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616A -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 - Google Patents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616A
KR20130130616A KR1020130000346A KR20130000346A KR20130130616A KR 20130130616 A KR20130130616 A KR 20130130616A KR 1020130000346 A KR1020130000346 A KR 1020130000346A KR 20130000346 A KR20130000346 A KR 20130000346A KR 20130130616 A KR20130130616 A KR 20130130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ptic feedback
item
displayed
providing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우
문민정
박세준
장우용
한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5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0636A/ko
Priority to US13/899,085 priority patent/US20130318437A1/en
Priority to PCT/KR2013/004500 priority patent/WO2013176490A1/en
Priority to JP2015513903A priority patent/JP2015527626A/ja
Priority to EP13168747.7A priority patent/EP2667285A3/en
Priority to CN2013101913686A priority patent/CN103425245A/zh
Publication of KR2013013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가 제공된다. 본 휴대용 기기의 UI 제공 방법은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흔들리는 모션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휴대용 기기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흔들리는 모션이 입력된 경우, 휴대용 기기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햅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보지 않고도 기설정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Portable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휴대용 기기는 성능이 높아지는 반면, 점차 소형화,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다만, 휴대용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로 인해 휴대용 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작아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근래에는 휴대용 기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면서, 대형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키 패드 부분을 없애고,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면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휴대용 기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한정된 개수의 물리적 버튼을 이용하는 것보다 다양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일반적으로 LCD 등으로 구현되는 스크린과 스크린 상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포인터 디바이스를 가지고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키보드를 터치하여 문자 등을 입력한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여 휴대용 기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봐야만 휴대용 기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을 보지 않고서는 휴대용 기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보고 있더라도 이벤트 발생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더욱 쉽고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더욱 쉽고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를 스크롤할 경우, 의미 있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면 스크롤 속도를 조절하는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은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 이동 중에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 가능한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이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 가능한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이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 가능한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가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영역에 이동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상기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좌표값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고,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상기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않은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가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영역에 이동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상기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좌표값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다른 오브젝트와의 위치를 교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는,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피드백 제공부;및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에 대한 영역 정보가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 가능한 영역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햅틱 피드백 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은, 화면 상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아이템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아이템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처음 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아이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롤 명령이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일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처음 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아이템이 표시되면, 상기 사용자의 손의 터치 이동 속도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는 전화번호 리스트이고, 상기 기설정된 아이템은 즐겨찾기가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단축버튼이 지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피드백 제공부;및 상기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기설정된 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은, 전자 책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책 컨텐츠에 대한 페이지 이동 명령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된 페이지가 기 설정된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페이지가 상기 기 설정된 페이지인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페이지는, 상기 전자 책 컨텐츠의 시작 페이지 및 마지막 페이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 이동 명령이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일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터치 이동 속도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페이지는, 북마크가 설정된 페이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는, 전자 책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피드백 제공부;및 상기 전자 책 컨텐츠에 대한 페이지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페이지가 기 설정된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페이지가 상기 기 설정된 페이지인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햅틱 피드백 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은, 화면상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면, 상기 스크롤 속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면, 상기 스크롤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의 내용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의 내용은 팝-업창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면, 상기 리스트에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는 아이템을 계속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나머지 아이템을 상기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는 전화번호 리스트이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즐겨찾기가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단축버튼이 지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부재중 통화 기록이 남아 있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횟수 이상의 스케줄을 가지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는 수신 메시지 리스트이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사진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동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및 주소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는 컨텐츠 리스트이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기설정된 값 이상의 추천 수를 가지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최신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장르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재생 중지 중인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는 인터넷 쇼핑의 제품 리스트이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기설정된 값 이상의 추천 수를 가지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범위의 가격을 가지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구매 후기가 존재하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스크롤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면, 상기 아이템의 스크롤 속도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에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햅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에서 발생하는 기설정된 이벤트를 더욱 쉽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 내지 도 5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도면, 그리고,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54 내지 도 5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도중 중요한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스크롤 속도를 조절하는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100)는 센서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 촬영부(140), 통신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저장부(170), 오디오 출력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100)는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태블릿 PC, PDA, PMP, 노트북 PC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일 수 있다.
센서부(110)는 휴대용 기기(100)에 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는 휴대용 기기(100)에 대한 특정 사용자 모션(예를 들어, 휴대용 기기(100)를 흔드는 모션, 휴대용 기기(100)를 기울이는 모션 등)을 감지한다.
이때, 센서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111), 자이로 센서(112) 및 근접센서(11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센서부(110)는 가속도 센서(111) 및 자이로 센서(112) 중 하나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110)의 이동 방향 및 가속도를 측정한다. 또한, 센서부(110)는 근접 센서(113) 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디지털 펜)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구성하는 스크린부(121)와 터치 패널(12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각종 영상 정보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및 영상을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스크린부(121)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스크린부(12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LCD 제어부,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한다.
터치 패널(122)은 스크린부(121)의 LCD와 겹쳐지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스크린부(121)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터치 입력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122)은 터치 감지부와 신호 변환부를 구비한다. 터치 감지부는 물리량, 예컨대 저항, 정전용량 등의 변화로부터 터치, 드래그, 드롭 등과 같은 터치의 제어 명령을 감지한다. 또한 신호 변환부는 물리량의 변화를 터치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한다.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때,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이라 함은, 휴대용 기기(100)에 진동이나 힘, 충격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촉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컴퓨터 촉각 기술이라고도 한다.
특히,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진동 조건(예를 들어, 진동 주파수, 진동 길이, 진동 강도, 진동 파형 , 진동 위치 등)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진동 방식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는 방법은 종래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앞면(디스플레이부(120)가 존재하는 면)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뒷면에도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는 휴대용 기기(110) 전체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휴대용 기기(100)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터치 지점, 테두리 부분)에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가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피에조 센서(piezo sensor)를 이용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촬영부(140)는 특정 오브젝트가 포함된 주변 이미지를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촬영부(140)는 촬영부(140) 속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이미지 센서 영역에 상이 맺히게 하고,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빛을 전기신호로 광전변환 한다. 그리고, 촬영부(140)에 포함된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거나 저장부(170)에 저장된다.
통신부(150)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50)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휴대용 기기의 외부에 구비된 버튼으로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저장부(170)는 휴대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70)는 기설정된 이벤트와 햅틱 피드백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어부(19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기설정된 이벤트를 검색하고, 그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를 구동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오디오 출력부(180)는 직접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외부 장치에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센서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사용자 입력부(160)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휴대용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된 경우, 오브젝트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면, 제어부(190)는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에 대한 영역 정보가 오브젝트가 위치 가능한 영역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면,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사하고,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이 오브젝트가 위치 가능한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이 오브젝트가 이동 가능한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가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영역에 이동할 수 없는 경우,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좌표값에 포함되면,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고, 오브젝트의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않은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면,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피드백 제공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ㅇ예로, 오브젝트가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영역에 이동할 수 있는 경우,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좌표값에 포함되면,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오브젝트와 다른 오브젝트와의 위치를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90)는 화면 상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템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는 전화번호 리스트일 수 있으며, 복수의 아이템은 각각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일 수 있다.
그리고, 아이템 이동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아이템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리스트가 생성된 경우, 기 설정된 아이템은 즐겨찾기가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단축버튼이 지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 설정된 아이템은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처음 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아이템일 수 있다. 이때, 스크롤 명령이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부(120)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일 경우, 처음 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손의 터치 이동 속도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하도록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손의 터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진동의 세기가 강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책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전자 책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전자 책 컨텐츠에 대한 페이지 이동 명령에 따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가 기 설정된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가 상기 기 설정된 페이지인 경우,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페이지는 전자 책 컨텐츠의 시작 페이지 및 마지막 페이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 이동 명령이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일 경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손의 터치 이동 속도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하도록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사용자 손의 터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진동의 세기가 세도록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 설정된 페이지는 북마크가 설정된 페이지일 수 있다. 즉, 북마크가 설정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 다른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도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90)가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 2 내지 도 5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20)를 턴 온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S210).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를 턴 온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전원을 인가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화면(lock screen)을 디스플레이한다(S220).
그리고, 제어부(190)는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이때, 잠금 해제 명령은 디스플레이부(120)의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가속도 이상을 가지면서 잠금 화면을 이동시키는 플릭(flick) 동작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식의 잠금 해제 명령(예를 들어, 특정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동작)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S230-Y), 제어부(190)는 현재 설정된 잠금 화면의 종류를 판단한다(S240).
그리고, 제어부(190)는 판단된 잠금 화면의 종류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250). 즉, 제어부(190)는 잠금 화면의 종류에 따라 진동 조건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잠금 화면의 종류에 적응적으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화면이 커텐 이미지인 경우, 제어부(190)는 커텐을 거두는 듯한 효과의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잠금 화면이 구슬 이미지인 경우, 제어부(190)는 구슬이 상자 안에서 이동하는 듯한 효과의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잠금 화면을 해제한다(S280). 그후, 제어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 가능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의 종류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확인하지 않고도 잠금 화면이 해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흥미적인 요소 역시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잠금 화면이 해제되어 특정 이벤트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어플리케이션 특정에 따라 기설정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화면이 해제되어 a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a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제1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잠금 화면이 해제되어 b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b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제2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아이콘 이동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아이콘이 위치한 지점에 다른 아이콘이 이동할 수 없는 경우의 아이콘 이동에 따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이동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S510). 이때, 홈 스크린은 잠금 화면이 해제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아이콘(610 내지 680) 및 시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위젯(690)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을 통해 아이콘 편집 모드로 진입된다(S520). 이때, 아이콘 편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복수의 아이콘(610 내지 680) 중 하나를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동안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다.
아이콘 편집 모드로 진입된 경우,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대상 아이콘을 선택한다(S530). 이때, 편집 대상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가 편집하기 원하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대상 아이콘을 이동한다(S540). 이때, 편집 대상 아이콘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편집 대상 아이콘(680)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편집 대상 아이콘이 이동하는 동안, 제어부(190)는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을 검사한다(S550). 그리고, 제어부(190)는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에 아이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60).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에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560-N),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570). 예를 들어,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는 제1 이동 가능 영역(810)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위치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다(S580). 이때, 사용자의 위치 이동 명령은 편집 대상 아이콘이 터치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입력이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편집 대상 아이콘을 해당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S590). 즉, 제어부(1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대상 아이콘(680)을 제1 이동 가능 영역(8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에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S560-Y),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대상 아이콘을 이동한다(S540).
상술한 바와 같이, 편집 대상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에 이동할 수 없는 경우,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에 다른 아이콘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지 않고도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 가능한 공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이동에 의한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아이콘이 위치한 지점에 다른 아이콘이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아이콘 이동에 따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이동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S1010). 이때, 홈 스크린은 잠금 화면이 해제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아이콘(1110 내지 1190)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을 통해 아이콘 편집 모드로 진입된다(S1020). 이때, 아이콘 편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복수의 아이콘(1110 내지 1190) 중 하나를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동안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다.
아이콘 편집 모드로 진입된 경우,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대상 아이콘을 선택한다(S1030). 이때, 편집 대상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가 편집하기 원하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대상 아이콘을 이동한다(S1040). 이때, 편집 대상 아이콘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편집 대상 아이콘(1190)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편집 대상 아이콘이 이동하는 동안, 제어부(190)는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을 검사한다(S1050). 그리고, 제어부(190)는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이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60). 이때,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은 다른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된 편집 대상 아이콘이 복수의 다른 아이콘의 위치에 존재하더라도 하나의 아이콘 위치에 기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0%) 이상을 차지하며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이라 판단할 수 있다.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이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인 경우(1060-Y),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1070). 예를 들어, 편집 대상 아이콘(1190)이 위치하는 좌표값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아이콘(1160)이 위치하는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위치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다(S1080). 이때, 사용자의 위치 이동 명령은 편집 대상 아이콘이 터치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입력이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편집 대상 아이콘을 해당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S1090). 즉, 제어부(1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대상 아이콘(1190)을 제6 아이콘(1160)의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6 아이콘(1160), 제7 아이콘(1170) 및 제8 아이콘(1180)은 각각 제7 아이콘(1170), 제8 아이콘(1180) 및 편집 대상 아이콘(1190)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편집 대상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에 이동할 수 있는 경우,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에 다른 아이콘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지 않고도 편집 대상 아이콘이 위치 가능한 공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텍스트 입력 모드에 진입한다(S1410). 이때, 텍스트 입력 모드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는 모드, 메모를 작성하는 모드, 스케줄을 작성하는 모드 및 웹 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한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텍스트를 선택한다(S1420). 이때, 텍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는 단어 또는 문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15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영 처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텍스트를 복사한다(S1430). 이때, 텍스트를 복사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편집 메뉴(1520)에서 "copy" 아이템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사된 텍스트를 이동한다(S1440). 이때, 텍스트를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된 텍스트(1510)를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복사된 텍스트가 이동하는 좌표값을 검사한다(S1450).
그리고, 제어부(190)는 복사된 텍스트가 이동된 좌표값이 단어와 단어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60).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복사된 텍스트가 단어와 단어 사이의 영역인 제1 영역(1610), 제2 영역(1620) 및 제3 영역(1630) 중 하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복사된 텍스트가 이동된 좌표값이 단어와 단어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S1460-Y),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1470).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된 텍스트가 단어와 단어 사이의 영역인 제3 영역(1630)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사된 텍스트를 해당 위치에 복사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480). 이때, 복사된 텍스트를 해당 위치에 복사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터치 상태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입력일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된 텍스트가 제3 영역(1630)에 위치한 상태에서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19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1630)에 복사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텍스트를 복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텍스트를 잘라내어 이동하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텍스트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햅틱 피드백으로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지 않고서도 텍스트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오브젝트 이동에 따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이동에 따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오브젝트를 선택한다(S1910). 이때, 오브젝트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진 이미지(2010)일 수 있다. 그리고,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오브젝트를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동안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오브젝트를 이동한다(S1920). 이때, 오브젝트를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택된 오브젝트를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선택된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좌표값을 검사한다(S1930).
그리고, 제어부(190)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좌표값이 오브젝트 이동 가능한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940). 구체적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선택된 사진 이미지(2010)가 위치할 수 있는 사진 첨부 영역(2020)에 선택된 사진 이미지(201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선택된 오브젝트의 좌표값이 오브젝트 이동 가능한 위치라고 판단된 경우(S1940-Y),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1950).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사진 이미지(2010)가 사진 첨부 영역(2020)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를 해당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S1960). 이때, 선택된 오브젝트를 해당위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터치 상태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입력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오브젝트가 오브젝트 이동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인하지 않고 선택된 오브젝트가 오브젝트 이동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는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스케줄 입력 모드에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입력 모드에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스케줄 입력 모드에 진입한다(S2210). 이때, 스케줄 입력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스케줄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명령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스케줄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스케줄 표에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한다(S2220).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아르바이트" 스케줄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도 23에 도시된 스케줄 표(2300)에 아르바이트 아이콘(2340)을 생성한다. 이때,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스케줄 표(2300)의 임의의 위치에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이동한다(S2230). 이때,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되는 아이콘(2340)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는 입력이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아이콘의 좌표값을 검사한다(S224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이동하는 동안 아이콘의 좌표값을 검사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에 스케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5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좌표값에 다른 스케줄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된 아이콘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위치하는 좌표값에 스케줄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S2250-N),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2260).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해당 위치에 디스플레이 한다(S2270). 구체적으로,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해당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스케줄에 대응되는 아이콘(2340)을 화요일 오전의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입력된 스케줄을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에 저장한다(S2280). 구체적으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되는 아이콘(2340)이 화요일 오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입력된 스케줄을 화요일 오전 시간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스케줄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이동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쉽고 흥미롭게 스케줄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리스트에 의미 있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에 의미 있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610). 이때, 리스트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리스트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문자 메시지 리스트, 메모 리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리스트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를 생성하기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 검색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리스트를 스크롤한다(S2620). 이때, 리스트를 스크롤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 손)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이다. 이때, 오브젝트의 이동속도에 따라 리스트의 스크롤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의미 있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30). 이때, 의미 있는 아이템이라 함은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일반적인 아이템과 구별되는 특별한 아이템이다. 예를 들어, 리스트가 전화번호 리스트인 경우, 의미 있는 아이템은 사용자가 즐겨찾기를 설정한 전화번호, 자주사용하는 전화번호, 가장 최근에 전화한 전화번호 등일 수 있다. 또한, 리스트가 문자 메시지 리스트인 경우, 의미 있는 아이템은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문자 메시지, 새로 온 문자 메시지, 사용자에 의해 삭제방지 기능이 설정된 문자 메시지 등일 수 있다.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의미 있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경우(S2630-Y),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264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즐겨찾기를 설정한 전화번호가 "Paul Jackon"인 경우,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도중 "Paul Jackon"에 대응하는 아이템(2810)이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의미 있는 아이템의 종류 또는 중요도에 따라 상이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즐겨찾기를 설정한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1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2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가장 최근에 전화한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3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의미 있는 아이템의 중요도에 따라 진동의 강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미 있는 아이템은 사용자에 의해 그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1 햅틱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경우, 제1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90)는 제1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면서, 해당 아이템의 명칭을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도중 "Paul Jackon"에 대응하는 아이템(2810)이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면서 해당 아이템(2810)의 명칭인 "Paul Jackon"을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사용자는 더욱 쉽게 의미 있는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도중 의미 있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리스트의 의미 있는 아이템을 리스트를 보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9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전자 책 컨텐츠(이하에서는 "E-book 컨텐츠라고 함) 실행시 의미 있는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book 컨텐츠 실행시 의미 있는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E-book 컨텐츠를 실행한다(S29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된 E-book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터치되면, 제어부(190)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E-book 컨텐츠(3000)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이동한다(S2920). 이때,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의 우측 하단)에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사용자 명령에 의해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이동된 페이지가 의미 있는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930). 이때, 의미 있는 페이지라 함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마트(3210)가 설정된 페이지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특정 키워드나 그림이 포함된 페이지, 새로운 챕터가 시작되는 페이지, 즐겨찾기가 설정된 페이지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이동된 페이지가 의미 있는 페이지라고 판단된 경우(S2930-Y),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2930). 이때, 햅틱 피드백은 의미 있는 페이지의 종류 및 중요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미 있는 페이지가 북마크가 설정된 페이지인 경우, 제어부(190)는 제1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미 있는 페이지가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페이지인 경우, 제어부(190)는 제2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E-book 컨텐츠에서 의미 있는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컨텐츠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미 있는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보지 않고도 의미 있는 페이지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E-book 컨텐츠 실행시 페이지 검색 영역을 이용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book 컨텐츠 실행시 페이지 검색 영역을 이용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E-book 컨텐츠를 실행한다(S33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된 E-book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터치되면, 제어부(190)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book 컨텐츠(3400)를 실행시킨다. 이때, E-book 컨텐츠(3400)는 페이지 검색을 위한 페이지 검색 영역을 포함하며, 페이지 검색 영역은 페이지 검색 스크롤 바(3410) 및 페이지 썸네일 이미지(3420)을 포함한다. 페이지 검색 스크롤 바(3410)는 E-book 컨텐츠(3400)의 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한 스크롤 바이며, 페이지 썸네일 이미지(3420)는 위치하는 스크롤 바의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위치에 대응하는 페이지의 썸네일 이미지이다.
이때, 페이지 썸네일 이미지(3420)는 페이지 검색 스크롤 바(3410)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페이지 검색 스크롤 바(3410)가 터치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페이지 검색 영역을 스크롤한다(S3320). 이때, 페이지 검색 영역을 스크롤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페이지 검색 영역을 오브젝트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이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페이지 검색 영역에 의미 있는 페이지가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93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오브젝트가 페이지 검색 스크롤 바(3410) 중 의미 있는 페이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의미 있는 페이지라 함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마트(3210)가 설정된 페이지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특정 키워드나 그림이 포함된 페이지, 새로운 챕터가 시작되는 페이지, 즐겨찾기가 설정된 페이지 등일 수 있다.
페이지 검색 영역에 의미 있는 페이지가 터치되면(S3930-Y),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3940). 이때, 햅틱 피드백은 의미 있는 페이지의 종류 및 중요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미 있는 페이지가 북마크가 설정된 페이지인 경우, 제어부(190)는 제1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미 있는 페이지가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페이지인 경우, 제어부(190)는 제2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의미 있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S3950). 구체적으로, 페이지 썸네일 이미지(3420)가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터치되면, 제어부(190)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미 있는 페이지(북마크가 설정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E-book 컨텐츠에서 의미 있는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컨텐츠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페이지 검색 영역을 이용하여 의미 있는 페이지가 검색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보지 않고도 페이지 검색 영역을 이용하여 의미 있는 페이지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AR 모드 이용시 검색 대상 위치가 촬영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 모드 이용시 검색 대상 위치가 촬영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AR 모드에 진입한다(S3610). 이때, AR(augmented reality) 모드는 촬영부(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건물명, 지명 등)를 겹쳐 보여주는 증강현실 기술을 제공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검색 대상 위치를 입력받는다.(S3620) 이때, 검색 대상 위치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위치의 건물명, 지명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대상 위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CGV"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부(14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주변 위치를 촬영한다(S3630). 그리고, 제어부(190)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40)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촬영부(140)는 사용자의 패닝 동작에 의해 주변 위치를 이동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가 촬영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사한다(S3640). 이때, 디바이스가 촬영하는 위치의 좌표값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가 촬영하는 영상에 검색 대상 위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650).
그리고, 검색 대상 위치가 휴대용 기기(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경우,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3660). 구체적으로, 검색 대상 위치가 "CGV"인 경우,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GV"가 휴대용 기기(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면,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햅틱 피드백은 검색 대상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햅틱 피드백은 검색 대상 위치를 입력할 때, 함께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검색 대상 위치가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POI(Ponit of interest)가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경우, 햅틱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POI는 주요 시설물, 역, 공항, 터미널, 호텔 등과 같은 주요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AR 모드에서 사용자가 검색하길 원하는 위치가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지 않고도 검색 대상 위치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9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지도 영상에 목적지가 검색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영상에 목적지가 검색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지도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3910). 이때, 지도 영상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지도 영상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위성에서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지도 영상을 이동한다(S3920). 이때, 지도 영상을 이동하는 사용자 명령은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지도 영상에 목적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93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목적지에 대한 위치 좌표값이 지도 영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지도 영상에 목적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목적지는 사용자가 검색하길 원하는 위치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POI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지도 영상에 목적지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1940). 이때, 햅틱 피드백은 목적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햅틱 피드백은 목적지를 설정할 때, 함께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도 영상에 목적지가 포함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지 않고도 지도 영상에서 목적지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여, 리스트의 처음 아이템과 마지막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의 처음 아이템과 마지막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4210). 이때, 리스트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리스트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문자 메시지 리스트, 메모 리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리스트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를 생성하기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 검색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리스트를 스크롤한다(S4220). 이때, 리스트를 스크롤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 손)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이다. 이때, 오브젝트의 이동속도에 따라 리스트의 스크롤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처음 아이템 또는 마지막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30). 이때, 처음 아이템은 리스트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아이템이며, 마지막 아이템은 리스트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아이템이다.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처음 아이템 또는 마지막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경우(S4230-Y),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4240). 구체적으로, "Robert Brown"에 대응되는 아이템(4310)이 마지막 아이템인 경우,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Robert Brown"에 대응되는 아이템(4310)이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9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처음 아이템 또는 마지막 아이템에 따라 상이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1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마지막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2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도중 처음 아이템 또는 마지막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리스트의 시작과 끝을 디스플레이부(120)를 보지않고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4 및 도 45를 참조하여, E-book 컨텐츠의 처음 페이지와 마지막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book 컨텐츠의 처음 페이지와 마지막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E-book 컨텐츠를 실행한다(S44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된 E-book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터치되면, 제어부(190)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book 컨텐츠(4500)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페이지를 이동한다(S4420). 이때,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의 우측 하단)에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사용자 명령에 의해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이동된 페이지가 처음 페이지 또는 마지막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430).
이동된 페이지가 처음 페이지 또는 마지막 페이지인 경우(S4430-Y), 제어부(190)는 처음 페이지에서 앞 페이지로 넘기는 명령이 입력되거나 마지막 페이지에서 뒤 페이지로 넘기는 명령이 입력되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4440).
이때, 제어부(190)는 처음 페이지 또는 마지막 페이지에 따라 상이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페이지에서 앞 페이지로 넘기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1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마지막 페이지에서 뒤 페이지로 넘기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2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E-book 컨텐츠에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컨텐츠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음 페이지에서 앞 페이지로 이동하는 명령이 입력되거나 마지막 페이지에서 뒤 페이지로 이동하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능동적으로 E-book 컨텐츠의 처음 페이지 또는 마지막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6 및 도 49를 참조하여, 홈 스크린에서 안내창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에서 안내창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S4610). 이때, 홈 스크린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한 복수의 아이콘 및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위젯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스크린의 상단에는 통신 상태 정보, 시간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상단 영역(4710)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안내창 생성을 위해, 상단 영역(4710)을 터치한 후, 아래방향으로의 드래그 명령을 입력받는다(S4620). 구체적으로,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영역(4710)이 터치된 상태에서 도 48과 같이, 아래 방향으로의 드래그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안내창의 일부(48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안내창은 휴대용 기기(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설치 정보,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정보와 같은 정보 및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창이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드래그 속도를 판단한다(S4630).
그리고, 제어부(190)는 드래그 속도에 따라 안내창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4640). 구체적으로, 드래그 명령에 따라 안내창이 화면 최하단까지 내려온 경우, 제어부(190)는 드래그 속도에 따라 진동 세기 및 진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속도가 빠를수록 진동 세기가 강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드래그 속도가 느릴수록 진동 세기가 약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창(4910)을 디스플레이한다(S4650).
다만, 드래그 명령이 화면 하단의 일정 영역까지 입력되지 않고, 화면 하단의 일정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중단된 경우, 제어부(491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고, 안내창(4910) 역시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창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지 않고도 안내창이 디스플레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0 내지 도 52를 참조하여, 휴대용 장치(100)에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안내창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에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안내창에 포함된 정보의 개수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1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흔들리는 모션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1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센서부(110)의 가속도 센서(111) 또는 자이로 센서(112)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100)의 흔들림을 감지하고, 기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2회)만큼 흔들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용 기기(1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흔들리는 모션이 입력된 경우(S5010-Y), 제어부(190)는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를 판단하여 그에 대응하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5020). 구체적으로, 휴대용 기기(1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흔들리는 모션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구슬이 상자 안에서 흔들리는 효과의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에 따라 진동의 강도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가 많을수록 진동의 강도가 세지거나 진동의 지속시간이 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가 적을수록 진동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진동의 지속시간이 짧은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30). 이때,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인 경우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락 스크린인 경우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가 아닌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S5030-N), 제어부(190)는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창(5100)을 디스플레이한다(S5040).
그러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S5030-Y), 제어부(190)는 단지 디스플레이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 햅틱 피드백만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100)를 흔드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으로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순히 휴대용 기기(100)를 흔드는 모션만으로 알림창에 표시된 정보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0 내지 도 52를 참조하여, 휴대용 장치(100)에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안내창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에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안내창에 포함된 정보의 개수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1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흔들리는 모션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1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센서부(110)의 가속도 센서(111) 또는 자이로 센서(112)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100)의 흔들림을 감지하고, 기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2회)만큼 흔들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용 기기(1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흔들리는 모션이 입력된 경우(S5010-Y), 제어부(190)는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를 판단하여 그에 대응하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5020). 구체적으로, 휴대용 기기(1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흔들리는 모션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구슬이 상자 안에서 흔들리는 효과의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에 따라 진동의 강도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가 많을수록 진동의 강도가 세지거나 진동의 지속시간이 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가 적을수록 진동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진동의 지속시간이 짧은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가 없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30). 이때,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인 경우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락 스크린인 경우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가 아닌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S5030-N), 제어부(190)는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창(5100)을 디스플레이한다(S5040).
그러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S5030-Y), 제어부(190)는 단지 디스플레이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 햅틱 피드백만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100)를 흔드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으로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순히 휴대용 기기(100)를 흔드는 모션만으로 알림창에 표시된 정보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에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안내창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90)는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1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흔들리는 모션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21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센서부(110)의 가속도 센서(111) 또는 자이로 센서(112)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100)의 흔들림을 감지하고, 기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2회)만큼 흔들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용 기기(1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흔들리는 모션이 입력된 경우(S5210-Y), 제어부(190)는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에 대응하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S522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를 판단하고, 휴대용 기기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진동의 강도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가 높을수록 진동의 강도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고,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가 낮을수록 진동의 강도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조절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중요도 정보 또는 정보의 이용 빈도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된 정보의 유형에 따라, 상이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알림창에 표시된 정보가 스케줄 정보인 경우, 제1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정보인 경우, 제2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휴대용 기기(100)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가 없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230). 이때,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인 경우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락 스크린인 경우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가 아닌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S5230-N), 제어부(190)는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창(5100)을 디스플레이한다(S5240).
그러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S5230-Y), 제어부(190)는 단지 디스플레이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 햅틱 피드백만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100)를 흔드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으로 알림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순히 휴대용 기기(100)를 흔드는 모션만으로 알림창에 표시된 정보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53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5300)는 저장부(5305), 파워 시스템(Power system)(5310), 외부 포트(External port)(5315), RF 회로(RF circuitry)(5320), 오디오 회로(Audio circuitry)(5325),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5330),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5335), 햅틱 모듈(Haptic module)(5340), 입/출력 서브시스템(Input/Output subsystem)(5345), 터치감지 디스플레이 시스템(Touch-sensitive display system)(5350), 광 센서(Optical sensor)(5355), 기타 입력 제어 장치(Other input control device)(5360) 및 제어부(5365)를 포함한다.
저장부(5305)는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53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5305)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 접촉/모션 모듈(Contact/Motion module), 그래픽 모듈(Graphic module), 텍스트 입력 모듈(Text input module), GPS 모듈(GPS module) 및 어플리케이션 모듈(Application module)을 저장한다.
특히, 어플리케이션 모듈(Application module)은 컨택트 모듈(Contact module), 전화 모듈(Telephone module), 영상 통화 모듈(Video conference module), 이메일 모듈(e-mail client module), 실시간 메시지 모듈(Instant message module), 블로그 모듈(Blogging module),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이미지 관리 모듈(Image Management Module), 영상 재생 모듈(Video Player module), 음악 재생 모듈(Music Player module), 사진 뷰어 모듈(Photo Viewer module), 브라우징 모듈(Browsing module), 게임 모듈(Game module), 캘린더 모듈(Calendar module), 위젯 모듈(Widget module), 위젯 생성 모듈(Widget creator module) 및 검색 모듈(Search modue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젯 모듈은 날씨 위젯(Weather widget), 주식 위젯(Stock widget), 계산기 위젯(Calculator widget), 알람 위젯(Alarm widget) 및 사용자 생성 위젯(User-created widget)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모듈 및 위젯 모듈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어플리케이션 모듈 및 위젯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파워 시스템(53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휴대용 기기(5300)의 전원을 제어한다. 이때, 파워 시스템(5310)은 휴대용 기기(5300)의 모든 구성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부 구성에 대한 전원만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포트(5315)는 휴대용 기기(5300)와 다른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RF 회로(5320)는 휴대용 기기(53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RF 회로(5320)는 외부의 다른 휴대용 기기(5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의 서버 및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5325)는 오디오를 출력하거나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오디오 회로(5325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스피커(Speaker)에 연결되거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연결될 수 있다.
근접 센서(5330)는 사용자의 근접 터치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간접 센서(5330)는 터치 입력을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근접한 상태(예를 들어,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1cm ~ 2cm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근접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가속도 센서(5335)는 휴대용 기기(53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5300)에 특정 모션(예를 들어, 휴대용 기기를 흔드는 모션, 휴대용 기기를 기울이는 모션 등)을 입력한 경우, 가속도 센서(53350)는 휴대용 기기(5300)의 움직임 방향 및 속도를 감지하여, 휴대용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다.
햅틱 모듈(5340)은 제어부(5365)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때, 햅틱 모듈(5340)는 도 1에 도시된 햅틱 피드백 제공부(1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입/출력 서브시스템(5345)은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입/출력 서브시스템(5345)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Display controller), 광 센서 컨트롤러(Optical sensor controller), 기타 입력 컨트롤러(Other input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 디스플레이 시스템(5350)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시스템(5350)은 입/출력 서브시스템(5345)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광 센서(5355)는 광 센서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타 입력 제어 장치(5360)는 기타 입력 컨트롤러에 따라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기타 입력 제어 장치(5360)로는 마우스,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5365)는 다양한 모듈 및 센서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휴대용 기기(5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5365)는 컨트롤러(Controller), 프로세서(Processor), 주변기기 인터페이스(Peripherals Interface)를 포함한다. 이때, 컨트롤러는 휴대용 기기(5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서는 휴대용 기기(53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연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휴대용 기기(5300)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종 센서에 입력된 값을 연산할 수 있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는 외부 포트(5315), RF 회로(5320), 오디오 회로(5325), 근접 센서(5330), 가속도 센서(5335), 햅틱 모듈(5340) 및 입/출력 서브시스템(5345)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5365)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예를 들어, 아이콘)를 포함하는 화면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시스템(5350)에 디스플레이된 경우, 오브젝트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면, 제어부(5365)는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에 대한 영역 정보가 오브젝트가 위치 가능한 영역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모듈(534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365)는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면,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사하고,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이 오브젝트가 위치 가능한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365)는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이 오브젝트가 이동 가능한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모듈(534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가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영역에 이동할 수 없는 경우,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좌표값에 포함되면, 제어부(5365)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고, 오브젝트의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않은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면, 제어부(5365)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모듈(53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가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영역에 이동할 수 있는 경우,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좌표값에 포함되면, 제어부(5365)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모듈(534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365)는 오브젝트와 다른 오브젝트와의 위치를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터치감지 디스플레이 시스템(53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65)는 화면 상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템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터치감지 디스플레이 시스템(535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템 이동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아이템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5365)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모듈(534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아이템은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처음 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아이템일 수 있다. 그리고, 스크롤 명령이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일 경우, 처음 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5365)는 사용자의 손의 터치 이동 속도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하도록 햅틱 모듈(534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365)는 사용자의 손의 터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진동의 세기가 강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모듈(53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5365)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저장부(5305)에 저장된 전화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번호 리스트가 생성된 경우, 기 설정된 아이템으로 즐겨찾기가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단축버튼이 지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5365)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모듈(53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책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5365)는 전자 책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터치감지 디스플레이 시스템(5350)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365)는 전자 책 컨텐츠에 대한 페이지 이동 명령에 따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가 기 설정된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가 상기 기 설정된 페이지인 경우, 제어부(53650)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모듈(534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페이지는 전자 책 컨텐츠의 시작 페이지 및 마지막 페이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 이동 명령이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일 경우, 제어부(5365)는 사용자의 손의 터치 이동 속도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하도록 햅틱 모듈(534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365)는 사용자 손의 터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진동의 세기가 세도록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 설정된 페이지는 북마크가 설정된 페이지일 수 있다. 즉, 북마크가 설정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5365)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햅틱 모듈(534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예를 들어, 운전을 하는 상황 등)일 때,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더라도 기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을 확인함으로써, 발생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설정된 이벤트의 종류 및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상이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능동적이고 흥미롭게 휴대용 기기(10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4 내지 도 58을 참조하여, 스크롤 도중 의미 있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UI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410). 이때, 리스트가 전화번호 리스트인 경우, 리스트를 생성하기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 검색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는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번호 리스트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수신 메시지 리스트, 컨텐츠 리스트, 인터넷 쇼핑의 제품 리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리스트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리스트를 스크롤한다(S5420). 이때, 리스트를 스크롤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 손)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롤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휴대용 기기(100)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흔드는 사용자 모션과 같은 다른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기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430). 이때,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의미 있는 아이템으로서,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일반적인 아이템과 구별되는 특별한 아이템이다. 예를 들어, 리스트가 전화번호 리스트인 경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즐겨찾기가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단축버튼이 지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부재중 통화 기록이 남아 있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횟수 이상의 스케줄을 가지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경우(S5430-Y), 제어부(190)는 리스트의 스크롤 속도를 변경한다(S5440). 특히, 리스트에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190)는 리스트의 스크롤 속도가 감소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aul Jackson"에게 부재중 통화 기록이 남아 있는 경우,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도중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ul Jackson"에 대응되는 아이템(5610)이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90)는 리스트의 스크롤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조건의 내용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조건의 내용을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aul Jackson"에게 부재중 통화 기록이 남아 있는 경우,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도중 "Paul Jackson"에 대응되는 아이템(5610)이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90)는 리스트의 스크롤 속도를 감소시키고, "Paul Jackson"에 대응되는 아이템(5610)이 리스트의 중간에 위치하면, 기설정된 조건의 내용인 부재중 통화 내용(예를 들어, 부재중 통화가 발생한 시간, 부재중 통화 상대방 정보) 및 바로 걸기를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팝-업창(57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면, 제어부(190)는 리스트의 스크롤 속도를 감소시키고,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 계속 디스플레이하며, 화면상에 표시된 나머지 아이템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aul Jackson"에게 부재중 통화 기록이 남아 있는 경우, 리스트를 아래에서 윗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도중 "Paul Jackson"에 대응되는 아이템(5610)이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90)는 리스트의 스크롤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스크롤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Paul Jackson"에 대응되는 아이템(5610)이 상단에 위치하면, "Paul Jackson"에 대응되는 아이템(5610)을 리스트에서 제거하지 않고,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상단에 계속 디스플레이하며, 나머지 아이템만을 이용하여 스크롤 동작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에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5610)은 다른 아이템과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에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5610)은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아이템보다 진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리스트 상단에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리스트의 다른 영역(예를 들어, 리스트의 중앙 영역, 하단 영역)에 계속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하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복수 개인 경우에도, 복수 개의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리스트에 계속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스크롤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해당 아이템의 명칭을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도중 "Paul Jackon"에 대응하는 아이템(5610)이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90)는 스크롤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해당 아이템(5610)의 명칭인 "Paul Jackon"을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사용자는 더욱 쉽게 의미 있는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도중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아이템(예를 들어, 의미 있는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스크롤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리스트에서 의미 있는 아이템을 더욱 쉽게 확인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리스트가 전화번호 리스트인 경우, 기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는 아이템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리스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가 수신 메시지 리스트인 경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사진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동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및 주소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리스트가 컨텐츠 리스트인 경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기설정된 값 이상의 추천 수를 가지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최신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장르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재생 중지 중인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리스트가 인터넷 쇼핑의 제품 리스트인 경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기설정된 값 이상의 추천 수를 가지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범위의 가격을 가지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구매 후기가 존재하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리스트가 페이스북 타임라인인 경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좋아요"(Like)가 많은 글에 대응되는 아이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는 아이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가 인터넷 쇼핑의 제품 리스트인 경우, 사용자가 기설정된 조건으로 기설정된 범위의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센서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햅틱 피드백 제공부 140: 촬영부
150: 통신부 160: 사용자 입력부
170: 저장부 180: 오디오 출력부
190: 제어부

Claims (26)

  1.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 이동 중에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 가능한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이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 가능한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의 좌표값이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 가능한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영역에 이동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상기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좌표값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고,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상기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않은 영역의 좌표값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영역에 이동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이 상기 다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좌표값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다른 오브젝트와의 위치를 교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6.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피드백 제공부;및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에 대한 영역 정보가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 가능한 영역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햅틱 피드백 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7. 화면 상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아이템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아이템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 중 처음 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아이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명령이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일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처음 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아이템이 표시되면, 상기 사용자의 손의 터치 이동 속도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전화번호 리스트이고,
    상기 기설정된 아이템은 즐겨찾기가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단축버튼이 지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1.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피드백 제공부;및
    상기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기설정된 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12. 전자 책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책 컨텐츠에 대한 페이지 이동 명령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된 페이지가 기 설정된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페이지가 상기 기 설정된 페이지인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페이지는,
    상기 전자 책 컨텐츠의 시작 페이지 및 마지막 페이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이동 명령이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일 경우,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터치 이동 속도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페이지는,
    북마크가 설정된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6. 전자 책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피드백 제공부;및
    상기 전자 책 컨텐츠에 대한 페이지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페이지가 기 설정된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페이지가 상기 기 설정된 페이지인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햅틱 피드백 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17. 화면상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면, 상기 스크롤 속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면, 상기 스크롤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의 내용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의 내용은 팝-업창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면, 상기 리스트에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는 아이템을 계속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나머지 아이템을 상기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전화번호 리스트이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즐겨찾기가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단축버튼이 지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부재중 통화 기록이 남아 있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횟수 이상의 스케줄을 가지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수신 메시지 리스트이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사진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동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및 주소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컨텐츠 리스트이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기설정된 값 이상의 추천 수를 가지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최신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장르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재생 중지 중인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인터넷 쇼핑의 제품 리스트이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은 기설정된 값 이상의 추천 수를 가지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범위의 가격을 가지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구매 후기가 존재하는 제품에 대응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26.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스크롤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면, 상기 아이템의 스크롤 속도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KR1020130000346A 2012-05-22 2013-01-02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 KR20130130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689A KR20130130636A (ko) 2012-05-22 2013-05-16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
US13/899,085 US20130318437A1 (en) 2012-05-22 2013-05-21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PCT/KR2013/004500 WO2013176490A1 (en) 2012-05-22 2013-05-22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JP2015513903A JP2015527626A (ja) 2012-05-22 2013-05-22 Ui提供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携帯用機器
EP13168747.7A EP2667285A3 (en) 2012-05-22 2013-05-22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CN2013101913686A CN103425245A (zh) 2012-05-22 2013-05-22 用于提供用户接口的方法和应用该方法的便携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217 2012-05-22
KR20120054217 2012-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616A true KR20130130616A (ko) 2013-12-02

Family

ID=4998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346A KR20130130616A (ko) 2012-05-22 2013-01-02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06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1866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diting screenshot images
US111507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US20220121349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tent Items and Associated Metadata
US106496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EP2667285A2 (en)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1021834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EP2989532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166427B1 (en) Mobile terminal and object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483776B1 (ko) 락 스크린의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방법이 구현된 단말 장치
KR102147900B1 (ko)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KR20170085419A (ko)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30179827A1 (e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KR20150070282A (ko) 문서에서의 썸네일 및 문서 맵 기반 내비게이션
US20130179837A1 (e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CN108052273A (zh) 电子设备及其呈现视觉显示元素的方法
US201202846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 mangement
EP25210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 management
CN103809895A (zh) 一种可动态生成按键的移动终端及方法
KR20130130636A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
JP2017134632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30616A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