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566Y1 - 난방 순환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난방 순환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566Y1
KR200374566Y1 KR20-2004-0032369U KR20040032369U KR200374566Y1 KR 200374566 Y1 KR200374566 Y1 KR 200374566Y1 KR 20040032369 U KR20040032369 U KR 20040032369U KR 200374566 Y1 KR200374566 Y1 KR 200374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heating
preheat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성 이
Original Assignee
영 성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성 이 filed Critical 영 성 이
Priority to KR20-2004-0032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5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5Devices for 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85Pip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 순환 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 순환 시스템의 공급배관 중 하나의 배관을 온수 공급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예열배관으로 활용함으로써, 온수 공급 시스템내의 온수 공급배관내에 정체되어 있는 낮은 온도의 공급수를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난방 열원, 상기 난방 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한 순환수를 난방을 위한 각 사용처에 공급하는 난방배관, 및 난방 순환수의 순환을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난방 순환 시스템; 및 공급수에 열을 가하여 온수로 만들기 위한 온수 열원, 상기 온수 열원으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각 사용처로 이동시키기 위한 온수 배관, 상기 온수를 배출하는 공급밸브를 포함하는 온수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난방 순환 시스템의 난방배관 중 적어도 하나의 난방배관은 상기 온수배관에 인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온수 공급 시스템의 온수 배관과 열교환을 하도록 하는 예열배관이 되며, 상기 온수 배관 내의 온수는 상기 예열배관으로부터 열교환을 받아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정체된 온수를 일정온도 이상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초기 온수의 온도저하를 방지하고, 온도가 낮은 물을 버리는 일 없게 되어 물 자원을 절약하고, 그 결과 하수발생량을 저감시켜 하수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초기 온수가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할 수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즉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난방 라인에 연결된 예열배관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보일러의 가동으로 낭비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고안은 특히 겨울철 정체된 온도의 냉각으로 인하여 배관이 동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난방 순환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HOT WATER PRE-HEATING SYSTEM USING THE PRE-HEATING PIPELINE OF HEATING CIRCULATION SYSTEM}
본 고안은 난방 순환 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 순환 시스템의 공급배관 중 하나의 배관을 온수 공급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예열배관으로 활용함으로써, 온수 공급 시스템내의 온수 공급배관내에 정체되어 있는 낮은 온도의 공급수를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난방 및 온수공급을 위해서는 난방 순환 시스템과 온수 공급 시스템을 별도로 갖추게 된다. 난방 순환 시스템은 펜코일 방식의 라이에이터 등을 이용한 대류열의 난방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와, 난방배관의 매설에 의한 온돌 방식의 열전도, 열대류를 이용한 난방방식으로 구성된다. 한편, 온수 공급 시스템은 음용수, 샤워 등 생활에 필요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난방 순환 시스템과는 별도의 배관 시스템을 갖게 된다.
난방 순환 시스템에서 순환수는 각각의 난방 사용처를 경유하여 재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체순환 시스템을 갖고 있다. 즉, 난방을 위한 순환수는 외부로 배출되거나 소비되지 않고 단지 열전달의 매체로써 사용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순환하는 시스템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온수 공급 시스템은 이와 달리 사용자가 온수의 배출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온수의 공급라인이 순환시스템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결국, 온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온수가 정체(머물러 있음)되어 있는 구간이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온수 정체구간에서는 배관의 방열 현상으로 인하여 온수의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온수 사용시 초기 공급 온수가 필요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물을 공급하게 되어, 사용자는 따뜻한 물이 나올 때까지 낮은 온도의 물을 배출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물 자원을 불필요하게 소모함은 물론, 하수 발생량을 증대시켜 상대적으로 많은 하수 처리 비용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3516호 "가정용 보일러의 온수 공급장치"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온수라인에 정체된 냉각된 온수를 냉수라인을 이용하여 재순환시키고, 보일러를 재가동하여 온수가 즉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물을 재순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라인을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와 더불어, 온수의 즉시 공급을 위하여 보일러를 가동시켜야 하는 열효율 상의 문제, 각종 센서의 배열로 인한 라인 구성의 복잡함, 온수 공급시간의 지연 등이 문제되어 왔던 것이다.
따라서, 온수의 즉시 공급을 위한 새로운 구조에 관한 연구가 당 기술분야에서 계속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기 온수 사용시 온수 정체구간에 위치하는 냉각된 온수를 버리지 않고 바로 원하는 온도의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 자원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온수 예열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원하는 온도의 온수가 공급되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하고, 온수 미사용시 겨울철 냉각으로 인한 동파를 방지하도록 하는 온수 예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예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예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온수 예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예열 시스템의 예열배관과 온수 배관의 열교환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예열 시스템의 예열배관과 온수 배관의 열교환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예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난방 순환 시스템 2: 온수 공급 시스템
10: 난방 열원 14: 난방 공급헤더
18: 난방배관 19a,19b,20:예열배관
36: 온수 열원 40: 온수 공급헤더
42a,42b,50: 온수 배관 44,46a~d: 열전도체
48: 보온 배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난방 열원, 상기 난방 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한 순환수를 난방을 위한 각 사용처에 공급하는 난방배관, 및 난방 순환수의 순환을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난방 순환라인; 및 공급수에 열을 가하여 온수로 만들기 위한 온수 열원, 상기 온수 열원으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각 사용처로 이동시키기 위한 온수 배관, 상기 온수를 배출하는 공급밸브를 포함하는 온수 공급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난방 순환라인의 난방배관 중 적어도 하나의 난방배관은 상기 온수배관에 인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온수 공급라인의 온수 배관과 열교환을 하도록 하는 예열배관이 되며, 상기 온수 배관 내의 온수는 상기 예열배관으로부터 열교환을 받아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수 공급 라인은 열원으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각 사용처에 연결된 온수배관으로 분배하는 공급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배관은 상기 공급헤더와 공급밸브 사이의 온수 배관 중 공급밸브 측에 치우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열배관은 상기 온수배관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배관은 상기 온수배관과 소정의 열전도율을 갖는 열전도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도체는 상기 예열배관과 상기 온수 배관의 열교환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열배관과 상기 온수배관의 열교환부분을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감싸는 보온배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예열배관과 상기 온수 배관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기 보온배관 내의 공기를 열전달 매체로 하여 서로 열교환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난방 열원을 상기 온수 열원으로 사용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난방 순환 시스템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예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예열 시스템은 난방 순환 시스템(1)과 온수 공급 시스템(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난방 순환 시스템(1)은 가정 또는 빌딩에 난방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이는 난방 열원(10), 난방배관(18), 펌프(26)를 포함한다.
난방 순환 시스템(1)은 중앙집중식 난방, 지역난방, 세대별 난방(개별난방) 시스템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모두 순환수를 가열하는 열원을 포함하게 된다. 난방 열원(10)은 순환수에 열을 공급하는 보일러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순환수에 직접 열을 공급하는 다른 어떠한 방식의 것도 가능하다.
열원(10)에서 가열된 순환수는 제1라인(12)을 타고 각각의 사용처에 분배하기 위한 공급헤더(14)에 도달하게 된다. 순환수는 공급헤더(14)에서 각 난방배관(18)으로 나뉘어 공급된다. 공급헤더(14)는 난방배관으로 순환수를 단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밸브(16a,16b,16c)들을 포함하게 되며, 사용자는 밸브의 조작을 통해 필요한 곳에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난방을 필요로하는 사용처들을 지난 순환수는 리턴헤더(22)에서 하나로 모여 제2라인(24)을 통해 열원(10)으로 순환된다. 이러한 순환은 제2라인(24)에 연결되는 공급펌프(26)를 통해 이루어진다.
온수 공급 시스템
도 1에서, 온수 공급 시스템(2)은 온수 열원(36), 온수 배관(42a,42b,50) 및 공급밸브(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온수 공급 시스템(2)은 화장실, 세면대, 세척대 등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온수를 만들기 위한 열원(36)으로는 일반적으로 보일러를 사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가정용의 온수 공급라인은 개별적으로 온수를 만들어 사용처에 공급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공급수는 열원(36)에 공급펌프(32)를 통해 공급된다.
온수 열원(36)에서는 공급된 공급수를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게 되며, 이는 제1라인(38)을 타고 온수 공급헤더(40)로 공급된다. 온수 공급헤더(40)에는 각각의 사용처에 연결된 온수 배관(42a,42b,50)이 연결되며, 온수 공급헤더(40)는 온수를 각각의 사용처로 분배하게 된다. 온수 배관의 끝단에는 사용자가 온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4)가 형성된다.
예열배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난방 순환 시스템(1)의 난방배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난방배관을 예열배관으로 이용하여 온수 공급 시스템(2)에 정체된 공급수를 예열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를 제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온수 공급 시스템(2)은 온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온수 배관에 온수가 채워져 정체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정체된 상태의 온수는 외기와 열교환을 하게 되어 온수 자체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온수를 재사용할 때 초기에 필요로 하는 온도의 온수를 얻지 못해 필요 온도의 온수가 토출될 때까지 기다리고, 그 정체된 물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난방 순환 시스템(1)의 난방배관을 예열배관으로 활용함으로써, 정체된 온수의 온도가 항상 필요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예열시키는 온수 예열 시스템을 제공한다.
먼저, 난방 순환 시스템(1)의 각 난방배관(18)과 같이, 난방 공급헤더(14)와 리턴헤더(22)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예열배관(19a,19b,20)을 형성한다. 예열배관(19a)의 공급헤더측에는 예열배관(19a)으로 유입되는 순환수의 공급을 단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밸브(16d)를 설치한다. 이는 난방 순환 시스템(1)내의 순환수 온도가 극고온일 경우, 예열배관(19a,19b,20)으로부터 열전달받아 예열되는 온수의 온도가 인체에 해로울 정도로 가열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그와 같은 경우 밸브(16d)를 닫아 온수 사용자가 화상 등을 당할 수 있는 위험을 배제시키기 위함이다. 예열배관(19a,19b,20)은 온수 배관(42a,42b,50)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예열배관과 온수 배관의 열교환부분(20,50)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교환을 이루게 된다.
이때 열교환부분(20,50)은 온수 배관 중 공급밸브측에 치우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는 정체된 온수 중 공급밸브 측와 먼측, 즉 온수 공급헤더(40) 측은 충분한 온도를 가진 공급온수에 의해 어느정도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며, 출구측의 온수의 온도를 예열 하는 것이 전체적인 온수온도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데 있어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예열배관(19a,19b,20)은 난방 순환수의 열을 정체된 온수배관 내의 공급수에 전달하게 되며, 이때 통상적으로 난방 순환수의 온도는 45℃ 이상이 되므로 정체된 온수의 예열이 가능하게 된다. 정체된 온수는 예열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열을 받아 난방 순환수의 온도에 인접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온수 예열을 통해 온수 사용자가 바로 적정 온도의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열(열교환)방식
이와 같은 온수 예열을 위한 열교환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4 (a),(b) 및 도5 (a), (b), (c)는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예열 시스템의 예열배관과 온수 배관의 열교환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온수 배관(42a,42b,50)과 예열배관(19a,19b,20)이 서로 직접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열배관의 열교환 부분(20)과 온수 배관의 열교환 부분(50)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한 채로 열교환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온수 배관 내에 정체되어 있는 온수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도 4(b)는 예열배관(19a, 19b, 20)을 온수 배관의 열교환부분(50) 하측에 S 자형으로 배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고온의 순환수가 순환되는 S 자형 예열배관이 온수 배관과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온수 배관 내의 온수 온도는 S 자형 예열배관으로부터 열전달받아 상승되게 된다.
도 5(c)는 간접 열교환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온수 배관과 예열배관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경우, 그 열교환 부분(20,50)의 이격 공간에 열전도체(44)를 배치시키고 이를 통해 열을 전달시키게 된다. 열전도체(44)는 양호한 열전도율을 갖는 구리와 같은 금속재질이 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어떠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접 열교환 방식은 시공시 예열배관을 온수 배관과 접촉시키기 어려운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열전도체를 열교환부분(20,50)의 이격공간을 채우고 각 배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열하여 전체적인 열교환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의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a)는 도 5(c)의 열전도체를 열교환부분의 일부에 배열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서 열전도체(46a,46b,46c,46d)는 전체적인 열교환부분 중 일부에 배열되며, 이는 시공 구조상 두꺼운 벽체나 장애물이 존재하게 될 경우, 각 배관을 접촉시키는 틈새를 형성하여 그 틈새에 열전도율이 좋은 열전도체를 배열하도록 하는 의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예열배관 없이 난방배관(18) 중 적어도 하나의 난방배관(18)을 온수 배관(50)의 온수 예열용 예열배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난방배관과 온수 배관 사이에 열전도율이 뛰어난 열전도체(47a, 47b, 47c)를 배치시키고 이를 통해 난방배관내의 순환수의 열을 온수배관측으로 전달시켜, 온수 배관내의 온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5(b)는 보온배관(48)을 도시한 것이다. 보온배관(48)은 예열배관의 열교환부분(20)과 온수 배관의 열교환부분(50)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이때 예열배관과 온수배관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이격되어 배열되는 각 배관들을 감싸는 보온배관(48)은 내부에 공기를 포함하게 되고, 내부의 공기가 외부 공기와 쉽게 열교환이 되지 않도록 단열재를 사용하게 된다.
보온 배관(48) 내부의 예열배관(20)은 보온배관 내의 공기로 열전달을 하게 되고, 온도가 상승한 내부 공기는 대류하게 되어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수배관 내의 정체된 공급수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열교환으로 정체된 온수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 유지될 수 있다.
동시 가열 시스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예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의 난방 순환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게 된다. 즉, 난방 열원(10)을 통해 순환수가 가열되고, 순환수는 제1라인(12)을 통해 난방 공급헤더(14)에 공급되며, 각 사용처로 난방배관(18)을 통해 분배되고, 이를 리턴헤더(22)에서 모아 제2라인(24)으로 순환시킨다.
이때 온수 공급 시스템은 난방 열원(10)을 온수 열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난방 열원은 온수 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온수열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며, 개별난방 및 온수 공급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앞서 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예열배관(20)과 온수배관(50)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정체된 온수의 예열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예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 공급헤더(14)로부터 나뉘어지는 난방배관 중 하나는 먼저 난방배관(18a)으로 기능을 한 다음, 예열배관(19a,19b,20)으로 기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예열배관(19a,19b,20)으로 온수배관(50)과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에 다시 난방배관(18b)으로 기능하도록 설계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난방 순환 라인에 예열배관을 형성하고, 예열배관을 온수 공급라인의 온수 배관과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배열하여 정체된 온수가 일정온도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초기 온수의 온도저하를 방지하고, 온도가 낮은 물을 버리는 일 없게 되어 물 자원을 절약하고 그 결과 하수발생량을 저감시켜 하수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초기 온수가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즉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난방 라인에 연결된 예열배관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보일러의 가동으로 낭비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특히 겨울철 정체된 온도의 냉각으로 인하여 배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7)

  1. 난방 열원, 상기 난방 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한 순환수를 난방을 위한 각 사용처에 공급하는 난방배관, 및 난방 순환수의 순환을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난방 순환 시스템; 및
    공급수에 열을 가하여 온수로 만들기 위한 온수 열원, 상기 온수 열원으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각 사용처로 이동시키기 위한 온수 배관, 상기 온수를 배출하는 공급밸브를 포함하는 온수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난방 순환 시스템의 난방배관 중 적어도 하나의 난방배관은 상기 온수 공급 시스템의 온수 배관과 열교환을 하도록 하는 예열배관이 되며, 상기 온수 배관 내의 온수는 상기 예열배관으로부터 열교환을 받아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공급 시스템은 열원으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각 사용처에 연결된 온수배관으로 분배하는 공급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배관은 상기 공급헤더와 공급밸브 사이의 온수 배관 중 공급밸브 측에 치우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배관은 상기 온수배관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배관은 상기 온수배관과 소정의 열전도율을 갖는 열전도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체는 상기 예열배관과 상기 온수 배관의 열교환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배관과 상기 온수배관의 열교환부분을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감싸는 보온배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예열배관과 상기 온수 배관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기 보온배관 내의 공기를 열전달 매체로 하여 서로 열교환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열원을 상기 온수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예열 시스템.
KR20-2004-0032369U 2004-11-16 2004-11-16 난방 순환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 KR200374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369U KR200374566Y1 (ko) 2004-11-16 2004-11-16 난방 순환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369U KR200374566Y1 (ko) 2004-11-16 2004-11-16 난방 순환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406A Division KR20060054733A (ko) 2004-11-16 2004-11-16 난방 순환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566Y1 true KR200374566Y1 (ko) 2005-02-02

Family

ID=4935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369U KR200374566Y1 (ko) 2004-11-16 2004-11-16 난방 순환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5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37B1 (ko) 2012-05-21 2014-06-11 이누리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408694B1 (ko) 2013-02-04 2014-06-17 주식회사 브이비엠 이온전극 열원장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37B1 (ko) 2012-05-21 2014-06-11 이누리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408694B1 (ko) 2013-02-04 2014-06-17 주식회사 브이비엠 이온전극 열원장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07164A (zh) 一种热水器
KR200374566Y1 (ko) 난방 순환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
KR20060054733A (ko) 난방 순환시스템의 예열배관을 이용한 온수 예열 시스템
KR100627720B1 (ko) 전기보일러의 구조
KR100393917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101298900B1 (ko) 고효율 열교환기
FI104004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veden kierrättämiseksi putkistossa
CN205957488U (zh) 水箱换热结构及热水器
KR100690278B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온수 및 난방 겸용 보일러
ATE391271T1 (de) Elektrischer durchlauferhitzer
FI105362B (fi) Lämmityslaite
JP5982636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KR100515787B1 (ko) 건축 설비 공사용 열교환식 난방 파이프
JP2006308262A (ja) 給湯兼用融雪装置
JP2019035514A (ja) 給湯給水管及び給湯システム
KR200215784Y1 (ko) 폐온수를 이용한 보일러용 열 교환장치
KR200212142Y1 (ko) 히터파이프를 이용한 순간온수기
JPH0321822B2 (ko)
CA2348208C (en) Method and system for pre-heating water
KR200382668Y1 (ko) 팽창탱크용 열교환기가 구비된 보일러 시스템
JP3078015U (ja) 簡易型液体加熱管の構造
KR200204260Y1 (ko) 건축설비공사의 열교환용 이중난방파이프
JP2592408B2 (ja) 深夜用電力温水器
KR200416128Y1 (ko) 전기보일러의 구조
KR200389967Y1 (ko) 이중 열매체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