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1508A - 소목(Caesalpinia sappan L.) 물 추출물 잔사의 유효성분인 brazilein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목(Caesalpinia sappan L.) 물 추출물 잔사의 유효성분인 brazilein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1508A KR20130131508A KR1020120055100A KR20120055100A KR20130131508A KR 20130131508 A KR20130131508 A KR 20130131508A KR 1020120055100 A KR1020120055100 A KR 1020120055100A KR 20120055100 A KR20120055100 A KR 20120055100A KR 20130131508 A KR20130131508 A KR 201301315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acne
- water
- fraction
- grou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소목(Caesalpinia sappan L.) 물 추출물 잔사의 유효성분인 brazilein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목(Caesalpinia sappan L.) 물 추출물 잔사의 유효성분인 brazilein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주로 얼굴, 가슴, 등, 어깨 등에 발생하는 면포, 구진, 농포, 낭종 및 결절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피지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과거에는 주로 사춘기 남녀에 발생하였으나, 공기 오염, 약물 남용 등으로 근래에는 나이와 상관없이 발생하여, 여드름이 나는 연령층이 매우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여드름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여드름의 발생 요인으로는 피지 분비의 증가, 피지선을 자극하는 호르몬인 androgen과 모피지선에서 번식하여 피지를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을 형성하는 propionibacterium acnes에 의한 염증 진전, 모낭 내 이상 각화, 유전적 소직 등의 주요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피부의 pilosebaceous unit에는 그람양성, coagulase음성, 호기성 세균인 Staphylococci, Micrococci와 lipophilic yeast들인 pityrosporum ovale 및 pityrosporum orbiculare (이들 Pityrosporum species는 Malassezia fufure 및 malassezia species로 재분류), 혐기성 균주인 P. acnes, P. granulosum 등이 상재하며, 이들 균주들의 활성에 의해 여드름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특히 혐기성 균주인 P. acnes에 의해 피지선 및 모낭의 염증반응이 유도된다. 호기성 피부 상재균은 염증의 일차적 원인은 아니지만, 염증 발생 부위를 더욱 확장 시켜, 여드름이 악화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여드름의 치료 목적은 보통 복합적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여드름 치료는 병원성 인자를 억제하는 것에 있다. 여드름의 발생 정도에 따라 국소 도포제 사용에서부터 항생제나 retinoids를 경구로 투여하는 경우도 있다. 증상이 경미한 여드름은 국소도포요법 만으로도 충분히 치료될 수 있으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국소도포요법과 경구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국소도포요법제로 사용되는 대표적 약물로는 benzoyl peroxide, zelaic acid, retinoic acid, salicylic acid, sulfur 및 국소도포항생제 등이 있으며, 이들 중 benzoyl peroxide, azelaic acid 및 retinoic acid, triclosan등 제제의 주 효능은 항균작용 및 면포용해작용 등이지만 과량 도포시 피부발적 또는 피부건조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초기에 기미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된 azelaic acid는 중등도와 심한 여드름에 사용하여 좋은 효과가 보고된 후 여드름 치료제로 많이 쓰이고 있는 약물이며, P. acnes에 대한 항균작용 및 이상 각화를 호전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약물제들은 구순염, 점막 건조감, 최기 형성작용, 기미, 혈전증 등의 부작용과 항생제 내성균주의 출현, 치료 중단시의 재발 등의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Salicylic acid 및 sulfur 제제는 치료효과가 미비할 뿐만 아니라 피부발작 또는 피부 기피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 여드름을 더욱 악화시키기도 한다. Staphylococcus aureus는 병원감염과 지역사회획득감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독소연관질환, 피부 및 연부조직 감염, 요로감염, 폐렴 및 균혈증 등의 다양한 질환을 일으킨다. S. aureus에 의한 균혈증은 골수염, 심내막염, 뇌막염 등 다양한 합병증과 높은 사망률의 원인이 되며, 그 원인의 2/3는 병원감염과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피부에 포도상구균 집락이 아토피피부염의 병변을 악화시킬 수 있음은 지난 20년에 걸쳐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포도상구균의 초항원이 아토피피부염의 발병에 관여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보통의 항원이 항원제시세포를 통해 MHC class 항원으로 제시되어 T세포 수용체의 MHC class 분자 펩타이드와의 결합부위에 결합하는 반면, 초항원은 항원 세포의 MHC class 항원과 T세포 수용체 사슬의 variable region에 직접 결합하여 T세포 활성화를 유도한다. 포도상구균에서 생산되는 staphylococcal enterotoxin A(SEA)나 B(SEB) 또는 toxin shock syndrome toxin-1(TSST-1) 등이초항원으로 작용, 비특이적인 방법으로 다양한 T세포 수용체에 결합하여 대량의 T세포 활성화를 유도하며, 실제로 SEB를 정상인의 피부에 첩포하였을 때 홍반이나 경결등의 피부 변화를 보여준다. 또한 포도상구균 장독소에 대한 특이- IgE 친화력이 강한 제 1형 수용체(FcRI)의 발현이 아토피 피부염에서 증가되어 있는 것은 초항원이 알레르겐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으면서 강력한 항균 활성 및 항염 효능을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들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목(Caesalpinia sappan L.) 물 추출물 잔사의 유효성분인 brazilein이 여드름의 원인균인 P. acne에서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례는 소목 추출물 및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는 소목의 추출물 및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소목 물 추출물의 잔사 및/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소목은(caesalpinia sappan L.)은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남부 등의 열대 아시아에 분포하는 낙엽 관목의 콩과 식물이다. 소방목(蘇方木),적목(赤木), 홍자(紅紫)등으로 불리우며, 목재는 단단하고, 심재는 밝은 홍색이며, 나무껍질과 열매에는 색소를 가지고 있어서 홍색염료의 자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인도의 동부, 중국의 남부와 동남아시아(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 퍼져있다. 나무 원줄기를 베서 껍질과 목질부 변두리를 잘라버리고 가운데부분만을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심재에는 무색의 원색소인 brazilin이 약 2% 포함되어 있고 이 화합물은 연노란색 결정으로 brazilin이 공기와 만나면 산화하여 brazilein으로 된다. Brazilin은 1982년 Perkin 등에 의해 구조가 밝혀진 Benz(b)-Indeno(2,1-d) pyran 유도체로 주로 염료나 산 및 알칼리 지시약 또는 식품첨가물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소목에는 -L-phellandren, ocime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정유 및 tannin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소목은 혈액 응고 촉진작용(Xie etal .,2000), 항경련 작용 (Baek etal .,2000), 항보체 효과(Oh etal.,1998)등의 효과가 있음이 보고 됐으며, 한방에서는 혈분에 작용하여 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 어혈과 종기를 없애고 특히 어혈을 없애는 작용이 뛰어나고 통증을 없애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어혈로 인한 타박손상, 월경통, 월경폐색, 현훈, 출산 후 각종 증상에 사용한다(bae etal.,2005, Ratu etal.,2003). 그리고, 항균antimicrobial), 세포독성효과(cytotoxic), 항산화(antioxidation), 간보호(hepatoprotective), 근수축(muscle contractile activity) 등의 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소목의 성분 및 구조에 대한 연구로는, Saitoh 와 Namikoshi등이 3-benzylchroman 유도체와 moisoflavonoids에 관한 연구가 있었으며, 소목 유용성분에 대한 연구로는 campesterol, stigmasterol, -sitostero, hematein,sappanin, volatile oils, protosappanin A, protosappanin B, protosappanin E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소목(Caesalpinia sappan L.)을 사용하여 여드름 예방을 위한 항균효과 시험을 한 결과 항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소목은,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발명의 조성물을 소목으로부터 얻어진 물 추출물 및/또는 잔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목 추출물은 물 및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통상의 소목 추출방법으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항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은 소목을 60 내지 80%(v/v)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획물은 상기 얻어진 추출물을 상기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극성 순으로 적용하여 각 적용시마다 얻어지는 분획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헥산 분획물 상기 헥산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여 얻어진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상기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부탄올로 분획하여 얻어진 부탄올 분획물 및 상기 부탄올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물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소목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온침 추출법, 초음파분쇄 추출법 등에 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압추출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소목 추출물은 통상적 방법으로 건조된 건조물과 통상적 방법으로 농축된 농축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목(Caesalpinia sappan L.) 물 추출물 잔사의 유효성분인 brazilein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여드름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므로, 여드름 치료에 보다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소목 물 추출물 및 분획물, 물 추출물 잔사 수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소목 물 추출물 및 분획물, 물 추출물 잔사의 여드름균(P. acnes ) 생육억제환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여드륨균 최소억제농도(MIC)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구강균 최소억제농도(MIC)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구강균 최소억제농도(MIC)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포도상구균 최소억제농도(MIC)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1H NMR spectrum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13C-NMR spectrum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Maldi-tof Mass spectrum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소목 물 추출물 잔사를 구조 분석하여 밝힌 brazilein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소목 물 추출물 및 분획물, 물 추출물 잔사의 여드름균(P. acnes ) 생육억제환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여드륨균 최소억제농도(MIC)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구강균 최소억제농도(MIC)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구강균 최소억제농도(MIC)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포도상구균 최소억제농도(MIC)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1H NMR spectrum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13C-NMR spectrum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Maldi-tof Mass spectrum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소목 물 추출물 잔사를 구조 분석하여 밝힌 brazilein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대표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준비
본 실험에서 사용한 소목은 2010년 인도네시아산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료 제조예1
소목 물 추출물은 100에서 3번 반복하여 농축한 뒤 동결건조 하여 분말로 얻었다. 이 물 추출물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methylenechoride 층(MC층), ethylacetate층(EtOAc층), n-Buthnol층(n-BuOH층), water층 순으로 각각 용매 분획하고 각 층을 감압농축 후 동결건조 시킨 뒤 분말로 만들어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 제조예2
소목을 물 추출한 후, 여과지에 남은 잔사들을 다시 100% ethanol로 녹여준 후, 여과액을 감압농축기(Bchi Rotavapor R-220, Swiss)로 용매를 날린 후, 질소 가스로 용매를 날려 주어 소목잔사를 얻었다.
건조 소목으로부터 물 추출에 의해 얻은 초기 수율은 총 1.69%였으며 이를 이용한 유기용매 분획물의 수율은 물 추출물을 극성에서 비극성순으로 분획하여 농축한 결과, 수율은 MC fr. 2.17%, EtOAc fr. 29.13%, n-BuOH fr. 11.02%, 그리고 water fr. 10.24% 이었으며, 소목 물 추출물 잔사(residue)는 54.92%가 나왔다. 따라서 소목 물 추출물 잔사가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실시예 1. 사용균주, 배지 및 배양조건
본 발명에 사용된 균주는 여드름의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KCTC3314, 구강균인 Streptococcus mutans KCTC3065, Streptococcus sobrinus KCTC5134, Staphylococcus aures KCTC1621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유전자 은행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http://kctc.kribb.re.kr)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항균 활성 시험
항균 활성 측정은 디스크 확산법(paper disk diffusion method)과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MIC)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1차 항균검색; paper disc method
소목 분획물 및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항균활성 검색실험은 paper disc diffusion법을 적용하였다. 항균성 검색에 사용한 P. acnes (여드름균주)를 RCA 고체배지에서 3일간 배양하여 활성화 시킨 후, RC배지 10 mL에 RCA배지에 있는 여드름균을 one colony따서 접종한 후, anaerobic jar에서 Gaspack system(Merck.Anaerocult Gaspack system, Germany) 을 이용하여 밀봉하고 37 incubator에서 3일 동안 혐기성 배양하여 균액으로 사용하였고, S. mutans, S. sobrinus는 각각에 배지에 접종한 후, anaerobic jar에서 Gaspack system(Merck.Anaerocult Gaspack system, Germany) 을 이용하여 밀봉하고 37 incubator에서 1일 동안 혐기성 배양하였으며 S. aureus는 배지에 접종한 후 37 incubator에서 1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 균액들을 각각의 agar plate에 멸균된 면봉으로 접종해주었다. 균액이 포함된 배지가 plate표면에서 굳은 후, paper disc(8 mm, adventec, USA)를 균주를 접종한 plate 표면 위에 올려놓고, 각 시료를 DMSO를 이용하여 녹여준 다음 농도를 50 L/disc씩 흡수 시켰다. 각 시료가 처리된 agar plate를 anaerobic jar에서 Gaspack system을 이용하여 3일간 배양한 후, disc 주위의 생육 억제환의 크기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현재 여드름 균에 대한 항생제로 사용하고 있는 triclosan에 대해 같은 방법으로 효능을 비교하였다.
소목 분획물 및 물 추출물 잔사를 가지고 여드름균인 P. acnes와 충치균인 S. mutans, S. sobrinus에 대한 항균 효과를 실험한 결과, 5 mg/mL일 때 여드름균에 대해서는 소목 물 추출물 93.3 mm, 소목 물 추출물 잔사 163.3 mm, MC fr. 6 mm, EtOAc fr. 4 mm 순으로 소목 물 추출물 잔사에서 가장 높은 항균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충치균인 S. mutans 에서는 소목 물 추출물 잔사가 6.3 mm, 물 추출물이 2.3 mm, MC와 EtOAc fr.에서 각각 1 mm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S. sobrinus에서도 물 추출물 잔사만 4 mm로 높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S. aureus에서도 물 추출물 잔사, 물 추출물 순으로 각각 8.3, 4.3 mm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1> 소목 물 추출물 및 분획물, 물 추출물 잔사의 여드륨균 생육억제환의 크기
Sample | Strains |
Concentration
(g/ mL ) |
Inhibition zone( mm ) | ||||
1 st | 2 nd | 3 rd | Average | ||||
C.
sappan
L.
|
water ex . |
P.
acnes
|
50 |
60 | 110 | 110 | 93.3 |
residue | 160 | 170 | 160 | 163.3 | |||
MC fr . | 3 | 2 | 3 | 2.6 | |||
EtOAc fr . | 4 | 4 | 4 | 4 | |||
n- Butanol fr . | ND | ND | ND | ND | |||
water fr . | ND | ND | ND | ND | |||
Triclosan | 160 |
* ND(not dectected): no antibacterial effects
* Triclosan : Positive control
<표 2> 소목 물 추출물 및 분획물, 물 추출물 잔사의 구강균(S. mutans) 생육억제환의 크기
Sample
|
Strains
|
Concentration
(g/ mL ) |
Inhibition
zone(
mm
)
|
||||
1
st
|
2
nd
|
3
rd
|
Average
|
||||
C.
sappan
L.
|
water
ex
.
|
S.
mutans
|
50 |
2 |
3 |
2 |
2.3 |
residue
|
6 |
7 |
6 |
6.3 |
|||
MC
fr
.
|
1 |
1 |
1 |
1 |
|||
EtOAc
fr
.
|
1 |
1 |
1 |
1 |
|||
n-
Butanol
fr
.
|
ND |
ND |
ND |
ND |
|||
water
fr
.
|
ND |
ND |
ND |
ND |
|||
Triclosan
|
7 |
* ND(not dectected): no antibacterial effects
* Triclosan : Positive control
<표 3> 소목 물 추출물 및 분획물, 물 추출물 잔사의 구강균(S. sobrinus) 생육억제환의 크기
Sample
|
Strains
|
Concentration
(g/ mL ) |
Inhibition
zone(
mm
)
|
||||
1
st
|
2
nd
|
3
rd
|
Average
|
||||
C.
sappan
L.
|
water
ex
.
|
S.
sobrinus
|
50 |
ND |
ND |
ND |
ND |
residue
|
4 |
4 |
4 |
4 |
|||
MC
fr
.
|
ND |
ND |
ND |
ND |
|||
EtOAc
fr
.
|
ND |
ND |
ND |
ND |
|||
n-
Butanol
fr
.
|
ND |
ND |
ND |
ND |
|||
water
fr
.
|
ND |
ND |
ND |
ND |
|||
Triclosan
|
6 |
* ND(not dectected): no antibacterial effects
* Triclosan : Positive control
<표 4> 소목 물 추출물 및 분획물, 물 추출물 잔사의 포도상구균(S. aureus) 생육억제환의 크기
Sample
|
Strains
|
Concentration
(g/ mL ) |
Inhibition
zone(
mm
)
|
||||
1
st
|
2
nd
|
3
rd
|
Average
|
||||
C.
sappan
L.
|
water
ex
.
|
S.
aureus
|
50 |
4 |
4 |
5 |
4.3 |
residue
|
8 |
9 |
8 |
8.3 |
|||
MC
fr
.
|
2 |
3 |
4 |
3 |
|||
EtOAc
fr
.
|
3 |
3 |
3 |
3 |
|||
n-
Butanol
fr
.
|
ND |
ND |
ND |
ND |
|||
water
fr
.
|
ND |
ND |
ND |
ND |
|||
Triclosan
|
ND |
* ND(not dectected): no antibacterial effects
* Triclosan : Positive control
2차 항균검색; MIC method
Paper disc 방법으로 1차 검색하여 선발된 효과가 좋은 물질의 최소 억제 농도 측정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은 96-well plate를 이용한 broth dilution법을 일부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다양한 균주를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여 활성 화 시킨 후, 균액으로 사용하였다. 균액을 배양배지 180 L가 들어 있는 96-well plate의 각 well에 20 L씩 접종해 주었다. DMSO에 녹인 소목물 추출물 잔사 및 물추출 분획물 및 물 추출물 잔사(10 mg/mL)을 액체 배지를 이용하여 2배수씩 희석(two-fold serial dilution)하여 농도별로 균주와 배지가 들어있는 96-well plate에 20 L씩 넣어 주고 잘 섞어주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triclosan을 사용하였다. 균액 및 시료를 접종한 96-well plate를 37에서 3일 또는 24시간 동안 혐기/호기 배양한 후, 620 nm에서 흡광을 측정하였다.
1차 항균검색에서 효과를 나타낸 분획물과 물 추출물 잔사를 가지고 여러 가지 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를 시험한 결과, 여드름 균주인 P. acnes에서 0.02 g/mL의 IC90값을 나타내었으며 구강균인 S. mutans , S. sobrinus에서는 각각 0.24, 0.05 g/mL IC90값을, 포도상구균인 S. aureus 0.02 g/mL의 IC50 값을 나타내어 소목물 추출물 잔사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5> 소목 물 추출물 및 분획물, 물 추출물 잔사의 여드름균(P. acnes) 최소억제농도
Sample
|
Strains
|
MIC
(
IC
90
: g/
mL
)
|
|
C.
sappan
L.
|
water ex. |
P.
acnes
|
0.06 |
residue |
0.02 |
||
MC fr. |
ND |
||
EtOAc fr. |
ND |
||
Triclosan |
0.03 |
* Triclosan : Positive control
<표 6> 소목 물 추출물 및 분획물, 물 추출물 잔사의 구강균(S. mutans) 최소억제농도
Sample
|
Strains
|
MIC
(
IC
90
: g/
mL
)
|
|
C.
sappan
L.
|
water ex. |
S.
mutans
|
0.34 |
residue |
0.24 |
||
MC fr. |
1.03 |
||
EtOAc fr. |
0.94 |
||
Triclosan |
0.004 |
* Triclosan : Positive control
<표 7> 소목 물 추출물 및 분획물, 물 추출물 잔사의 구강균(S. sobrinus ) 최소억제농도
Sample
|
Strains
|
MIC
(
IC
90
: g/
mL
)
|
|
C.
sappan
L.
|
water ex. |
S.
sobrinus
|
ND |
residue |
0.05 |
||
MC fr. |
ND |
||
EtOAc fr. |
ND |
||
Triclosan |
ND |
* Triclosan : Positive control
<표 8> 소목 물 추출물 및 분획물, 물 추출물 잔사의 포도상구균(S. aureus ) 최소억제농도
Sample
|
Strains
|
MIC
(
IC
50
: g/
mL
)
|
|
C.
sappan
L.
|
water ex. |
S.
aureus
|
0.03 |
residue |
0.02 |
||
MC fr. |
0.04 |
||
EtOAc fr. |
0.06 |
||
Triclosan |
0.004 |
* Triclosan : Positive control
실시예
3. 소목 물 추출물
잔사의
구조분석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소목 물 추출물 잔사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구조 동정을 하였다. 1H-NMR(도 7)에서는 6~8ppm에서는 벤젠고리의 수소정보를 알 수 있는 것으로 1, 11, 2, 4, 8번의 수소가 차례대로 나온 것을 볼 수 있으며, 11번 proton은 주의에 수소가 없어서 singlelet으로 나타났다. 6번 수소를 보면 적분값이 약 1로써 합치면 수소개수가 2개인 것을 알 수 있고 7번 수소의 적분값은 약 2로써 수소개수가 2개이므로 singlelet이 겹쳐져서 나타났다, 13C-NMR(도 8)에서는 180ppm에서 나타난 peak는 9번 peak로 C=O을 나타냈고 6번과 6a은 C-O-로 연결 되었으며 7번 CH2 peak은 solvent와 겹쳐져 있다. 나머지 peak들은 brazilein의 나머지 탄소 peak로 표준품의 data와 일치하였다. Maldi-tof mass로(도 9)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 이 화합물의 분자량은 284로, [M+H] 285로 나타나서 정확히 일치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모든 결과를 바탕으로 화학구조식을 분석한 결과 brazilein(도 10) 으로 밝혀졌다.
Claims (6)
- 소목 물 추출물, 물 추출물 잔사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 스트렙토콕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lococcus aureus), 스트렙토콕커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으로 이루어진 균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소목을 물 및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물,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소목을 60 내지 80%(v/v)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로 및 부탄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소목을 60 내지 80%(v/v)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상기 추출물을 헥산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헥산 분획물 및 상기 헥산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여 얻어진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및 상기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물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목은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5100A KR101400975B1 (ko) | 2012-05-24 | 2012-05-24 | 소목(Caesalpinia sappan L.) 물 추출물 잔사의 유효성분인 brazilein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5100A KR101400975B1 (ko) | 2012-05-24 | 2012-05-24 | 소목(Caesalpinia sappan L.) 물 추출물 잔사의 유효성분인 brazilein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1508A true KR20130131508A (ko) | 2013-12-04 |
KR101400975B1 KR101400975B1 (ko) | 2014-05-28 |
Family
ID=4998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5100A KR101400975B1 (ko) | 2012-05-24 | 2012-05-24 | 소목(Caesalpinia sappan L.) 물 추출물 잔사의 유효성분인 brazilein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097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86705A1 (ko) * | 2017-04-05 | 2018-10-11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WO2020027574A1 (ko) * | 2018-07-31 | 2020-02-06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나한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US10590466B2 (en) * | 2015-06-23 | 2020-03-17 | Fathima Benazir Jahangir Ali | Plant based dye for staining of biological samples, extraction method and uses thereof |
KR20220120168A (ko) * | 2021-02-23 | 2022-08-30 | 주식회사 가인화장품 |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7122A (ko) * | 2008-07-11 | 2010-01-22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
-
2012
- 2012-05-24 KR KR1020120055100A patent/KR10140097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90466B2 (en) * | 2015-06-23 | 2020-03-17 | Fathima Benazir Jahangir Ali | Plant based dye for staining of biological samples, extraction method and uses thereof |
WO2018186705A1 (ko) * | 2017-04-05 | 2018-10-11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WO2020027574A1 (ko) * | 2018-07-31 | 2020-02-06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나한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N112367859A (zh) * | 2018-07-31 | 2021-02-12 | 韩国韩医学研究院 | 包含罗汉果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呼吸系统疾病的组合物 |
JP2021528107A (ja) * | 2018-07-31 | 2021-10-21 | コリア・インスティトゥート・オブ・オリエンタル・メディスン | 羅漢果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呼吸器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
KR20220120168A (ko) * | 2021-02-23 | 2022-08-30 | 주식회사 가인화장품 |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0975B1 (ko) | 2014-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Qa'dan et al. |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sidium guajava and Juglans regia leaf extracts to acne-developing organisms | |
Xiong et al. |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antibacterial bioactive compounds from Lonicera japonica Thunb. leaves | |
KR101400975B1 (ko) | 소목(Caesalpinia sappan L.) 물 추출물 잔사의 유효성분인 brazilein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Hussain et al. | Comparative In vitro study of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lower and whole plant of Jasminum officinale against some human pathogenic microbes | |
KR101182209B1 (ko) | 생달나무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 |
KR100973221B1 (ko) |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 |
Fahle et al. | Antibacterial effects of b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in hop provide promising options to fight infections by pathogens including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 |
Krishna et al. | Studies on wound healing potential of red pigment isolated from marine Bacterium Vibrio sp. | |
Rahman et al. | Antimicrobial activity of crude extract obtained from the root of Plumbago zeylanica | |
MXPA00005288A (es) | Una composicion y metodo para el tratamiento de infeccion bacterial. | |
KR20100007122A (ko) |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 |
Dahmer et al. | Antibacterial activity of Discaria americana Gillies ex Hook (Rhamnaceae) | |
Gheda et al. | In vitro and in vivo preliminary results on Spirulina platensis for treatment of impetigo: Topical cream application | |
Khalil et al. | Exploring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acetonic plant extracts in the healing of skin wounds infected with multidrug resistant pathogens. | |
KR20100096394A (ko) |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WO2013191565A1 (en) | Antimicrobial composition and its method of use | |
JP2020518670A (ja) | テルミナリアフェルジナンジアナ抽出物および抗微生物または抗細菌用途のためのテルミナリアフェルジナンジアナ抽出物を含有する製品 | |
HACENE | Effect of prodigiosin from Serratia marcescens br1 strain as an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in vivo wound healing | |
Achiri et al. |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and its major component (Carlina oxide) of Carlina hispanica roots from western algeria | |
Mozhaiev | Actual aspects of medical use of woloski nut extracts (Juglans regia l.) and black walnut (Juglans nigra l.) | |
Retnam et al. | Antimicrobial activity of a medicinal plant Hybanthus enneaspermus (Linn.) F. Muell. | |
JP4061675B2 (ja) | 天然物由来の抗菌剤 | |
Ali et al. | Antibacterial Activity of Eight Medicinal Plant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Broiler Meat | |
KR101628180B1 (ko) | 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모넬라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 |
KR101803148B1 (ko) |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