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649A -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 Google Patents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649A
KR20130129649A KR1020120053679A KR20120053679A KR20130129649A KR 20130129649 A KR20130129649 A KR 20130129649A KR 1020120053679 A KR1020120053679 A KR 1020120053679A KR 20120053679 A KR20120053679 A KR 20120053679A KR 20130129649 A KR20130129649 A KR 20130129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w
impact
shock absorbing
speed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9649A/ko
Publication of KR20130129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6Additional energy absorbing means supported on bumber beams, e.g. cellular structures or material
    • B60R2019/1866Cellula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의 전방에 위치된 범퍼 커버와, 상기 범퍼 커버의 뒤에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범퍼 커버의 강성을 보강하는 스틸 빔 사이에 배치되어 저속 충돌시 에너지를 흡수하는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에 있어서, 좌우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에 좌우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인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인서트부에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충격 흡수에 있어서 요구되는 강성치에 따른 다양한 강성의 충격 흡수재가 삽입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충격흡수부의 형상 내지 이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의 변경 없이도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를 위한 요구 강성치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Energy absorber for low-speed collusion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충격흡수부의 형상 내지 이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의 변경없이도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를 위한 요구 강성치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의 전방부에는 전방충돌 사고 발생시 보행자를 보호함과 아울러 충돌 물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범퍼 앗세이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충격흡수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범퍼 앗세이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방부에 범퍼 커버(10)가 구비되고, 상기 범퍼 커버(10)의 후방부에는 범퍼 앗세이의 전체적인 강성 유지 및 보강을 위한 스틸 빔(20)이 좌우로 길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범퍼 앗세이는 상기 범퍼 커버(10)와 상기 스틸 빔(20) 사이에 보행자 또는 전방 물체와의 저속충돌시 충돌 물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실질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에너지 옵서버, 30)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저속충돌 충격흡수부(30)는, 자동차가 수요되는 나라마다 각각 상이한 충돌안전 기준을 가지고 있어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보행자 다리 모형(40)을 이용하여 다리 모형(40)의 상해 정도를 측정한 다음 상기 충격흡수부(30)의 배율 및 형상의 변경을 통하여 조절을 하여야 하므로, 금형을 다시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저속충돌 충격흡수부(30)는, 기본적으로 저속충돌시의 충격흡수 기능과 보행자 보호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강성을 유지해야만 하는데, 상기 스틸 빔(20)과 상기 범퍼 커버(10) 사이에 배치된 위치에 의한 충격흡수 기능은 어느 정도 만족하는 반면 보행자 보호의 기능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충격흡수부의 형상 내지 이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의 변경없이도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를 위한 요구 강성치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는, 차체의 전방에 위치된 범퍼 커버와, 상기 범퍼 커버의 뒤에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범퍼 커버의 강성을 보강하는 스틸 빔 사이에 배치되어 저속 충돌시 에너지를 흡수하는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에 있어서, 좌우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에 좌우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인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인서트부에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충격 흡수에 있어서 요구되는 강성치에 따른 다양한 강성의 충격 흡수재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인서트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재는, 골판지 재질 또는 얇은 PP 재질의 하니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재는, 단위 격자의 수직 단면으로써 "X"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재는, 단위 격자의 수직 단면으로써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재의 단위 격자는, 요구되는 강성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는, 별도로 금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저속충돌시의 충격흡수 기능 및 보행자 보호 기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충격 흡수재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는, 나라마다 상이한 충돌안전기준을 강성 조절이 가능하도록 인서트부에 삽입되는 충격 흡수재에 의하여 조절하는 바, 법규 만족성이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충격흡수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인서트부에 삽입되는 충격 흡수재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구성 중 인서트부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의 금형 제작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인서트부에 삽입되는 충격 흡수재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체의 전방에 위치된 범퍼 커버(미도시, 도 1 참조)와, 상기 범퍼 커버의 뒤에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범퍼 커버의 강성을 보강하는 스틸 빔(미도시, 도 1 참조) 사이에 배치되어 저속 충돌시 에너지를 흡수하는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와 관련된 제품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전면부에 좌우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인서트부(120, 120a∼c)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인서트부(120a∼c)에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충격 흡수에 있어서 요구되는 강성치에 따른 다양한 강성의 충격 흡수재(125, 125a∼c)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보행자 보호를 위한 충격 흡수에 있어서 요구되는 강성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100)가 적용된 차량을 수입하는 나라마다 각각 상이하다. 즉, 충돌안전 기준이 낮거나 적용되지 아니하는 국가에서는 기존의 범퍼의 외형을 유지하면서도 구조적 강도를 어느 정도 충족시킬 것을 요구하고, 동시에 제작비의 절감 및 무게의 경량화 기준을 무시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100)로써의 에너지 옵서버의 외형을 거의 변형시키지 않고서도(즉, 기존 금형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각 국가가 갖는 충돌안전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그 골자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인서트부(120a∼c)는 그 외형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인서트부(120a∼c)의 외형이 정형화된 직육면체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충돌안전 기준 및 후방에 배치된 상기 스틸 빔의 강성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충격 흡수재(125a∼c)는, 골판지 재질 또는 얇은 PP 재질의 하니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니콤이라 함은, 벌집 모양의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써, 면전체가 균일한 크기의 소형 밀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방 어느 부분도 균일한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저속충돌 충격흡수부(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인서트부(120a∼c)에 삽입되는 충격 흡수재(125a∼c)를 상기 하니콤으로 구비하는 것은, 중량 증가를 방지함과 아울러, 각국에서 요구되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강성치를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보행자 보호를 보다 강조하는 국가의 경우 상기 복수개의 인서트부(120a∼c)에 처음부터 상기 충격 흡수재(125a∼c)를 삽입하지 않거나, 삽입하더라도 상기 충격 흡수재(125a∼c)의 강성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쉽게 각국의 충돌안전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니콤이라 함은 벌집 형상의 구조를 말하는 것이지만, 이는 반드시 용어에 의하여 한정될 것은 아니고, 소정의 공간 내부에 소정의 밀실을 형성하는 구조를 통틀어 하니콤이라 말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흡수재(125a∼c)는, 상기 소정의 밀실을 형성하는 단위 격자의 수직 단면으로써 "X"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단위 격자의 수직 단면으로써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위 격자의 수직 단면 형상은 요구되는 강성치에 따라 상이하게 선택될 것이고, 그 밀집도 또한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도 3의 구성 중 인서트부(120a∼c)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100)의 금형 제작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속충돌 충격흡수부(100)의 제작 과정을 간략하게 첨부된 도면(특히, 도 5 참조)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코어를 형성하는 프론트 금형(210)의 내부에 "H"자 형상의 골격 부재(300)를 배치시키고 발포액을 충진시킨다. 이때, 상기 골격부재(300)의 전단부 일부(3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금형(210) 및 리어 금형(220)을 압축시킬 때 상기 인서트부(120a∼c)의 상단부 및 하단부 일부(320)를 점하도록 벤딩되게 상기 인서트부(120a∼c)의 내측으로 개구된 'v'자 홈부(3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골격 부재(300)의 후단부 일부(320)는 상기 프론트 금형(210) 및 리어 금형(220)을 압축시킬 때 상기 골격부재(300)의 후단부(320)가 각각 상측 및 하측으로 벤딩되게 상기 골격부재(300)의 상측 및 하측으로 개구된 'v'자 홈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금형(210)의 후방에는 상기 프론트 금형(210)과 합형되는 리어 금형(220)이 배치되고, 상기 리어 금형(220)과 프론트 금형(210)은 상기 골격 부재(300)의 후단부(320)가 벤딩되는 거리만큼 틈(G)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발포 금형의 경우 2차적으로 거치는 압축 공정을 거치면서 상기 틈(G)은 사라지고, 상기 인서트부(120a∼c)의 소정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충격흡수부 110: 몸체부
120: 인서트부 125: 충격 흡수재
210: 프론트 금형 220: 리어 금형
300: 골격 부재 310: 홈
320: 일단부, 후단부

Claims (6)

  1. 차체의 전방에 위치된 범퍼 커버와, 상기 범퍼 커버의 뒤에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범퍼 커버의 강성을 보강하는 스틸 빔 사이에 배치되어 저속 충돌시 에너지를 흡수하는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에 있어서,
    좌우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에 좌우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인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인서트부에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충격 흡수에 있어서 요구되는 강성치에 따른 다양한 강성의 충격 흡수재가 삽입된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인서트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재는, 골판지 재질 또는 얇은 PP 재질의 하니콤인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재는, 단위 격자의 수직 단면으로써 "X"자 형상을 갖는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재는, 단위 격자의 수직 단면으로써 "V"자 형상을 갖는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재의 단위 격자는, 요구되는 강성치에 따라 선택되는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KR1020120053679A 2012-05-21 2012-05-21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KR20130129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679A KR20130129649A (ko) 2012-05-21 2012-05-21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679A KR20130129649A (ko) 2012-05-21 2012-05-21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649A true KR20130129649A (ko) 2013-11-29

Family

ID=4985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679A KR20130129649A (ko) 2012-05-21 2012-05-21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96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799B1 (ko) * 2015-07-08 2016-04-29 주식회사 투데이모터스 차량용 리어범퍼 제조방법
CN108602481A (zh) * 2016-01-20 2018-09-28 蒂森克虏伯钢铁欧洲股份公司 车辆保险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799B1 (ko) * 2015-07-08 2016-04-29 주식회사 투데이모터스 차량용 리어범퍼 제조방법
CN108602481A (zh) * 2016-01-20 2018-09-28 蒂森克虏伯钢铁欧洲股份公司 车辆保险杠
US10894521B2 (en) 2016-01-20 2021-01-19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Bumper for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1637B1 (en) Hybrid crash box for vehicle
CN105196937B (zh) 用于车辆的撞击箱
KR101106330B1 (ko) 자동차용 크래쉬 박스
CN204845824U (zh) 一种新型防撞梁吸能盒
CN103407494B (zh) 用于车架的纵梁
CN106347471A (zh) 车辆用冲击能量吸收结构
CN204821718U (zh) 车身纵梁、副车架总成及汽车
KR101327016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CN204264083U (zh) 吸能盒、吸能机构、副车架总成及汽车
CN204340947U (zh) 一种连续变厚度的汽车吸能盒
CN103625399B (zh) 缓冲梁组件系统
CN206159340U (zh) 一种组合式缓冲吸能装置
KR20130129649A (ko) 차량의 저속충돌 충격흡수부
KR101714200B1 (ko)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EP3351433B1 (en) Buckling inducing-type vehicle crash boxes and vehicle back beam having same
CN104727250B (zh) 防撞护栏
CN204196824U (zh) 集成式格栅结构
KR101154262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CN204726363U (zh) 一种车用的高效吸能盒
CN207433460U (zh) 一种碰撞吸能装置及车辆
KR102456470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KR102588953B1 (ko)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CN204895361U (zh) 一种车用的吸能盒
KR20140034636A (ko) 차량용 범퍼 빔
CN207617797U (zh) 一种汽车前纵梁碰撞变形引导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