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1959A -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1959A
KR20130131959A KR1020120055954A KR20120055954A KR20130131959A KR 20130131959 A KR20130131959 A KR 20130131959A KR 1020120055954 A KR1020120055954 A KR 1020120055954A KR 20120055954 A KR20120055954 A KR 20120055954A KR 20130131959 A KR20130131959 A KR 20130131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mode
communication channel
application processor
time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1959A/ko
Priority to US13/902,148 priority patent/US9210659B2/en
Publication of KR20130131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용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중지되는 경우 휴면 모드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만료 시 통신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휴면 모드 플래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가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휴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는 상기 휴면 모드 진입을 위하여 기 설정된 최대 대기 시간을 기 설정된 분할 횟수로 나눈 분할 주기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표시부 오프 상태에서 슬립 모드 진입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전류 소모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RMANCY MODE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 오프 상태에서 휴면 모드 진입 시간을 감소시켜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 전원을 통해 구동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를 사용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전류 소모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다수의 프로세서(예컨대, 통신용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 CP)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 AP))를 포함하는 스마트 폰(Smart-phone)이 증가함에 따라 전류 소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폰과 같이 다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통신용 프로세서로부터 불필요한 이벤트를 수신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표시부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통신용 프로세서로부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거나, 통신 채널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더라도 별도로 처리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표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통신용 프로세서와의 데이터 전송이 중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면 모드 타이머(Dormancy Mode Timer)를 구동하고,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 만료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휴면 모드로 진입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구동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웨이크-락(Wake-lock) 함수를 호출하여,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휴면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휴면 모드 진입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도 휴면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주기가 큰 값을 가지는 경우 휴면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져 전류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불필요하게 깨어있는 시간이 길어져 전류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부의 온/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통신용 프로세서로부터 통신 채널 상태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면 모드 타이머의 주기(최대 대기 시간)를 다수개로 분할하고, 각 분할 주기마다 휴면 모드 진입 여부를 체크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가 빠르게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용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중지되는 경우 휴면 모드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만료 시 통신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휴면 모드 플래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가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휴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는 상기 휴면 모드 진입을 위하여 기 설정된 최대 대기 시간을 기 설정된 분할 횟수로 나눈 분할 주기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장치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용 프로세서; 및 표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중지되는 경우 휴면 모드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 만료 시 통신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휴면 모드 플래그를 확인하며,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가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휴면 모드로 진입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는 상기 휴면 모드 진입을 위하여 기 설정된 최대 대기 시간을 기 설정된 분할 횟수로 나눈 분할 주기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표시부의 온/오프 여부와 관계없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통신 채널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휴면 모드 타이머의 주기(최대 대기 시간)를 다수로 분할하여 생성된 분할 주기마다 휴면 모드 진입 여부를 확인함에 따라 슬립 모드로 빠르게 진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 수신 시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 미수신 시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하, "휴면 모드(Dormancy Mode)"는 기지국과의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되어 휴대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진입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휴면 모드는 슬립 모드로 진입을 방지하는 다양한 요소들 중 기지국과의 통신 채널 연결 요소가 제거된 상태로, 슬립 모드 진입을 방지하는 다른 요소들이 제거되는 경우 슬립 모드(Sleep Mode)로 진입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다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의 휴면 모드를 제공하는 단말기로,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nel Computer)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50), 표시부(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통신용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 CP, 1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 AP, 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기지국과 통화(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 포함)를 위한 음성 통신 채널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채널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미도시),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미도시) 및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부(150)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채널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여 통신용 프로세서(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 또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의 상태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통신용 프로세서(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자원 제어(RRC)는 무선 베어러 (Radio Bearer: RB)들의 설정 (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상기 트래픽 채널은 음성 또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을 의미하며, 순방향 트래픽 채널과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홈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일정 관리 화면, 주소록 화면, 웹 페이지 출력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0)는 일정 시간 이상 입력 신호가 없거나, 상기 표시부(130)의 오프(OFF)를 요청하는 키 신호 입력 시 오프(OFF)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부(미도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동영상 파일, 게임 파일, 음악 파일, 영화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장부(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의 휴면 모드 진입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면 모드 제어 프로그램은 표시부(130) 오프 시 통신용 프로세서(1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중지되는지 확인하는 루틴,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지 시 휴면 모드 진입을 위해 기 설정된 최대 대기 시간을 기 설정된 분할 횟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대기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휴면 모드 타이머를 구동하는 루틴, 통신용 프로세서(10)로부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의 수신 시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을 변경하는 루틴,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 만료 시 휴면 모드 플래그를 확인하고, 휴면 모드 플래그가 "1"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를 휴면 모드로 진입시키고, 휴면 모드 플래그가 "0"인 경우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를 재구동하는 루틴,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상기 분할 횟수 이상 만료될 때까지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가 "0"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를 휴면 모드로 진입시키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휴면 모드 진입을 위하여 설정되는 최대 대기 시간(T) 및 분할 횟수(N)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휴면 모드 플래그 값을 저장하는 영역 및 휴면 모드 타이머 만료 횟수(n)를 저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통신용 프로세서(1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10)는 무선 통신 기능 제어를 담당하는 프로세서로, 통신 모뎀 기능을 수행하며, 메시지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10)는 표시부(130)의 온 또는 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통신 채널(예컨대 무선 자원 제어(RRC) 또는 트래픽 채널) 상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 채널 상태에 관한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프로세서(10)는 표시부(130)의 온/오프 상태와 관계없이 통신 채널 상태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와 동기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프로세서(10)는 표시부(130) 오프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10)는 자체 판단 하에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된 경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채널 연결 메시지는 통신 완료 시 기지국으로부터 생성되어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가 약전계 또는 노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통신용 프로세서(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휴대 단말기(100)의 메인 처리 장치로, 컴퓨터(Personnel Computer)의 중앙처리장치(CPU)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웨이크-락(Wake-Lock) 처리부(21) 및 휴면 모드(Dormancy Mode) 처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락 처리부(21)는 휴대 단말기(100)가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이크-락 처리부(21)는 휴면 모드 처리부(22)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웨이크-락 처리부(21)는 휴면 모드 처리부(22)에 의해 휴면 모드 타이머가 구동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휴대 단말기(100)가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휴면 모드 처리부(22)는 표시부(130)가 오프된 상태에서 통신용 프로세서(1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중지되었을 때, 활성화되어 휴면 모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는 기 설정된 최대 대기 시간을 기 설정된 분할 횟수로 나눈 분할 주기를 카운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최대 대기 시간이 90초로 설정되고, 분할 횟수가 9회로 설정된 경우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는 10초(= 90초 / 9)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는 상기 분할 주기를 최대 9회(분할 횟수)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휴면 모드 처리부(22)는 상기 분할 주기 만료 시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 수신 여부에 따라 휴면 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10)로부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신 채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휴면 모드 진입 여부를 나타내는 휴면 모드 플래그(Dormancy Mode Flag)의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휴면 모드 진입이 가능한 상태임을 의미하고,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휴면 모드 진입이 불가능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후,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 만료 시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을 확인하고,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휴면 모드 처리부(2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를 휴면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통신용 프로세서(10)에 별도의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분할 횟수만큼(예컨대 9회) 만료될 때까지 상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아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이 "0"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휴면 모드 처리부(22)는 통신용 프로세서(20)에 휴면 모드 진입 명령(휴면 모드 진입 요청 메시지)을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를 휴면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서는 통신용 프로세서(1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가 하나의 칩(One Chip)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1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별도의 칩(Chip)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수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 수신 시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301 단계에서 통신용 프로세서(10)에 서비스를 요청하고, 303 단계에서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와 통신용 프로세서(10)는 프로세서간 통신(Inter Process Communication :IPC)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기지국과의 통신 채널 연결을 요청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304 단계에서 표시부(130)의 오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의 오프가 감지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305 단계에서 통신용 프로세서(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중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중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상기 305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307 단계로 진행하여 휴면 모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휴면 모드 진입을 위한 최대 대기 시간(T)은 90초로 설정되고, 상기 최대 대기 시간(T)의 분할 횟수(N)는 9회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분할 주기(t)는 10초(T/N)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 만료 횟수(n) 및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은 "0"으로 설정된다. 상기 최대 대기 시간(T) 및 상기 분할 횟수(N)는 통신사 또는 제조사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구동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상기 분할 주기 동안 슬립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웨이크-락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상기 분할 주기와 동일하게 웨이크-락 타이머의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10)는 309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또는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통신 채널 연결을 해제하고, 311 단계에서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313 단계에서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315 단계에서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315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316 단계에서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13 단계에서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이 "1"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317 단계에서 휴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부(130)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통신 채널 상태에 대한 메시지(예컨대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여 통신 채널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통신 채널 상태 정보를 상기 분할 주기마다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휴면 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부 오프 상태에서도 통신 채널 연결 해제를 인식할 수 있고, 웨이크-락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전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 미수신 시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401 단계에서 통신용 프로세서(10)에 서비스를 요청하고, 403 단계에서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와 통신용 프로세서(10)는 IPC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404 단계에서 표시부(130)의 오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의 오프가 감지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405 단계에서 통신용 프로세서(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중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중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상기 405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407 단계로 진행하여 휴면 모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휴면 모드 진입을 위한 최대 대기 시간(T)은 90초로 설정되고, 상기 최대 대기 시간(T)의 분할 횟수(N)는 9회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분할 주기(t)는 10초(T/N)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 만료 횟수(n) 및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은 "0"으로 설정된다. 상기 최대 대기 시간(T) 및 상기 분할 횟수(N)는 통신사 또는 제조사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구동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상기 분할 주기 동안 슬립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웨이크-락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상기 분할 주기와 동일하게 웨이크-락 타이머의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409 단계에서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409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410 단계에서 휴면 모드 플래그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 값은 "0"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 값이 "0"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411 단계에서 타이머 만료 횟수(n)를 1만큼 증가시키고, 413 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만료 횟수(n)와 분할 횟수(N)가 동일한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 만료 횟수(n)와 분할 횟수(N)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415 단계로 진행하여 휴면 모드 타이머를 재구동하고, 상기 409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타이머 만료 횟수(n)와 분할 횟수(N)가 동일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417 단계에서 휴면 모드 진입 명령을 통신용 프로세서(10)에 전송하고, 419 단계에서 휴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채널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통신용 프로세서(10)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10)로부터 응답 메시지 수신 시 휴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답 메시지는 통신 채널 연결 해제 완료 메시지 또는 통신 채널이 이미 해제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01 단계에서 통신용 프로세서(10) 및 기지국과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03 단계에서 표시부(130)의 오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의 오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05 단계에서 통신용 프로세서(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중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중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상기 505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07 단계로 진행하여 휴면 모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휴면 모드 타이머의 최대 대기 시간(T)은 90초로 설정되고, 분할 횟수(N)는 9회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분할 주기(t)는 10초(= T/N)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 만료 횟수(n) 및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은 "0"으로 설정된다. 상기 최대 대기 시간(T) 및 상기 분할 횟수(N)는 통신사 또는 제조사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구동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상기 분할 주기 동안 슬립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웨이크-락 처리부(21)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웨이크-락 처리부(21)가 타이머를 가지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웨이크-락 처리부(21) 타이머의 주기를 상기 분할 주기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09 단계에서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후술하는 513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11 단계에서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을 "1"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13 단계에서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09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15 단계에서 휴면 모드 플래그 값이 "1"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 값이 "1"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23 단계로 진행하여 휴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 값이 "1"이 아닌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17 단계에서 타이머 만료 횟수(n)를 1만큼 증가시키고, 519 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만료 횟수(n)와 분할 횟수(N)가 동일한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 만료 횟수(n)와 분할 횟수(N)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21 단계로 진행하여 휴면 모드 타이머를 재구동하고, 상기 509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타이머 만료 횟수(n)와 분할 횟수(N)가 동일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는 523 단계에서 휴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표시부
150 : 무선 통신부 10 : 통신용 프로세서
20 :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21 : 웨이크-락 처리부
22 : 휴면 모드 처리부

Claims (13)

  1.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용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중지되는 경우 휴면 모드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만료 시 통신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휴면 모드 플래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가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휴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는
    상기 휴면 모드 진입을 위하여 기 설정된 최대 대기 시간을 기 설정된 분할 횟수로 나눈 분할 주기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가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만료 횟수가 상기 분할 횟수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만료 횟수가 상기 분할 횟수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타이머를 재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만료 횟수가 상기 분할 횟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휴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로부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 미수신 시 상기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 수신 시 상기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 구동 시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웨이크-락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7.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용 프로세서; 및
    표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중지되는 경우 휴면 모드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 만료 시 통신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휴면 모드 플래그를 확인하며,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가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휴면 모드로 진입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는
    상기 휴면 모드 진입을 위하여 기 설정된 최대 대기 시간을 기 설정된 분할 횟수로 나눈 분할 주기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가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만료 횟수가 상기 분할 횟수와 동일한지 확인하고,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만료 횟수가 상기 분할 횟수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타이머를 재구동하며,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만료 횟수가 상기 분할 횟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휴면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되고,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가 상기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의 만료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로부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 미수신 시 상기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을 유지하며, 상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 수신 시 상기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상기 휴면 모드 플래그의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 구동 시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슬립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웨이크-락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휴대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웨이크-락을 설정하는 웨이크-락 처리부; 및
    상기 휴면 모드 타이머 구동 및 상기 휴면 모드 진입을 제어하는 휴면 모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기지국과의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자체적으로 판단된 경우 통신 채널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통신 채널 연결 해제 메시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장치.
KR1020120055954A 2012-05-25 2012-05-25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131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954A KR20130131959A (ko) 2012-05-25 2012-05-25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3/902,148 US9210659B2 (en) 2012-05-25 2013-05-24 Dormancy mod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954A KR20130131959A (ko) 2012-05-25 2012-05-25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959A true KR20130131959A (ko) 2013-12-04

Family

ID=4962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954A KR20130131959A (ko) 2012-05-25 2012-05-25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10659B2 (ko)
KR (1) KR201301319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2239A (ja) * 2012-02-02 2013-08-19 Sharp Corp 抑止装置、抑止装置の制御方法、被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516127B2 (en) 2013-03-25 2016-12-06 Seven Networks, Llc Intelligent alarm manipulator and resource tracker
US9351254B2 (en) 2014-01-22 2016-05-24 Seven Networks, Llc Method for power saving in mobile devices by optimizing wakelocks
US11171803B2 (en) 2014-02-08 2021-11-09 Switchmate Home Llc Smart home communications architecture
US9841802B2 (en) 2014-02-20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Wake lock management through application monitoring
CN105228229A (zh) * 2014-06-27 2016-0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户设备ue资源处理方法、装置、基站及终端
ES2725440T3 (es) * 2014-11-20 2019-09-24 Huawei Tech Co Ltd Dispositivo de procesamiento de tareas, aparato inteligente, método de procesamiento de tareas y procesador de banda base
US10095305B2 (en) * 2016-06-18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Wake lock aware system wide job scheduling for energy efficiency on mobile devices
JP2018089915A (ja) * 2016-12-07 2018-06-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処理装置、携帯機器、処理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認証要求プログラム
CN106650409B (zh) * 2016-12-13 2019-08-0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终端
CN107094317B (zh) * 2017-03-30 2020-12-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及方法
CN106900048B (zh) * 2017-03-30 2020-11-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及方法
CN106900046B (zh) * 2017-03-30 2020-10-09 山东云尚大数据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及方法
CN107018560B (zh) * 2017-03-30 2020-11-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及方法
CN106961719B (zh) * 2017-03-30 2020-12-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及方法
CN106961718B (zh) * 2017-03-30 2020-10-30 新沂市摩尔网络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及方法
CN108848417A (zh) * 2018-07-20 2018-11-20 晶晨半导体(上海)股份有限公司 唤醒锁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10688165A (zh) * 2019-09-26 2020-01-1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应用唤醒锁管理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2825589B (zh) * 2019-11-21 2022-03-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进入休眠行为的方法和终端
CN112867106B (zh) * 2019-11-28 2023-05-1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通信方法、系统以及无线接入点
CN111200746B (zh) * 2019-12-04 2021-06-0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处于待机状态时被唤醒的方法及显示设备
US11887589B1 (en) * 2020-06-17 2024-01-30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based interactions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4173339B (zh) * 2020-09-10 2023-05-05 合肥君正科技有限公司 快速连接WiFi网络的方法与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3391936A (zh) * 2021-06-15 2021-09-14 西安联乘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车载智能天线设备的可靠性测试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25289D0 (en) * 1999-10-27 1999-12-29 Ibm Method and means for adjusting the timing of user-activity-dependent changes of operational state of an apparatus
US7898994B2 (en) * 2002-02-25 2011-03-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saving in multi-processor device
KR100801649B1 (ko) * 2006-10-12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의 대기모드 절전 방법
US8181059B2 (en) * 2008-09-26 2012-05-15 Apple Inc.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channel including power-down functionality
US8904206B2 (en) * 2010-01-26 2014-12-02 Motorola Mobility Llc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application continuity
US8817856B2 (en) * 2010-05-27 2014-08-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uspend mode in dual modem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10659B2 (en) 2015-12-08
US20130316769A1 (en)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1959A (ko) 휴대 단말기의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9371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power-saving signal
US11297675B2 (en) Implementation method, devic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discontinuous reception
US11985599B2 (en) Channel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CN113038577B (zh) 一种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设备
US20210160779A1 (en) Wake-up method, wake-up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1027451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iggering bandwidth part handover, an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formation configuration
US11553433B2 (en) User equipment power-saving method and devic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20120117099A (ko) 휴대 단말기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US11646856B2 (en) Timing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85214A (ko) 사물 인터넷 통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711864B2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US11700578B2 (en) Downlink control signaling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20295397A1 (en) Wake-up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issu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medium
US11540214B2 (en) Timer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US20210127334A1 (en) Physical downlink control signaling detec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18120032A1 (zh) 小区切换方法和终端设备
US11937180B2 (en) Carrier activation method, device, apparatus,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2633497B1 (ko) 정보 표시 및 해석 장치와 방법,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US9225374B2 (en) Mobile device having SIM card, base station connected thereto, and battery management method thereof
US20240057210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3018012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terminal
CN104205994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的操作状态同步的设备和方法
US92773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of mobile terminal
US20210410157A1 (en) Data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