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918A - Tire for handcart, wheel for handcart, handcart - Google Patents

Tire for handcart, wheel for handcart, handc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918A
KR20130127918A KR1020130049249A KR20130049249A KR20130127918A KR 20130127918 A KR20130127918 A KR 20130127918A KR 1020130049249 A KR1020130049249 A KR 1020130049249A KR 20130049249 A KR20130049249 A KR 20130049249A KR 20130127918 A KR20130127918 A KR 20130127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hape
user
user ho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2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6537B1 (en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슈이치로 우사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9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5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07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comprising lateral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40Articles of daily use
    • B60B2200/43Car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for a handcart. The tire (30) comprises: a tread and a pair of side surfaces (32). Multiple bottom holes (35) are formed in one or more of the side surfaces (32) in a line in the circumference direction (CD) of the tir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for a handcart has excellent vibration absorbing properties.

Description

핸드카트용 타이어, 핸드카트용 차륜, 핸드카트{TIRE FOR HANDCART, WHEEL FOR HANDCART, HANDCART}Tire for Hand Cart, Wheel for Hand Cart, Hand Cart {TIRE FOR HANDCART, WHEEL FOR HANDCART, HANDCART}

본 발명은 핸드카트에 이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분한 내구성을 가짐과 함께 뛰어난 진동 흡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타이어를 갖는 핸드카트용 차륜 및 핸드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used for a hand c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re having sufficient durability and exhibiting excellent vibration absorp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and a hand cart for a hand cart having such a tire.

차륜을 갖는 핸드카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핸드카트로서는, 예를 들면 JP2002-220060A에 나타나 있는 유유아(乳幼兒)의 이동에 이용되는 베이비 카, 예를 들면 JP2006-254801A에 나타나 있는 애완동물의 이동에 이용되는 애완동물용 카트, 짐 운반에 이용되는 대차(臺車) 등이 예시된다. 핸드카트의 타이어는 수지, 고무, 발포 플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중실(中實)로 형성되고, 핸드카트의 용도에 따른 충분한 내구성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Handcarts with wheels are widely used. As a hand cart, for example, a baby car used for the movement of an infant shown in JP2002-220060A, for example, a pet cart used for the movement of a pet shown in JP2006-254801A, and for carrying a luggage The trolley | bogie etc. which are used are illustrated. The tire of the hand cart is formed of a solid using resin, rubber, foamed plastic, etc., and is designed to have sufficient durabilit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hand cart.

그러나, 베이비 카나 애완동물용 카트, 또한 정밀 기기 등의 운반에 사용되는 대차에 있어서는, 타이어가, 충분한 내구성뿐만 아니라, 뛰어난 진동 흡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충분한 내구성을 가짐과 함께 뛰어난 진동 흡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핸드카트용 타이어, 이 타이어를 갖는 차륜 및 핸드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However, in a trolley used for carrying a baby car, a pet cart, or a precision instru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tire can exhibit not only sufficient durability but also excellent vibration absorption.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oin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ire for a hand cart, a wheel and a hand cart having the tire, which have sufficient durability and can exhibit excellent vibration absorption.

본 발명에 의한 핸드카트용 타이어는, Hand cart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접지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하고, With a ground plane and a pair of sides,

적어도 한쪽의 측면에, 복수의 유저(有底) 구멍이, 타이어의 둘레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On at least one side surface, a plurality of user holes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한쪽의 측면 및 다른 쪽의 측면의 양쪽에, 상기 유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측면에 형성된 유저 구멍의 배열은, 상기 다른 쪽의 측면에 형성된 유저 구멍의 배열과, 타이어의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holes are formed on both of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and the arrangement of the user holes formed on the one side surface is based on the user hole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The arrangement may be shif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한쪽의 측면 및 다른 쪽의 측면의 양쪽에, 상기 유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측면에 형성된 유저 구멍의 벽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다른 쪽의 측면에 형성된 유저 구멍의 벽면의 경사 각도와 상이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holes are formed on both of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all surface of the user hole formed on the one side surfac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It may differ from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all surface of the user hol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유저 구멍의 주위를 뻗는 리브가, 상기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ibs extending around the user hole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유저 구멍은, 타이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으로 뻗는 축(반경 방향으로 뻗는 축)을 중심으로 해서, 대칭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hole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centering on an axi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tire central axis (the axi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에 오목부 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sses or notches may be formed in the ground plan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양면에 유저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한쪽의 측면에 형성된 유저 구멍의 바닥으로부터 다른 쪽의 측면에 형성된 유저 구멍의 바닥까지의, 타이어의 중심 축선을 따른 길이가, 10㎜ 이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 length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tire from the bottom of the user hole formed on one side to the bottom of the user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It may be set to 10 mm or mor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측면 중 상기 접촉면 측의 끝에서 상기 유저 구멍까지의, 타이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을 따른 길이가, 1㎜ 이상이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axis of the tire from the end of the contact surface side to the user hole among the side surfaces may be 1 mm or mor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유저 구멍의 상기 측면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삼각형 형상, 또는, 삼각형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모떼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이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shape in the side surface of the user hole may be a triangular shape or a shape formed by chamfering one or more corners of the triangl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형상 및 상기 삼각형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모떼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에 있어서의 삼각형은, 그 한 변이 타이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또한 당해 한 변에 대향하는 모서리가 당해 한 변보다 상기 방사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측면 상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iangle in the triangular shape and the shape formed by chamfering one or more corners of the triangle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tire. It may be located on the said side surface so that the edge opposite to the said one side may be arrange | positioned outward in the said radial direction rather than the said one sid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형상 및 상기 삼각형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모떼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에 있어서의 삼각형은, 그 한 변이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또한 당해 한 변에 대향하는 모서리가 당해 한 변보다 상기 방사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측면 상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iangle in the triangular shape and the shape formed by chamfering one or more corners of the triangle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tire. An edge opposite to one side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in such a manner as to be disposed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ne sid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유저 구멍의 상기 측면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이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shape in the side surface of the user hole may be a circular shape or an elliptic shap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유저 구멍의 상기 측면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둘레 방향으로 뻗는 형상이어도 된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shape in the side surface of the user hole may be a shap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한 핸드카트용 차륜은, The wheel for a hand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중 어느 하나와, Any one of the ti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상기 타이어를 유지하는 휠을 구비한다.And a wheel for holding the tire.

본 발명에 의한 핸드카트는,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차륜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The hand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of the whe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내구성을 가진 핸드카트용 타이어에, 뛰어난 진동 흡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ellent vibration absorbency can be imparted to a tire for a hand cart having sufficient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차륜을 가진 핸드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핸드카트의 타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타이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타이어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타이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타이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타이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타이어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당해 타이어를 포함하는 차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9의 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타이어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당해 타이어를 포함하는 차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1의 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진동 충격 시험의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Comprising: A handcart with a wheel.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ire of a hand cart.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tire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tire of FIG. 2; FIG.
FIG. 6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2,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ire. FIG.
FIG. 7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ire. FIG.
FIG. 8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ire.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tire, and is a side view showing a wheel including the tire.
10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the tire of FIG. 9.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further another example of a tire, and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wheel containing the said tire.
12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the tire of FIG. 11.
The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test method of the vibration impact test.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이하에 있어서는, 핸드카트(5)의 일례로서, 유유아를 데리고 나갈 때에 이용하는 베이비 카(10)를 예시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타이어 및 차륜은, 베이비 카(1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애완동물을 이동시킬 때에 이용하는 애완동물용 카트로서의 핸드카트(5)나, 물품의 운반에 이용되는 대차로서의 핸드카트(5) 등, 조작자의 손을 통해서 밀고 가도록 구성된 카트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as an example of the hand cart 5, the baby car 10 used when taking infants out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tires and wheel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baby car 10, but are used for carrying a hand cart 5 as a pet cart used for moving a pet or an article. It can be widely used for a cart configured to be pushed through an operator's hand, such as a hand cart 5 as a trolley to be used.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비 카(10)는, 전각(前脚)(12) 및 후각(後脚)(14)을 갖는 베이비 카 본체(11)와, 베이비 카 본체(11)의 전각(12)의 하단에 설치된 전륜 유지 기구(13)와, 베이비 카 본체(11)의 후각(14)의 하단에 설치된 후륜 유지 기구(15)를 갖고 있다. 일례로서, 전륜 유지 기구(13)는, 차륜(20)을 회전 가능 또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스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후륜 유지 기구(15)는, 차륜(20)을 회전 가능 또한 선회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유지 기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륜 유지 기구(13) 및 후륜 유지 기구(15)는, 각각 상이한 구성의 차륜을 유지하도록 해도 되지만, 이하에서는, 동일 구성의 차륜(20)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the baby car 10 includes a baby car body 11 having a full width 12 and a back 14, and a full width 12 of the baby car body 11. The front wheel holding mechanism 13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 and the rear wheel holding mechanism 15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the rear leg 14 of the baby car main body 11 are provided. As an example, the front wheel holding mechanism 13 may be configured as a caster that supports the wheel 20 rotatably and pivotally. In addition, the rear wheel holding mechanism 15 may be configured as a holding mechanism that supports the wheels 20 rotatably and non-reversely. Although the front wheel holding mechanism 13 and the rear wheel holding mechanism 15 may hold the wheel of a different structure, respectively, below, it demonstrates as holding the wheel 20 of the same structur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20)은, 타이어(30)와, 타이어(30)를 유지하는 휠(25)을 갖고 있다. 휠(25)은 수지나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있고, 대응하는 전륜 유지 기구(13) 또는 후륜 유지 기구(15)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한편, 타이어(30)는 휠(25)에 끼워 넣어져서 휠(25)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wheel 20 has a tire 30 and a wheel 25 holding the tire 30. The wheel 25 is manufactured using resin and metal, and is rotatably held by the corresponding front wheel holding mechanism 13 or the rear wheel holding mechanism 15. On the other hand, the tire 30 is fitted to the wheel 25 and is fixed to the wheel 25.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30)는, 핸드카트(5)인 베이비 카(10)가 주행하는 지면에 접촉하는 접지면(31)과, 접지면(31)의 양측방을 뻗는 측면(32)과, 접지면(31)에 대향하는 면으로서의 이면(33)을 갖고 있다. 이면(33)은 휠(25)과 걸어 맞추는 면이다. 한 쌍의 측면(32)은 타이어(30)의 중심 축선(CA), 바꿔 말하면, 차륜(20)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둘레 형상으로 뻗는 면이며, 대략 타이어(30)의 중심 축선(CA)에 직교하는 면 상을 뻗어 있다. 도 5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타이어(30)는 접지면(31), 한 쌍의 측면(32) 및 이면(33)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으로, 둘레 형상으로 뻗어 있다.As shown in FIGS. 2-5, the tire 30 has a ground surface 31 which contacts the ground which the baby car 10 which is the handcart 5 runs, and both sides of the ground surface 31. As shown in FIG. It has an extended side surface 32 and a back surface 33 as a surface opposing the ground surface 31. The back surface 33 is a surface that engages with the wheel 25. The pair of side surfaces 32 are planes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shape about the center axis CA of the tire 30, that is, the rotation axis of the wheel 20, and are approximately the center axis CA of the tire 30. It extends on the plane orthogonal to). As can be understood from FIG. 5, the tire 30 is a shape formed by the ground plane 31, the pair of side surfaces 32, and the back surface 33, and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shape.

타이어(30)는, 중실의 부재로서 형성되며, 수지, 고무, 발포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타이어(30)는, 핸드카트(5)의 용도에 따라, 소정의 강도나 내구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타이어(30)의 제작에 이용되는 전형적인 재료로서, EVA 가교 발포체가 예시된다. EVA 가교 발포체는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이며, 에틸렌계 탄화 수소를 중합해서 제작되는 열가소성 발포체이다. EVA 가교 발포체는, 적당한 강도와 함께 유연성 및 탄력을 갖는 점에 있어서, 핸드카트용 타이어(30)의 재료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EVA 가교 발포체에 고무류를 첨가함으로써, 타이어(30)의 탄성이나 내열성을 개선할 수 있고,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타이어(30)를 착색할 수도 있다.The tire 30 is formed as a solid member, and is formed of resin, rubber, foamed plastics, or the like. The tire 30 is designed to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or durabilit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hand cart 5. As a typical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the tire 30, an EVA crosslinked foam is exemplified. EVA crosslinked foam is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is a thermoplastic foam produced by polymerizing ethylene-based hydrocarbons. The EVA crosslinked foam can be suitably used as a material of the tire 30 for a handcart in view of flexibility and elasticity with moderate strength. In addition, by adding rubbers to the EVA crosslinked foam, elasticity and heat resistance of the tire 30 can be improved, and the tire 30 can be colored by adding a pigment.

타이어(30)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32)에는 복수의 유저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유저 구멍(35)은 저면(36)을 갖는 구멍이며, 관통 구멍과 구별된다. 복수의 유저 구멍(35)은 타이어(30)의 둘레 방향(CD), 즉, 차륜(20)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한, 둘레의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어(30)에 따르면, 후술하는 시험 결과의 설명에서도 실증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이어(30)에 충분한 내구성을 부여하면서, 또한 뛰어난 진동 흡수성(충격 흡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A plurality of user holes 35 are formed in at least one side surface 32 of the tire 30. The user hole 35 is a hole having a bottom face 36 and is distinguished from a through hole. The plurality of user holes 35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of the tire 30, that is, the rotational axis of the wheels 20. According to such a tire 30, as demonstra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test result mentioned later, while giving sufficient durability to the tire 30, it can also provide the outstanding vibration absorbency (shock absorbency).

또한, 타이어(30)의 둘레 방향(CD)을 따른 각 위치에서의 진동 흡수성 및 내구성을 균일화하는 관점에서는, 복수의 유저 구멍(35)이 타이어(30)의 둘레 방향(CD)으로 일정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equalizing the vibration absorbency and durability at each posi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of the tire 30, the plurality of user holes 35 have a constant pitc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of the tire 30. It is preferred to be arranged.

도시된 예에서는, 한쪽의 측면으로서의 제 1 측면(32a)에 복수의 유저 구멍(35)이 형성되고, 다른 쪽의 측면으로서의 제 2 측면(32b)에 복수의 유저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32a)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의 배열은, 제 2 측면(32b)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의 배열로부터, 타이어(30)의 둘레 방향(CD)을 따라 어긋나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측면(32a)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은, 제 2 측면(32b)에 형성된 유저 구멍(35)과, 타이어(30)의 둘레 방향(CD)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측면(32a)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이, 제 2 측면(32b)에 형성된 유저 구멍(35)과, 타이어(30)의 중심 축선(CA), 즉 차륜(20)의 회전 축선의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양에 따르면, 타이어(30)의 둘레 방향(CD)을 따른 각 위치에서의 진동 흡수성 및 내구성을 균일화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the some user hole 35 is formed in the 1st side surface 32a as one side surface, and the some user hole 35 is formed in the 2nd side surface 32b as the other side surface. . 3 to 5, the arrangement of the user holes 35 formed in the first side surface 32a is the circumference of the tire 30 from the arrangement of the user holes 35 formed in the second side surface 32b. It is shifted along the direction CD. In other words, the user holes 35 formed in the first side surface 32a are arranged to be displ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of the tire 30 with the user holes 35 formed in the second side surface 32b. Preferably, the user hole 35 formed in the first side surface 32a includes the user hole 35 formed in the second side surface 32b and the center axis CA of the tire 30, that is, the wheel 20.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so that it may not overlap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vibration absorbency and durability at each posi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of the tire 30 can be made uniform.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32a)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의 벽면(37)의 경사 각도(θa)는, 제 2 측면(32b)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의 벽면(37)의 경사 각도(θb)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측면(32a)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의 벽면(37)의 경사 각도(θa)가, 제 2 측면(32b)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의 벽면(37)의 경사 각도(θb)보다 작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inclination angle (theta) a of the wall surface 37 of the user hole 35 formed in the 1st side surface 32a is a wall surface of the user hole 35 formed in the 2nd side surface 32b. It is different from the inclination angle [theta] b of (37). Specifically, the inclination angle θa of the wall surface 37 of the user hole 35 formed in the first side surface 32a is inclined of the wall surface 37 of the user hole 35 formed in the second side surface 32b. It is smaller than angle (theta) b.

종래의 타이어의 제작에 있어서는, 저렴하게 타이어를 제작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한 쌍의 틀을 이용한 성형법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한 쌍의 틀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캐비티 내에서, 타이어가 얻어지게 된다. 제작된 타이어의 제 1 측면이, 한쪽의 틀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작된 타이어의 제 2 측면이, 다른 쪽의 틀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타이어의 제작 후에, 한 쌍의 틀을 서로로부터 이간함으로써, 제작된 타이어가 한 쌍의 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형된다.In the production of conventional tires, a molding method using a pair of molds has been widely adopted because of the fact that tires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In this method, a tire is obtained in a cavity formed by combining a pair of molds. The 1st side surface of the produced tire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ich faces one frame, and the 2nd side surface of the produced tire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ich faces the other frame. After manufacture of the tire, the produced tire is released from at least one of the pair of molds by separating the pair of molds from each other.

그리고, 여기서 설명하는 타이어(30)도, 종래의 타이어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틀을 이용한 틀에 의해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32)에 유저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30)의 틀로부터의 이형성은, 유저 구멍(35)의 벽면(37)의 경사 각도(θa, θb)에 의존한다. 따라서, 도 4의 타이어(30)를 제작한 한 쌍의 틀이 서로로부터 이간할 경우, 타이어(30)는 경사 각도(θb)가 보다 큰 제 2 측면(32b) 측으로부터 이형하기 쉬워진다. 이렇게, 제작된 타이어(30)의 이형 시에, 당해 타이어(30)가 특정한 측의 틀에 지지되는 경향이 생김으로써, 타이어(30)를 안정되게 생산할 수 있고, 또한 타이어(3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And the tire 30 demonstrated here can also be manufactured cheaply by the mold which used a pair of mold similarly to the conventional tire. And the release property from the frame of the tire 30 in which the user hole 35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32 depends on the inclination angles (theta) a and (theta) b of the wall surface 37 of the user hole 35. FIG. Therefore, when a pair of frames which produced the tire 30 of FIG. 4 space apart from each other, the tire 30 becomes easy to release from the 2nd side surface 32b side with larger inclination-angle (theta) b. In this way, when the produced tire 30 is released, the tire 30 tends to be supported by a frame on a specific side, whereby the tire 30 can be stably produc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tire 30 can be improved. You can also improve.

또한, 한 쌍의 측면(32)의 양쪽에 유저 구멍(35)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 1 측면(32a)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의 저면(36)으로부터 제 2 측면(32b)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의 벽면(37)까지의, 타이어(35)의 중심 축선(CA), 즉 차륜(20)의 회전 축선을 따른, 길이(la)(도 4 참조)가 10㎜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저 구멍(35)을 설치하는 것에 기인한 타이어(30)의 강도나 내구성의 열화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hole 35 is formed in both of the pair of side surfaces 32, from the bottom face 36 of the user hole 35 formed in the 1st side surface 32a to the 2nd side surface 32b. The length la (see FIG. 4) along the center axis CA of the tire 35, that is, the axis of rotation of the wheel 20, to the wall surface 37 of the formed user hole 35 is 10 mm or m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done. In this case, the deterioration of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tire 30 due to the provision of the user holes 35 can be prevented very effectively.

또한, 측면(32) 중 접촉면 측의 끝에서 유저 구멍(35)까지의, 타이어(30)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방사 방향(RD)을 따른 길이(lb)(도 4 참조), 바꿔 말하면 타이어(30)의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lb)가, 1㎜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저 구멍(35)을 설치하는 것에 기인한 타이어(30)의 강도나 내구성의 열화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length lb (see FIG. 4) along the radial direction RD from the center axis of the tire 30 from the end of the contact surface side of the side face 32 to the user hole 35 (in other words, the tire (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lb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30) is 1 mm or more. In this case, the deterioration of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tire 30 due to the provision of the user holes 35 can be prevented very effectively.

한편, 도 5에 잘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타이어(30)의 측면(32)에, 유저 구멍(35)의 주위를 뻗는 리브(39)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예에서는, 리브(39)는, 하나의 유저 구멍(35)의 측면(32) 상에 있어서의 개구의 외윤곽을 구획 형성하도록, 당해 하나의 유저 구멍(35)의 측면(32) 상에 있어서의 개구를 둘레 형상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리브(39)에 따르면, 유저 구멍(35)을 설치하는 것에 기인한 타이어(30)의 강도나 내구성의 열화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리브(39)는, 접지면(31)까지 뻗어 있다. 이 때문에, 도시된 예에서는, 접지면(31)에 오목부(41) 또는 노치(41)가 형성되어 있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well in FIG. 5, a rib 39 extending around the user hole 35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32 of the illustrated tire 3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FIG. 4, and FIG. 5, the rib 39 divides the outer contour of the opening on the side surface 32 of one user hole 35 so that the said one user hole ( The opening on the side surface 32 of 35 is enclos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According to this rib 39, the degradation of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tire 30 due to the provision of the user holes 35 can be prevented very effectively. In addition, the ribs 39 shown in FIGS. 2, 4 and 5 extend to the ground plane 31. For this reason, in the example shown, the recessed part 41 or the notch 41 is formed in the ground surface 31. FIG.

다음으로, 유저 구멍(35)의 측면(32) 상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에 관하여 설명한다. 유저 구멍(35)의 측면(32) 상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진동 흡수성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유저 구멍(35)의 측면(32) 상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의 몇 가지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ning shape o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is demonstrated. The opening shape o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can employ | adopt various shapes which can exhibit a vibration absorbency effectively. Here, some examples of the shape of the opening o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및 도 5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또한 후술하는 도 6∼도 12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유저 구멍(35)의 개구 형상은, 타이어(30)의 중심 축선(CA)으로부터의 방사 방향(RD)으로 뻗는 축, 바꿔 말하면, 타이어(30)의 반경 방향으로 뻗는 축을 중심으로 해서,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어(30)에 따르면, 회전 축선(CA)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 및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유저 구멍(35)이 마찬가지의 진동 흡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핸드카트(5)의 진행 방향의 방향에 상관없이, 소정의 진동 흡수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and FIG. 5,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6-12 mentioned later, the opening shape of the user hole 35 is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axis CA of the tire 30 ( The axis extending to RD), in other words, is linearly symmetrical about the axi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30. According to such a tire 30, the user hole 35 has the same vibration absorbing function in any of the cases in which the rotation is made in the clockwise rotation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CA. It becomes possible to exert. That is, a predetermined vibration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expect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travel direction of the hand cart 5.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 구멍(35)의 측면(32)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삼각형 형상, 또는, 삼각형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모떼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삼각형 형상 및 삼각형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모떼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에 있어서의 삼각형은, 그 한 변이 타이어(30)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RD)(바꿔 말하면, 타이어(30)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또한 당해 한 변에 대면하는 모서리가 당해 한 변보다 방사 방향(RD)에 있어서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하여, 측면(32) 상에 위치해 있다.As shown in FIGS. 2-5, the opening shape i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becomes a triangular shape, or the shape formed by chamfering one or more edges of a triangle. In addition, the triangle in the triangular shape and the shape formed by chamfering one or more corners of the triangle has a radial direction RD from the center of the tire 30 (in other words,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30). It extend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nd is located on the side surface 32 such that an edge facing the one side is disposed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RD than the one side.

이러한 유저 구멍(35)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면, 타이어(30)의 내구성을 충분하게 유지하면서, 뛰어난 진동 흡수성을 타이어(30)에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본건 발명자들이 확인한 시험 결과에 관하여 설명해 둔다.By providing such a user hole 35, it is possible to give the tire 30 excellent vibration absorption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tire 30 sufficiently. Here, the test result confirmed by the inventors is explained.

〔시험 개요〕[Test summary]

재단법인 제품안전협회의 SG 기준으로 정해진 다음의 방법에 의해, 타이어에 의한 진동 흡수성의 향상에 대해서 조사했다.The improvement of the vibration absorbency by a tire was investigated by the following method determined by the SG standard of the Product Safety Association.

〔시험 대상〕[Test object]

상술한 도 2∼도 5에 나타난 타이어를 제작하고, 제작된 타이어를 시판되고 있는 베이비 카에 포함시켜서, 시험 대상 1의 베이비 카를 준비했다. 한편, 시판되고 있는 베이비 카 자체를, 시험 대상 2로 했다. 시험 대상 1 및 시험 대상 2는 타이어만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 있어서 동일하게 했다. 시험 대상 1의 타이어는, 유저 구멍(35) 및 노치(41)을 형성한 점에 있어서, 시험 대상 2의 타이어와 상이하게 하고, 그 외의 점에 있어서 동일해지게 했다. 시험 대상 1의 베이비 카 및 시험 대상 2의 베이비 카는, 도 1에 나타난 베이비 카와 마찬가지로, 리클리닝 가능, 접이 가능, 및, 배면 위치와 대면 위치 사이에서 핸들 위치가 전환 가능해지게 구성했다.The tire shown in FIGS. 2-5 mentioned above was produced, the produced tire was included in the commercially available baby car, and the baby car of the test subject 1 was prepared. On the other hand, marketed baby car itself was made into the test object 2. Test object 1 and test object 2 differed only in a tire, and were made the same in other points. The tire of the test subject 1 differed from the tire of the test subject 2 in the point which formed the user hole 35 and the notch 41, and made it the same in other points. The baby car of the test object 1 and the baby car of the test object 2 were comprised so that the handle position could switch between reclining, folding | folding, and a back position and a facing position similarly to the baby car shown in FIG.

〔시험 방법〕〔Test Methods〕

베이비 카의 시트(seat)의 중앙에 질량 더미(dummy)를 태운 상태에서, 질량 더미 복부(腹部) 위치에 가속도계를 부착했다. 이 상태에서 진동 충격 시험을 전륜 및 후륜에 대하여 행하고, 진동 가속도 값을 계측했다. 진동 충격 시험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10㎜의 단차를 가진 직경 200㎜의 강제(鋼製) 드럼 상에 차륜을 설치해서 행했다. 드럼의 회전수는 매분 100회전으로 했다.The accelerometer was attached to the mass dummy abdomen position, with the mass dummy burned in the center of the seat of the baby car. In this state, the vibration shock test was performed o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nd the vibration acceleration value was measured. As shown in FIG. 13, the vibration shock test was performed by installing a wheel on a steel drum having a diameter of 200 mm having a step of 10 mm in height.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was 100 revolutions per minute.

〔시험 결과〕〔Test result〕

시험 대상 1의 베이비 카 및 시험 대상 2의 베이비 카 2대 모두, 재단법인 제품안전협회의 SG 기준으로 정해진 조건, 구체적으로는, 「유유아의 복부 위치에서의 진동 가속도가 10m/s2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시험 대상 1의 베이비 카 및 시험 대상 2의 베이비 카를 비교하면, 거의 대부분의 조건하에서, 도 2∼도 5에 나타난 유저 구멍(35)을 갖는 타이어(30)를 이용한 시험 대상 1의 베이비 카에 대하여 측정된 진동 가속도의 값이, 동일 조건하에서 측정된 시험 대상 2의 베이비 카의 진동 가속도의 값보다 작게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시험 대상 1의 베이비 카에 대하여 측정된 진동 가속도의 값은, 동일 조건하에서 측정된 시험 대상 2의 베이비 카의 진동 가속도의 값의 약 70%∼약 100%가 되었다. 이 실험 결과로부터, 도 2∼도 5에 나타난 유저 구멍(35)을 타이어(30)에 설치함으로써, 진동 흡수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Both the baby car of the test subject 1 and the two baby cars of the test subject 2 are conditions set by the SG standard of the Product Safety Association, specifically, "the vibration acceleration in the infant's abdominal position is 10 m / s 2 or less". Was satisfying. When comparing the baby car of the test subject 1 and the baby car of the test subject 2, about the baby car of the test subject 1 using the tire 30 which has the user hole 35 shown in FIGS. The value of the measured vibration acceleration became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vibration acceleration of the baby car of the test subject 2 meas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Specifically, the value of the vibration acceleration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baby car of the test subject 1 became about 70%-about 100% of the value of the vibration acceleration of the baby car of the test subject 2 meas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bration absorbency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user holes 35 shown in FIGS. 2 to 5 in the tire 30.

〔내구성 평가〕[Durability evaluation]

재단법인 제품안전협회의 SG 기준으로 정해진 다음 방법으로, 시험 대상 1의 베이비 카 및 시험 대상 2의 베이비 카의 내구성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방법으로 내구 시험을 행했다. 우선, 베이비 카의 시트에 무거운 추를 얹은 상태에서, 진동 시험을 행하여, 이상이 없음을 육안 관찰, 촉감 등에 의해 확인했다. 진동 충격 시험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10㎜의 단차를 가진 직경 200㎜의 강제 드럼 상에 차륜을 설치해서 행했다. 드럼의 회전수는 매분 100회전으로 했다. 이 진동 시험 중, 시트의 등받이부를 가장 누인 상태로 했다. 무거운 추는, 시트의 등받이부 중앙에 10㎏ 싣고, 시트의 자리부 중앙에 25㎏ 실었다. 핸들에는 상방(上方)에서, 연직으로 20N의 힘(F)을 가한 상태로 했다(도 13 참조). 시험 시간은 3시간으로 하고, 전륜 및 후륜 각각에 대하여 실시했다. 베이비 카의 접이 조작, 및, 배면 위치와 대면 위치 사이에서의 핸들 위치의 전환 조작을, 진동 시험을 1시간 행할 때마다, 반복해서 20회씩 실시하여, 각 부에 느슨함이 없음을 확인하고, 더불어서 모든 시험 종료 후, 핸들 등이 접히는 방향으로 200N의 힘을 가하여, 접히거나, 핸들이 의도치 않게 요동하거나 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시험 대상 1의 베이비 카 및 시험 대상 2의 베이비 카 2대 모두, 시험 중 및 시험 후의 검사에서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시험 결과로부터는, 시험 대상 1의 베이비 카는, 시험 대상 2의 베이비 카와 같은 정도의 내구성을 갖고 있었다.The durability of the Baby Car of Test Subject 1 and the Baby Car of Test Subject 2 was also examined by the following method, which was determined by the SG standard of the Product Safety Association. Specifically, the durability test was perform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the vibration test was performed in the state which put the heavy weight on the seat of the baby car, and it confirmed by visual observation, a touch, etc. that there was no abnormality. As shown in FIG. 13, the vibration shock test was performed by installing a wheel on a steel drum having a diameter of 200 mm with a step of 10 mm in height.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was 100 revolutions per minute. During this vibration test, the backrest of the sheet was placed in the state of being most pressed. The heavy weight was 10 kg in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seat, and 25 kg in the center of the seat of the seat. The handle was placed in a state where a force F of 20 N was applied vertically from above (see FIG. 13). The test time was 3 hours, and it carried out about each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 and the operation of switching the handle position between the back position and the facing position are repeatedly performed 20 times each time the vibration test is performed for 1 hour to confirm that there is no looseness in each part. In addition, after completion of all tests, a force of 200 N wa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s and the like were fold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andles were not folded or the handle was unintentionally swung. In both the baby car of the test subject 1 and the two baby cars of the test subject 2, abnormality was not found in the examination during and after a test. Moreover, from the test result, the baby car of the test subject 1 had the durability similar to the baby car of the test subject 2.

다시, 도 6∼도 12로 돌아가, 유저 구멍(35)의 측면(32) 상에서의 개구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난 예에서는, 삼각형 형상 및 삼각형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모떼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에 있어서의 삼각형이, 도 2∼도 5에 나타난 예와는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유저 구멍(35)의 측면(32) 상에서의 개구 형상을 이루는 당해 삼각형은, 그 한 변이 타이어(30)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RD)(바꿔 말하면, 타이어(30)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또한 당해 한 변에 대면하는 모서리가 당해 한 변보다 방사 방향(RD)에 있어서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하여, 측면(32) 상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유저 구멍(35)을 설치함으로써도, 타이어(30)의 내구성을 충분하게 유지하면서, 뛰어난 진동 흡수성을 타이어(30)에 부여할 수 있다.6-12, the opening shape o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is demonstrat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triangle in a triangle shape and the shape formed by chamfering one or more edges of a triangl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xample shown in FIGS. That is, the triangle which forms the opening shape o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has one side radial direction RD from the center of the tire 30 (in other words,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30). It extend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nd is located on the side surface 32 such that the edges facing the one side are arranged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RD than the one side. By providing the user hole 35 as well, excellent vibration absorption can be provided to the tire 30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tire 30 sufficiently.

또한, 유저 구멍(35)의 측면(32)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을,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7에 나타난 예에서는, 유저 구멍(35)의 측면(32)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이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유저 구멍(35)의 측면(32)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을 타원 형상으로 할 경우에는, 당해 타원의 장축 또는 단축이, 타이어(30)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RD)(바꿔 말하면, 타이어(30)의 반경 방향)으로 뻗게 해도 되고, 당해 타원의 장축 및 단축의 양쪽이, 타이어(30)의 중심(13)으로부터의 방사 방향(RD)(바꿔 말하면, 타이어(30)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해도 된다. 이들과 같은 유저 구멍(35)을 설치함으로써도, 타이어(30)의 내구성을 충분하게 유지하면서, 뛰어난 진동 흡수성을 타이어(30)에 부여할 수 있다.Moreover, the opening shape i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can also be made circular or elliptical.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opening shape i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is circular. When the opening shape i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is made into an ellipse shape, the long axis or short axis of the ellipse is the radial direction RD from the center of the tire 30 (in other words, the tire ( 30), and both of the long axis and the short axis of the ellipse may be in the radial direction RD (in other words,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30) from the center 13 of the tire 30. You may make it incline with respect. By providing the user holes 35 as described above, the tire 30 can be provided with excellent vibration absorption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tire 30 sufficiently.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유저 구멍(35)의 측면(32)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이, 둘레 방향(CD)으로 뻗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8에 나타난 예에서는, 개구 형상은, 방사 방향(RD)을 따른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둘레 방향(CD)으로 뻗고, 또한, 둘레 방향(CD)에 있어서의 양단부(兩端部)를 원 형상으로 모떼기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난 타이어(30)의 변형예로서, 개구 형상이 타이어(30)의 둘레 방향(CD)이 아니라, 타이어(30)의 법선 방향(R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게 해도 된다. 이러한 유저 구멍(35)을 설치함으로써도, 타이어(30)의 내구성을 충분하게 유지하면서, 뛰어난 진동 흡수성을 타이어(30)에 부여할 수 있다.8, the opening shape i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may be set to the shape exte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opening shape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width along the radial direction RD, and the circular shape is formed at both 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It has a chamfered shape. In addition, as a modification of the tire 30 shown in FIG. 8, the opening shape may exten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normal direction RD of the tire 30 instead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of the tire 30. By providing the user hole 35 as well, excellent vibration absorption can be provided to the tire 30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tire 30 sufficiently.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유저 구멍(35)의 측면(32)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모떼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상의 폭이 좁은 상변은, 사다리꼴 형상의 폭이 넓은 하변보다, 타이어(30)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RA)에 있어서의 바깥쪽에 위치해 있다. 또한, 사다리꼴 형상의 상변 및 하변은, 타이어(30)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R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접지면(31) 및 측면(32)의 경계가 되는 영역에 오목부(41) 또는 노치(4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오목부(41) 또는 노치(41)는, 접지면(31) 및 측면(32)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 또는 노치(41)는, 타이어(30)의 원주 방향(CD)을 따라 이웃하는 두 개의 유저 구멍(35)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어(30)도, 내구성을 충분하게 유지하면서, 뛰어난 진동 흡수성을 발휘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and FIG. 10, the opening shape i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becomes a trapezoid shape or the shape formed by chamfering one or more edges of a trapezoid shape. 9 and 10, the narrow upper side of the trapezoidal shape is located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RA from the center of the tire 30 than the wide lower side of the trapezoidal shape. In additi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trapezoidal shape exten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adial direction RA from the center of the tire 30.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and FIG. 10, the recessed part 41 or the notch 41 is formed in the area | region which becomes the boundary of the ground surface 31 and the side surface 32. As shown in FIG. That is, this recessed part 41 or notch 41 is formed over the ground surface 31 and the side surface 32. The recessed part 41 or the notch 41 is formed in the position which becomes between two adjacent user holes 35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of the tire 30. Such a tire 30 can also exhibit excellent vibration absorption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durability.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유저 구멍(35)의 측면(32)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사각형 형상, 특히 등변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상의 상변 및 하변은, 타이어(30)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R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사다리꼴 형상의 측면이, 타이어(30)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RA)으로 뻗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접지면(31) 및 측면(32)의 경계가 되는 영역에 오목부(41) 또는 노치(4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오목부(41) 또는 노치(41)는 접지면(31) 및 측면(32)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 또는 노치(41)는, 타이어(30)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RD)으로 유저 구멍(35)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당해 유저 구멍(35)과 접속하고 있다. 또한, 각 측면(32)에는, 타이어(30)의 둘레 방향(CD)으로 뻗는 원주 형상의 홈(43)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원주 형상의 홈(43)은 유저 구멍(35)을 가로 질러서 뻗어 있다. 홈(43)의 깊이는 유저 구멍(35)의 깊이보다 얕게 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어(30)도, 내구성을 충분하게 유지하면서, 뛰어난 진동 흡수성을 발휘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and FIG. 12, the opening shape i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becomes rectangular shape, especially an equilateral trapezoid shape. In the example shown to FIG. 11 and FIG. 12,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a trapezoid shape exten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adial direction RA from the center of the tire 30.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trapezoidal side surface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RA from the center of the tire 30.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to FIG. 11 and FIG. 12, the recessed part 41 or the notch 41 is formed in the area | region which becomes the boundary of the ground surface 31 and the side surface 32. As shown in FIG. That is, this recessed part 41 or notch 41 is formed over the ground surface 31 and the side surface 32. As shown in FIG. The recessed part 41 or the notch 41 is formed in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user hole 35 in the radial direction RD from the center of the tire 30, and is connected with the said user hole 35. . Moreover, the circumferential groove 43 exte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of the tire 30 is formed in each side surface 32. As shown in FIG. In the example shown, the circumferential groove 43 extends across the user hole 35. The depth of the groove 43 is shallower than the depth of the user hole 35. Such a tire 30 can also exhibit excellent vibration absorption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durability.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유저 구멍(35)의 측면(32)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을 설명했지만, 이상의 설명은 예시이며, 유저 구멍(35)이 측면(32) 상에 있어서 다른 형상, 예를 들면 다각형 형상 또는 다각형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모떼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한쪽의 측면(32a)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의 개구 형상이, 다른 쪽 측면(32b)에 형성된 유저 구멍(35)의 개구 형상과 상이해도 된다. 또한, 각 측면에 형성된 유저 구멍(35)간에, 개구 형상이 상이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opening shape in the side surface 32 of the user hole 35 wa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the above description is an illustration, and the user hole 35 is on the side surface 32, and a different shape, an example, is shown. For example, a polygon shape or a shape formed by chamfering one or more corners of the polygon may be used. In addition, the opening shape of the user hole 35 formed in one side surface 32a may differ from the opening shape of the user hole 35 formed in the other side surface 32b. Moreover, you may make opening shape different between the user holes 35 formed in each side surface.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30)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32)에, 복수의 유저 구멍(35)이, 타이어(30)의 둘레 방향(CD)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어(30)에 따르면, 상술한 시험 결과로부터도 실증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분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뛰어난 진동 흡수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타이어(30)가 사용된 베이비 카(10)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타이어(30)에 유저 구멍(35)을 형성함으로써, 타이어(30)의 경량화, 또한 타이어(30)가 포함된 베이비 카(10)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유저 구멍(35)을 형성함으로써, 타이어(30)에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user holes 35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of the tire 30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32 of the tire 30. According to such a tire 30, as demonstrated from the test result mentioned above,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durability, it can exhibit the outstanding vibration absorption property. Thereby, the riding comfort of the baby car 10 in which the tire 30 is used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forming the user holes 35 in the tire 30, the weight of the tire 30 can be reduced, and the weight of the baby car 10 including the tire 30 can be realized.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user holes 35, the design of the tire 30 can be improved.

또한, 이상에 설명한 실시예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변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It is also possible to add various changes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n example of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demonstrated.

타이어(30) 및 차륜(20)이 적용되는 핸드카트(5)의 일례로서, 도 1에 나타난 베이비 카(10)를 예시했다. 도 1에 나타난 베이비 카(10)는, 전후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소형화하도록 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1-148454호에 개시된 베이비 카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하도록 접은 후에 더 접어서, 폭방향으로도 소형화할 수 있도록, 베이비 카(10)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베이비 카(10)는, 핸들이 배면 밀기 위치(후방 위치)와 대면 밀기 위치(전방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핸들이 후방 위치에 고정되어, 배면 밀기 위치로부터 요동 불가능하게 베이비 카(10)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As an example of the hand cart 5 to which the tire 30 and the wheel 20 are applied, the baby car 10 shown in FIG. 1 was illustrated. The baby car 10 shown in FIG. 1 can be folded so as to be miniaturiz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However, the baby car 10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FIG. 1 and, for example, the baby ca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1-148454, can be further folded after being folded down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further downsized in the width direction. ) May be configured. Moreover, the baby car 10 shown in FIG. 1 is comprised so that a handle can rock between a back pushing position (rear position) and a facing pushing position (front position). However, the handle may be fixed to the rear position, and the baby car 10 may be configured so that it cannot be swinged from the back pushing position.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타이어(30) 및 차륜(20)은, 베이비 카(1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애완 동물을 이동시킬 때에 이용되는 애완동물용 카트로서의 핸드카트(5)나, 물품의 운반에 이용되는 대차로서의 핸드카트(5) 등에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tire 30 and the wheel 20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baby car 10 but are, for example, a hand cart as a pet cart used when moving a pet ( 5) and the hand cart 5 as a trolley used for carrying goods.

Claims (12)

핸드카트용 타이어에 있어서,
접지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한쪽의 측면에, 복수의 유저(有底) 구멍이 타이어의 둘레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
In the handcar tire,
With a ground plane and a pair of sides,
A tire in which a plurality of user holes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의 측면 및 다른 쪽의 측면의 양쪽에, 상기 유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측면에 형성된 유저 구멍의 배열은, 상기 다른 쪽의 측면에 형성된 유저 구멍의 배열과, 타이어의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hole is formed in both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 arrangement of the user holes formed on the one side surface is a tire shifted from the arrangement of the user hole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의 측면 및 다른 쪽의 측면의 양쪽에, 상기 유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측면에 형성된 유저 구멍의 벽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다른 쪽의 측면에 형성된 유저 구멍의 벽면의 경사 각도와 상이한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hole is formed in both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all surface of the user hole formed in the said one side surface is different from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all surface of the user hole formed in the said other sid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구멍의 주위를 뻗는 리브가 상기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A tire having ribs extending around the user hole formed on the sid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구멍은, 타이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으로 뻗는 축을 중심으로 해서, 대칭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는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user hole is a tire which has a symmetrical shape centering on the axis extende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axis line of a ti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구멍의 상기 측면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삼각형 형상 또는 삼각형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모떼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인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shape in the said side surface of the said user hole is a shape formed by chamfering one or more edges of a triangle shape or a triang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형상 및 상기 삼각형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모떼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에 있어서의 삼각형은, 그 한 변이 타이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또한 당해 한 변에 대향하는 모서리가 당해 한 변보다 상기 방사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측면 상에 위치해 있는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riangle in the triangular shape and the shape formed by chamfering one or more corners of the triangle has one edge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axis of the tire, and the edge opposite to the one side is A tire located on the side surface such that the tire is disposed outside the one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구멍의 상기 측면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인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tire shape of which the opening shape in the said side surface of the said user hole is circular shape or elliptical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구멍의 상기 측면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둘레 방향으로 뻗는 형상인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tire shape of which the opening shape in the said side surface of the said user hole extend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1 항에 기재된 타이어와,
상기 타이어를 유지하는 휠을 구비하는 핸드카트용 차륜.
The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el for a hand cart having a wheel for holding the tire.
제 10 항에 기재된 차륜을 구비하는 핸드카트.A hand cart comprising the wheel according to claim 10. 제 10 항에 기재된 차륜을 구비하는 유모차.
The baby carriage provided with the wheel of Claim 10.
KR1020130049249A 2012-05-15 2013-05-02 Tire for handcart, wheel for handcart, handcart KR1020765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1368A JP5952079B2 (en) 2012-05-15 2012-05-15 Stroller tires, stroller wheels, strollers
JPJP-P-2012-111368 2012-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918A true KR20130127918A (en) 2013-11-25
KR102076537B1 KR102076537B1 (en) 2020-02-13

Family

ID=4964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249A KR102076537B1 (en) 2012-05-15 2013-05-02 Tire for handcart, wheel for handcart, handcar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52079B2 (en)
KR (1) KR102076537B1 (en)
CN (1) CN103419566B (en)
TW (1) TWI588041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0713A (en) * 2020-08-05 2020-11-06 江苏中鸿坦达橡胶科技有限公司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composite type foaming inflation-free rubber ti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5574A (en) * 2015-12-28 2016-04-27 江阴皇润车业有限公司 Temporary-term parking sign
CN106004251B (en) * 2016-06-22 2018-06-29 青岛科技大学 A kind of non-inflatable tyre and processing method
CN109941045A (en) * 2017-12-21 2019-06-28 北京橡胶工业研究设计院有限公司 A kind of non-inflatable tyre structure
KR102195006B1 (en) * 2019-03-11 2020-12-24 이종영 Cas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651072B1 (en) * 2019-04-01 2020-02-19 鉄十 高村 Airless tir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5704A (en) * 1986-05-13 1987-12-23 ザ ユニロ−ヤル グツドリツチ タイヤ カンパニ− Low-vibration non-pneumatic type tire
JPH01311902A (en) * 1988-06-10 1989-12-15 Yokohama Rubber Co Ltd:The Non-pneumatic type tire
JPH0577605A (en) * 1991-02-27 1993-03-30 Goodyear Tire & Rubber Co:The Nonaerial spare tire
JP2000515452A (en) * 1995-11-20 2000-11-21 エアボス タイヤズ ピィーティーワイ リミティッド Rotatable grounding structure
JP2002220060A (en) * 2001-01-26 2002-08-06 Aprica Kassai Inc Buggy
JP2006254801A (en) * 2005-03-17 2006-09-28 Bonbi:Kk Cart and bag for pet
WO2011157847A1 (en) * 2010-06-18 2011-12-22 Solideal Holding S.A. Non- pneumatic ti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5962A (en) * 1989-06-09 1990-08-07 The Uniroyal Goodrich Tire Company Honeycomb non-pneumatic tire with a single web on one side
US5390985A (en) * 1990-05-14 1995-02-21 Airboss Limited Non-pneumatic, ground-engaging cushioning means with raised treads for tires or endless tracks
CN2639036Y (en) * 2003-06-10 2004-09-08 顺进橡胶工业股份有限公司 Solid tyre
JP4445335B2 (en) * 2004-06-21 2010-04-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Mold apparatus and cylinder block manufacturing method
JP2006084658A (en) * 2004-09-15 2006-03-30 Canon Inc Light-shield blade member for light quantity adjustment
CN2771008Y (en) * 2004-11-24 2006-04-12 黄立新 Tyre
CN2895122Y (en) * 2006-01-20 2007-05-02 黄贤益 Desert motor vehicle cover tyre
JP2008132951A (en) * 2006-11-29 2008-06-12 Yokohama Rubber Co Ltd:The Non-pneumatic tire
TWM314698U (en) * 2006-12-05 2007-07-01 Jin-Chang Wu Improved wheel structure
CN201544735U (en) * 2009-11-16 2010-08-11 盐城森光橡胶制品有限公司 Solid tire added with two rows of heat dissipation holes on counter-arc tire sidewall
JP5597476B2 (en) * 2010-08-11 2014-10-0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Solid tir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5704A (en) * 1986-05-13 1987-12-23 ザ ユニロ−ヤル グツドリツチ タイヤ カンパニ− Low-vibration non-pneumatic type tire
JPH01311902A (en) * 1988-06-10 1989-12-15 Yokohama Rubber Co Ltd:The Non-pneumatic type tire
JPH0577605A (en) * 1991-02-27 1993-03-30 Goodyear Tire & Rubber Co:The Nonaerial spare tire
JP2000515452A (en) * 1995-11-20 2000-11-21 エアボス タイヤズ ピィーティーワイ リミティッド Rotatable grounding structure
JP2002220060A (en) * 2001-01-26 2002-08-06 Aprica Kassai Inc Buggy
JP2006254801A (en) * 2005-03-17 2006-09-28 Bonbi:Kk Cart and bag for pet
WO2011157847A1 (en) * 2010-06-18 2011-12-22 Solideal Holding S.A. Non- pneumatic ti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0713A (en) * 2020-08-05 2020-11-06 江苏中鸿坦达橡胶科技有限公司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composite type foaming inflation-free rubber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0327A (en) 2014-01-01
KR102076537B1 (en) 2020-02-13
CN103419566A (en) 2013-12-04
CN103419566B (en) 2018-01-09
JP2013237346A (en) 2013-11-28
JP5952079B2 (en) 2016-07-13
TWI588041B (en)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537B1 (en) Tire for handcart, wheel for handcart, handcart
US1000000A (en) Vehicle-tire.
JP5041588B2 (en) Pneumatic studless tire
JP2019532859A (en) Airless tire
CN103448781A (en) Brake device and toddler vehicle with brake device
JPH0999714A (en) Pneumatic tire
JP6710987B2 (en) Motorcycle tires for rough terrain
JP2016215727A (en) Pneumatic tire
TWI801786B (en) Imitating pneumatic tire and stroller thereof
JP5499569B2 (en) Tire noise reduction device and pneumatic tire provided with the same
JP5305890B2 (en) Tires for motorcycles
JP2014172421A (en) Solid tire
CN211617333U (en) Novel low-speed inflation-free tire
JP4536851B2 (en) Tire and rim assembly for motorcycles
CN107116974B (en) Non-inflatable tyre and wheel with non-inflatable tyre
EP3317124B1 (en) An improved filling element for tires of off-road motor vehicles
KR101755915B1 (en) Tire Comprising Foam Space And Method Thereof
CN218661132U (en) Wheel
KR102495867B1 (en) Spoke structure of non-pneumatic tire
KR101237938B1 (en) Tire mounting air-pack
CN104129226A (en) Wheels for baby carriage, and baby carriage
JP6849053B2 (en) Stud pins and stud tires
JPS642794Y2 (en)
WO1984001545A1 (en) Wheel for vehicle
WO2016094995A1 (en) Structural arrangement for a flexible wheel of a wheelbarrow and hand-propellled industrial c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