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968A -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968A
KR20130130968A KR1020120054662A KR20120054662A KR20130130968A KR 20130130968 A KR20130130968 A KR 20130130968A KR 1020120054662 A KR1020120054662 A KR 1020120054662A KR 20120054662 A KR20120054662 A KR 20120054662A KR 20130130968 A KR20130130968 A KR 20130130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erminal device
browser
displayed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경훈
조상훈
Original Assignee
구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경훈 filed Critical 구경훈
Priority to KR102012005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0968A/ko
Publication of KR2013013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를 교환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메시지를 교환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고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대화창에서 브라우저로 화면을 전환하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유지하게 제어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instant messaging and web browsing}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두 명의 사용자가 메신저 서비스(messenger service)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다양한 기능을 가진 모바일 웹 서비스(mobile web service)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콘텐츠(contents)를 누구나 생성하여 웹 서비스에 등록한 후,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리고,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에서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가 보다 많은 사용자의 관심을 얻고 있는데,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는 일반적인 텍스트 메시지 이외에 문서 파일, 그림 파일 등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친구나 지인과 특정한 이슈에 대하여 대화를 할 경우, 해당 이슈에 대한 정보를 웹 브라우징을 통해 얻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인 일례로, 최근 개봉 영화에 관하여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경우, 최근 개봉 영화에 대한 정보를 즉석에서 웹 브라우징을 통해 수집한 후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구두로 이야기 하지 않고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하여 대화를 할 경우 모바일 메신저를 종료하고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웹 서비스에 접속한 후 검색과 브라우징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개인용 컴퓨터와는 달리 작은 화면을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작은 화면 크기라는 제약조건 때문에 애플리케이션들의 출력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여 여러 화면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윈도우 방식 대신 한 어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은 화면 전체를 차지하고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면서 한 번에 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볼 수 있는 방식의 멀티 태스킹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대화 상대방과 웹 브라우징 결과를 공유하려면 웹 페이지에 대한 주소 정보를 카피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여야 하며, 전달받은 상대방 역시 메신저를 종료하고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페이지를 요청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어도 두 명의 사용자가 메시지를 교환하고 있는 상태에서 메신저를 종료하지 않고 웹 브라우징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단말 장치는 메시지를 교환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그리고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대화창에서 브라우저로 화면을 전환하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유지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대화창 화면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되 이전에 보았던 웹 페이지가 있었다면 해당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유지하여 배너 또는 팝업의 형태로 브라우저 화면 위에 수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웹 페이지를 공유할 수 있도록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대화창 화면에 상기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화면을 썸네일(thumbnail)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대화창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복귀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복귀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대화창 화면으로 복귀하되 브라우저 화면 상태에서 받았던 수신 메시지들을 포함한 메시지들을 대화창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은 적어도 두 개의 단말 장치 간에 메시지를 중계하는 메신저 서버, 상기 메신저 서버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교환하며,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대화창에서 브라우저로 화면을 전환하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유지하게 제어하는 단말 장치 그리고 모바일 포털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대화창 화면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되 이전에 보았던 웹 페이지가 있었다면 해당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 화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는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유지하여 배너 또는 팝업의 형태로 브라우저 화면 위에 수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는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웹 페이지를 공유할 수 있도록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대화창 화면에 상기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화면을 썸네일(thumbnail)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는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대화창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복귀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복귀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대화창 화면으로 복귀하되 브라우저 화면 상태에서 받았던 수신 메시지들을 포함한 메시지들을 메신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단말 장치의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은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단계,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대화창 화면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웹 페이지들을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하는 브라우징 단계, 그리고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복귀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대화창 화면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환 단계는 대화창 화면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되 이전에 보았던 웹 페이지가 있었다면 해당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 화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브라우징 단계는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유지하고,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웹 페이지를 공유할 수 있도록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대화창 화면에 상기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화면을 썸네일(thumbnail)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귀 단계는 대화창 화면으로 복귀하되 브라우저 화면 상태에서 받았던 수신 메시지들을 포함한 메시지들을 대화창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두 명의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통해 메시지를 교환하고 있는 상태에서 웹 브라우징이 필요할 때에 브라우저로 쉽게 전환할 수 있으며 대화창 화면으로 쉽게 복귀할 수 있어서 메신저를 종료하고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고 메신저를 실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주제로 나온 영화나 배우 정보를 검색해야 하는 경우, 상대방의 응답이 늦어져서 뉴스 기사를 보면서 기다리는 경우, 상대방과 함께 선물을 고르고 싶은 경우 등 대화 도중에 웹 브라우징이 필요한 경우는 다양하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웹 브라우징 방법은 대화창과 브라우저간의 화면 전환 및 화면 복귀가 전환 요청 및 복귀 요청 입력 신호에 의해 곧바로 실행되므로 대화를 단절시키지 않고도 웹 브라우징을 필요할 때 마다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단말 장치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메시징 모듈과 웹 브라우저 모듈이 포함되어 웹 브라우징 결과를 상대방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고 상대방 또한 전달받은 웹 페이지를 선택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단말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의 대화창 예시도이다.
도 4는 스와이프 제스쳐에 의한 화면 전환 및 복귀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버튼 누름에 의한 화면 전환 및 복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공유 버튼을 눌러서 상대방에게 웹 페이지를 전달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받은 웹 페이지가 썸네일로 표시되고 썸네일 누름에 의해 화면이 전환 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징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시스템은 메신저 서버(110)와 복수 개의 단말 장치(120a~120n: 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부의 웹 서버(140)와 통신망(13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메신저 서버(110)는 복수 개의 단말 장치(120a~120n: 120) 간에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주고 받을 수 있도록) 메시지를 중계하며, 복수 개의 단말 장치(120a~120n: 120)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세션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 장치(120)는 스마트 폰, 태블릿 등과 같이 입력 기능, 통신 기능, 화면 출력 기능을 포함하며,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메신저를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메신저는 범용의 단말 장치에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제조 단계에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20)는 메신저 서버(110)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교환하며, 메시지를 교환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여 임의의 웹 서버(14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20)에 있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징 모듈 및 웹 브라우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을 통하여 대화창과 웹 페이지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웹 브라우징의 결과인 웹 페이지를 상대방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다.
통신망(13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등을 가리지 않고, 통신 방식도 유선,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이라도 상관없다.
웹 서버(140)는 인터넷 상의 임의의 일반적인 웹 서버일 수 있으며 일례로 구글, 야후, 네이버, 다음 등과 같은 포털 서비스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일 수 있고 뉴욕타임즈, 유튜브 등과 같이 뉴스, 동영상 등의 특정 미디어에 특화된 콘텐츠 서비스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일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징을 하기 위한 단말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단말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의 대화창 예시도, 도 4는 스와이프 제스쳐에 의한 화면 전환 및 복귀의 예시도, 도 5는 버튼 누름에 의한 화면 전환 및 복귀의 예시도, 도 6은 공유 버튼을 눌러서 상대방에게 웹 페이지를 전달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받은 웹 페이지가 썸네일로 표시되고 썸네일 누름에 의해 화면이 전환 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20)는 입력부(121), 제어부(122), 저장부(123) 및 표시부(124)를 포함한다.
입력부(121)는 외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말 장치(120) 내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입력부(121)는, 예를 들면, 문자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거나, 단말 장치(12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표시부(124) 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관련된 선택을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121)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버튼 누름 등의 입력 신호를 판독하고 이 신호를 제어부(122)로 전송하는 터치 감지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는 한 예로서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는 표시부(124)와 결합되어 표시부(124)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부(121)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key)들과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적어도 두 개의 단말 장치가 메시지를 교환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단말 장치가 메시지를 교환하고 있는 상태에서 대화창 화면에는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음을 알리는 요소로 화면의 하단에 페이지 기호(302)와 웹 전환 버튼(303)을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부(121)는 대화창 화면(301)에 대한 스와이프 제스쳐에 의한 전환 요청 신호와 웹 전환 버튼을 누름에 의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2)는 단말 장치(1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메시징 모듈(122a)과 웹 브라우저 모듈(122b)을 포함한다. 메시징 모듈(122a)은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며, 웹 브라우저 모듈(122b)은 임의의 웹 서버(14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제어부(122)는 입력부(121)에서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대화창 화면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화창 화면과 브라우저 화면이 서로 전환되는 일 실시예는 대화창 화면(301)에 대한 스와이프 제스쳐(304)를 판독하여 전환 요청 신호로 입력받고 브라우저 화면(401)에 대한 스와이프 제스쳐(402)를 판독하여 복귀 요청 신호로 입력받는 것이다. 브라우저가 표시하는 웹 페이지 내에 페이징 요소가 있어서 스와이프 제스쳐가 페이징에 활용되는 경우 스와이프 제스쳐를 시작한 좌표에 따라 웹 페이지의 페이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 때는 스와이프 제스처는 대화창으로 복귀 요청 신호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화창 및 브라우저 화면에 각각 웹 전환 버튼(303)과 대화창 복귀 버튼(403a, 403b)을 두어 입력부(121)에서 판독하도록 구성한다. 대화창 복귀 버튼은 브라우저의 하단 컨트롤 바에 위치(403a)할 수도 있고 화면 상단의 타이틀 바(403b)에 위치할 수도 있다.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된 웹 페이지를 대화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해 도 6 에서와 같이 브라우저에는 공유 버튼(404)이 구비된다. 공유 버튼은 브라우저의 하단 컨트롤 바에 위치(404b)할 수도 있고 화면 상단의 타이틀 바(404a)에 위치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구비된 공유 버튼(404)을 누르면 웹 페이지의 썸네일과 URL이 상대방에게 전달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방의 대화창 화면에 웹 페이지의 썸네일 이미지(501)를 표시하여 웹 페이지가 수신되었음을 인지시킨다. 웹 페이지 수신자가 썸네일 이미지(501)을 누르면 수신자의 제어부(122)는 화면을 대화창에서 브라우저로 전환하고 발신자가 보았던 웹 페이지의 URL을 수신자 브라우저에서 로딩하여 동일한 웹 페이지를 볼 수 있게 제어한다.
저장부(123)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단말 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24)는 소정의 화면표시수단으로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징을 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징을 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말 장치가 메신저를 이용하여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연결된 후, 메시지를 교환한다(S800).
다음으로, 웹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지 판단(S810)하여 웹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810단계의 'yes'), 대화창 화면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고(S820) 이후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는 상태(S830)가 된다.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할 때, 이전에 보았던 웹 페이지가 있었다면 해당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웹 브라우징을 하는 상태에서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받았는지 판단(S840)하여 공유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840단계의 'yes'), 상대방에게 웹 페이지의 썸네일 이미지와 URL을 전달하고 대화창으로 복귀한다(S850). 이때, 상대방의 대화창 화면에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어 웹 페이지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낸다.
웹 브라우징을 하는 상태에서 대화창 복귀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지 판단(S860)하여 복귀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860단계의 ‘yes’), 브라우저 화면에서 대화창 화면으로 복귀한다(S870). 이때 브라우저 화면 상태에서 받았던 수신 메시지들을 포함한 메시지들을 대화창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화창 상태에서나 웹 브라우징 상태에서 종료 요청 신호를 받아서 종료하는 것은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동작이므로 종료 동작에 대한 흐름은 별도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지금까지 설명한 웹 브라우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메신저 서버, 120: 단말 장치,
130: 통신망, 140: 웹 서버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를 교환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그리고
    상기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대화창에서 브라우저로 화면을 전환하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유지하게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대화창 화면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되 이전에 보았던 웹 페이지가 있었다면 해당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 화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말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유지하여 배너 또는 팝업의 형태로 브라우저 화면 위에 수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말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웹 페이지를 공유할 수 있도록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대화창 화면에 상기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화면을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말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대화창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복귀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복귀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대화창 화면으로 복귀하되 브라우저 화면 상태에서 받았던 수신 메시지들을 포함한 메시지들을 대화창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말 장치.
  6.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단말 장치의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으로서,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단계,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대화창 화면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웹 페이지들을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하는 브라우징 단계,
    그리고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복귀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대화창 화면으로 복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전환 단계는 대화창 화면에서 브라우저 화면으로 전환하되 이전에 보았던 웹 페이지가 있었다면 해당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 화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브라우징 단계는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유지하고,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웹 페이지를 공유할 수 있도록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대화창 화면에 상기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화면을 썸네일(thumbnail)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
  9. 제6항에서,
    상기 복귀 단계는 대화창 화면으로 복귀하되 브라우저 화면 상태에서 받았던 수신 메시지들을 포함한 메시지들을 대화창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
  10. 컴퓨터에 제6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20054662A 2012-05-23 2012-05-23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 KR20130130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662A KR20130130968A (ko) 2012-05-23 2012-05-23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662A KR20130130968A (ko) 2012-05-23 2012-05-23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968A true KR20130130968A (ko) 2013-12-03

Family

ID=4998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662A KR20130130968A (ko) 2012-05-23 2012-05-23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웹 브라우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09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86167B2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TWI597663B (zh) 用於直覺多重作業之方法及裝置
KR101332811B1 (ko) 메시지 숨김 기능을 갖는 단말과 그 메시지 숨김 및 복원 방법
US10203859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lementing a variable content movable control
RU2616536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сообщений
US10209858B2 (en) Method of dividing screen areas and mobi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RU2642505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интерфейсом пользователя
KR1018737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정보 전송방법
US201702058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117040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web page content
US1030332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100669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lication interface portions on peripheral computing devices
AU20142009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essenger service in a terminal
CN110710169A (zh) 与动态扩展应用程序交互的即时消息系统
WO20060758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JP6378451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に関連付けられた新規メッセージ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084850B2 (en)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0257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KR20130127086A (ko)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정보 검색 방법
US2018023951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10138104A (ko)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37827B1 (ko) 휴대단말의 콜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40132630A (ko)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KR20140103363A (ko) 메신저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메신저 서비스 방법
KR2013006243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