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126A -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그의 장치 - Google Patents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그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126A
KR20130132126A KR1020120056263A KR20120056263A KR20130132126A KR 20130132126 A KR20130132126 A KR 20130132126A KR 1020120056263 A KR1020120056263 A KR 1020120056263A KR 20120056263 A KR20120056263 A KR 20120056263A KR 20130132126 A KR20130132126 A KR 20130132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ng
missing person
information
person
s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재
Original Assignee
김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재 filed Critical 김현재
Priority to KR1020120056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2126A/ko
Publication of KR2013013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종자 찾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SNS 정보처리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실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등록 단계,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단계, 및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 및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종자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실종자 관련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려 상기 제1 단말기가 실종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실종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그의 장치{METHOD FOR SEARCHING MISSING PERSON USING SNS AND MOBILE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실종자 찾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황 판단 능력이 없는 유아, 호기심이 많은 어린이,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 또는 정신 지체 장애인 등과 같이 인지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보호자가 잠깐만 신경을 쓰지 못해도 순식간에 길을 잃어 미아가 되거나 실종자가 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미아나 실종자들을 보호자들이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단지 유포, 방송, 미아나 실종자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시행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845025호(2008.07.02) "실종자 정보 게시 장치 및 방법"에서는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미아나 노인, 행방 불명자 등의 각종 실종자에 대한 정보를 영상 등으로 게시하여 해당 실종자 정보를 인지한 사람들을 통해 실종자에 대한 제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실종자 정보 게시 장치 및 방법을 게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05-0090204호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람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실종자 발생 시에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종자의 신상 정보와 실종자의 특정 부위 이미지를 신속하게 사람 찾기 서버에 등록시켜, 경찰서나 고아원 등의 유관 기관으로 전송하여, 보호자가 실종자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사람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게시하고 있다.
미아나 실종자의 경우, 상황이 발생한 즉시 가능한 빠르게 대처해야 해당 미아나 실종자를 찾을 확률이 높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미아 발생이나 실종 즉시 미아나 실종자에 대한 정보를 많은 대중에게 빠르게 유포하는 것이 아니므로, 신속히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NS 서버를 이용하여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의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 간에 실종자 신상 정보 및 실종자 관련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신속하게 정보를 획득하여 조기에 미아나 실종자를 찾을 수 있는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은,
SNS 정보처리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실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등록 단계,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단계, 및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 및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종자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실종자 관련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려 상기 제1 단말기가 실종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실종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를 갱신하여 재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재등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종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선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는, 실종자 이름, 실종자 나이, 실종자 성별, 실종자에 대한 이미지(예를 들어,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실종자에 대한 사진), 실종자에 대한 동영상(예를 들어,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실종자에 대한 동영상), 실종자 옷차림에 대한 정보, 실종 시간, 실종 장소, 및 보호자의 연락처(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은, 진동, 벨소리,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장치는,
제1 단말기로부터 실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등록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부, 및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 및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종자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실종자 관련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려 상기 제1 단말기가 실종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실종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를 갱신하여 재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재등록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종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선별적으로 표시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분석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는, 실종자 이름, 실종자 나이, 실종자 성별, 실종자에 대한 이미지(예를 들어,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실종자에 대한 사진), 실종자에 대한 동영상(예를 들어,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실종자에 대한 동영상), 실종자 옷차림에 대한 정보, 실종 시간, 실종 장소, 및 보호자의 연락처(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은, 진동, 벨소리,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NS 서버를 이용하여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내의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 간에 실종자 신상 정보 및 실종자 관련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신속하게 정보를 획득하여 조기에 미아나 실종자를 찾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아래의 도면은 발명의 일 실시예를 표현한 것일 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취지는 아니다.
이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제1 단말기(10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들(102), 및 SNS 서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101), 상기 제2 단말기들(102), 및 상기 SNS 서버(103)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단말기(101)는 미아 또는 실종자의 보호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101)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정보 단말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102)는 상기 보호자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101)와 유사하게, 상기 제2 단말기(102)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상기 SNS 서버(103)는 SNS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이다.
상기 제1 단말기(101)를 통해 입력되는 실종자 신상 정보를 상기 SNS 서버(103)에 등록하고, 상기 SNS 서버(103)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들(102)이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들(102)을 통해 입력되는 실종자 관련 정보를 상기 SNS 서버(103)에 등록하고, 상기 SNS 서버(103)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101)가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미아 또는 실종자를 찾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은 SNS 정보처리장치가 제1 단말기(101)로부터 실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등록 단계(S201),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102)로부터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단계(S202), 및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 및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종자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101)에 실종자 관련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려 상기 제1 단말기(101)가 실종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실종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 단계(S2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실종자가 발생한 지점에서 예를 들어, 반경 500m, 반경 1Km 등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소정의 거리가 반경 500m로 설정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제1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102)로부터 입력되는 실종자 관련 정보가 없다면, 상기 제1 소정의 거리를 변경(예를 들어, 반경 1Km)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미아 또는 실종자 발생 즉시 미아 또는 실종자의 보호자의 제1 단말기(101)를 통해 실종자 신상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예를 들어, 트위터(twitter) 등)에 등록할 수 있다(S201). 다음으로, 상기 제2 단말기(102)가 상기 SNS 서버(103)로부터 실종자 신상 정보를 획득하고, 실종자 관련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가 상기 제2 단말기(102)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실종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S202). 그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된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가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에 연관되어 등록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101)에 실종자 관련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S203).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101)가 상기 제2 단말기(102)를 통해 입력된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미아 또는 실종자를 찾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방법은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를 갱신하여 재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재등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상기와 같은 실종자 신상 정보를 갱신하여 재등록하는 단계를 통해 좀더 정확한 실종자 신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좀더 정확한 실종자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종자 신상 정보를 재등록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들(102)의 사용자들에게 실종 상황을 알리는 빈도를 높여 실종자 관련 정보를 얻어 미아나 실종자를 찾을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설정 시간은 상기 제1 단말기(101)를 통한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분마다 또는 10분마다 최종 실종 시점에서 얼마의 시간이 경과했는지에 대한 시간 정보를 재산출하여 실종자 신원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102)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종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단말기(101)에 선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로 등록되는 정보 중 "빨간 모자 착용"이라는 단어가 있을 경우,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에 상응하여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종자 관련 정보 중 "빨간 모자"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101)에 우선적으로 표시하거나, "빨간 모자"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돋보이게(예를 들어, 특수 기호를 사용하여 중요 메시지임을 알 수 있도록 표시 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는 실종자 이름, 실종자 나이, 실종자 성별, 실종자에 대한 이미지(예를 들어,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실종자에 대한 사진), 실종자에 대한 동영상(예를 들어,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실종자에 대한 동영상), 실종자 옷차림에 대한 정보, 실종 시간, 실종 장소, 및 보호자의 연락처(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는 앞서 설명한 사항 이외에 상기 실종자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사항들(예를 들어, 몸짓, 특징 있는 말투, 신체적 특징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은 진동, 벨소리,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될 경우, 상기 제1 단말기(101)로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가 등록되었다는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소정의 벨소리를 재생하여, 상기 제1 단말기(101)의 사용자에게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가 등록된 사실을 알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왼쪽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101)를 이용하여, 실종자 이미지, 실종자 나이, 실종자 성별 등과 같이 실종자를 구별할 수 있는 실종자 신상 정보를 SNS 서버(103)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종자 이미지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1)에 저장되어 있는 실종자 사진 파일일 수 있다.
또한, 도 3의 오른쪽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이 구현되는 다른 단말기들(102)을 통해 입력되는 실종자 관련 정보가 상기 이동 단말기(101)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들(101, 102)을 통해 신속히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미아 발생이나 실종자 발생 시 빠르게 정보를 획득하여 미아나 실종자를 찾을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장치는 제1 단말기(101)로부터 실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등록부(40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102)로부터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부(403), 및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 및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종자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101)에 실종자 관련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려 상기 제1 단말기(101)가 실종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실종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 등록부(401)는 사용자(바람직하게는, 미아나 실종자의 보호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여 다른 이동 단말기들이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부(403)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들(102)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한다.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부(404)는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 등록부(401)에서 등록된 정보와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부(403)에서 등록된 정보가 서로 관련이 있다고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101)에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린다. 예를 들어,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가 상기 등록된 실종자 신상 정보에 추가하여 등록되는 것일 경우(예를 들어, 댓글과 같은 형태로 추가되는 경우),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는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와 서로 관련이 있다고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단말기(101)가 상기 등록된 실종자 관련 정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획득된 실종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실종자를 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장치는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를 갱신하여 재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재등록부(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 재등록부(402)는, 예를 들어, 상기 실종자의 실종 시간 정보를 재산출하여 갱신하거나, 최초 등록 시 누락된 실종자 신상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재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102)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종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단말기(101)에 선별적으로 표시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분석부(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분석부(405)는, 예를 들어,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 등록부(401)를 통해 등록되는 실종자 신상 정보와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부(403)를 통해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종자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와 일치하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실종자 관련 정보를 판별해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분석부(405)는, 예를 들어, 상기 실종자 관련 정부 등록부(403)를 통해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종자 관련 정보들을 서로 비교하여, 유사한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실종자 관련 정보들을 판별해 낼 수 있다.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분석부(405)를 이용하여, 상기 실종자를 찾기 위해 좀더 유효하거나, 정확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으므로, 미아나 실종자를 찾을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해당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균등 범위 내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1 : 제1 단말기
102 : 제2 단말기
103 : SNS 서버
401 : 실종자 신상 정보 등록부
402 : 실종자 신상 정보 재등록부
403 :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부
404 :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부
405 : 실종자 관련 정보 분석부

Claims (10)

  1.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처리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실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등록 단계;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단계; 및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 및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종자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실종자 관련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려 상기 제1 단말기가 실종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실종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 단계;
    를 포함하는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를 갱신하여 재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재등록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종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선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는,
    실종자 이름, 실종자 나이, 실종자 성별, 실종자에 대한 이미지(예를 들어,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실종자에 대한 사진), 실종자에 대한 동영상(예를 들어,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실종자에 대한 동영상), 실종자 옷차림에 대한 정보, 실종 시간, 실종 장소, 및 보호자의 연락처(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은,
    진동, 벨소리,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6. 제1 단말기로부터 실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등록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서버에 등록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부; 및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 및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종자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실종자 관련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려 상기 제1 단말기가 실종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실종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부;
    를 포함하는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를 갱신하여 재등록하는 실종자 신상 정보 재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거리 이내의 제2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종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선별적으로 표시하는 실종자 관련 정보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는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종자 신상 정보는,
    실종자 이름, 실종자 나이, 실종자 성별, 실종자에 대한 이미지(예를 들어,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실종자에 대한 사진), 실종자에 대한 동영상(예를 들어,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실종자에 대한 동영상), 실종자 옷차림에 대한 정보, 실종 시간, 실종 장소, 및 보호자의 연락처(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종자 관련 정보 등록 알림은,
    진동, 벨소리,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장치.
KR1020120056263A 2012-05-25 2012-05-25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그의 장치 KR20130132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63A KR20130132126A (ko) 2012-05-25 2012-05-25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그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63A KR20130132126A (ko) 2012-05-25 2012-05-25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그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126A true KR20130132126A (ko) 2013-12-04

Family

ID=4998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263A KR20130132126A (ko) 2012-05-25 2012-05-25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그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21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9349A (zh) * 2015-11-30 2016-04-06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目标人员救助方法、装置及服务器
KR20180029482A (ko) * 2016-09-12 2018-03-21 최영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92434A (ko) * 2017-02-09 2018-08-20 권양호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아찾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9349A (zh) * 2015-11-30 2016-04-06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目标人员救助方法、装置及服务器
KR20180029482A (ko) * 2016-09-12 2018-03-21 최영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92434A (ko) * 2017-02-09 2018-08-20 권양호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아찾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2503A (ko) 정보 처리 방법, 장치, 단말기 및 서버
JP6223735B2 (ja) 捜索制御装置、捜索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954310B2 (en) Customized interactive computing environment
KR20130132126A (ko)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그의 장치
WO2015030269A1 (ko) 상점의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JP2006072812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6139925A (ja) 迷子探索システムおよび迷子探索方法ならびに経路誘導画面生成プログラム
CN11428590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系统
US201903640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8160213A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9243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아찾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206217A (ja) アンケートシステム
CN107113557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2014157262A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5388382B2 (ja) データ交換サーバ及びデータ交換方法
JP2017116596A (ja) 情報取得装置、情報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445966A (zh) 信息推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15156152A (ja) サービス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情報管理方法
JP7303360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5194972A (ja) 場所検知装置、場所検知プログラムおよび場所検知方法
JP2015032187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23949B2 (ja) 抽選通知装置、抽選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23093B2 (ja) 端末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JP6548770B2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イベント運営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47967B1 (ko) 연락 유도 방법 및 연락 유도용 어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