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636A -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636A
KR20130127636A KR1020120051298A KR20120051298A KR20130127636A KR 20130127636 A KR20130127636 A KR 20130127636A KR 1020120051298 A KR1020120051298 A KR 1020120051298A KR 20120051298 A KR20120051298 A KR 20120051298A KR 20130127636 A KR20130127636 A KR 20130127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low salinity
region
ballast wate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425B1 (ko
Inventor
이지형
김하종
김인구
강명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42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Abstract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방법은 GPS로부터 선박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선박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선박이 저염도지역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박이 저염도지역으로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한 경우 진입경보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진입경보가 발생하면 전기분해용 해수를 저장하고 있는 해수저장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해수저장탱크의 수위가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 해수저장탱크에 해수를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Supervisory system and method detecting low salinity region for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분해 방식의 평형수 처리방법을 이용하는 선박에서 선박이 저염도지역에 입항하기 전에 미리 저염도지역을 감시하여 전기분해에 필요한 일정염도의 해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평형수 시스템은 화물의 싣고 내림에 따른 선박의 무게 중심의 변동을 줄이고 안전한 항해를 위한 것으로, 선박의 좌우로 대칭이 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탱크에 평형수(ballast water)가 저장된다.
그런데, 이러한 평형수에는 다양한 외래 해양 생물체가 포함되어 밸러스팅(ballasting)을 위하여 평형수가 배출되는 경우 외래 지역의 해양 생물체, 병원균, 박테리아 등이 그 해역의 환경과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는 평형수에 처리에 규정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평형수 처리 방법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분해 방식의 평형수 처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방식이 널리 이용된다.
전기분해 방식의 평형수 처리 시스템(100)은 전해조(110)에 공급되는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염소를 평형수 탱크(120)에 첨가하여 평형수에 포함된 해양 생물체, 병원균, 및 박테리아 등을 살균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전기분해 방식의 평형수 처리 시스템(100)에서는 전해조(110)에 공급되는 해수의 염도가 일정염도 이상이 되어야만 평형수 처리에 필요한 염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선박이 저염도의 해역(예컨대, 기수(brackish water) 또는 민물(fresh water)이 존재하는 해역)에서는 전해조(110)에 공급되는 해수가 염소발생에 필요한 염도보다 낮아 전기분해가 원활하지 못하여 충분한 염소를 생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염도(예컨대, 30[PSU])의 해수를 별도의 전기분해용 해수저장탱크(220p, 220s)에 미리 저장하여, 선박이 저염도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전해조(110)에 공급되는 해수의 염도를 보상하여 일정염도의 해수가 전해조에 공급되도록 하는 염도보상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염도보상 방법을 이용한 전기분해용 해수 공급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기분해용 해수 공급 시스템(200)은 취수배관(210), 해수저장탱크(220p, 220s), 염도보상배관(230), 해수혼합기(240), 및 해수공급배관(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취수배관(210)은 씨체스트(sea chest)로부터 해수를 취수하여 해수혼합기(240)로 공급한다. 이때, 취수배관(210)에는 취수밸브(211)가 설치되어 씨체스트(sea chest)로부터 취수되는 해수의 양을 제어한다.
해수저장탱크(220p, 220s)는 선박의 좌현(port)과 우현(starboard) 각각에 좌현 해수저장탱크(220p)과 우현 해수저장탱크(220s)가 설치되어 일정염도 이상(예컨대, 30PSU 이상)의 해수를 저장한다.
염도보상배관(230)은 좌현과 우현 해수저장탱크(220p, 220s)에 각각 염도보상분지관(231p, 232s)으로 연결되어 해수저장탱크(220p, 220s)의 해수를 해수혼합기(240)로 공급한다.
이때, 염도보상배관(230)에는 해수저장탱크(220p, 220s)에 기저장된 해수를 펌핑하여 염도보상펌프(232) 및 해수혼합기(240)로 공급되는 해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밸브(233)가 설치된다.
또한, 염도보상분지관(231p, 232s)에는 각각이 접속되어 있는 해수저장탱크(220p, 220s)로부터 공급되는 해수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234p, 234s)가 설치될 수 있다.
해수혼합기(240)는 취수배관(210)을 통하여 공급되는 해수와 해수저장탱크(220p, 220s)로부터 염도보상배관(230)을 통하여 공급되는 해수를 혼합하여 적정염도(예컨대, 15[PSU])를 갖는 해수를 생성한다.
예컨대, 취수배관(210)으로부터 공급되는 해수의 염도가 O[PSU]고, 염도보상배관(230)으로부터 공급되는 해수의 염도가 30[PSU]이고 동일한 양의 해수가 공급되는 경우, 해수혼합기(240)는 두개의 해수를 혼합하여 15[PSU]의 염도를 갖는 해수를 전해조(110)로 공급하게 된다.
해수공급배관(250)은 해수혼합기(240)에 의해 생성된 해수를 전해조(110)로 공급한다. 이때. 해수공급배관(250)에는 해수혼합기(240)의 해수를 펌핑하여 전해조(110)로 공급하기 위한 해수공급펌프(251), 전해조(110)로 공급되는 해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해수공급밸브(252), 및 전해조(110)로 공급되는 해수의 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염도측정센서(253)가 설치된다.
이때, 염도측정센서(253)는 전해조(110)로 공급되는 염도를 측정하여 제어장치(260)로 출력한다.
제어장치(260)는 염도측정센서(253)로부터의 수신되는 염도 측정값에 기초하여 가변밸브(233)를 제어하여 해수저장탱크(220p, 220s)에 저장된 해수의 공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씨체스트(sea chest)로부터 취수되는 해수의 염도가 변하는 경우 해수저장탱크(220p, 220s)로부터의 해수공급량을 제어하여 해수혼합기(240)에서 적정염도의 해수가 전해조(110)로 공급되도록 한다.
결국, 전기분해를 통하여 염소를 발생하는 전해조(110)는 적정염도를 갖는 해수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아 평형수 처리에 필요한 염소를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선박이 저염도지역에서는 평형수 처리를 위한 전기분해시 적정염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해수저장탱크(220p, 220s)에 저장된 해수가 많이 소비된다. 따라서, 해수저장탱크(220p, 220s)에 충분한 해수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해조(110)로 공급되는 적정염도의 해수가 부족하여 전기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이러한 해수저장탱크(220p, 220s) 내의 해수량이 부족한 것을 대비해서 선원이 직접 체크를 해야 하므로, 인력손실이 발생하고 선원의 부주의 또는 측정미숙으로 인한 휴먼에러(Human Error)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의 항로에 존재하는 저염도지역을 감시하여, 저염도 해역 진입 전에 전기분해에 필요한 일정염도의 해수를 미리 저장할 수 있는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방법은 상기 GPS로부터 선박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선박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선박이 저염도지역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박이 저염도지역으로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한 경우 진입경보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진입경보가 발생하면 전기분해용 해수를 저장하고 있는 해수저장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해수저장탱크의 수위가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 해수저장탱크에 해수를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선박의 위치정보와 기 저장된 저염도지역들과의 이격거리를 계산하여 선박이 상기 저염도지역들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진입경보를 발생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진입경보가 발생하면 전기분해용 해수를 저장하는 해수저장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진입경보가 발생하면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해수저장탱크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 해수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염도지역 감시를 통한 평형수 처리용 해수 공급방법은 선박이 저염도 해역을 입항하는 경우 미리 일정염도 이상의 해수를 저장하여 평형수 처리 시 안정적으로 전기분해를 통한 염소를 발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좀더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분해 방식의 평형수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염도보상 방법을 이용한 전기분해용 해수 공급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선박이 저염도지역 인근에 접근하는 경우를 도시한 상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저염도지역 설정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선박이 저염도지역 인근에 접근하는 경우를 도시한 상황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저염도지역(A(n))은 기수나 민물이 유입되는 해역으로 주로 강의 하류나 호수 등에서 주로 나타난다.
저염도지역(A(n))은 중심 위치(P(n))의 좌표(위도(x), 경도(y)) 및 중심 위치(P1)로부터의 반경(R1)으로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선박(A1)이 저염도지역(A(n))으로 진입하여 밸러스팅을 하게 되면, 선박의 해수 저장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저장된 해수량이 충분한 양이 되는 지를 확인하고, 저염도지역 진입 전에 해수저장탱크에 해수를 급수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300)은 제어장치(310), 수위측정센서(320), 및 해수공급장치(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장치(310)는 GPS 위성(A2)으로부터 수신되는 선박(A1)의 위치정보와 기 저장된 저염도지역들과의 거리(D(n))를 계산하여, 선박(A1)이 상기 저염도지역들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R+r)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진입경보를 발생한다.
이때, 다른 실시 예로, 일반적으로 저염도지역의 가장영역의 염도는 저염도지역 외부의 염도와 비슷하므로, 선박이 저염도지역의 중심(P(n))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R(n)+r)로 접근하게 되면 진입경보를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선박이 저염도지역에 진입하는 시점에 발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선박과 저염도지역과의 거리(D(n))가 저염도지역의 반경(R(n))보다 작아지는 시점에 진입경보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수위 측정센서(320)는 진입경보가 발생하면 전기분해용 해수저장탱크(360)의 수위를 측정하여 제어장치(310)로 출력한다.
제어장치(310)는 진입경보가 발생하면 수위 측정센서(320)에 의해 측정된 해수저장탱크(360)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 해수공급 제어신호를 해수공급장치(330)로 출력한다.
제어장치(310)는 컴퓨터(personal computer)로 구성되고, 저염도지역의 중심위치(P(n))의 위도(x), 경도(y), 중심위치(P(n))로부터의 반경(R(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저염도지역(A(n)) 정보가 저장된다.
해수공급장치(330)는 제어장치(310)로부터 수신된 해수공급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해수저장탱크(360)에 해수를 공급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300)은 제어장치(310)로부터 발생된 해수공급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장치(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알람장치(340)는 제어장치(310)로부터 발생된 해수공급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알람을 발생하여 선원들이 수동으로 해수공급장치(330)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어장치(31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다수의 저염도지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설정화면(350)을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저염도지역 정보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저염도지역만을 선택하여 원하는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설정화면(350)에는 저염도지역(351), 저염도지역의 GPS 위도(352), 경도(353), 반경(354)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선택메뉴(355)를 통하여 원하는 저염도지역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염도지역 감시가 시작되면, 선박(A1)에 설치된 GPS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A2)으로부터 선박(A1)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즉, 선박의 현재위치에 대한 좌표값(Axy)을 수신한다(S1 ~ S2).
선박(A1)의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저염도지역(P(n))의 위치정보(P(n)xy)와 수신된 선박의 위치정보(Axy)에 기초하여 선박과 저염도지역(P(n))과의 거리(D(n))를 계산한다. 즉, 선박의 좌표값(Axy)과 저염도지역의 좌표값(P(n)xy)에 기초하여 서로 간의 거리(D(n))를 계산한다(S3).
선박과 저염도지역과의 거리(D(n))계산이 완료되면, 계산 결과 중에서 선박에 가장 가까운 거리에 존재하는 저염도지역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비교한다(S4).
즉, 도 4의 S4단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박과 가장 가까운 저염도지역의 중심점과의 거리와 저염도지역의 반경(R(n))에 일정거리(r)를 합한 값보다 작아지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비교한다(S10).
그리고, 선박이 가장 가까운 저염도지역의 중심(P(n))으로부터 일정거리(R(n)+r)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 진입경보를 발생한다(S5).
이때, 진입경보는 선박이 가장 가까운 저염도지역의 중심(P(n))으로부터 반경(R(n)) 안으로 진입하는 경우 발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진입경보가 발생하면, 해수저장탱크(360)의 저장수위가 설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측정한다(S6).
측정결과 해수저장탱크(360)의 저장용량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해수를 급수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시스템을 종료한다(S11).
반면에, 해수저장탱크(360)의 저장용량이 설정치 미만인 경우 알람을 발생하고(S7), 해수저장탱크(360)에 해수를 저장하여 설정치 이상이 되도록 하여 해수저장을 완료한다(S8 ~ S9).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0: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310: 제어장치
320: 수위 측정센서
330: 해수공급장치
340: 알람장치
350: 설정화면
360: 해수저장탱크

Claims (7)

  1. GPS로부터 선박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선박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선박이 저염도지역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박이 저염도지역으로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한 경우 진입경보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진입경보가 발생하면 전기분해용 해수를 저장하고 있는 해수저장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해수저장탱크의 수위가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 해수저장탱크에 해수를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염도지역은,
    저염도지역 중심점의 위도와 경도, 및 중심점으로부터의 반경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방법은,
    다수의 저염도지역들 중에서 감시하고자 하는 저염도지역만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방법.
  4.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선박의 위치정보와 기 저장된 저염도지역들과의 이격거리를 계산하여 선박이 상기 저염도지역들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진입경보를 발생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진입경보가 발생하면 전기분해용 해수를 저장하고 있는 해수저장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진입경보가 발생하면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해수저장탱크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수위보다 낮은 경우 해수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발생된 해수공급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해수저장탱크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발생된 해수공급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기 설정된 다수의 저염도지역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다수의 저염도지역에 대한 정보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저염도지역만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KR1020120051298A 2012-05-15 2012-05-15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5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298A KR101715425B1 (ko) 2012-05-15 2012-05-15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298A KR101715425B1 (ko) 2012-05-15 2012-05-15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636A true KR20130127636A (ko) 2013-11-25
KR101715425B1 KR101715425B1 (ko) 2017-03-13

Family

ID=4985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298A KR101715425B1 (ko) 2012-05-15 2012-05-15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4274B2 (en) * 2016-04-05 2019-02-26 Techcross Co. Ltd. Ballast water treatment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566A (ko) * 2006-10-20 2009-09-09 오션세이버 에이에스. 액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992085B1 (ko) * 2010-01-25 2010-11-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염도 경보 시스템
KR20110066010A (ko) * 2009-12-10 2011-06-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충돌방지 시스템 및 선박 충돌방지 방법
KR101066674B1 (ko) * 2010-12-06 2011-09-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기분해 유닛과 이러한 전기분해 유닛을 이용한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566A (ko) * 2006-10-20 2009-09-09 오션세이버 에이에스. 액체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10066010A (ko) * 2009-12-10 2011-06-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충돌방지 시스템 및 선박 충돌방지 방법
KR100992085B1 (ko) * 2010-01-25 2010-11-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염도 경보 시스템
KR101066674B1 (ko) * 2010-12-06 2011-09-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기분해 유닛과 이러한 전기분해 유닛을 이용한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4274B2 (en) * 2016-04-05 2019-02-26 Techcross Co. Ltd. Ballast water treatment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425B1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830B1 (ko) 전기분해방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331688B1 (ko)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AU2022209300A1 (en)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KR20130127636A (ko) 평형수 처리장치의 저염도지역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9951B1 (ko)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KR101411397B1 (ko)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를 장착한 차량
KR101302734B1 (ko) 유압 유량 버퍼를 가지는 총잔류 산화물 농도 센서
KR101663723B1 (ko) 선박용 살균 소독수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9717B1 (ko) 멀티제어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1525136B1 (ko) 중화제공급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중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KR101435644B1 (ko) 펌프 압력으로부터 유량을 산출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KR101669099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운전 장치 및 방법
KR101614585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전해조 해수 공급장치
KR101415207B1 (ko) 최적의 중화제 공급이 가능한 스마트 전기분해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95626B1 (ko) 선박평형 수 처리장치의 유량 측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KR101550019B1 (ko) 통합형 설비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및 유량 제어 방법
US10214274B2 (en) Ballast water treatment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00072B1 (ko) 최적의 염수 주입이 가능한 스마트 전기분해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228532B1 (en) Ballast water treatment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10322A (ko) 밸러스트수 처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2086200A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及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KR20160006296A (ko) 선박용 냉각 시스템
KR101554956B1 (ko) 산화제 농도의 정밀측정이 가능한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KR101584572B1 (ko) 전기분해방식을 이용한 선박의 해수 처리 시스템
KR20150120088A (ko) 전기분해방식을 이용한 선박의 해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