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301A -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과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 - Google Patents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과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301A
KR20130130301A KR1020120053996A KR20120053996A KR20130130301A KR 20130130301 A KR20130130301 A KR 20130130301A KR 1020120053996 A KR1020120053996 A KR 1020120053996A KR 20120053996 A KR20120053996 A KR 20120053996A KR 20130130301 A KR20130130301 A KR 20130130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wire
opening
closing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8828B1 (ko
Inventor
강남철
배종진
전성우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82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 수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지혈할 수 있는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클립 및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에 관한 것으로,
개폐클립은 한 쌍의 클립편이 클립편 연결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클립편의 내측에 탄성체가 마련된 클립 본체와, 원뿔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일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클립 결합체와, 와이어 삽입홈체와 상기 클립 결합체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클립 본체의 클립편 연결체와 연결되는 연결선을 포함한 와이어 결합체와, 상기 클립 본체, 클립 결합체, 와이어 결합체의 외부에 마련되되, 외측 일단부에 연결돌기와 연결홈이 형성되며, 내측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클립 하우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클립을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는 개폐 클립과; 상기 개폐클립의 와이어 결합체의 와이어 삽입홈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체와, 상기 와이어 연결체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손잡이를 포함하는 와아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삽입체, 와이어 연결체, 와이어 외부에 마련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 마련된 고정체를 포함하는 튜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과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Open-close Clip and Open-close Clip Treatment Tool using It}
본 발명은 개폐클립의 한 쌍의 클립편을 최대한 개방 또는 최소한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클립이 생체 조직을 클립핑하여 협지한 후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 클립 결합체를 분리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가 생체 조직을 클립핑·협지하는 시술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여 클립의 사용을 줄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을 환자에 전가하지 않는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과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경제가 성장하면서, 그에 따른 생활습관이 변화하고 있으며, 변화된 생활습관 중 식습관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진다. 이러한 생활습관 즉, 식습관의 변화로 인해, 현대인에게 많은 질병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질병들은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 조직검사, 내시경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를 하더라도 신체 내부 장기의 암, 궤양, 용종 등이 발병하게 되고, 그로 인한 외과 수술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외과 수술을 하던 중 내부 장기 및 조직에서 출혈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런 내부 장기 및 조직의 출혈을 조기에 지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내부 장기 및 조직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조기에 지혈하기 위해 내시경 지혈용 클립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시경 지혈용 클립은 일본의 올림푸스(Olympus)사 또는 미국의 보스톤 사이언티픽(Boston Scientific)사가 주로 연구개발하고 있다.
이들 기업에서 개발하고 있는 내시경 지혈용 클립의 특징은 일본의 올림푸스사 경우에는 내시경을 통해 신체 내부로 삽입이 되면 클립을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을 할 수 있으나, 클립을 자유롭게 개폐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국의 보스톤 사이언티픽사 경우에는 내시경을 통해 신체 내부로 삽입이 되면 클립을 개폐할 수 있더라도 개폐의 범위가 좁을 뿐만 아니라 회전할 수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보스톤 사이언티픽사의 클립은 클립 처치구와 일체형이라서 클립을 사용하는 클립처치구도 폐기하여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올림푸스사와 보스톤 사이언티픽사의 클립 및 클립처구의 문제로 인해, 사용자가 실수를 할수록 사용되는 클립 및 클립처치구는 증가하게 되어, 환자에게 전가되는 경제적 비용이 점점 증가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클립 본체의 한 쌍의 클립편을 최대한 개방 또는 최소한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클립이 생체 조직을 클립핑하여 협지한 후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 클립 결합체를 분리할 수 있는 개폐성(開閉性)을 가지는 개폐 클립 및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은 한 쌍의 클립편이 클립편 연결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클립편의 내측에 탄성체가 마련된 클립 본체와, 원뿔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일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클립 결합체와, 와이어 삽입홈체와 상기 클립 결합체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클립 본체의 클립편 연결체와 연결되는 연결선을 포함한 와이어 결합체와, 상기 클립 본체, 클립 결합체, 와이어 결합체의 외부에 마련되되, 외측 일단부에 연결돌기와 연결홈이 형성되며, 내측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클립 하우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클립을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는 개폐 클립과; 상기 개폐클립의 와이어 결합체의 와이어 삽입홈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체와, 상기 와이어 연결체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손잡이를 포함하는 와아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삽입체, 와이어 연결체, 와이어 외부에 마련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 마련된 고정체를 포함하는 튜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 및 클립 처치구에 관한 것으로, 개폐 클립은 와이어부의 와이어 손잡이를 밀고 당기어, 클립 본체의 한 쌍의 클립편을 최대한 개방 또는 최소한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부의 와이어 손잡이를 더 당기어 생체 조직을 클립핑하여 협지한 후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 클립 결합체를 분리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가 생체 조직을 클립핑·협지하는 시술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여 클립의 사용을 줄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을 환자에 전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의 와이어 손잡이를 회전하는 것만으로 개폐클립의 클립 본체의 클립편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생체 조직을 클립핑·협지하는 시술과정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의 클립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의 클립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의 클립 결합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의 클립 본체, 클립 결합체, 와이어 결합체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의 클립 하우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의 와이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의 튜브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의 개방(open)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의 폐쇄(close)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의 클립핑(cliping)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와 클립 결합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클립 및 그를 이용한 클립처치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의 클립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의 클립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의 클립 결합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의 클립 본체, 클립 결합체, 와이어 결합체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의 클립 하우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의 와이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의 튜브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의 개방(open)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의 폐쇄(close)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의 클립핑(cliping)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와 클립 결합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클립 처치구에서 클립 본체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성(開閉性)을 가지는 개폐 클립(A)은 클립 본체(100), 클립 결합체(200), 와이어 결합체(300), 클립 하우징(400)을 포함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본체(100)는 한 쌍의 클립편(110,110')이 클립편 연결체(120)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클립편(110)의 내측에 탄성체(13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클립편(110,110')은 양 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제1협지부(111)와 제2협지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협지부(111)은 생체조직을 클립핑하여 협지하는 것이며, 제2협지부(112)는 상기 클립 결합체(200)를 클립핑하여 협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클립편(110)의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굴절된 굴절부(113)가 형성되며, 굴절부(113) 내측에 삽입홈(114)이 형성된다.
특히, 클립편(110)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제1협지부(111)와 제2협지부(112) 중 제2협지부(112) 방향으로 굴절부(113)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협지부(111)를 기준하여 제2협지부(112) 방향으로 굴절부(113)는 110~130°로 굴절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협지부(111)와 제2협지부(112) 중 제2협지부(112) 방향으로 굴절부(113)를 형성시키는 것은 클립 본체(100)를 개방할 경우 최대한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외력으로 개폐 및 클립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편 연결체(120)는 한 쌍의 클립편(110,100')의 굴절부(113,113')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114)에 삽입되어 한 쌍의 클립편(110,10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클립편 연결체(1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상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클립편 연결체(12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클립 본체(100)를 원활하게 개폐 및 클립핑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30)는 한 쌍의 클립편(110,110')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종류나 형태에 구애받지 않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결합체(200)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일정 깊이의 결합홈(210)이 형성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2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 결합체(200)가 원뿔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일정 깊이의 결합홈(210)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클립 본체(100)의 제2협지부(112)가 원활하게 클립핑하여 협지하기 위할 뿐만 아니라 클립 결합체(200)를 협지한 클립 본체(100)가 외력에 의해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클립 결합체(200)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220)이 형성되는 것은 후술에서 설명되는 클립 본체(100)과 와이어 결합체(200)를 연결하는 연결선(320)을 클립 결합체(200)의 내부를 관통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클립 결합체(200)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220)은 클립 본체(100)과 와이어 결합체(200)를 연결하는 연결선(320)의 개수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결합체(300)는 후술에서 설명하는 와이어부(500)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체(310)와 상기 클립 결합체(200) 내부를 관통하여 클립 본체(100)의 클립편 연결체(120)와 연결되는 연결선(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체(310)는 형태 및 재질에 구애를 받지 않으나, 다만, 와이어 삽입홈체(310)의 재질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 삽입홈체(310)의 재질을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사용하는 것은 와이어부(500)를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할 뿐만 아니라 삽입된 와이어부(500)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320)은 생채 조직을 클립 본체(100)로 클립핑하여 협지한 후 외력에 의해, 와이어 삽입홈체(310)에서 분리된다. 상기 연결선(320)은 외력에 의해 와이어 삽입홈체(310)에서 원활하게 분리하기 위해서, 그의 재질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하우징(400)은 외측 일단부에 연결돌기(410)와 연결홈(420)이 형성되며, 내측 외주면에 걸림턱(4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돌기(410)와 연결홈(420)은 후술에서 설명하는 튜브부(600)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외측 일단부에 연결돌기(410)가 형성되는 것은 클립 하우징(400)과 튜브부(600)와 연결시 연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며, 외측 일단부에 연결홈(420)이 형성되는 것은 클립 하우징(400)과 튜브부(600)를 연결한 후 연결이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클립하우징(400)의 내측 외주면에 걸림턱(430)이 형성되는 것은 후술에서 설명하는 와이어부(500)의 삽입체(510)가 와이어 삽입홈체(310) 내부에 삽입하고, 한 쌍의 클립편(110, 110')의 제1협지부(111)는 생체 조직(C)을, 제2협지부(112)는 클립 결합체(200)를 동시에 클립핑한 후 클립 본체(100)의 클립편 연결체(120)와 연결된 와이어 결합체(300)의 연결선(320)을 원활하게 분리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클립하우징(400)의 내측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430)은 그 형태에 구애받지 않으나, 다만 클립 본체(100)가 클립핑한 후 클립 본체(100)의 클립편 연결체(120)와 연결된 와이어 결합체(300)의 연결선(320)을 원활하게 분리하기 위해 클립 결합체(200)와 맞닿는 면적이 넓은 형태로 형성되고, 클립 본체(100)가 클립하우징(400) 외부로 원활하게 돌출되기 위해 일면이 클립하우징(400)의 내부 중심부로 향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클립 본체(100), 클립 결합체(200), 와이어 결합체(300), 클립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개폐 클립(A)은 재질에 구애받지 않으나, 생체 조직에 사용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등의 금속 또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클립 처치구(B)는 상기 개폐 클립(A), 와이어부(500), 튜브부(6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개폐 클립(A)는 상술에서 충분히 설명한 관계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부(500)는 삽입체(510), 와이어 연결체(520), 와이어(530), 와이어 손잡이(540)를 순차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부(5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삽입체(510)는 개폐 클립(A)의 와이어 결합체(300)의 와이어 삽입홈체(31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체(510)는 형태에 구애받지 않으나, 상기 와이어 삽입홈체(310)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연결체(520)는 삽입체(510)과 와이어(530)를 연결하는 것이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530) 및 와이어 손잡이(540)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종류 및 재질에 구애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600)는 튜브(610)와 고정체(6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튜브(610)는 내측 외주면에 튜브 연결홈(611)을 형성한다. 상기, 튜브(610)의 내측 외주면에 튜브 연결홈(611)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클립 하우징(400)의 연결돌기(410) 및 연결홈(420)과 서로 결합·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클립 하우징(400)과 튜브부(600)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튜브(610)의 굴곡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튜브(610) 외주면에 굴곡돌기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620)는 튜브 연결홈(611)이 형성된 일단부와 대향하는 타단부에 마련되며, 삽입체(510), 분리체(520), 와이어(530)를 튜브(6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고정체 관통공(621)을 형성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립 처치구(B)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클립(A)과 와이어부(500) 및 튜브부(600)를 연결한 상태에서 와이어부(500)의 와이어 손잡이(540)를 튜브(600)의 고정체(620)로 밀면, 개폐 클립(A)의 클립 하우징(400) 내부에 있는 클립 본체(100)의 일부분이 클립 하우징(400) 외부로 돌출되면서 클립 본체(100)의 탄성체(130)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클립편(110, 110')이 최대한 개방(open)된다.
또한, 상기 개폐 클립(A)의 클립 본체(100)에 클립편(110)의 굴절부(113)가 110~130°로 굴절됨에 따라, 클립 하우징(400) 외부로 돌출되면서 클립편 연결체(120)를 기준하여 한 쌍의 클립편(110, 110')의 내각이 60~80°로 개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본체(100)의 한 쌍의 클립편(110, 110')이 최대한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어부(500)의 와이어 손잡이(540)를 튜브(600)의 고정체(620)의 타방향으로 당기면, 클립 하우징(400) 내부에 마련된 걸림턱(430)에 클립 본체(100)의 클립 결합체(200)이 걸리면서 클립 하우징(400) 외부로 돌출된 클립 본체(100)의 일부분이 클립 하우징(400) 내부로 다시 유입되어, 클립 본체(100)의 탄성체(130)의 탄성력에 의해 최대한 개방된 한 쌍의 클립편(110, 110')을 최소한 폐쇄(close)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본체(100)의 한 쌍의 클립편(110, 110')이 최소한 개폐된 상태에서 와이어부(500)의 와이어 손잡이(540)를 튜브(600)의 고정체(620)의 타방향으로 더 당기면, 한 쌍의 클립편(110, 110')의 제1협지부(111)는 생체 조직(C)을 클립핑하여 협지함과 동시에 제2협지부(112)는 클립 결합체(200)를 클립핑(cliping)하여 협지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립편(110, 110')의 제1협지부(111)는 생체 조직(C)을, 제2협지부(112)는 클립 결합체(200)를 동시에 클립핑하여 협지한 상태에서 와이어부(500)의 와이어 손잡이(540)를 튜브(600)의 고정체(620)의 타방향으로 더 당기면, 클립 본체(100)의 클립편 연결체(120)와 와이어 결합체(300)의 와이어 삽입홈체(310)를 연결하는 연결선(320)이 분리되면서 클립 처치구(B)에서 클립 본체(100), 클립 결합체(200)가 분리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클립처치구(B)는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500)의 와이어 손잡이(540)를 밀고 당기어, 클립 본체(100)의 한 쌍의 클립편(110, 110')을 최대한 개방 또는 최소한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부(500)의 와이어 손잡이(540)를 더 당기어 생체 조직(C)을 클립핑하여 협지한 후 클립 처치구(B)에서 클립 본체(100), 클립 결합체(200)를 분리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가 생체 조직(C)을 클립핑·협지하는 시술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여 클립의 사용을 줄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을 환자에 전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립 처치구(B)는 와이어부(500)의 와이어 손잡이(540)를 회전하면, 클립 본체(100)의 클립편(110, 11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부(500)의 와이어 손잡이(540)를 회전하는 것만으로 클립 본체(100)의 클립편(110, 110')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생체 조직을 클립핑, 협지하는 시술과정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A : 개폐 클립 B : 클립 처치구
C : 생체 조직 100 : 클립 본체
110,110 :클립편' 111 : 제1협지부
112 : 제2협지부 113 : 굴절부
114 : 삽입홈 120 : 클립편 연결체
130 : 탄성체 200 : 클립 결합체
210 : 결합홈 220 : 관통공
300 : 와이어 결합체 310 : 와이어 삽입홈체
320 : 연결선 400 : 클립 하우징
410 : 연결돌기 420 : 연결홈
430 : 걸림턱 500 : 와이어부
510 : 삽입체 520 : 와이어 연결체
530 : 와이어 540 : 와이어 손잡이
600 : 튜브부 610 : 튜브
611 : 튜브 연결홈 620 : 고정체
621 : 고정체 관통공

Claims (4)

  1. 한 쌍의 클립편이 클립편 연결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클립편의 내측에 탄성체가 마련된 클립 본체와,
    원뿔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일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클립 결합체와,
    와이어 삽입홈체와 상기 클립 결합체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클립 본체의 클립편 연결체와 연결되는 연결선을 포함한 와이어 결합체와,
    상기 클립 본체, 클립 결합체, 와이어 결합체의 외부에 마련되되, 외측 일단부에 연결돌기와 연결홈이 형성되며, 내측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클립 하우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본체의 클립편은 양단부에 제1협지부와 제2협지부가 형성되며, 중심부에서 제2협지부 방향으로 굴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
  3. 제1항에 기재된 개폐 클립과;
    상기 개폐클립의 와이어 결합체의 와이어 삽입홈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체와, 상기 와이어 연결체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손잡이를 포함하는 와아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삽입체, 와이어 연결체, 와이어 외부에 마련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 마련된 고정체를 포함하는 튜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클립을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의 튜브는 상기 계폐클립의 클립 하우징의 연결돌기 및 연결홈과 결합·연결하는 내측 외주면에 튜브 연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클립을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
KR1020120053996A 2012-05-22 2012-05-22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과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 KR101538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996A KR101538828B1 (ko) 2012-05-22 2012-05-22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과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996A KR101538828B1 (ko) 2012-05-22 2012-05-22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과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301A true KR20130130301A (ko) 2013-12-02
KR101538828B1 KR101538828B1 (ko) 2015-07-24

Family

ID=4997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996A KR101538828B1 (ko) 2012-05-22 2012-05-22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과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8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9030B2 (ja) * 2002-07-19 2008-06-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JP4338472B2 (ja) * 2003-08-20 2009-10-07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JP4758173B2 (ja) * 2004-12-24 2011-08-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紮装置
JP5588711B2 (ja) * 2010-03-30 2014-09-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結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828B1 (ko) 201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2157B (zh) 具有可拆卸的可枢转卡钳的医疗设备
US9271639B2 (en) Surgical introducer and access port assembly
US8460176B2 (en) Adaptor for an endoscope
KR101082762B1 (ko)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구 시스템
JP2009066406A (ja) ゲルと布とのシールアセンブリを備える外科手術用入口部品
US100221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suture thread
US9795283B2 (e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WO2004017839A1 (ja) 生体組織の結紮装置
JP2006087687A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内視鏡処置システム並びに支持アダプタ
JP2011218168A (ja) スリーブおよびポートを含む外科手術アクセスの方法およびアセンブリ
JP2013052289A (ja) 枠アセンブリを備えた外科用入り口装置
JP2007296363A (ja) カテーテル用クイック取付具
JP2014087689A (ja) 内視鏡装置を把持するクリップ
JPWO2018235401A1 (ja) クリップ処置具
JP2019522545A (ja) 複数の型の内視鏡のためのアダプタ
KR20130130301A (ko) 개폐성을 가지는 개폐 클립과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
CN213787698U (zh) 一种腔镜用穿刺器固定器
WO2012121439A1 (ko) 개폐성(開閉性)을 가지는 개폐 클립과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
US20190126015A1 (en) Medical tube fixing apparatus
CN109788955A (zh) 医疗用夹钳盒
JP2010259805A (ja) トロカール用リングおよびシール
JP2018061673A (ja) 留置用クリップ
JP2002136475A (ja) 内視鏡用鉗子栓
TWM570114U (zh) 微創環境下的傷口縫合夾具
JP2014138637A (ja) クリップ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