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721A -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721A
KR20130129721A KR1020120053792A KR20120053792A KR20130129721A KR 20130129721 A KR20130129721 A KR 20130129721A KR 1020120053792 A KR1020120053792 A KR 1020120053792A KR 20120053792 A KR20120053792 A KR 20120053792A KR 20130129721 A KR20130129721 A KR 20130129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idual water
pipe
residual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137B1 (ko
Inventor
이누리
이승준
이용춘
이근기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피아이피
이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피아이피, 이누리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피아이피
Priority to KR102012005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13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9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by regulating the speed of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으로부터 잔류수 제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와 연결된 제1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혼합수관 내 잔류수를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로 배출시키고, 상기 냉수관을 통한 유동이 감지되면 제2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잔류수를 재활용하기 위해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을 통하여 배출시킨다.

Description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Hot and cold water supply system that can utilize residual water}
본 발명은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혼합수관의 잔류수를 저장하였다 활용할 수 있는 냉온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주거용 주택 등의 가 수요처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 온수 공급 시스템은 각 수요처로 냉수를 직접 공급하는 냉수공급관과, 상기 냉수공급관에서 유입되는 냉수를 보일러에서 가열한 후, 가열된 고온수가 유동하는 고온수관으로 배관 설치되어 주방, 욕실 등으로 설치된 냉/온수 일체형 혼합수전으로 공급되어 수전 핸들의 조작에 의해 냉, 온수가 혼합되어 냉/온수 일체형 혼합수전의 토수구를 통해 토출되는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각 소요처(5)에 냉수공급관(1)으로부터 세대 냉수 계량기(2)를 통하여 냉수가 공급되고, 상기 냉수공급관(1)으로 공급되는 냉수 중 일부는 보일러(3)에서 가열되어 고온수가 생성된다. 상기 보일러(3)에서 생성된 고온수는 혼합수관(4)을 통하여 각 소요처(5)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온도를 갖는 온수를 토출하기 위해 배관 내에 정체된 차가운 몰을 빼낸 후 사용해야 하므로, 필요없이 배관 내의 차가운 혼합수를 하수구로 버리게 되어 물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버려지는 물을 환수하기 위한 환수배관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오래된 주택, 아파트 및 주거를 위한 숙박 시설에 환수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환수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냉온수 설비의 대대적인 리모델링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설치 비용이 많을 뿐 아니라, 환수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공사기간 중 거주자가 불편을 겪어야하고 리모델링 시 발생되는 건축 폐자재 처리로 인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혼합수관에 남아 있는 잔류수를 사용하지 않은 채 배출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는 냉온수 공급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수관에 남아있는 잔류수를 별도의 탱크에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 시 잔류수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관; 상기 냉수관에서 분기된 제1냉수분기관을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가열시키는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에서 공급된 고온수와 상기 제1냉수분기관에서 분기된 제2냉수분기관에서 냉수를 공급받아 혼합수를 생성하는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에서 생성된 혼합수를 소요처에 공급하는 혼합수관; 상기 혼합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혼합수관의 잔류수를 저장하는 잔류수 저장탱크;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와 상기 냉수관을 연결하여 잔류수를 공급하는 잔류수 공급배관; 사용자로부터 상기 혼합수관 내 잔류수 제거를 요청받는 사용자 입력수단; 및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으로부터 잔류수 제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와 연결된 제1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혼합수관 내 잔류수를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로 배출시키고, 상기 냉수관을 통한 유동이 감지되면 제2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잔류수를 재활용하기 위해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을 통하여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관; 외부로부터 고온수가 공급되는 고온수관; 상기 고온수관에서 공급된 고온수와 상기 냉수관에서 분기된 제1냉수분기관에서 냉수를 공급받아 혼합수를 생성하는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에서 생성된 혼합수를 소요처에 공급하는 혼합수관; 상기 혼합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혼합수관의 잔류수를 저장하는 잔류수 저장탱크;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와 상기 냉수관을 연결하여 잔류수를 공급하는 잔류수 공급배관; 사용자로부터 상기 혼합수관 내 잔류수 제거를 요청받는 사용자 입력수단; 및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으로부터 잔류수 제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와 연결된 제1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혼합수관 내 잔류수를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로 배출시키고, 상기 냉수관를 통한 유동이 감지되면 제2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잔류수를 재활용하기 위해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은, 잔류수 저장탱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혼합수를 사용하고자 요청 시, 혼합수관에 남아 있는 잔류수를 잔류수 저장탱크로 배출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그리고 혼합수를 새로 생성하고자 할 때 잔류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잔류수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수 공급 시스템이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냉수를 가열장치로 가열하여 고온수를 생성하는 반면, 도 3은 지역난방 시스템 등의 고온수 공급설비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열장치 없이 고온수를 직접 공급받는 것이다. 도 2와 도 3은 이러한 차이점 외에는 모든 구성이 동일하므로, 도 3에서는 도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도 2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은, 냉수관(10)과, 가열장치(20) 또는 고온수관(200)과,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과, 혼합수관(40)과, 잔류수 저장탱크(50)와, 잔류수 공급배관(60)과, 사용자 입력수단(3)과, 제어부(5)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상기 냉수관(10)은 외부의 냉수가 공급되는 것으로, 가열장치(20)에서 고온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장치(20)로 냉수를 공급하거나, 소요처(1)에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냉수관(10)에는 제1감압밸브(10a)와, 유량계(10b)와, 제1체크밸브(10c)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감압밸브(10a)는 상기 냉수관(10)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냉수가 일정한 압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량계(10b)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수의 유량을 감지하고, 상기 제1체크밸브(10c)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서는 상기 냉수관(10)은 소요처(1)로 냉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냉수관(10)에서 분기된 상기 제1냉수분기관(11)을 통해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으로 냉수를 공급한다.
도 2에서 상기 가열장치(20)는 예시적으로 보일러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가열장치(20)는 상기 냉수관(10)에서 분기된 제1냉수분기관(11)을 통해 유입되는 냉수를 가열하여 고온수를 생성하여,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에 공급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은, 지역난방 시스템으로부터 고온수관(200)을 통해 공급된 고온수와 상기 제1냉수분기관(11)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를 이용하여 혼합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온수관(200)에는 상기 냉수관(10)와 마찬가지로 제1감압밸브(201)와, 유량계(203) 및 제1체크밸브(205)가 구비되어 동일한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은 본 실시예에서는 혼합수 제어밸브(미도시)와,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장치(20)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수의 온도를 상기 온도 센서가 측정하여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으로 유입되는 고온수와 냉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은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온도센서가 구비되지 않고, 혼합수 제어밸브에 온도에 따른 고온수와 냉수의 비율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 설정된 비율에 따라 고온수와 냉수가 유입되는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혼합수관(40)은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으로부터 생성된 혼합수를 세대 내 소요처(1)로 공급한다. 상기 혼합수관(40)에는 온도센서(41)가 구비되는데, 상기 온도센서(41)는 상기 혼합수관(40)을 유동하는 혼합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또는 사용자 입력수단(3)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설정 온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소요처(1)로 공급되지 못하고 상기 혼합수관(40) 내에 저장된 혼합수는 시간이 지나 식게 되면 잔류수가 되고, 상기 혼합수관(40)에 연결된 잔류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된다.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는 상기 혼합수관(40)의 잔류수를 저장해 두었다가 혼합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잔류수를 공급한다.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는 상기 혼합수관(40) 내 잔류수 및 새로 생성되었으나 기 설정된 온도 또는 사용자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혼합수를 수차례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는 개방형 타입 또는 폐쇄형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는 저장된 잔류수의 수압 또는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50a)가 구비된다.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가 개방형으로 구비될 때에는 상기 센서(50a)가 수위센서로 구비되고,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가 폐쇄형으로 구비될 때에는 상기 센서(50a)가 수압센서로 구비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가 개방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센서(50a)가 수위센서로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가 폐쇄형으로 구비될 때에는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 내부에 다이어프램이 구비되어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 내 잔류수가 저장될수록 수축되었다가 잔류수를 배출할 때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이 팽창되어 잔류수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와 상기 혼합수관(40) 사이에는 제1펌프(51)가 연결된다. 상기 제1펌프(51)는 상기 혼합수관(40)의 잔류수를 제거하는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제1펌프(51)를 가동하여 상기 혼합수관(40)의 잔류수를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는 상기 제1펌프(51)와 반대되는 측에 제2펌프(53)가 연결된다. 상기 제2펌프(53)는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된 잔류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제2펌프(53)를 가동시켜 잔류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펌프(53)에는 상기 제1냉수분기관(11)으로 연결되는 잔류수 공급배관(60)이 구비된다.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은 상기 제2펌프(53)에 의해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되어 있던 잔류수를 공급할 때 잔류수가 유동하는 배관으로, 잔류수를 상기 냉수관(10)으로 보내어져 소요처(1)에 냉수로 공급하거나, 상기 제1냉수분기관(11)을 따라 가열장치(20)로 공급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은 상기 냉수관(10)에서 상기 제1냉수분기관(11)으로 분기되는 분기점 전에 상기 냉수관(10)과 연결된다.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에는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서 공급되는 잔류수의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제2감압밸브(61)가 구비된다. 상기 제2감압밸브(61)는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서 공급되는 잔류수가 일정한 압력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감압밸브(61)는 전술한 상기 제1감압밸브(10a)보다 압력이 크게 설정된다. 이는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서 잔류수가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냉수관(10)을 통해 냉수가 유입될 때, 잔류수를 먼저 소비한 후 냉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을 통해 유동하는 잔류수는 상기 냉수관(10)으로 유입되어 상기 소요처(1)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감압밸브(61)가 상기 제1감압밸브(10a)보다 압력이 크지 않으면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을 통해 유동하는 잔류수가 상기 냉수관(10)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 내에서 침체된다.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에는 제1전동밸브(6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전동밸브(63)는 상기 제1잔류수 드레인배관(6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되어 있던 잔류수를 공급하고자 할 때 개방된다.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는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된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제2전동밸브(81)가 설치된 드레인배관(80)이 구비된다.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된 잔류수는 상기 수위센서(50a) 및 후술될 유압스위치(71)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으로 공급하여 잔류수를 재활용할지, 상기 드레인배관(8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에는 유압스위치(65)와 제2체크밸브(67)가 구비된다. 상기 제2체크밸브(67)는 잔류수가 상기 냉수관(10)을 향한 방향으로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압스위치(65)는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과 연결된 상기 냉수관(10)의 압력의 변동을 감지한다.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 잔류수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압스위치(65)가 상기 냉수관(10)의 압력의 변동을 감지하면,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 내 잔류수의 수위와 상관없이 상기 제1전동밸브(63)를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53)를 작동시켜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으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 2~3회 잔류수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압스위치(65)가 상기 냉수관(10)의 압력의 변동을 감지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 내 잔류수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상이면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 내 저장된 잔류수를 상기 제2전동밸브(81)를 개방하여 상기 드레인배관(80)을 통해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3)은 예를 들어 리모컨과 같은 것으로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혼합수관(40) 내 잔류수를 제거하고, 혼합수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 조작하여 정상 운전 모드를 기동 운전 모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3)으로부터 혼합수의 사용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기동 운전 모드 시, 상기 제1펌프(51)를 작동시켜 상기 혼합수관(40) 내 잔류수를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입력스위치(71), 상기 수위센서(50a)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된 잔류수를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드레인배관(80)을 통해 배출시킨다.
이러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3)과, 상기 제어부(5)는 무선 통신, 예를 들 RF 통신과 같은 방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수단(3)을 이용하여 잔류수를 제거하고 혼합수의 사용하고자 하는 기동 운전 모드를 요청하면, 제어부(5)는 상기 제1펌프(51)를 작동시켜 상기 혼합수관(40) 내에 남은 잔류수를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로 배출하여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 저장시킨다. 이때 새로운 혼합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냉수관(10)으로 냉수가 유입되면, 상기 유압스위치(65)가 상기 냉수관(10)의 유압의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1전동밸브(61)를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53)를 작동시켜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되어 있던 잔류수를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으로 공급한다.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으로 공급되는 잔류수는 상기 냉수관(10)으로 유입된 후 상기 가열장치(20)로 전달되어 고온수로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에 전달되거나, 소요처(1)에 냉수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에 설치된 상기 제2감압밸브(63)는 상기 냉수관(10)에 설치된 상기 제1감압밸브(61)보다 큰 압력으로 설정되어 있어 잔류수가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을 통해 상기 냉수관(10)으로의 유입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에서 생성된 혼합수는 혼합수관(40)을 통해 소요처(1)로 공급되거나 혼합수관(40)을 유동하는데 상기 혼합수관(40)에 설치된 온도센서(41)에 의해 상기 혼합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또는 사용자 설정 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1펌프(51)가 작동하여 새로 생성된 혼합수도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50)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잔류수를 제거하지 않고 혼합수의 사용을 요청하는 정상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냉수관(10)의 냉수가 상기 제1냉수분기관(11)을 통해 상기 가열장치(20)로 유입되어 가열된 후 고온수로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에 공급되고, 상기 제1냉수분기관(11)에서 분기된 제2냉수분기관(13)을 통해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30)에 유입된 냉수를 혼합하여 혼합수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냉수관(10)으로 냉수가 유입되어 유동되면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에 설치된 유압스위치(65)가 상기 냉수관(10)의 압력 변동을 감지한다. 상기 냉수관(10)의 압력의 변동을 감지하면 상기 제1전동밸브(61)를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53)를 작동시켜 상기 잔류수를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으로 공급한다.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으로 공급된 잔류수는 상기 냉수관(10)으로 유입되어 고온수를 생성하기 위해 공급되거나 소요처(1)에 냉수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은 2~3회 정도 잔류수가 저장되고 나면, 사용자가 직접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60)에 구비된 드레인배관(8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을 적용하면, 혼합수의 사용 요청이 있을 경우, 혼합수관 내 잔류수를 버리지 않고 잔류수 저장탱크로 배출하여 잔류수를 저장해 두었다가 혼합수를 생성하고자 할 때 공급하거나 소요처에 냉수로서 공급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소요처
10: 냉수관
20: 가열장치 30: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
40: 혼합수관 50: 잔류수 저장탱크
60: 잔류수 공급배관
80: 드레인배관
200: 고온수관

Claims (8)

  1. 외부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관;
    상기 냉수관에서 분기된 제1냉수분기관을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가열시키는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에서 공급된 고온수와 상기 제1냉수분기관에서 분기된 제2냉수분기관에서 냉수를 공급받아 혼합수를 생성하는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에서 생성된 혼합수를 소요처에 공급하는 혼합수관;
    상기 혼합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혼합수관의 잔류수를 저장하는 잔류수 저장탱크;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와 상기 냉수관을 연결하여 잔류수를 공급하는 잔류수 공급배관;
    사용자로부터 상기 혼합수관 내 잔류수 제거를 요청받는 사용자 입력수단; 및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으로부터 잔류수 제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와 연결된 제1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혼합수관 내 잔류수를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로 배출시키고, 상기 냉수관을 통한 유동이 감지되면 제2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잔류수를 재활용하기 위해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을 통하여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2. 외부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관;
    외부로부터 고온수가 공급되는 고온수관;
    상기 고온수관에서 공급된 고온수와 상기 냉수관에서 분기된 제1냉수분기관에서 냉수를 공급받아 혼합수를 생성하는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
    상기 혼합수 제어밸브 유닛에서 생성된 혼합수를 소요처에 공급하는 혼합수관;
    상기 혼합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혼합수관의 잔류수를 저장하는 잔류수 저장탱크;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와 상기 냉수관을 연결하여 잔류수를 공급하는 잔류수 공급배관;
    사용자로부터 상기 혼합수관 내 잔류수 제거를 요청받는 사용자 입력수단; 및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으로부터 잔류수 제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와 연결된 제1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혼합수관 내 잔류수를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로 배출시키고, 상기 냉수관를 통한 유동이 감지되면 제2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잔류수를 재활용하기 위해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냉수관에는,
    외부에서 상기 냉수관으로 유입되는 냉수의 유압을 조절하는 제1감압밸브;
    상기 냉수관으로 유입되는 냉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계;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에는,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잔류수의 유압을 조절하는 제2감압밸브;
    개폐 가능하며,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에서 잔류수를 배출 시 개방되는 제1전동밸브;
    상기 냉수관 내 냉수의 유동에 의해 변동하는 유압을 감지하는 유압스위치; 및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잔류수가 상기 냉수관으로 유입되지 않고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스위치가 상기 냉수관의 유압의 변동을 감지하면 상기 제1전동밸브가 개방되며, 상기 제2펌프가 작동되는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는,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잔류수의 수위 또는 수압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잔류수를 외부로 드레인할 수 있도록 제2전동밸브가 구비된 드레인배관을 포함하는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가 개방형일 경우, 상기 센서는 잔류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인 것인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가 폐쇄형일 경우, 상기 센서는 잔류수의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센서이며, 상기 잔류수 저장탱크 내부에는 유입되는 잔류수에 의하여 가압되는 다이아프램이 구비되는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류수 공급배관은 상기 냉수관에서 상기 제1냉수분기관 이전에 연결되는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20120053792A 2012-05-21 2012-05-21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402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792A KR101402137B1 (ko) 2012-05-21 2012-05-21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792A KR101402137B1 (ko) 2012-05-21 2012-05-21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721A true KR20130129721A (ko) 2013-11-29
KR101402137B1 KR101402137B1 (ko) 2014-06-11

Family

ID=4985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792A KR101402137B1 (ko) 2012-05-21 2012-05-21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271A (ko) * 2018-08-20 2020-02-28 진명홈바스(주)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20240020518A (ko) 2022-08-08 2024-02-15 문정훈 중앙난방 온수 환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566Y1 (ko) 2004-11-16 2005-02-02 영 성 이 난방 순환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
KR100777626B1 (ko) * 2005-04-20 2007-11-21 강인미 물 절약 시스템 및 물 절약 방법
KR101073785B1 (ko) * 2011-05-12 2011-10-13 이누리 냉온수 공급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271A (ko) * 2018-08-20 2020-02-28 진명홈바스(주)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20240020518A (ko) 2022-08-08 2024-02-15 문정훈 중앙난방 온수 환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137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11131A (ja) 湯沸しシステム及びその作動方法
KR101402137B1 (ko)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CN108438009A (zh) 一种车载淋浴给水方法及车载淋浴给水装置
KR100728827B1 (ko) 배관파이프 동파방지방법 및 그 장치
US10407881B1 (en) Water diverter and recycler
CN201652814U (zh) 一种热水器循环回水装置及系统
EP3470744B1 (en) Control method for a household water heating unit having a thermal accumulator
KR101386873B1 (ko)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KR101073785B1 (ko)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162072B1 (ko)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154701B1 (ko)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179863B1 (ko)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468671B1 (ko) 온도제어밸브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503013B1 (ko)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137556B1 (ko) 병렬 보일러의 온수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05699A (ko) 난방용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급탕온수공급시스템
JP2005315061A (ja) 高温熱媒体を用いた融雪装置
CN208072517U (zh) 家用热水管道冷却水的回收与再利用装置
KR101467355B1 (ko) 세대별 보일러가 설치된 가정용 온수 공급 시스템
KR101144541B1 (ko) 냉온수 자동 제어 시스템
JP2007107798A (ja) 電気給湯システム
JP2018132231A (ja) 給湯装置
KR101525097B1 (ko) 냉온수 공급시스템
KR20180002699U (ko) 개선된 위성 배관 유닛
KR20160027287A (ko)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혼합수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