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022A -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022A
KR20130129022A KR1020120053330A KR20120053330A KR20130129022A KR 20130129022 A KR20130129022 A KR 20130129022A KR 1020120053330 A KR1020120053330 A KR 1020120053330A KR 20120053330 A KR20120053330 A KR 20120053330A KR 20130129022 A KR20130129022 A KR 20130129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button
area
point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락
김병태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세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9022A/ko
Publication of KR2013012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전자기기용 입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는 다수의 버튼; 일부 영역이 상기 다수의 버튼 이외의 다른 복수의 버튼 입력을 위한 버튼영역으로 할당되며, 상기 일부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이 포인팅 기능 입력을 위한 포인팅 영역으로 할당되고, 상기 버튼이 아님을 판단에 의해 터치 전체 영역을 포인팅 기능을 위한 포인팅 영역으로 할당되는 터치 패드; 상기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드의 터치 영역을 판단하는 필터부; 상기 다수의 버튼 선택에 따라 각기 발생한 버튼신호에 상응하는 버튼기능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필터부의 판단결과 터치 영역이 버튼 영역인 경우 해당 버튼 영역의 기능에 해당되는 버튼영역기능정보를 발생하며 포인팅 영역인 경우 포인팅 기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버튼기능정보, 버튼영역기능정보 및 포인팅 기능정보를 무선 또는 적외선으로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입력장치{INPU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포인팅 장치의 터치 영역을 통해 다수개의 물리적인 버튼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포인팅 기능을 구현한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점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의 수려함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조되는 것은 키보드 혹은 키패드로 대표되던 입력 장치의 다변화이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스마트 TV나 IP 셋탑박스 등의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로 사용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에, 전자기기의 조작을 위한 물리적인 다수의 버튼과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가 동시에 구비되는 추세에 있다.
포인팅 장치는 손가락을 움직이면 움직인 방향에 따라 커서(또는 포인터)가 화면상에서 이동하도록 정보를 발생해서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포인팅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전자기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 태블릿, 마우스, 라이트펜, 트랙 볼, 스타일러스, 조이스틱, 포인팅스틱, 퍽, 도형 처리 평판 등일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LCD창 또는 LED창과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항목이나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한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자기기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TV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일 예로 도시한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V용 리모트 컨트롤러(10)는 채널(channel) 변경, 볼륨(volume) 변경 등을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버튼들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전자기기의 조작을 위해 다수의 물리적인 버튼과 일정면적을 차지하는 포인팅 장치를 동시에 구비하려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한된 면적에서 물리적인 버튼 수를 늘리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볼륨 증가나 볼륨 감소 등과 같이 연속적인 동작이 필요할 때 리모트 컨트롤러의 볼륨 증가 버튼 또는 볼륨 감소 버튼을 반복하여 눌러야 하거나 일정시간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수개의 물리적인 버튼 기능이 포인팅 장치의 터치 영역 내 일부를 통해 구현된 전자기기용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볼륨 증가나 볼륨 감소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물리적인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포인팅 장치의 터치 영역을 슬라이딩하는 동작으로 대체한 전자기기용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자기기용 입력장치는, 다수의 버튼; 일부 영역이 상기 다수의 버튼 이외의 다른 복수의 버튼 입력을 위한 버튼영역으로 할당되며, 상기 일부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이 포인팅 기능 입력을 위한 포인팅 영역으로 할당되고, 상기 버튼이 아님을 판단에 의해 터치 전체 영역을 포인팅 기능을 위한 포인팅 영역으로 할당되는 터치 패드; 상기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드의 터치 영역을 판단하는 필터부; 상기 다수의 버튼 선택에 따라 각기 발생한 버튼신호에 상응하는 버튼기능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필터부의 판단결과 터치 영역이 버튼 영역인 경우 해당 버튼 영역의 기능에 해당되는 버튼영역기능정보를 발생하며 포인팅 영역인 경우 포인팅 기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버튼기능정보, 버튼영역기능정보 및 포인팅 기능정보를 무선 또는 적외선으로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인팅 기능은, 상기 포인팅 영역 내 터치 좌표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화면에 출력된 포인터의 움직임이 변하거나,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들이 스크롤(Scroll) 되거나 또는 드래그 앤 드롭(darg and drop) 되며, 상기 포인팅 영역 내 특정 좌표가 소정 횟수 반복하여 터치 된 경우 상기 특정좌표에 대응되어 상기 화면에 출력된 특정 메뉴가 실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는, N(≥1, 가로)×M(≥1, 세로)의 수를 갖도록 터치 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N×M의 수를 갖는 각각의 터치 영역 크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하며, 상기 버튼영역은 상기N(가로)×M(세로)의 수를 갖는 터치 영역들 중 1×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1×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N×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N×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1×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및 1×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에는, 볼륨 증가버튼 및 볼륨 감소버튼이 할당되거나, 채널 증가버튼 및 채널 감소버튼이 할당되며, 또는 방향버튼인 상하 좌우 버튼이 할당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N×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및 N×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에는, 볼륨 증가버튼 및 볼륨 감소버튼이 할당되거나, 채널 증가버튼 및 채널 감소버튼이 할당되며, 또는 방향버튼인 상하 좌우 버튼이 할당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ZigBee RF4CE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버튼기능정보, 버튼영역기능정보 및 포인팅 기능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에 따르면, 다수개의 물리적인 버튼 기능이 포인팅 장치의 터치 영역 내 일부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조작을 위해 다수의 물리적인 버튼과 일정면적을 차지하는 포인팅 장치를 동시에 구비하려면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의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의 제한된 면적에서 물리적인 버튼 수를 늘리는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가 버튼영역 및 포인팅 영역으로 분할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가 정방향으로 있을 때 터치 패드의 터치 영역과, 90도 회전하였을 때 터치 패드의 터치 영역과, 180도 회전하였을 때 터치 패드의 터치 영역 모두가 정방향으로 잡고 있을 때와 똑같은 방향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20)의 시스템 구성은, 상기 전자기기용 입력장치(20)는 전자기기(30)의 제어를 위해서, 터치패드(21), 다수의 버튼(22), 필터부(23), 제어부(24) 및 통신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용 입력장치(20)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버튼과 일정면적을 가지고 상기 전자기기(30)를 제어에 있어서 포인팅 기능을 위한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터치패드(21)를 구비한 장치라면 어느 형태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다수의 버튼과 터치패드(21)를 구비한 키보드도 상기 전자기기용 입력장치(20)로 사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다수의 버튼(22)이 배치된 이외의 곳에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일부 영역이 상기 다수의 버튼 이외의 다른 복수의 버튼 입력을 위한 버튼영역으로 할당되며, 상기 일부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이 포인팅 기능 입력을 위한 포인팅 영역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때 터치패드(21)는 손가락 또는 터치 펜을 움직이면 움직인 방향에 따라 커서(또는 포인터)가 화면상에서 이동하도록 정보를 발생해서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포인트 장치의 일 구성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21)에 손가락을 고정하고 손목을 상하좌우로 움직이면 움직인 방향에 따라 커서(또는 포인터)가 화면상에서 이동하도록 정보를 발생할 수가 있다.
상기 포인트 장치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입력장치(20)의 구성 중 터치패드(21), 필터부(23) 및 제어부(24) 및 통신부(25)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터치패드(21), 필터부(23), 제어부(24) 및 통신부(25)가 상기 포인트 장치를 구성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내용에 걸쳐서 명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상기 터치패드(21)는 N(≥1, 가로)×M(≥1, 세로)의 수를 갖도록 터치 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N×M의 수를 갖는 각각의 터치 영역 크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영역은 상기N(가로)×M(세로)의 수를 갖는 터치 영역들 중 1×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1×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N×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N×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1×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및 1×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과, 상기 N×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및 N×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각각에는
볼륨 증가버튼 및 볼륨 감소버튼이 할당되거나, 채널 증가버튼 및 채널 감소버튼이 할당되며, 또는 방향버튼인 상하 좌우 버튼이 할당될 수 있다.
즉, 상기 1×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및 1×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에 할당되는 버튼과, 상기 N×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및 N×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에 할당되는 버튼은 서로 상이하게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및 1×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에 각각 볼륨 증가버튼 및 볼륨 감소버튼이 할당되면, 상기 N×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및 N×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에는 채널 증가버튼 및 채널 감소버튼이 할당될 수 있고 동시에 터치영역의 상하 좌우의 일부분을 할당하여 방향버튼인 상하 좌우 버튼으로 할당 또는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가 3×3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된 예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3×3으로 분할된 터치 영역들 중 1×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21a), 1×3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21b), N×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21c), N×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21d)이 버튼 영역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상기 1×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21a), 1×3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21b), N×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21c), N×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21d)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 영역(21e)은 포인팅 기능 입력을 위한 포인팅 영역으로 할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영역(21e)은 손가락 또는 전기적인 장치에 의해 처음 입력되는 터치영역이 포인팅으로 인식하는 구간이고, 손가락 또는 전기적인 장치를 떼지 않고 다른 터치영역으로 움직일 경우에 전체 터치영역이 마우스로 동작되는 구간이 된다.
이때, 포인팅 기능은, 상기 포인팅 영역 내 터치 좌표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화면에 출력된 포인터의 움직임이 변하거나,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들이 스크롤(Scroll) 되거나 또는 드래그 앤 드롭(darg and drop) 되며, 상기 포인팅 영역 내 특정 좌표가 소정 횟수 반복하여 터치 된 경우 상기 특정좌표에 대응되어 상기 화면에 출력된 특정 메뉴가 실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21)의 터치 영역에 할당되는 버튼들은 상기 다수의 버튼(22)의 종류와 다른 종류의 버튼들일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버튼(22)의 종류와 다른 종류의 버튼들을 상기 터치패드(21)의 터치 영역에 할당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20)는, 전자기기의 조작을 위해 다수의 물리적인 버튼과 일정면적을 차지하는 포인팅 장치를 동시에 구비하려면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의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한된 면적에서 물리적인 버튼 수를 늘리는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필터부(23)는 상기 터치 패드(21)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드의 터치 영역을 판단한다. 상기 터치 신호는 터치가 이루어진 좌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23)는 포인팅 또는 버튼인지를 구분하여 구분된 데이터를 제어부(22)로 전송한다.
제어부(22)는 상기 다수의 버튼(22) 선택에 따라 각기 발생한 버튼신호에 상응하는 버튼기능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필터부(23)의 판단결과 터치 영역이 버튼 영역인 경우 해당 버튼 영역의 기능에 해당되는 버튼영역기능정보를 발생하며 포인팅 영역인 경우 포인팅 기능정보를 발생한다.
또한, 제어부(22)는 필터부(23)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패드의 터치영역을 각 기능에 맞도록 할당한다. 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전기적인 장치가 포인팅 구간인 터치영역(21e)에 처음 입력이 되면 포인팅 터치영역은 전체로 할당에 되며, 포인팅 구간 터치영역(21e)이외의 구간이 처음 입력이 되면 버튼영역으로 할당한다.
여기에서, 첨부도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는 사용자가 터치 패드의 터치 영역을 정방향(도 5a 참조)으로 잡고 사용하다가 90도(도 5b 참조) 내지 180도(도 5c 참조) 회전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터치 패드의 터치 영역이 정방향으로 잡고 있을 때와 똑같은 방향(①,②)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전자기기용 입력장치를 정방향(일반적으로 IR리모컨 또는 포인팅 리모컨을 기준으로 TV를 지향하는 하는 방향)으로 잡고 터치패드를 사용할 때의 방향(①,②)과, 요(Yaw)방향으로 90도 내지 180도 회전시켜 터치패드를 사용할 때의 움직이는 방향(①,②)이 똑같은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통신부(25)는 상기 버튼기능정보, 버튼영역기능정보 및 포인팅 기능정보를 무선 또는 적외선으로 상기 전자기기(30)에 전송한다. 이때, 통신부(25)는 ZigBee RF4CE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버튼기능정보, 버튼영역기능정보 및 포인팅 기능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적외선 방식의 경우 전자기기가 위치한 곳에서 작동되어야 하는 것에 비해 ZigBee RF4CE 방식은 전자기기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서도 전자기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리모컨에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포인팅방법과 터치 센서를 이용한 포인팅 방법에서 사용자는 두가지 방법 중 어느 한가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사용 가능한 포인팅 리모컨과,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된 특정한 동작을 취할 경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움직임 변화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동글(Dongle)부분에서 이 데이터를 이용 제스처알고리즘을 통해 동작모션을 감지하고 임의 정의된 기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스처 리모컨과, 운영체계(OS)에서 규격화된 USB HID 포맷을 따르는 모든 PC에서 특수한 일부 기능키를 제외한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에 표시된 모든 기능키를 지원하는 PC 컨트롤 리모컨과, 규격화된 USB HID 포맷을 따르는 TV 및 셋탑박스라면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에 표시된 모든 기능키를 지원하며, 또한 마우스기능까지 사용 가능한 TV 및 셋탑박스 컨트롤 리모컨의 기능들이 각각 구비되어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버튼에 의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터치패드의 반복적인 터치 또는 드래그를 통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터치패드의 중간부위 부분을 누른 상태로 전체적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를 움직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의 블럭 구성도는 단순히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류된 것일 뿐, 실제 구현방식 또는 하드웨어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모듈로 통합 또는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버튼;
    일부 영역이 상기 다수의 버튼 이외의 다른 복수의 버튼 입력을 위한 버튼영역으로 할당되며, 상기 일부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이 포인팅 기능 입력을 위한 포인팅 영역으로 할당되고, 상기 버튼이 아님을 판단에 의해 터치 전체 영역을 포인팅 기능을 위한 포인팅 영역으로 할당되는 터치 패드;
    상기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드의 터치 영역을 판단하는 필터부;
    상기 다수의 버튼 선택에 따라 각기 발생한 버튼신호에 상응하는 버튼기능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필터부의 판단결과 터치 영역이 버튼 영역인 경우 해당 버튼 영역의 기능에 해당되는 버튼영역기능정보를 발생하며 포인팅 영역인 경우 포인팅 기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버튼기능정보, 버튼영역기능정보 및 포인팅 기능정보를 무선 또는 적외선으로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기능은,
    상기 포인팅 영역 내 터치 좌표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화면에 출력된 포인터의 움직임이 변하거나,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들이 스크롤(Scroll) 되거나 또는 드래그 앤 드롭(darg and drop) 되며, 상기 포인팅 영역 내 특정 좌표가 소정 횟수 반복하여 터치 된 경우 상기 특정좌표에 대응되어 상기 화면에 출력된 특정 메뉴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N(≥1, 가로)×M(≥1, 세로)의 수를 갖도록 터치 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N×M의 수를 갖는 각각의 터치 영역 크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하며,
    상기 버튼영역은 상기N(가로)×M(세로)의 수를 갖는 터치 영역들 중 1×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1×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N×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N×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및 1×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에는, 볼륨 증가버튼 및 볼륨 감소버튼이 할당되거나, 채널 증가버튼 및 채널 감소버튼이 할당되며, 또는 방향버튼인 상하 좌우 버튼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N×1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 및 N×M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에는, 볼륨 증가버튼 및 볼륨 감소버튼이 할당되거나, 채널 증가버튼 및 채널 감소버튼이 할당되며, 또는 방향버튼인 상하 좌우 버튼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ZigBee RF4CE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버튼기능정보, 버튼영역기능정보 및 포인팅 기능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터치 패드의 터치 영역을 정방향으로 잡고 사용하다가 90도 내지 180도 회전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터치 패드의 터치 영역이 정방향으로 잡고 있을 때와 똑같은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KR1020120053330A 2012-05-18 2012-05-18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KR20130129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330A KR20130129022A (ko) 2012-05-18 2012-05-18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330A KR20130129022A (ko) 2012-05-18 2012-05-18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022A true KR20130129022A (ko) 2013-11-27

Family

ID=4985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330A KR20130129022A (ko) 2012-05-18 2012-05-18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90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3473B2 (en) 2015-01-20 2018-11-20 Hyundai Motor Company Input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3473B2 (en) 2015-01-20 2018-11-20 Hyundai Motor Company Input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7468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ouch pad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KR101471267B1 (ko) 터치 키보드의 동적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20274547A1 (en) Techniques for content navigation using proximity sensing
KR102169521B1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27947A1 (en) Multi-Touch User Interface Interaction
KR1009807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US20150029402A1 (en) Remote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controller
WO2012057179A1 (ja) 電子装置
JP3195742U (ja) グラフィック産業における機械及び機器を操作するための装置
KR20110134810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EP299883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97410A (ko) 동작 인식을 통한 비접촉식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101945B1 (ko) 터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한 리모컨 및 리모컨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EP2538308A2 (en) Motion-based control of a controllled device
CN103037253A (zh) 遥控控制系统和遥控控制方法
KR2017000930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5011679A (ja) 操作入力装置及び入力操作処理方法
EP3016400A2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4389034B2 (ja) 入力装置、入力システム及び入力装置における入力方法
KR20130129022A (ko)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CN103257724A (zh) 一种非接触式鼠标及其操作方法
JP3211484U (ja) 触感型コントローラー
US20240134515A1 (en) A computer a software module arrangement, a circuitry arrangement, a user equipment and a method for an improved user interface controlling multiple applications simultaneously
US20120182231A1 (en) Virtual Multi-Tou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40325415A1 (en) Input device of display system and input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