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588B1 -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588B1
KR101365588B1 KR1020120081426A KR20120081426A KR101365588B1 KR 101365588 B1 KR101365588 B1 KR 101365588B1 KR 1020120081426 A KR1020120081426 A KR 1020120081426A KR 20120081426 A KR20120081426 A KR 20120081426A KR 101365588 B1 KR101365588 B1 KR 101365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mall base
gateway device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721A (ko
Inventor
정연준
김창영
조규성
박진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5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gateways and public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 소형기지국에 대한 식별정보를 할당/관리하는 구성 및 이를 통해 X2 관련메시지 중계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안함으로써, 코어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소형기지국과 관련된 시그널링 메시지 즉 X2 관련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여 코어네트워크로 하여금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 및 관리에 따른 리소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GATEW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 소형기지국에 대한 식별정보 관리 및 이를 통한 기지국 간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중계를 효과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한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LTE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Cell 크기를 가지는 기지국장치가 동일한 지역에 배치되어 주파수 사용률을 높이는 Heterogeneous network 기술이 대두 되고 있다. 일반적인 매크로기지국 외, 더 작은 커버리지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소형기지국들이 배치된다. 소형기지국들 중 커버리지에 따라 Femto, Pico, Micro, Metro cell 등 다양한 종류의 기지국장치가 중첩된 영역에서 커버리지를 형성하며 사용자에게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heterogeneous network 상황에서 많은 수의 소형기지국이 각각 코어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소형기지국의 수가 많아 질수록 소형기지국들 각각이 코어네트워크와 교환해야 하는 signaling 트래픽이 증가하고, 코어네트워크에서 관리해야 하는 소형기지국을 통한 사용자단말의 data 트래픽이 증가하므로, 결국 코어네트워크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형기지국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heterogeneous network 상황을 감안하여, 많은 수의 다양한 소형기지국 및 코어네트워크를 중계하여 코어네트워크의 부하 증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수의 소형기지국이 코어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될 때, 코어네트워크는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리소스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는데,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 소형기지국에 대한 식별정보 관리 및 이를 통한 기지국 간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중계를 효과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한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코어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소형기지국과 관련된 시그널링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여 코어네트워크로 하여금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 및 관리에 따른 리소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상대기지국 사이에 위치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서,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결부;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식별정보에 매칭되도록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제2식별정보를 할당하는 식별정보할당부; 및 상기 제1식별정보 및 상기 제2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기지국 사이의 직접인터페이스를 중계하는 인터페이스중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식별정보는, 상기 제1식별정보 및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별로 상이한 추가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중계부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중 특정 소형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상대기지국으로 직접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상기 특정 소형기기지국의 제2식별정보를 상기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이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중계부는, 특정 상대기지국에서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중 특정 소형기지국으로 직접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고 타겟정보에서 상기 제1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의 제2식별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이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중계부는,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의 제2식별정보와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의 식별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는,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과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 사이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상대기지국 사이에 위치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결단계;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식별정보에 매칭되도록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제2식별정보를 할당하는 식별정보할당단계; 및 상기 제1식별정보 및 상기 제2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기지국 사이의 직접인터페이스를 중계하는 인터페이스중계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식별정보는, 상기 제1식별정보 및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별로 상이한 추가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중계단계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중 특정 소형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상대기지국으로 직접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상기 특정 소형기기지국의 제2식별정보를 상기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이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중계단계는, 특정 상대기지국에서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중 특정 소형기지국으로 직접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고 타겟정보에서 상기 제1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의 제2식별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이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의 제2식별정보와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의 식별정보를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 소형기지국에 대한 식별정보를 할당/관리하는 구성 및 이를 통해 X2 관련메시지 중계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안함으로써, 코어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소형기지국과 관련된 시그널링 메시지 즉 X2 관련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여 코어네트워크로 하여금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 및 관리에 따른 리소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 다수의 매크로기지국(10,20), 다양한 종류의 코어네트워크(300,400),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 및 코어네트워크(300,4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포함한다.
소형기지국(1,2,3,4)는, Femto, Pico, Micro, Metro cell 등 다양한 종류의 small cell 기지국일 수 있다.
코어네트워크(300,400)는, heterogeneous network 상황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LTE 망, 3G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과 연결되고, 하나 또는 다수의 코어네트워크(300,400)와 연결된다. 즉,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코어네트워크와는 1:1, 1:다, 다:1, 다:다의 연결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2,3,4) 각각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코어네트워크(300,4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2,3,4) 및 코어네트워크(300,4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
이에,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 각각을 각 셀(Cell)로서 인식하여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을 셀로 가질 수 있다.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 각각은,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기존의 코어네트워크로서 인식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존재를 인지할 필요 없이 기존과 같이 코어네트워크에 바로 연결되는 것으로 인지할 것이다.
그리고, 각 매크로기지국(10,20)은,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이 연결된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기지국인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이에,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은,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통하지 않고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할 수 있다.
반면, 하나의 소형기지국1(1)이 다수의 매크로기지국(10,20)과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맺는 경우, 소형기지국1(1)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 간에는 하나의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 및 다수의 매크로기지국(10,20) 간에는 각각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소형기지국1(1)은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통해 다수의 매크로기지국(10,20)과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맺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결부(110)와,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제1식별정보에 매칭되도록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제2식별정보를 할당하는 식별정보할당부(130)와, 상기 제1식별정보 및 상기 제2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소형기지국(1,2,3,4) 각각과 적어도 하나의 상대기지국 사이의 직접인터페이스를 중계하는 인터페이스중계부(1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형기지국(1,2)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코어네트워크(300,400)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연결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형기지국연결부(11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소형기지국연결부(110)는, 연결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을 각 셀(Cell)로서 인식하고,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IP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연결부(120)는, 코어네트워크1(300)와 연결될 수 있고, 코어네트워크2(400)와 연결될 수 있고, 코어네트워크(300,400) 모두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어네트워크1(300)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식별정보할당부(13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에,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제1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제2식별정보를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을 설명하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제어부(15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응하여 코어네트워크1(300)를 통한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
다시 말해, 게이트웨이제어부(150)는, 소형기지국연결부(110)에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응하여 네트워크연결부(120)에 연결되는 코어네트워크1(3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2) 및 코어네트워크1(3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제어부(150)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 내에서 존재하는 가상기지국(Virtual eNB)로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코어네트워크1(300)에서 고유한 식별정보, 예컨대 20bit의 ID(Global eNB ID)를 갖는다.
이에 예를 들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게이트웨이제어부(150)가 3개 존재하는 경우, 각 매크로기지국(10,20)은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3 개의 기지국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각 게이트웨이제어부(150)의 하위에는, 전술에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중계부(140)가 대응되도록 존재한다.
인터페이스중계부(140)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 내 게이트웨이제어부(150)의 하위에서 로직컬기지국(Logical eNB)로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신 상위의 게이트웨이제어부(150)에서 고유한 제1식별정보, 예컨대 20bit의 ID를 갖는다. 결국,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제1식별정보는, 직접인터페이스를 중계하는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식별정보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예컨대, 식별정보할당부(130)에서, 각 게이트웨이제어부(150) 별로, 하위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중계부(140)에 대하여 각 제1식별정보를 할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각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하위에는, 소형기지국연결부(1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형기지국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하위에, 다수의 소형기지국(1,2)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식별정보할당부(13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에, 상위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에 매핑되는 상이한 각 제2식별정보를 할당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식별정보할당부(13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에,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 별로 상이한 추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각 제2식별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면, 식별정보할당부(130)는, 소형기지국(1,2) 별로 상이한 제2식별정보 예컨대 28bit의 ID를 할당할 수 있고, 이때 소형기지국1(1)의 제2식별정보 중 상위 20bit는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 즉 20bit의 ID와 동일하고 하위 8bit 즉 추가식별정보 만이 다른 소형기지국(예 : 소형기지국2(2)와 상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중계부(140)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제1식별정보 즉 인터페이스중계부(140) 자신에 할당된 제1식별정보와, 자신 하위에 존재하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의 제2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하여 다수의 소형기지국(1,2)에 포함되지 않은 특정 상대기지국과의 직접인터페이스 즉 X2 인터페이스를 중계한다.
이하에서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게이트웨이제어부(150)의 구성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기지국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에 있는 단말로부터 주변에 있는 주변 기지국의 정보(예 : PCI, 신호세기 등)를 보고받는다. 이때, 기지국은, 보고 받은 주변 기지국과 X2 인터페이스를 맺기 위해 필요한 정보 예컨대 주변 기지국의 IP가 있는지 확인하고, 없으면 코어네트워크로 해당하는 주변 기지국의 IP를 요청하게 된다. 이는, X2 인터페이스는 코어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기지국 간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연결을 맺을 상대방 기지국의 IP가 필요한 이유이다. 이 경우, 기존에는 기지국은 코어네트워크의 MME로 주변 기지국의 IP를 요청하고, 이에 MME는 해당하는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IP를 획득하여 요청한 기지국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소형기지국으로서 소형기지국1(1), 특정 상대기지국으로서 매크로기지국1(10)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소형기지국1(1)은 단말로부터 주변에 있는 매크로기지국1(10)의 정보를 보고 받았지만 매크로기지국1(10)의 IP가 없는 경우 코어네트워크로 인식하고 있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 매크로기지국1(10)의 IP를 요청할 것이다.
이에 게이트웨이제어부(50)는, 소형기지국1(10)으로부터 매크로기지국1(10)의 IP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웨이제어부(50)는, eNB CONFIGURATION TRANSFER 메시지의 형태로 매크로기지국1(10)의 IP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게이트웨이제어부(50)는, 기존 방식과 같이 코어네트워크1(300) 예컨대 MME를 통해 매크로기지국1(10)으로부터 IP를 획득한다.
이때, 게이트웨이제어부(50)는, 전술과 같이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응하여 코어네트워크1(300)를 통한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구성이므로, 매크로기지국1(10)의 주소정보를 요청하는 eNB CONFIGURATION TRANSFER 메시지 내 소스정보(source ID)에서 소형기지국1(1)의 제2식별정보 즉 28bit ID를 자신의 20bit의 ID(Global eNB ID)로 변경하여 MME로 전달함으로써,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가 매크로기지국1(10)의 주소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인지되게 하여 매크로기지국1(10)으로부터 주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게이트웨이제어부(50)는, 획득한 매크로기지국1(10)의 IP를 소형기지국1(1)으로 회신하는 대신,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IP를 소형기지국1(1)으로 회신한다.
이에, 소형기지국1(1)에서는, 매크로기지국1(10)의 IP 요청에 대응하여 회신된 IP 즉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IP를 매크로기지국1(10)의 IP인 것으로 저장/관리할 것이다.
이에, 결과적으로 소형기지국1(1)은, 매크로기지국1(10)으로 X2 관련메시지를 전송할 때 매크로기지국1(10)의 IP로서 저장하고 있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IP를 기초로 전송할 것이고, 따라서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 다수의 소형기지국들은, 다른 매크로기지국으로 X2 관련메시지를 전송할 때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IP를 기초로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전송하게 될 것이다.
한편, 소형기지국 및 소형기지국 간을 설명하면, 게이트웨이제어부(50)는, 자신 하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중계부(140)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할당된 IP를 관리하고 있을 것이다.
이에, 게이트웨이제어부(50)는, 소형기지국1(1)이 다른 소형기지국2(2)에 대하여 X2 관련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소형기지국2(2)의 IP 요청을 수신하면, 소형기지국2(2)의 IP를 소형기지국1(1)에 회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시 인터페이스중계부(140)를 설명하면, 인터페이스중계부(140)는, 게이트웨이제어부(150)의 하위에서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위한 로직컬기지국(Logical eNB)로서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중계부(14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2) 중 특정 소형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상대기지국으로 직접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특정 소형기기지국의 제2식별정보를 자신의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여, 특정 상대기지국이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중계부(140)는, 특정 상대기지국에서 다수의 소형기지국(1,2) 중 특정 소형기지국으로 직접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특정 상대기지국의 식별정보를 자신의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고 타겟정보에서 제1식별정보를 특정 소형기지국의 제2식별정보로 변경하여, 특정 소형기지국이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즉 X2 관련메시지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메시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응하여 응답되는 연결요청응답메시지, 상기 직접인터페이스를 통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핸드오버요청메시지, 상기 핸드오버요청메시지에 대응하여 응답되는 핸드오버요청응답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소형기지국으로서 소형기지국1(1), 특정 상대기지국으로서 매크로기지국1(10)을 언급하고, X2 관련메시지가 소형기지국1(1)과 매크로기지국1(10) 사이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인 것으로 언급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중계부(140)는, 소형기지국1(1)에서 매크로기지국1(10)으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X2 관련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는 소형기지국1(1)의 제2식별정보, 타겟정보(target ID)에는 매크로기지국1(10)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이에, 인터페이스중계부(140)는,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소형기지국1(1)의 제2식별정보를 자신의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여 매크로기지국1(10)으로 전달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1)이 수신하는 X2 관련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X2 관련메시지가 X2 인터페이스 연결과 관련된 연결요청메시지(예 : X2 Setup Request 메시지)인 경우, 매크로기지국1(1)은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가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 즉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제1식별정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가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연결요청응답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 회신할 수 있다.
또는, X2 관련메시지가 특정 단말에 대하여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핸드오버요청메시지(예 : X2 Handover Request 메시지)인 경우, 매크로기지국1(1)은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가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 즉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제1식별정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가 특정 단말에 대하여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핸드오버요청응답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중계부(140)는, 소형기지국1(1)의 제2식별정보와 특정 상대기지국 즉 매크로기지국1(10)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터페이스중계부(140)는, 매크로기지국1(10)에서 소형기지국1(1)으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X2 관련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전술과 같이 인터페이스중계부(140)가 매크로기지국1(10)으로 전송되는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를 자신의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여 전달함에 따라, 매크로기지국1(10)은 실제 소형기지국1(1)에서 전송된 X2 관련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가 전송한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매크로기지국1(10)에서 소형기지국1(1)으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X2 관련메시지(예 : 연결요청응답메시지, 또는 핸드오버요청응답메시지) 내 소스정보에는, 매크로기지국1(10)의 식별정보, 타겟정보에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제1식별정보 즉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이에, 인터페이스중계부(140)는, 전술과 같이 저장/관리하는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매크로기지국1(10)의 식별정보를 자신의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고 타겟정보에서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를 소형기지국1(1)의 제2식별정보로 변경하여 소형기지국1(1)으로 전달함으로써, 소형기지국1(1)이 수신하는 X2 관련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인터페이스중계부(140)는, 소형기지국1(1) 및 매크로기지국1(10) 간의 X2 인터페이스를 통한 X2 관련메시지를, 전술의 매칭정보를 이용하여 변경/전달함으로써 중계할 수 있다.
한편, 소형기지국 및 소형기지국 간을 설명하면, 소형기지국1(1)은 전술과 같이 다른 소형기지국2(2)의 IP를 이미 요청하여 저장하고 있으므로,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거치지 않고 소형기지국2(2)의 IP를 기초로 바로 소형기지국2(2)로 X2 관련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기지국 간 X2 인터페이스 연결 및 메시지 송수신과 동일한 방식일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 소형기지국에 대한 식별정보를 할당/관리하는 구성 및 이를 통해 X2 관련메시지 중계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안함으로써, 코어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소형기지국과 관련된 시그널링 메시지 즉 X2 관련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여 코어네트워크로 하여금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 및 관리에 따른 리소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의 경우는, 소형기지국 및 매크로기지국 간을 설명하고 있다.
다수의 소형기지국(1,2)이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다(S10).
그리고,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코어네트워크(300)에 연결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응하여 코어네트워크(3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2) 및 코어네트워크(3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S20).
이 때, 소형기지국(1)은 단말로부터 주변에 있는 매크로기지국(10)의 정보를 보고 받았지만 매크로기지국(10)의 IP가 없는 경우 코어네트워크로 인식하고 있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 매크로기지국(10)의 IP를 요청할 것이다(S30).
이에,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기존 방식과 같이 코어네트워크(300) 예컨대 MME를 통해 매크로기지국(10)으로부터 IP를 획득한다(S40).
이 후,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획득한 매크로기지국(10)의 IP를 소형기지국(1)으로 회신하는 대신,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IP를 소형기지국(1)으로 회신한다(S50).
이에, 소형기지국(1)에서는, 매크로기지국(10)의 IP 요청에 대응하여 회신된 IP 즉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IP를 매크로기지국(10)의 IP인 것으로 저장/관리할 것이다(S60).
이후 소형기지국(1)은, 매크로기지국(10)에 대하여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요한 경우, 매크로기지국(10)의 IP로서 저장하고 있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IP를 기초로 X2 관련메시지 즉 연결요청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0).
이때, 소형기지국(1)로부터의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는 소형기지국(1)의 제2식별정보, 타겟정보(target ID)에는 매크로기지국(10)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이에,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소형기지국(1)의 제2식별정보를 자신의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여(S80) 매크로기지국(10)으로 전달함으로써(S90), 매크로기지국(1)이 수신하는 X2 관련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X2 관련메시지가 X2 인터페이스 연결과 관련된 연결요청메시지(예 : X2 Setup Request 메시지)인 경우, 매크로기지국(1)은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가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 즉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제1식별정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가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연결요청응답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 회신할 수 있다(S100).
이때,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소형기지국(1)의 제2식별정보와 특정 상대기지국 즉 매크로기지국(10)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매크로기지국(10)에서 소형기지국(1)으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X2 관련메시지 즉 연결요청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매크로기지국(10)의 식별정보를 자신의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고 타겟정보에서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를 소형기지국(1)의 제2식별정보로 변경하여(S110), 소형기지국(1)으로 전달함으로써(S120), 소형기지국(1)이 수신하는 X2 관련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소형기지국(1)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 간의 X2 인터페이스 연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 및 매크로기지국(10) 간의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해, 소형기지국(1)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거쳐 매크로기지국(10)과의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X2 관련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소형기지국 및 소형기지국 간을 설명하면, 다수의 소형기지국(1,2)이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에 연결된다(S10).
그리고,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코어네트워크(300)에 연결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응하여 코어네트워크(3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2) 및 코어네트워크(3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
이 때, 소형기지국1(1)은 단말로부터 주변에 있는 소형기지국2(2)의 정보를 보고 받았지만 소형기지국2(2)의 IP가 없는 경우 코어네트워크로 인식하고 있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 소형기지국2(2)의 IP를 요청할 것이다(S130).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할당된 IP를 관리하고 있을 것이다.
이에,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는 소형기지국1(1)이 다른 소형기지국2(2)에 대하여 X2 관련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소형기지국2(2)의 IP 요청을 수신하면, 소형기지국2(2)의 IP를 소형기지국1(1)에 회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S140).
이에, 소형기지국1(1)에서는, 소형기지국2(2)의 IP 요청에 대응하여 회신된 IP를 소형기지국2(2)의 IP인 것으로 저장/관리할 것이다(S150).
이후 소형기지국1(1)은, 소형기지국2(2)에 대하여 X2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거치지 않고 소형기지국2(2)의 IP를 기초로 X2 관련메시지 즉 연결요청메시지를 소형기지국2(2)에 전송할 수 있고(S160), 이에 소형기지국2(2)은 연결요청응답메시지를 소형기지국1(1)로 회신하여 전송할 것이다(S170). 이는 기존의 기지국 간 X2 인터페이스 연결 및 메시지 송수신과 동일한 방식일 것이다.
이에, 소형기지국1(1) 및 소형기지국2(2) 간의 X2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X2 관련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소형기지국(1,2)과 연결된다(S200).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소형기지국(1,2) 각각에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제1식별정보 예컨대 전술의 로직컬기지국 구성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제2식별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연결되는 소형기지국(1,2) 각각에 대응하여 코어네트워크(3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함으로써, 소형기지국(1,2) 및 코어네트워크(3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한다(S21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소형기지국 예컨대 소형기지국1(1) 및 특정 상대기지국 예컨대 매크로기지국1(10) 간의 X2 관련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20). 이처럼 X2 관련메시지 최초 수신 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 및 타겟정보를 확인하여 소형기지국1(1)의 제2식별정보와 매크로기지국1(10)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S220단계에서 수신한 X2 관련메시지가 소형기지국1(1)에서 매크로기지국1(10)으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X2 관련메시지인 경우(S240 ①),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소형기지국1(1)의 제2식별정보를 자신의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여(S250) 매크로기지국1(10)으로 전달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1)이 수신하는 X2 관련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S255).
이에, X2 관련메시지가 X2 인터페이스 연결과 관련된 연결요청메시지(예 : X2 Setup Request 메시지)인 경우, 매크로기지국1(1)은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가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 즉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제1식별정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가 X2 인터페이스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연결요청응답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 회신할 수 있다.
또는, X2 관련메시지가 특정 단말에 대하여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핸드오버요청메시지(예 : X2 Handover Request 메시지)인 경우, 매크로기지국1(1)은 X2 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가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 즉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의 제1식별정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가 특정 단말에 대하여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핸드오버요청응답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 회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S220단계에서 수신한 X2 관련메시지가 매크로기지국1(10)에서 소형기지국1(1)으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X2 관련메시지인 경우(S240 ②), S230단계의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X2 관련메시지(예 : 연결요청응답메시지, 또는 핸드오버요청응답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매크로기지국1(10)의 식별정보를 자신의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고 타겟정보에서 인터페이스중계부(140)의 제1식별정보를 소형기지국1(1)의 제2식별정보로 변경하여(S260) 소형기지국1(1)으로 전달함으로써, 소형기지국1(1)이 수신하는 X2 관련메시지를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S26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 소형기지국에 대한 식별정보를 할당/관리하는 구성 및 이를 통해 X2 관련메시지 중계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안함으로써, 코어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소형기지국과 관련된 시그널링 메시지 즉 X2 관련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여 코어네트워크로 하여금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 및 관리에 따른 리소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하고, 특히 이처럼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간을 중계하는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코어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소형기지국과 관련된 시그널링 메시지 즉 X2 관련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여 코어네트워크로 하여금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 및 관리에 따른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110 : 소형기지국연결부 120 : 네트워크연결부
130 : 식별정보할당부 140 : 인터페이스중계부
150 : 게이트웨이제어부

Claims (11)

  1.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상대기지국 사이에 위치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서,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결부;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식별정보에 매칭되도록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서로 상이한 제2식별정보를 할당하는 식별정보할당부; 및
    상기 제1식별정보 및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할당한 제2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기지국 사이에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변경하여,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기지국 사이의 직접인터페이스 중계 시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가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식별정보는,
    상기 제1식별정보 및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별로 상이한 추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중계부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중 특정 소형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상대기지국으로 직접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상기 특정 소형기기지국의 제2식별정보를 상기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이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중계부는,
    특정 상대기지국에서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중 특정 소형기지국으로 직접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고 타겟정보에서 상기 제1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의 제2식별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이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중계부는,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의 제2식별정보와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의 식별정보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는,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과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 사이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7.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상대기지국 사이에 위치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과 연결되는 소형기지국연결단계;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식별정보에 매칭되도록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서로 상이한 제2식별정보를 할당하는 식별정보할당단계; 및
    상기 제1식별정보 및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에 할당한 제2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기지국 사이에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변경하여,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기지국 사이의 직접인터페이스 중계 시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가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중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식별정보는,
    상기 제1식별정보 및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별로 상이한 추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중계단계는,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중 특정 소형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상대기지국으로 직접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상기 특정 소형기기지국의 제2식별정보를 상기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이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중계단계는,
    특정 상대기지국에서 상기 다수의 소형기지국 중 특정 소형기지국으로 직접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 내 소스정보에서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1식별정보로 변경하고 타겟정보에서 상기 제1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의 제2식별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이 상기 직접인터페이스관련메시지를 상기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소형기지국의 제2식별정보와 상기 특정 상대기지국의 식별정보를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20081426A 2012-07-25 2012-07-25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65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26A KR101365588B1 (ko) 2012-07-25 2012-07-25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26A KR101365588B1 (ko) 2012-07-25 2012-07-25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21A KR20140014721A (ko) 2014-02-06
KR101365588B1 true KR101365588B1 (ko) 2014-02-21

Family

ID=5026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426A KR101365588B1 (ko) 2012-07-25 2012-07-25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40A1 (ko) * 2017-03-25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절차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1605A (ja) 2008-09-23 2010-04-08 Ntt Docomo Inc 基地局ゲートウェイ、基地局ゲートウェイによる基地局切り替え方法及びデータ処理方法
KR20110138239A (ko) * 2009-04-17 2011-12-2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게이트웨이 장치, 코어 네트워크 장치, 통신 방법
JP2012095291A (ja) 2010-10-26 2012-05-17 Ntt Docomo Inc X2インタフェース管理方法、ハンドオーバ方法、干渉抑制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1605A (ja) 2008-09-23 2010-04-08 Ntt Docomo Inc 基地局ゲートウェイ、基地局ゲートウェイによる基地局切り替え方法及びデータ処理方法
KR20110138239A (ko) * 2009-04-17 2011-12-2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게이트웨이 장치, 코어 네트워크 장치, 통신 방법
JP2012095291A (ja) 2010-10-26 2012-05-17 Ntt Docomo Inc X2インタフェース管理方法、ハンドオーバ方法、干渉抑制方法及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40A1 (ko) * 2017-03-25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절차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11039349B2 (en) 2017-03-25 2021-06-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procedure for LTE/NR interwork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21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68753B (zh) 基于预先配置的接入类别来接入采用网络切片的通信系统
KR102220436B1 (ko) 데이터 처리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시스템, 및 저장 매체
US112240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eparated mobility management and session management
CN106102106B (zh) 一种终端接入的方法、装置及网络架构
JP6553635B2 (ja) D2d関連情報の指示及びd2d伝送リソースの決め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169635B2 (ja) 基地局装置、サービスフロー確立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ビスフロー確立方法
JP6567686B2 (ja) データ・オフロードのためのパスを確立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5154392A1 (zh) D2d业务的切换实现方法及装置
EP3614735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s and devices
WO2018190070A1 (ja) 第1の基地局、第2の基地局、端末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1100894A1 (zh) 切换方法和中继节点
WO2012174798A1 (zh) 创建数据反传通道和分配互联网协议的方法及系统
US201302299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cell parameters of relay node
CN116210250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17181678A1 (zh) 授权频谱的终端化小小区配置方法、相关设备及系统
KR101365588B1 (ko)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CN109076405B (zh) 异制式小区间切换的方法及装置
KR102073800B1 (ko) 정보 인터랙션 장치, 기지국 및 통신 시스템
KR102119247B1 (ko)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2 단계 탐색 절차
WO2014026564A1 (zh) 一种地址分配方法及宿主基站
KR101986091B1 (ko)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WO2017032176A1 (zh) 设备到设备d2d授权信息的获取方法及装置
WO2017181680A1 (zh) 非授权频谱的终端化小小区配置方法、相关设备及系统
KR101939091B1 (ko)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 및 기지국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
WO2010034241A1 (zh) 中继站通信的方法、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