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338A -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 Google Patents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338A
KR20130132338A KR1020130059985A KR20130059985A KR20130132338A KR 20130132338 A KR20130132338 A KR 20130132338A KR 1020130059985 A KR1020130059985 A KR 1020130059985A KR 20130059985 A KR20130059985 A KR 20130059985A KR 20130132338 A KR20130132338 A KR 20130132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water
box
vertical fram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filed Critical 김민규
Publication of KR20130132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형 식물육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벽체형태의 패널을 형성하는 수직프레임; 일측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식물이 식수되는 식수재가 내장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결합되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식물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식물함; 상기 식물함의 일부분을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속시켜서 식물함을 수직프레임에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커플러; 상기 식물함에 공급되는 물이 저수된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상기 식물함으로 공급하여 식물함의 식물에 급수하는 급수기; 및 상기 급수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PANEL TYPE PLANT CULTIV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을 수직형의 패널형태로 육성할 수 있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식물이 식재된 다수의 화분형 모듈을 적층하여 패널형태로 육성할 수 있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은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간판의 경우 플라스틱재로 구성되어 형광등이나 네온사인 또는 엘이디와 같은 조명장치에 의해 광고를 표시한다. 특히, 간판은 플렉스 사인, 채널 사인, 네온 사인 등이 있으며, 플렉스 사인(flex sign)의 경우 유연성을 갖는 원단을 소재로 제조된다. 네온 사인은 유리관 내부에 수은으로된 수 mm의 수은주 및 네온이나 아르곤, 그 밖의 가스를 미량 흡입시키고 봉한 것이며, 두 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印加)하면 내부가스가 차례로 이온화하여 발광한다.
요즘 가장 많이 쓰이는 채널 사인은 금속프레임을 조립한 후 그 내부에 광원을 넣어서 문자나 이미지를 표현한다. 이때, 광원을 어떻게 설치하느냐에 따라 개방형이나 후광형 또는 전후광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간판은 일러스트레이터나 코렐드로우 등의 그래픽 프로그램이나 커팅프로그램에 의하여 도안된 종이를 금속판에 부착한 후 절삭기로 문자모형을 오려 낸다. 그리고, 조명의 형식에 따라 50~300mm의 입체면을 만들어 알곤이나 납땜으로 입체적인 문자를 만든다. 그 다음, 문자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앵글이나 사각의 형강으로 보강한 후 페인트로 도장마감을 한 다음 건조한다. 이어서, 문자의 내부에 네온관이나 LED모듈을 설치한다.
그러나, 전술한 건축구조물의 경우 콘크리트로 제조되므로 흡열을 못하여 여름에는 과도한 열기를 발산하고, 삭막한 느낌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간판의 경우 폐기시 프레임이나 플라스틱 또는 수은 등과 같은 물질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간판은 수은이나 회로기판의 솔더링에 사용된 납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발생하고, 제작시에도 납땜 공정이나 가스 충전공정 등에 의해 각 단계별로 유해물질이 발생하므로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이로 인하여 폐기시에는 폐기시설(장소)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생분해성의 친환경소재 및 유기물로 구성되어 건축구조물의 일부로 사용되거나 간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식물을 수직으로 세워진 패널형 부재에서 육성할 수 있으며, 식물이 패널형 부재의 표면을 차폐하여 패널형 부재에서 육성되는 식물의 종류별 배열을 통해 광고를 실현하거나, 패널형 부재에서 육성되는 식물로 건축구조물의 일부분을 차폐할 수 있으며, 식물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식물육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식물이 식재된 부재를 패널형 부재에 수용하여 식물을 육성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식물이 식재된 부재에 식물이 식수되는 식수재를 충분히 충전할 수 있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식물이 식재된 부재를 다른 부재와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고, 식수재가 천연성분으로 구성되며, 식수재의 수분을 자연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갖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식물이 식재된 부재를 패널형 부재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식물에 급수되는 물을 식물이 식재된 부재에서 제어할 수 있으며, 급수를 위한 기기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게다가, 식물에 급수된 물을 다시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회수된 물을 정화하여 식물에 다시 재공급할 수 있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더욱이, 다단계로 식물을 관리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되고, 이에 더하여 생육되는 해당 식물의 생육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식물의 생육을 관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큐알코드를 이용하여 육성되는 식물의 식물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나 스마트폰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상에 따라 식물의 육성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벽체형태의 패널을 형성하는 수직프레임; 일측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식물이 식수되는 식수재가 내장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결합되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식물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식물함; 상기 식물함의 일부분을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속시켜서 식물함을 수직프레임에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커플러; 상기 식물함에 공급되는 물이 저수된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상기 식물함으로 공급하여 식물함의 식물에 급수하는 급수기;상기 급수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천연목재로 구성된 식물함에 천연성분이나 유기물 또는 생분해성의 식수재 및 수분조절물질이 충전되므로 폐기시 환경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식물함이 결합된 수직프레임을 건축구조물의 벽면에 설치하여 건축구조물이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구조물의 벽면을 식물로 차폐하여 친환경적인 느낌과 자연 그대로의 느낌을 제공하므로 건축구조물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식물함에 식재된 식물을 종류별로 배열하여 수직프레임에 기호나 문자를 형성해서 친환경적인 간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가 급수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식물의 육성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 식물함이 수직프레임의 삽입틀에 삽입되므로 식물함을 수직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식물함에 단차가 형성되어 식물함의 내부 깊이가 깊어지므로 다량의 식수재를 식물함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식물함의 결합부가 다른 식물함의 결합부나 수직프레임의 조립부에 결합되므로 식물함을 다른 식물함이나 수직프레임의 삽입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식수재가 자연토양이나 인공토양 또는 천연섬유재 팰트로 구성되므로 폐기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퇴비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식수재에 수분조절물질이 함유되어 식수재의 수분을 자연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식물을 더욱 용이하게 생육할 수 있다.
아울러, 커플러의 플러그가 수직프레임의 플러그 홀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므로 식물함을 필요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유량제어밸브가 식물함에 설치된 상태로 식물함에 급수되는 물을 제어하므로 급수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결빙방지기가 이송관을 히팅하거나 이송관에 잔존하는 물을 외부로 토출하여 이송관의 결빙을 방지하므로 이송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게다가, 회수기를 통해 식물에 급수된 물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므로 식물을 육성하기 위한 경비를 절약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정화기가 재활용되는 물을 정화하여 공급하므로 식물을 건강하게 육성할 수 있다.
더욱이, 슬래브 모듈과 마스터 모듈 및 중앙서버가 제각기 작동하여 급수기의 작동이나 그 외의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정확한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슬래브 모듈이 식물함에 설치될 경우 식물함에 설치된 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식물함의 식물에 적합한 생육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급수기를 제어하므로 식물을 용이하게 생육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큐알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신호에 해당하는 식물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물함의 식물에 관련된 정보를 누구나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기상정보에 따라 식물의 육성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좀더 정밀하게 식물을 육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형 식물육성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물함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물함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식물함 및 수직프레임의 결합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급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회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분사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분사유닛의 측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식물함에 차폐망이 적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보조제 디스펜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직프레임에 조명장치 및 광고판이 적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판을 도시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형 식물육성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형 식물육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 식물함(20) 및 저수탱크(90), 그리고 후술되는 커플러(30), 급수기(40) 및 컨트롤러(60)를 포함한다.
수직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벽체형태의 패널을 형성한다. 수직프레임(10)은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보다는 목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목재판에 금속재 파일이나 형강이 건설장비의 비계처럼 설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수직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된 식물함(20)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틀(10a)이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적층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수직프레임(10)은 삽입틀(10a)이 전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후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틀(10a)에 의해 격자형태의 공간이 제공됨에 따라 식물함(20)들이 삽입틀(10a)에 삽입된 상태의 다단형 패널을 형성하며, 전면 및/또는 후면이 식물함(20)으로 차폐될 수 있다.
식물함(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이루어져서 식물(PL)이 식수되며,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나 천연목재에 의해 함체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함(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삽입틀(10a)이 마련된 수직프레임(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결합되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식물(PL)을 노출시킨다. 식물함(20)은 예컨대, 수직프레임(10)에 적층이나 설치가 용이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함(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식물(PL)이 식수되는 식수재(20)가 내장된다.
식물함(20)은 팜나무나 대나무 등과 같은 목재에 의해 함체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를 정화하는 식물(PL)이 식수재(20)에 식수된다. 이러한 식물(PL)은 예컨대, 호접란, 아레카야자, 보스톤 고사리, 드라세나, 자넷 크레이그 또는 디펜바키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식물함(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수재(20)의 충전량이 증량되도록 내부에 단차(21)가 형성된다. 식물함(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21)에 의해 좀더 깊은 깊이를 가지므로 좀더 많은 양의 식수재(20)가 충전된다. 따라서, 식물함(20)은 좀더 많은 양의 식수재(20)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양분을 식물(PL)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물(PL)의 뿌리를 좀더 용이하게 활착시켜서 식물(PL)을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식수재(20)는 천연성분이나 유기물로 구성되도록 자연토양, 인공토양 또는 천연섬유로 구성된 팰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이때, 인공토양은 통상의 석재를 분쇄하여 제조한 것이므로 천연성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식수재(20)는 수분을 조절하는 수분조절물질이 함유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분조절물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립이나 덩어리 형태의 숯이나 중공사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중공사막은 코코넛 과피나 황마 등의 천연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식물함(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 끼움돌기나 끼움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결합부(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23)는 전술한 식물함(2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다른 식물함의 결합부를 구성하는 끼움돌기 또는 끼움홈과 결합되어 복수의 식물함(20)들을 조립식으로 연결하거나,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의 삽입틀(10a)에 마련된 결합홈이나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조립부(13)와 결합되어 식물함(20)을 수직프레임(10)에 조립식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식물함(20)은 결합부(23) 및 조립부(13)에 의해 다른 식물함이나 수직프레임(1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고정된 상태로 유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식물함(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망(MS)에 의해 개방된 일측이 통기가능하게 차폐된다. 차폐망(MS)은 식물함(20)에 식수된 식물(PL)을 부분적으로 구속한다. 따라서, 차폐망(MS)은 식물함(2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눕혀져서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되어도 식물(PL)이 식물함(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차폐망(MS)은 예컨대, 식물함(20)의 개방된 일측으로 태양광이나 조명광을 투과시키면서 관람객의 눈에 잘 띄지 않도록 낚시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식물함(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의 일측면(전면)에 설치되어 수직프레임(10)의 일측을 식재된 식물(PL)로 차폐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수직프레임(10)의 타측면(후면)에 설치되어 타측면도 식물(PL)로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커플러(30)는 식물함(20)의 일부분을 수직프레임(10)에 구속시켜서 식물함(20)을 수직프레임(10)에 일체적으로 결합시킨다. 즉, 커플러(30)는 식물함(20)을 수직프레임(10)에 고정하는 요소이다.
커플러(30)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에 마련되는 플러그(31) 및 수직프레임(10)에 마련되는 플러그 홀더(3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플러그(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일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식물함의 타측에 막대나 봉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31a)를 갖는다. 그리고, 플러그 홀더(33)는 수직프레임(10)의 삽입틀(10a)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삽입틀(10a)과 동일체를 이루며, 식물함(20)의 플러그(31)가 삽입된다. 이러한 플러그 홀더(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1)의 결합돌기(31a)가 결합되는 결합홈(33a)을 갖는다. 이때, 전술한 결합돌기(3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33a)에 삽입 후 이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커플러(3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1)가 플러그 홀더(33)에 삽입되어 플러그(31)의 결합돌기(31a)가 플러그 홀더(33)의 결합홈(33a)에 결합됨에 따라 식물함(20)을 수직프레임(10)의 삽입틀(10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이때, 결합돌기(31a)는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홈(33a)에 억지끼움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거나 결합홈(33a)에서 억지이탈되어 결합홈(33a)과 분리된다. 따라서, 커플러(30)는 식물함(20)을 수직프레임(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이러한 커플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식물함(20)을 수직프레임(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예: 통상의 볼커플러 등)일 경우 전술한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저수탱크(90)는 식물함(20)에 공급되는 물이 저수된다. 이러한 저수탱크(90)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의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수직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저수탱크(90)는 수직프레임(10)과 이격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급수기는 저수탱크(90)의 물을 식물함(20)으로 공급하여 식물함(20)의 식물(PL)에 물을 급수한다. 급수기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P1), 이송관(54) 및 유량제어밸브(V1)를 포함하여 구성할 있다. 펌프(P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탱크(90)에 저수된 물을 펌핑한다. 이송관(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에 열결되어 펌프(P1)에서 펌핑되는 저수탱크(90)의 물을 식물함(20)으로 이송하며, 식물함(20)에 제각기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송관(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니플이 설치되며, 단부가 식물함(20)의 바닥을 이루는 타측에 관통상태로 고정된다. 유량제어밸브(V1)는 통상의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트롤러(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송관(54)의 유량을 제어한다. 유량제어밸브(V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량제어밸브(V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으로 물이 유입되는 통로에 설치되어 통로를 개폐하거나, 이송관(54)의 니플을 개폐하여 유량을 제어한다.
급수기는 컨트롤러(60)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면서 이송관(54)의 물이 결빙되거나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빙방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빙방지기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54)을 가열하여 이송관(54)을 히팅하는 이송관 히터(H1)나, 이송관(54)에 풍압을 제공하여 이송관(54)에 잔존하는 물을 이송관(54)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브로워(B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빙방지기는 이송관 히터(H1)로 구성될 경우 이송관(54)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이송관(54)의 동파나 결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브로워(BR)로 구성될 경우 이송관(54)에 잔존하는 물을 이송관(54)의 외부로 배출하여 이송관(54)에 물을 잔존시키지 않으므로 이송관(54)의 동파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브로워(BR)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송관(54)에 주입하도록, 예컨대 통상의 콤프레셔나 어큐물레이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브로워(BR)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54)에 연결된 공기공급관(41a)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이송관(54) 및 공기공급관(41a)은 이송관(54)의 물이 공기공급관(41a)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밸브(V4) 및 공기관밸브(V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저수탱크(90)의 물을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된 전술한 식물함(20)의 개방된 일측으로 분사하여 식물함(20)의 식물(PL)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분사유닛(43)은 식물(PL)의 잎사귀나 줄기에 직접 물을 분사한다.
분사유닛(43)은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파이프(43a), 노즐(43b) 및 개폐밸브(V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급수파이프(43a)는 수직프레임(10)의 최상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저수탱크(90)의 물을 수직프레임(10)의 최상단에 횡방향으로 공급한다. 급수파이프(4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파이프나 사각의 덕트형태 집수파이프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노즐(43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파이프(43a)에 이격상태로 설치되어 식물함(20)으로 물을 분사한다. 노즐(43b)은 물의 분사량을 절감하면서 물이 골고루 분사되도록, 통상의 미스트노즐로 구성되어 급수파이프(43a)의 물을 안개형태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밸브(V3)는 전술한 컨트롤러(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급수파이프(43a)의 유로를 개폐한다. 개폐밸브(V3)는 통상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기는 이송관(54)을 통해 식물함(20)으로 물이 충분하게 공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식물함(20)에 급수되는 물이 외부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감지하는 범람 감지기(S2)를 더 포함한다. 범람 감지기(S2)는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에서 물이 오버플로우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습도센서나 우수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범람 감지기(S2)는 식물함(20)에 물이 충분히 공급되어 옆으로 뉘어져서 설치된 식물함(20)의 개방된 일측으로 물이 범람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60)에 제공한다. 따라서, 컨트롤러(60)는 범람 감지기(S2)의 감지신호를 통해 식물함(20)에 물이 충분히 공급된 것을 확인하여 유량제어밸브(V1)를 작동시켜서 급수를 중단한다.
한편, 식물함(20)에서 범람되는 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수기에 의해 저수탱크로 회수된다. 이러한 회수기는 예컨대, 식물함(20)에서 범람되어 배수되는 물을 저수하는 저수트랩(52) 및 저수트랩(52)의 물을 저수탱크(90)로 안내하여 회수하는 회수관(5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회수관(54)은 미도시된 펌프를 통해 저수트랩(52)의 물을 저수탱크(9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저수트랩(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의 최하단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복수로 구성되어 수직프레임(10)의 높이를 따라 중간 중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회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되는 물을 정화하여 저수탱크(90)에 제공하거나, 저수탱크(90)의 물을 정화하여 급수기에 제공하는 정화기(56)가 마련될 수 있다. 정화기(56)는 일반적인 통상의 정화필터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회수기의 물이 저수되어 부레옥잠이나 미나리 등의 수경식물이 재배되는 미도시된 저수통으로 이루어진 수경식물필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저수통에서 재배되는 수경식물은 저수통의 물을 정화한다.
회수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수관 히터(H2)에 의해 회수관(54)의 동파나 결빙이 방지된다. 이러한 회수관 히터(H2)는 컨트롤러(60)의 작동신호에 따라 회수관(54)을 히팅한다.
한편, 전술한 컨트롤러(60)는 급수기의 작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60)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래브 모듈과 마스터 모듈(62) 및 중앙서버(6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슬래브 모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에 설치되거나, 이와 달리 수직프레임(10) 또는 급수기에 설치될 수 있다. 슬래브 모듈은 급수를 위해 식물함(20)이나 수직프레임(10) 또는 급수기에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나 센서 또는 히터 등과 같은 전자장비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즉, 슬래브 모듈은 전술한 유량제어밸브(V1)나 개폐밸브(V3) 등의 밸브나 전술한 범람 감지기(S2)나 후술되는 온습도센서 등과 같은 센서들에게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측정값을 수신받는다.
마스터 모듈(6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이나 수직프레임(10) 또는 급수기에 설치된 슬래브 모듈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송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가 실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제어확인신호를 슬래브 모듈로부터 수신한다.
중앙서버(63)는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신호를 마스터 모듈(62)에 송신하거나 마스터 모듈(62)을 통해 제어확인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중앙서버(6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는 마스터 모듈(62)을 통합하여 관리한다. 이때, 마스터 모듈(62)은 수직프레임(10)이 복수로 구성됨에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수직프레임(10)에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60)는 중앙서버(63)가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신호를 마스터 모듈(62)에 인가하여 마스터 모듈(62)을 통해 슬래브 모듈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중앙서버(63)는 급수기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마스터 모듈(62)에 인가한다. 이때, 마스터 모듈(6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에 설치된 슬래브 모듈에 개방신호를 인가하고, 펌프(P1)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펌프(P1)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슬래브 모듈은 수신되는 개방신호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에 설치된 유량제어밸브(V1)를 개방한다. 따라서, 급수기는 식물함(20)에 물을 급수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DB(64a), 독출부(64b) 및 인터페이스부(64c)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신호DB(64a)는 식물함(20)에 식수된 식물(PL)의 생육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급수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가 저장된다. 이때, 생육환경정보는 예컨대, 식물함(20)에 식수된 식물(PL)을 생육하는데 필요한 온도나 습도 또는 급수일이나 급수량 등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제어신호는 예컨대, 생육환경정보의 온도에 따라 후술되는 도 5의 식물함 히터(H3)를 작동시키는 신호 또는 급수일이나 급수량에 따라 급수기를 작동시키는 신호로 구성된다. 결론적으로, 제어신호DB(64a)는 식물(PL)의 생육환경정보에 따라 급수기나 센서 또는 히터 등의 기기에 송출되는 제어신호가 저장된다.
독출부(64b)는 제어신호DB(64a)에 저장된 제어신호들 중에서 외부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요청되는 해당식물의 제어신호를 독출하여 급수기나 히터 등의 제어기기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독출부(64b)는 외부의 단말기에 해당하는 중앙서버(63)나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식물함(20)에 식재된 식물(PL)을 관리하기 위한 요청신호가 입력될 경우, 제어신호DB(64a)에 저장된 제어신호들 중에서 해당 식물(PL)의 육성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독출하여 급수기나 히터 등의 제어기기에 전송한다. 따라서, 급수기나 히터 등의 제어기기는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유량제어밸브(V1)를 작동시켜서 해당 식물(PL)에 적합하게 급수를 하거나 히터를 작동시켜서 해당 식물(PL)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부(64c)는 외부(단말기나 스마트폰)로부터 수신되는 해당식물의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독출신호를 독출부(64b)에 제공하거나, 제어신호가 제어기기에 전송된 것을 확인시키는 전송확인신호를 외부(단말기나 스마트폰)로 송신한다. 즉, 인터페이스부(64c)는 단말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해당식물의 관리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독출부(64b)에 제공하거나, 관리요청 신호를 수신한 독출부(64b)가 해당식물의 관리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독출하여 제어기기에 송신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전송확인신호를 단말기나 스마트폰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단말기나 스마트폰을 통해 요청이 수락된 것과, 제어기기가 올바르게 제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정보DB(65a) 및 코드신호 수신부(6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물정보DB(65a)는 식물함(20)에 식수된 식물의 이름 및 종류를 포함하는 식물정보가 저장된다. 코드신호 수신부(65b)는 식물함(20)에 식수된 식물(PL)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저장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큐알코드가 스캐닝됨에 따라 생성되는 코드신호를 외부의 단말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코드신호 수신부(65b)는 수신된 코드신호를 독출부(64b)에 인가하여 독출부(64b)를 통해 코드신호에 해당하는 식물정보를 추출하거나, 독출부(64b)에서 추출된 코드신호에 해당하는 식물정보를 전술한 인터페이스부(64c)를 통해 외부의 단말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즉, 코드신호 수신부(65b)는 독출부(64b)를 구동시켜서 해당하는 식물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식물정보를 인터페이스부(64c)에 인가하여 외부의 단말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큐알코드를 단말기나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한 관리자나 관람객은 해당식물의 식물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해당식물의 이름이나 종류 또는 수명 등을 숙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독출부(64b)는 코드신호 수신부(65b)로부터 코드신호가 수신될 경우, 전술한 제어신호DB(64a)에서 코드신호에 해당하는 식물(PL)의 생육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제어기기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독출부(64b)는 큐알코드에 의해 식물함(20)의 식물(PL)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식물의 생육환경정보에 따라 해당식물의 생육을 관리할 수 있다.
컨트롤러(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상정보 수신부(66a) 및 독출신호 생성부(66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상정보 수신부(66a)는 통신망을 통해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때, 기상정보 수신부(66a)는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출신호 생성부(66b)는 기상정보 수신부(66a)에 수신되는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기상정보 독출신호를 생성하여 전술한 독출부(64b)에 제공한다. 이때, 는 실시간 온도나 우천 또는 구름 많음 등의 기상에 따라 독출부(64b)가 제어신호DB(64a)에서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독출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예를 들면, 기상정보 독출신호는 현재 비가 올 경우 우천에 해당하는 기상정보 독출신호를 독출부(64b)에 전송한다. 따라서, 독출부(64b)는 제어신호DB(64a)에 저장된 제어신호들 중에서 우천시의 제어신호를 독출한 후 제어기기에 전송하여, 소량의 물을 급수하게 하거나 물의 급수를 중단시킨다.
여기서, 제어신호DB(64a)는 기상정보 독출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식물함(20)에 식수된 식물(PL)의 생육환경정보 및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환경기상 제어신호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기상 제어신호는 예를 들어, 급수의 경우 생육환경정보에 따른 식물(PL)의 급수량 및 현재 우천시의 강우량을 비교하여 강우량이 고려된 급수량을 제공할 수 있는 제어신호이다.
한편, 컨트롤러(60)는 식물함(20)을 히팅시키는 식물함 히터(H3)가 도 5의 하측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식물함 히터(H3)는 컨트롤러(60)의 작동신호에 따라 작동하면서 식물함(20)을 설정된 온도로 히팅시킨다. 식물함 히터(H3)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에 설치되어 식물함(20)을 가열하는 열선이나 봉히터 또는 면상발열체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되어 수직프레임(10)을 가열해서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된 식물함(20)을 가열하는 열선이나 봉히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함(20)은 설정된 온도를 식물(PL)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에 설치되어 식물함(20)의 온도나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기(S1)를 더 포함한다. 측정기(S1)는 식물함(20)의 온도를 컨트롤러(60)에 제공하여 컨트롤러(60)를 통해 전술한 식물함 히터(H3)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습도를 컨트롤러(60)에 제공하여 급수가 필요한 습도에 해당할 경우 급수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컨트롤러(60)는 식물(PL)의 생육온도나 습도를 용이하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컨트롤러(60)는 측정기(S1)의 온도 및 습도를 비교하여 식물함 히터(H3)나 급수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60)는 수신되는 온도가 높을 경우 물이 빨리 증발하므로 수신된 습도를 통해 증발여부를 확인하고, 습도가 낮을 경우 곧바로 급수기를 작동시켜서 물을 공급한다.
다른 한편, 컨트롤러(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보조제 디스펜서(7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제 디스펜서(70)는 식물함(20)에 액비나 살충액으로 이루어진 육성보조제를 제공하는 기기이다.
보조제 디스펜서(70)는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성보조제가 저장된 보조제탱크(71), 보조제탱크(71)의 육성보조제를 펌핑하는 보조제펌프(P2), 보조제펌프(P1)에서 펌핑되는 육성보조제를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된 식물함(20)에 공급하는 보조제 공급관(73) 및, 보조제 공급관(73)의 유량을 단속하는 단속밸브(V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보조제 공급관(73)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기의 이송관(54)에 연결되어 이송관(54)을 통해 육성보조제를 식물함(20)에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보조제펌프(P1) 및 단속밸브(V5)는 컨트롤러(6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이러한 보조제 디스펜서(70)는 액비나 살충액을 식물함(20)에 공급하여 식물(PL)의 생육을 돕는다.
한편, 식물함(20)은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기(80)는 식물함(20)에 설치된 슬래브 모듈의 전원을 온도에 따라 차단한다. 따라서, 차단기(80)는 슬래브 모듈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식물함 히터(H3)의 작동을 중단시켜서 식물함(20)의 과열을 방지한다. 즉, 차단기(80)는 과열에 의한 화재를 방지한다.
차단기(80)는 예컨대, 도 5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에 설치되어 식물함(20)의 온도에 따라 내부의 왁스가 팽창하여 로드(81a)가 신축하는 통상의 왁스엑츄에이터(81) 및, 왁스엑츄에이터(81)의 로드(81a)를 슬래브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플러그 모듈(EP)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8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패스너(83)는 도시된 바와 같은 금속재나 플라스틱재 링크로 구성할 수 있다.
차단기(80)는 식물함(20)의 온도가 고온으로 가열될 경우 왁스엑츄에이터(81)의 왁스가 팽창하여 로드(81a)를 신장시킨다. 이때, 로드(81a)는 패스너(8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전원플러그 모듈(EP)을 이동시켜서 전원플러그 모듈(EP)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이탈시킨다. 따라서, 차단기(80)는 전원플러그 모듈(EP)을 통해 송전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한편, 수직프레임(1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들 사이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발산하는 엘이디 조명(LT)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엘이디 조명(LT)은 식물함(20)의 식물의 발육에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거나 식물(PL)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시선을 집중시킨다.
또한, 수직프레임(1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함(20)들 사이에 광고판(AD)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광고판(AD)은 시선이 식물(PL)에 집중되는 관람객에게 홍보문구나 안내문구를 현시한다.
다른 한편, 급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저장조(90)가 마련될 수 있다. 중간저장조(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량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92) 및 저수탱크(90)에 연결되어 플로트(92)의 승강에 따라 개폐되는 밸브시트(9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중간저장조(90)는 저수탱크(90)의 물을 공급받아서 저장하고 있다가 정수기(56)에 공급하여 정수된 물을 식물함(20)에 제공한다. 이때, 중간저장조(90)는 정수기(56)의 물이 소진될 경우 플로트(92)가 하강하면서 밸브시트(92)가 개방되므로 다시 저수탱크(90)의 물이 충전되며, 충전에 의해 플로트(92)가 다시 상승하여 밸브시트(92)가 차폐될 경우 물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중간저장조(90)는 기계식으로 자동작동하면서 정수기(56)에 공급되는 물을 단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형 식물육성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형 식물육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식물함(20)이 수직프레임(10)의 삽입틀(10a)에 제각기 설치되어 개방된 일측으로 식물(PL)을 노출한다. 따라서, 수직프레임(10)은 식물(PL)에 의해 차폐되므로 친환경적인 벽체형의 패널을 제공한다. 이러한 식물(PL)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된 종류에 따라 상이한 색상이나 느낌을 제공하므로 간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이한 색상의 식물(PL)은 상이한 색상을 통해 기호나 문자를 형성한다.
식물함(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30)의 플러그(31)가 수직프레임(10)의 플러그 홀더(33)에 결합됨에 따라 수직프레임(1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필요시 수직프레임(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어 다른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그리고, 식물함(20)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결합부(23)가 또 다른 식물함의 결합부나 수직프레임(10)의 조립부(13)에 결합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식물함(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21)가 형성되어 다량의 식수재(20)가 충전되므로 식물(PL)이 용이하게 식재될 뿐만 아니라 식물(PL)의 양분공급이 용이하다. 이에 더하여, 식물함(20)은 수분조절물질이 함유되어 쉽게 건조되거나 과도하게 물이 흡수되지 않으므로 식물(PL)을 건강하게 육성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는 식물함(20)을 수직프레임(10)에 설치한 후 식물함(20)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큐알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캐닝한다.
컨트롤러(60)는 외부의 단말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식물함(20)에 식재된 식물(PL)의 관리요청신호를 확인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를 위한 제어신호를 중앙서버(63)에서 마스터 모듈(62)로 인가한다. 이때, 중앙서버(6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부(64b)에서 독출된 제어신호DB(64a)의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생육환경정보DB의 정보에 의해 상기 식물에 물을 공급한다. 즉 컨트롤러는 상기 식물의 물을 언제 주는지 등의 정보에 따라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물정보DB의 정보에 의해 상기 식물의 생육온도를 확인하여 상기 식물을 관리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상정보DB를 통해 입력되는 기상정보에 따라 물을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는 우기시에는 물을 자주 공급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큐알코드는 상기 식물함이나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인접한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큐알코드는 스마트폰 등에 촬영될 경우 상기 식물의 정보, 즉 식물의 이름, 특징, 온도나 습도, 공기정화등의 기초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기초정보는 서버에 저장되어 인터넷망이나 무선통신망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수직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에 홈이 형성된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다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홈에 삽입되는 롤러가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가 상기 프로파일에 걸려서 고정됨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다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2)

  1.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벽체형태의 패널을 형성하는 수직프레임;
    일측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식물이 식수되는 식수재가 내장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결합되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식물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식물함;
    상기 식물함의 일부분을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속시켜서 식물함을 수직프레임에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커플러;
    상기 식물함에 공급되는 물이 저수된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상기 식물함으로 공급하여 식물함의 식물에 급수하는 급수기;
    상기 급수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식물함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틀이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적층상태로 마련되어 식물함들이 삽입틀에 삽입된 상태의 다단형 패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식물함은,
    상기 식수재의 충전량이 확장되도록 내부에 단차가 형성되고, 천연목재에 의해 함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함은,
    외측면에 끼움돌기나 끼움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마련되어 다른 식물함의 결합부를 이루는 끼움돌기 또는 끼움홈과 결합되거나 상기 수직프레임에 마련된 결합홈이나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조립부와 결합되어 조립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식수재가 자연토양, 인공토양, 천연섬유로 구성된 팰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식수재는 수분을 조절하는 수분조절물질이 함유되며,
    상기 수분조절물질은, 과립이나 덩어리 형태의 숯이나 중공사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식물함의 타측에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를 갖는 플러그;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갖는 홈형태의 플러그 홀더;를 포함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는,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식물함에 열결되어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식물함으로 이송하는 이송관; 및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관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제어밸브는,
    상기 이송관이 연결된 상기 식물함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는,
    상기 컨트롤러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이송관의 물이 결빙되거나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빙방지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빙방지기는,
    상기 이송관을 가열하여 이송관을 히팅하는 이송관 히터나, 이송관에 풍압을 제공하여 이송관에 잔존하는 물을 이송관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브로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함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저수탱크로 회수하는 회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수기는,
    상기 식물함에서 배수되는 물을 저수하는 저수트랩; 및
    상기 저수트랩의 물을 상기 저수탱크로 안내하여 회수하는 회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기에서 회수된 물을 정화하여 상기 저수탱크에 제공하거나,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정화하여 상기 급수기에 제공하는 정화기;를 더 포함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물함이나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급수기에 설치되고, 급수를 위해 식물함이나 수직프레임 또는 급수기에 장착된 전자장비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슬래브 모듈;
    상기 슬래브 모듈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슬래브 모듈로부터 제어확인신호를 수신하는 마스터 모듈; 및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마스터 모듈로 송신하거나 상기 제어확인신호를 수신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물함에 식수된 식물의 생육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급수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가 저장된 제어신호DB;
    상기 제어신호DB에 저장된 제어신호들 중에서 외부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요청되는 해당식물의 제어신호를 독출하여 상기 급수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기에 전송하는 독출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해당식물의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독출신호를 상기 독출부에 제공하거나,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제어기기에 전송된 것을 확인시키는 전송확인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물함에 식수된 식물의 이름 및 종류를 포함하는 식물정보가 저장된 식물정보DB; 및
    상기 식물함에 식수된 식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저장된 큐알코드의 스캐닝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신호를 상기 단말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해서 상기 독출부에 인가하여 독출부를 통해 코드신호에 해당하는 식물정보를 추출하거나, 독출부에서 추출된 코드신호에 해당하는 식물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코드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기상정보 수신부; 및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에 수신되는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기상정보 독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독출부에 제공하는 독출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독출부는,
    상기 식물함에 식수된 식물의 생육환경정보 및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신호DB에 저장된 환경기상 제어신호를 독출하여 상기 제어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에 홈이 형성된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다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홈에 삽입되는 롤러가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가 상기 프로파일에 걸려서 고정됨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다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KR1020130059985A 2012-05-25 2013-05-27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KR201301323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88 2012-05-25
KR20120056288 2012-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338A true KR20130132338A (ko) 2013-12-04

Family

ID=4998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985A KR20130132338A (ko) 2012-05-25 2013-05-27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23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737B1 (ko) * 2019-06-04 2020-01-28 에스그린랩 주식회사 다기능 식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737B1 (ko) * 2019-06-04 2020-01-28 에스그린랩 주식회사 다기능 식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5549B2 (en) Apparatus for aeroponically growing and developing plants
US7926224B1 (en) Green wall planting module, support structure and irrigation control system
US20110093122A1 (en) Green Wall Lighting and Irrig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JP6905279B2 (ja) 自動灌水及び植物の成長分析で生育管理が容易な壁面造園システム
KR102061403B1 (ko) 가정용 식물재배를 위한 스마트 식물재배장치
JP2007077706A (ja) 潅水機構付き移動垣根
KR20180006420A (ko) 식물재배장치
KR20120126832A (ko) 다기능 화분장치
US106874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growing vegetation in arid environments
WO2011148011A1 (es) Sistema para el ajardinado de fachadas
KR101039808B1 (ko)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착탈식 화분
US20120198766A1 (en) Method for adaptive reuse of historic buildings for high density organic agriculture
KR20130132338A (ko) 패널형 식물육성장치
JP2003023868A (ja) 屋上およびビル周囲の緑化のための植物栽培装置
CN108738924A (zh) 一种具有自动灌溉功能的光伏型种植大棚
KR20160106949A (ko) 관수장치를 활용한 벽면녹화 장치
CN103931440B (zh) 一种室内碳化软木立式植物栽培装置
KR102577141B1 (ko) 이끼생육을 통한 스마트 공기질개선장치
US20110232185A1 (en) Collapsible rack and row planters
KR20150055813A (ko) 급수형 가로수 보호구
CN104012343B (zh) 植物栽培装置
US20230354754A1 (en) Modular vertical cultivation wall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a modular vertical cultivation wall
CN205389672U (zh) 一种植物幕墙
CN210695214U (zh) 塑料大棚的微型模拟装置
CN207969427U (zh) 一种家庭蔬菜及花草种植全自动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