20)과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면, 전술과 같이 매크로기지국1(10)과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매크로기지국2(20)와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를 소형기지국1(1)과 처음에 기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와 다대일, 즉 2:1로 중계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10) 및 매크로기지국2(20)와,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매크로기지국1(10) 및 매크로기지국2(20)와, 소형기지국1(1) 사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통해 X2 인터페이스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된 소형기지국1(1)에 대하여 단일의 SCTP 포트를 할당하여 소형기지국1(1)과 단일의 SCTP 세션을 맺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소형기지국1(1)과 다수의 매크로기지국이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요한 경우 소형기지국1(1) 및 각 매크로기지국 간에 각각의 논리적인 SCTP pair를 가질 수 있으나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SCTP pair로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소형 기지국1(1)에서 매크로기지국1(10) 간에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위한 X2 연결 요청/응답 메시지 내의 Global ID 와 ECGI 간 매핑이 다를 수 있다. 하지만,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요구되는 X2 핸드오버의 경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내 target cell ID로 ECGI를 사용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지국 간의 X2 인터페이스 연결 및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해서 다수의 소형기지국을 코어네트워크로 연결하기 때문에, 코어네트워크의 signaling 트래픽, data 트래픽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소형기지국이 하나의 매크로기지국과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가 하나의 기지국으로서 매크로기지국과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맺기 때문에, 매크로기지국 입장에서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각각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맺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에 연결된 소형기지국 간에 물리적 연결을 하지 않고,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해서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지원하며, 이는 ICIC, CoMP, X2 핸드오버 등 빠른 응답속도를 요구하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소형기지국(1,2)가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다(S10).
그리고,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코어네트워크1(300)에 연결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응하여 코어네트워크1(3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2) 및 코어네트워크1(3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S20).
이러한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소형기지국1(1)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지 않는 대상기지국(예 : 도 1의 매크로기지국1(10))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되면(S30), 매크로기지국1(10)과 코어네트워크1(300)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S50).
더불어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소형기지국1(1)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지 않는 매크로기지국1(10)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되면(S30), 소형기지국1(1)에 할당 가능한 다수의 SCTP포트 중 매크로기지국1(10) 개수(1개)에 대응하여 하나를 할당하도록 하고, 할당한 SCTP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S40). 여기서 통신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매크로기지국1(10)과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면, 직접인터페이스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S60).
한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매크로기지국2(2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S70), 매크로기지국2(20)과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S90).
더불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매크로기지국2(2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S70), 소형기지국1(1)에 할당 가능한 다수의 나머지 SCTP포트 중 매크로기지국2(20)의 개수(1개)에 대응하여 하나를 할당하도록 하고, 할당한 SCTP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S80).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매크로기지국2(20)과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면, 직접인터페이스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2(2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S100).
이에, 매크로기지국1(10) 및 매크로기지국2(20)와, 소형기지국1(1) 사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통해 X2 인터페이스가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된 소형기지국1(1)에 대하여 다수의 SCTP 포트를 할당하여 소형기지국1(1)과 다수의 SCTP 세션을 맺을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소형기지국1(1)과 다수의 매크로기지국이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요한 경우 소형기지국1(1) 및 각 매크로기지국 간에 각각의 물리적인 일대일 SCTP pair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소형기지국(1,2)가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다(S10).
그리고,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코어네트워크1(300)에 연결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응하여 코어네트워크1(3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2) 및 코어네트워크1(3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S20).
이러한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소형기지국1(1)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지 않는 대상기지국(예 : 도 1의 매크로기지국1(10))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되면(S130), 매크로기지국1(10)과 코어네트워크1(300)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S150).
더불어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소형기지국1(1)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지 않는 매크로기지국1(10)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되면(S130), 소형기지국1(1)에 할당 가능한 단일의 SCTP포트를 할당하도록 하고, 할당한 단일의 SCTP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S140). 여기서 통신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매크로기지국1(10)과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면, 직접인터페이스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S160).
한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매크로기지국2(2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S170), 매크로기지국2(20)과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S180).
그리고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매크로기지국2(20)과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면, 전술과 같이 매크로기지국1(10)과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매크로기지국2(20)와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를 소형기지국1(1)과 처음에 기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와 다대일, 즉 2:1로 중계함으로써(S200), 매크로기지국1(10) 및 매크로기지국2(20)와,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매크로기지국1(10) 및 매크로기지국2(20)와, 소형기지국1(1) 사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통해 X2 인터페이스가 다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된 소형기지국1(1)에 대하여 단일의 SCTP 포트를 할당하여 소형기지국1(1)과 단일의 SCTP 세션을 맺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소형기지국1(1)과 다수의 매크로기지국이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요한 경우 소형기지국1(1) 및 각 매크로기지국 간에 각각의 논리적인 SCTP pair를 가질 수 있으나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SCTP pair로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 소형기지국1(1) 및 소형기지국2(2)에 관련된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요청되면, 소형기지국1(1) 및 소형기지국2(2) 간의 물리적 연결 없이도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 내부적으로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소형기지국1(1) 및 소형기지국2(2) 간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소형기지국(1,2)가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다(S10). 그리고,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코어네트워크1(300)에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소형기지국1(1) 및 소형기지국2(2)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되면(S330), 소형기지국1(1)에 할당 가능한 SCTP포트를 할당하도록 하고, 할당한 SCTP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S340). 여기서 통신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더불어, 이러한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소형기지국1(1) 및 소형기지국2(2)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되면(S330), 소형기지국2(2)에 할당 가능한 SCTP포트를 할당하도록 하고, 할당한 SCTP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2(2)와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S350). 여기서 통신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소형기지국1(1) 및 소형기지국2(2) 각각과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면, 이들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1) 및 소형기지국2(2)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S360).
이 후,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 다른 소형기지국(미도시)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된다면, 전술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경우, 다른 소형기지국(미도시)에 할당 가능한 SCTP포트를 할당하고 할당한 SCTP포트를 통해 다른 소형기지국(미도시)과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고, 소형기지국1(1)에 할당 가능한 나머지 SCTP포트 중 하나를 할당하여 할당한 SCTP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여 소형기지국1(1) 및 다른 소형기지국(미도시)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함으로써, 소형기지국1(1) 및 소형기지국2(2) 간, 소형기지국1(1) 및 다른 소형기지국(미도시) 간 일대일(1:1)로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 다른 소형기지국(미도시)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된다면, 전술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실시예에 따른 경우, 다른 소형기지국(미도시)에 할당 가능한 SCTP포트를 할당하고 할당한 SCTP포트를 통해 다른 소형기지국(미도시)과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고, 전술과 같이 소형기지국2(2)과 연결한 X2 인터페이스 및 다른 소형기지국(미도시)과 연결한 X2 인터페이스를 소형기지국1(1)과 처음에 기 연결한 X2 인터페이스 와 다대일, 즉 2:1로 중계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10) 소형기지국1(1) 및 소형기지국2(2) 간, 소형기지국1(1) 및 다른 소형기지국(미도시) 간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소형기지국(1,2)가 연결된다(S210).
그리고,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코어네트워크1(300)에 연결된다(S220).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응하여 코어네트워크1(3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2) 및 코어네트워크1(3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S230).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예컨대 소형기지국1(1)이 코어네트워크1(3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절차와 관련 메시지, 소형기지국1(1)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타 기지국(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 타 기지국(소스 기지국)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소형기지국1(1)으로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signaling 트래픽, 소형기지국1(1)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이용,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관련된 data 트래픽을 코어네트워크1(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코어네트워크1(300)로부터 소형기지국1(1)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정보, 예컨대 소형기지국1(1)이 코어네트워크1(3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절차와 관련 메시지, 소형기지국1(1)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타 기지국(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 타 기지국(소스 기지국)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소형기지국1(1)으로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signaling 트래픽, 소형기지국1(1)에 연결된 사용자단말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이용,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관련된 data 트래픽을 연결되는 해당 소형기지국1(1)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1) 및 매크로기지국1(10)에 관련된 기지국간 직접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요청되면(S240), 매크로기지국1(10)과 코어네트워크1(300)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S250). 여기서 통신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때, 제1실시예에 따르면, S250단계에서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1)에 할당 가능한 다수의 SCTP포트 중 매크로기지국1(10) 개수(1개)에 대응하여 하나를 할당하도록 하고, 할당한 SCTP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
이에,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매크로기지국1(10)과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면, 직접인터페이스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S260)
이에,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매크로기지국1(10) 및 매크로기지국2(20)와, 소형기지국1(1) 사이에 X2 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연결된 소형기지국1(1)에 대하여 다수의 SCTP 포트를 할당하여 소형기지국1(1)과 다수의 SCTP 세션을 맺을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소형기지국1(1)과 다수의 매크로기지국이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요한 경우 소형기지국1(1) 및 각 매크로기지국 간에 각각의 물리적인 일대일 SCTP pair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르면, S250단계에서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1)에 할당 가능한 단일의 SCTP포트를 할당하도록 하고, 할당한 단일의 SCTP포트를 통해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한다.
이에,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매크로기지국1(10)과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소형기지국1(1)과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면, 직접인터페이스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다대일로 중계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10) 및 소형기지국1(1)에 관련된 지기국간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S260)
이에,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매크로기지국1(10) 및 매크로기지국2(20)와, 소형기지국1(1) 사이에 X2 인터페이스를 다대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연결된 소형기지국1(1)에 대하여 단일의 SCTP 포트를 할당하여 소형기지국1(1)과 단일의 SCTP 세션을 맺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소형기지국1(1)과 다수의 매크로기지국이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요한 경우 소형기지국1(1) 및 각 매크로기지국 간에 각각의 논리적인 SCTP pair를 가질 수 있으나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SCTP pair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지국 간의 X2 인터페이스 연결 및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지국 간의 X2 인터페이스 연결 및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110 : 소형기지국연동부 120 : 네트워크연동부
130 : 기지국중계제어부

Claims (7)

  1.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동부;
    코어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연동부; 및
    상기 소형기지국연동부에 연결되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연동부에 연결되는 상기 코어네트워크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기지국중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기지국연동부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중 특정 소형기지국에 2 이상의 통신포트 또는 단일의 통신포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중계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에 포함되지 않는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상기 코어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개수와 대응하는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를 할당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 각각을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 각각을 통해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중계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에 포함되지 않는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상기 코어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할당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통해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를 다대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5.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결단계;
    코어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연결단계; 및
    상기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되는 코어네트워크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기지국중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6.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결단계;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에 포함되지 않는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코어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에 포함되는 특정 소형기지국에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개수와 대응하는 2 이상의 통신포트 또는 단일의 통신포트를 할당하는 포트할당단계; 및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를 할당한 경우,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 각각을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통신포트 각각을 통해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를 일대일로 중계하는 인터페이스중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할당한 경우,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2 이상의 대상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연결한 직접인터페이스 및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단일의 통신포트를 통해 연결한 통신인터페이스를 다대일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20056960A 2012-05-29 2012-05-29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39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60A KR101939091B1 (ko) 2012-05-29 2012-05-29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60A KR101939091B1 (ko) 2012-05-29 2012-05-29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584A true KR20130133584A (ko) 2013-12-09
KR101939091B1 KR101939091B1 (ko) 2019-01-16

Family

ID=4998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960A KR101939091B1 (ko) 2012-05-29 2012-05-29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0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717A (ko) * 2008-11-03 2011-07-2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펨토 셀들을 이용하는 액세스 제어와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717A (ko) * 2008-11-03 2011-07-2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펨토 셀들을 이용하는 액세스 제어와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091B1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51109B (zh) 拓扑信息的管理方法及装置、系统、存储介质、电子装置
EP2947951B1 (en) Double-connection implement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JP6567686B2 (ja) データ・オフロードのためのパスを確立する方法及び装置
CN112954737B (zh) 移动网络中用于QoS感知的GTP-U传输的装置和方法
JP5910840B2 (ja) ユーザ機器のコンテキストに関連するリソースを解放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EP2919520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668244B2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macro base station, and low-power node
KR20170133793A (ko) 이동통신 코어 망에서의 시그널링 방법 및 그 시스템
JP6158951B2 (ja) データ交換方法および装置
CN116210250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16155114A1 (zh) 一种终端的移动性管理方法及装置
US9775052B2 (en) Superordinate base station, subordinate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14090408A (ja) パケット光ネットワークの宛先ノードに外部の光データパケット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6587752B2 (ja) 端末ハンドオーバ方法、制御部、端末、基地局、及びシステム
Khan et al. A system-level architecture for software-defined LTE networks
KR102073800B1 (ko) 정보 인터랙션 장치, 기지국 및 통신 시스템
KR101939091B1 (ko)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CN111357321A (zh) 用于负载均衡的方法和装置
Maksymyuk et al. Designing the new backhaul for 5g heterogeneous network based on converged optical infrastructure
WO2020067361A1 (ja) システム、制御プレーン機器、ユーザプレーン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101365588B1 (ko)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86091B1 (ko)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EP2938155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bearer establishing
Lee et al. SDN-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with media independent management capabilities
JP6645677B2 (ja) リンク確立方法および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