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482A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482A
KR20180029482A KR1020160117475A KR20160117475A KR20180029482A KR 20180029482 A KR20180029482 A KR 20180029482A KR 1020160117475 A KR1020160117475 A KR 1020160117475A KR 20160117475 A KR20160117475 A KR 20160117475A KR 20180029482 A KR20180029482 A KR 20180029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st
social network
child
mi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230B1 (ko
Inventor
최영림
Original Assignee
최영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림 filed Critical 최영림
Priority to KR1020160117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2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은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미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미아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미아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확산된 상기 미아 정보를 기반으로 발견된 경우,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미아 정보의 확산 단계를 고려하여 보상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finding missing child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미아를 찾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찰청 미아 발생 통계에 따르면 매년 7,000여명(8세 미만)이 미아로 신고되고 있다. 그러나 미아 발생 방지책(유전자 등록 제도 등)에 대한 아이디어와 대책들은 제시되고 있으나, 미아 발생 후 미아들을 찾기 위한 대책은 캠페인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실효성 없는 미아 찾기 캠페인, 수사 등으로 소요되는 국가적 비용과 아이를 잃어버린 가족들의 뼈아픈 슬픔, 아이들이 받을 고통을 생각한다면 저비용 고효율 미아 찾기 프로그램과 국민들의 미아 찾기 중요성 인식 제고를 위한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10-2007-0060435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은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미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미아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미아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확산된 상기 미아 정보를 기반으로 발견된 경우, 상기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상기 미아 정보의 확산 단계를 고려하여 보상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아 정보는 미아 인상 착의 정보, 미아 실종 장소 정보, 미아 실종 시간 정보 및 미아 찾기 보상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미아 정보를 1차적으로 전송할 제1 사용자 장치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서 결정하되,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된 미아 실종 장소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미아 정보를 2차적으로 전송할 제2 사용자 장치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서 결정하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상기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된 상기 미아 실종 시간과 현재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결정된 확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 범위 및 상기 확장 범위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및 상기 미아 실종 시간의 교통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미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아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미아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확산된 상기 미아 정보를 기반으로 발견된 경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상기 미아 정보의 확산 단계를 고려하여 보상금을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아 정보는 미아 인상 착의 정보, 미아 실종 장소 정보, 미아 실종 시간 정보 및 미아 찾기 보상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미아 정보를 1차적으로 전송할 제1 사용자 장치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서 결정하되,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된 미아 실종 장소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미아 정보를 2차적으로 전송할 제2 사용자 장치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서 결정하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상기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된 상기 미아 실종 시간과 현재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결정된 확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 범위 및 상기 확장 범위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및 상기 미아 실종 시간의 교통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미아 정보를 전파하여 미아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미아 실종 위치 및 미아 실종 시간을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미아 정보가 전파되고 미아를 찾을 확률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미아 찾기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아 정보를 공유한 소셜 네트워크를 역으로 트래킹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미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미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에서 미아 정보를 확산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아 찾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아 찾기 방법을 수행하는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에도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한 미아 찾기 시스템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SNS를 활용한 미아 찾기는 최종 제보자 외 중간 연결 단계에 위치한 사람들에게는 보상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미아 찾기를 독려하기 위한 연결 유인이 현저하게 낮아 미아 정보의 확산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미아 찾기 시스템은 처음부터 최종 제보자까지 미아 찾기를 위해 미아 정보를 확산시킨 소셜 네트워크 내 상의 사용자들을 트래킹할 수 있다. 미아가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찾아진 경우, 미아 찾기를 위해 가동된 모든 소셜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들에게 보상금이 일정 비율로 분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아에 대한 정보(이하, 미아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미아 찾기를 위한 활동이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미아 찾기 방법을 기반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미아 찾기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미아 찾기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미아 찾기 시스템은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100), 소셜 네트워크 서버(120) 및 사용자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100)는 미아에 관련된 정보(이하, 미아 정보)를 생성하고 미아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미아 정보는 미아를 찾기 위한 미아의 인상 착의 정보, 미아의 실종과 관련된 정보(미아 실종 장소 정보, 미아 실종 시간 정보 등), 미아 찾기 보상금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버(120)는 미아 정보를 수신하고 미아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의 사용자 장치(140)로 전달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들 사이에서 미아 정보에 대한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40)는 소셜 네트워크 서버(120)로부터 미아 정보를 수신하고 미아 정보에 대한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간에 미아 정보에 대한 공유가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공유된 미아 정보를 기반으로 미아가 발견된 경우, 해당 미아 정보를 공유한 소셜 네트워크를 역으로 트래킹하여 미아 정보를 공유한 사용자들에 대해 보상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미아 정보를 공유한 소셜 네트워크를 역으로 트래킹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아 정보를 공유한 소셜 네트워크를 역으로 트래킹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미아 찾기에 대한 보상금을 분배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를 역으로 트래킹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복수의 단계를 통해 미아가 발견된 경우, 각 단계 별로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단계가 5단계이고, 보상 금액이 1000만원인 경우,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결정적 제보를 한 제일 마지막 사용자(예를 들어, 5단계 사용자(250))에게 보상 금액의 50%인 500만원이 주어지고,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마지막 사용자에게 미아 정보를 직접적으로 전달한 4명의 사용자(제1 단계 사용자(210) 내지 제4 단계 사용자(240))가 나머지 50%의 보상 금액을 균등/또는 차분으로 분배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마지막 사용자에게 미아 정보를 직접적으로 전달한 4명의 사용자(제1 단계 사용자(250) 내지 제4 단계 사용자(240))가 나머지 보상 금액을 균등하게 분배받는 경우, 4명의 사용자(제1 단계 사용자(210) 내지 제4 단계 사용자(240))가 125만원씩을 분배받을 수 있다.
반대로,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마지막 사용자에게 미아 정보를 직접적으로 전달한 4명의 사용자가 나머지 보상 금액을 차등적으로 분배받는 경우, 제일 처음 미아 정보를 처음 전파한 단계인 1단계 사용자(210)와 제5단계 사용자(250)에게 미아 정보를 직접적으로 전달한 제4단계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보상 금액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들에게 보상금을 분배하는 방법은 하나의 예시로서 이외의 다양한 보상금 분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미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미아 발생 지역을 고려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미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미아 발생 지역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미아 발생 지역에 위치한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들에게 1차적으로 미아 정보(300)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에서 미아가 발생한 경우, 서울 강남구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1차적으로 미아 정보(300)가 전송되어 서울 강남구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기준으로 미아 정보(300)의 1차적인 확산이 수행될 수 있다.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미아 정보(300)를 전송할 수 있되, 미아 정보(300)는 미아 발생 시간 정보(310), 미아 발생 지역 정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미아 정보(300)에 포함된 미아 발생 지역 정보(320)를 기반으로 미아 발생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들에게 우선적으로 미아 정보를 1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기반으로 미아 발생 지역에 인접한 사용자들이 우선적으로 미아 정보를 전달받아 주변에서 미아에 대해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시간의 지남에 따라 미아 정보(300)의 전파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미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미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미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되나, 미아 정보의 전송 범위의 확장은 소셜 네트워크 서버 자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미아 정보의 전송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아 실종 시간 정보에 포함되는 미아 실종 시간을 기준으로 30분 단위로 미아 정보의 전송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차로 이동하는 것을 가정하여 30분이 지나면 미아 발생 위치(400)를 기준으로 제1 범위(410), 1시간이 지나면 제2 범위(420), 1시간30분이 지나면 제3 범위(430)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미아 정보의 전송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불필요하게 미아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서 미아 발생 가능성이 높은 범위에만 미아 정보가 집중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아 발생 지역의 교통을 고려하여 미아 정보의 확장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아 발생 지역(400)/미아 발생 시간의 도로 교통, 대중 교통 시설 등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시간에 따른 미아 정보의 전송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미아 발생 지역(400)이 교통망이 발달된 도심인 경우, 미아 발생 지역(400)이 교통망이 발달된 도심이 아닌 경우보다 더욱 미아 정보의 전송 범위의 확장이 빠르게 될 수 있다. 미아 발생 시간이 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대인 경우, 상대적으로 더욱 미아 정보의 전송 범위의 확장이 빠르게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에서 미아 정보를 확산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미아 정보를 확산시킴에 있어서 지역 정보를 고려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수신하여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미아 정보를 확산시킴에 있어서 지역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가능한 최대 범위(예를 들어, 국내)를 이동할 수 있는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일)이 경과한 경우, 전국 범위로 미아 정보에 대한 확산이 수행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버는 미아 정보를 공유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미아 정보의 확산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아 정보가 서울 지역 사용자, 대전 지역 사용자에게는 공유되었으나, 대구 지역 사용자, 부산 지역 사용자에게 아직 공유되지 않은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버는 대구, 부산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미아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지역 내에서 미아 정보의 확산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미아 정보의 확산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행정 구역별로 인구수를 고려하여 행정 구역별로 임계 미아 정보 확산수(510)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과 같이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대도시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제1 임계 미아 정보 확산수가 설정되고, 반대로 지방과 같이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장소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임계 미아 정보 확산수가 설정될 수 있다.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분할 지역별로 미아 정보 확산수(510)를 산출하고, 산출된 미아 정보 확산수(510)가 임계 미아 정보 확산수(520)보다 작은 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분할 지역의 추가적인 미아 정보의 확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분할 지역(예를 들어, 행정 구역) 별로 정보 공유 사용자 수 및 정보 공유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를 맺고 있는 사용자의 수를 고려하여 임계 미아 정보 확산수(520)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행정 구역에서 정보 공유 사용자 수가 100명이고, 정보 공유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를 맺고 있는 사용자의 수가 100명인 경우, 10,000 이 특정 행정 구역의 미아 정보 확산수일 수 있다. 만약, 해당 분할 지역의 임계 미아 정보 확산수(520)가 8,000인 경우, 해당 분할 지역의 사용자를 기반으로 한 미아 정보의 확산은 추가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해당 분할 지역의 임계 미아 정보 확산수(520)가 15,000인 경우, 해당 분할 지역의 사용자를 기반으로 한 미아 정보의 확산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아 찾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미아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600).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개인/또는 관공서(예를 들어, 경찰청)으로부터 미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미아 정보는 미아를 찾기 위한 미아의 인상 착의 정보, 미아의 실종과 관련된 정보(미아 실종 장소 정보, 미아 실종 시간 정보 등), 미아 찾기 보상금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미아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단계 S610).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아 실종 장소 정보,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특정한 사용자에게 미아 정보를 우선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아의 실종이 발생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에 위치한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들에게 1차적으로 미아 정보가 전송될 수 있고,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미아 정보의 전송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즉,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미아 정보를 전송할 사용자 장치로서 미아 실종 장소 정보를 고려하여 미아 정보를 1차적으로 전송할 제1 사용자 장치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장치는 미아 실종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된 미아 실종 장소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미아 정보를 전송할 사용자 장치로서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더 고려하여 미아 정보를 2차적으로 전송할 제2 사용자 장치를 결정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장치는 미아 실종 시간과 현재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결정된 확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임계 범위 및 확장 범위는 미아 실종 장소 및 미아 실종 시간의 교통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분할 지역별로 미아 정보 확산수와 임계 미아 정보 확산수를 고려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추가적인 미아 정보의 확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미아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확산된 미아 정보를 기반으로 발견된 경우,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미아 정보의 확산 단계를 고려하여 보상금을 결정한다(단계 S620).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최종 정보 제공자 및 최종 정보 제공자까지 미아 정보를 확산한 소셜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사용자의 보상금을 결정하고, 보상금에 대한 지급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아 찾기 방법을 수행하는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통신부(710), 미아 정보 확산부(720), 보상금 결정부(730) 및 프로세서(7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개인/또는 관공서(예를 들어, 경찰청)으로부터 미아 정보를 수신하고, 미아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미아 정보 확산부(720)는 미아 실종 장소 정보,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특정한 사용자에게 미아 정보를 우선적으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상금 결정부(730)는 최종 정보 제공자 및 최종 정보 제공자까지 미아 정보를 확산한 소셜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사용자의 보상금을 결정하고, 보상금에 대한 지급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40)는 통신부(710), 미아 정보 확산부(720), 보상금 결정부(73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은,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미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미아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미아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확산된 상기 미아 정보를 기반으로 발견된 경우, 상기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상기 미아 정보의 확산 단계를 고려하여 보상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아 정보는 미아 인상 착의 정보, 미아 실종 장소 정보, 미아 실종 시간 정보 및 미아 찾기 보상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미아 정보를 1차적으로 전송할 제1 사용자 장치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서 결정하되,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된 미아 실종 장소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미아 정보를 2차적으로 전송할 제2 사용자 장치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서 결정하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상기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된 상기 미아 실종 시간과 현재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결정된 확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범위 및 상기 확장 범위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및 상기 미아 실종 시간의 교통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미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아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미아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확산된 상기 미아 정보를 기반으로 발견된 경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상기 미아 정보의 확산 단계를 고려하여 보상금을 결정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아 정보는 미아 인상 착의 정보, 미아 실종 장소 정보, 미아 실종 시간 정보 및 미아 찾기 보상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미아 정보를 1차적으로 전송할 제1 사용자 장치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서 결정하되,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된 미아 실종 장소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미아 정보를 2차적으로 전송할 제2 사용자 장치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서 결정하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상기 미아 실종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된 상기 미아 실종 시간과 현재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결정된 확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범위 및 상기 확장 범위는 상기 미아 실종 장소 및 상기 미아 실종 시간의 교통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찾기 서비스 서버.
KR1020160117475A 2016-09-12 2016-09-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 KR10188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475A KR101887230B1 (ko) 2016-09-12 2016-09-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475A KR101887230B1 (ko) 2016-09-12 2016-09-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482A true KR20180029482A (ko) 2018-03-21
KR101887230B1 KR101887230B1 (ko) 2018-09-10

Family

ID=6190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475A KR101887230B1 (ko) 2016-09-12 2016-09-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2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435A (ko) 2005-12-08 2007-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증발기 세척 구조와 이를 구비한 차량의 hvac 장치
KR100827015B1 (ko) * 2007-10-01 2008-05-02 (주) 아이워리어 온라인 소셜네트워크에서의 사회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20130132126A (ko) * 2012-05-25 2013-12-04 김현재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그의 장치
KR20150032415A (ko) * 2013-09-17 2015-03-26 미디어아이(주) 리워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0752A (ko) * 2014-10-06 2016-04-15 이원찬 불루투스를이용한분실물(사람과사물)찾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435A (ko) 2005-12-08 2007-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증발기 세척 구조와 이를 구비한 차량의 hvac 장치
KR100827015B1 (ko) * 2007-10-01 2008-05-02 (주) 아이워리어 온라인 소셜네트워크에서의 사회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20130132126A (ko) * 2012-05-25 2013-12-04 김현재 Sns 및 이동 기기를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및 그의 장치
KR20150032415A (ko) * 2013-09-17 2015-03-26 미디어아이(주) 리워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0752A (ko) * 2014-10-06 2016-04-15 이원찬 불루투스를이용한분실물(사람과사물)찾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230B1 (ko) 201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16333A1 (en) Determining targeting information based on a predictive targeting model
Steel et al. Why evictions do not deter street traders: Case study in Accra, Ghana
Huckle et al. Density of alcohol outlets and teenage drinking: living in an alcogenic environment is associated with higher consumption in a metropolitan setting
US852159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ing using data networks based on groupings associated with internet-connectable devices
US8428623B2 (en) Geographic position based reward system
JP6026524B2 (ja) 仮想idマネージャ
KR101161078B1 (ko) 모바일 환경에서 타깃된 콘텐츠 메시지들의 사용자 상호연관의 학습 및 예측을 위한 키워드 벡터들 및 연관된 메트릭들을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589230B1 (en) Crowd specific targeted advertising
US20160241997A1 (en) Geofence entry timestamps from diverse sources
US20100241709A1 (en) User contribution based mapping system and method
Caryl et al.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children’s exposure to tobacco retailing based on individual-level GPS data in Scotland
JP201307348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Sha et al. Associations of childhood socioeconomic status with mid‐life and late‐life cognition in Chinese middle‐aged and older population based on a 5‐year period cohort study
WO2014078643A1 (en) Cross device identity generator
Ayedee et al. Role of media (Television) in creating positive atmosphere in COVID 19 during lockdown in India
de Souza et al. Spatial clustering, social vulnerability and risk of leprosy in an endemic area in Northeast Brazil: an ecological study
Mears et al. Mapping urban greenspace use from mobile phone GPS data
Hu et al. The “tipping point” feature of social coupons: An empirical investigation
Xu et al. Micromobility trip origin and destination inference using general bikeshare feed specification data
KR101887230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아를 찾는 방법 및 장치
Robertson Roads to COVID-19 Containment and Spread
Odunsi et al. Geo-Visualisation of COVID-19 Pandemic and Vaccination in Nigeria: A Regional Approach
Taha et al. THE EFFECT OF APPLYING GEOFENCING TECHNOLOGY ON THE EGYPTIAN CUSTOMERS'PURCHASING INTENTION TO TOUR SERVICES
Blattman et al. Pre-Analysis Plan for ‘The Impact of Hotspot Policing and Municipal Services on Crime: Experimental Evidence from Bogotá’
Ieiri et al. Walk rally application for revitalizing shopping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