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341A -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 Google Patents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341A
KR20130127341A KR1020120062109A KR20120062109A KR20130127341A KR 20130127341 A KR20130127341 A KR 20130127341A KR 1020120062109 A KR1020120062109 A KR 1020120062109A KR 20120062109 A KR20120062109 A KR 20120062109A KR 20130127341 A KR20130127341 A KR 20130127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air
legs
shock absorbe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우
Original Assignee
유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제우 filed Critical 유제우
Publication of KR2013012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수직압 및 측압에 대해 탄성 변형되면서 발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하도록 신발의 뒷굽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다방향충격흡수체가 내장되되, 다방향충격흡수체는, 하부 및 상부가 내부공간의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곡률을 이루며,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수직압 또는 측압이 발생될 시 가해진 압력의 방향에 따라 다방향충격흡수체가 탄성변형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발목에 발생하는 수직하중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므로써 발목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고, 에어쿠션에 비해 고탄성을 장기간 유지시키므로 연장자나 운동을 즐기는 사람, 걷고 뛰기를 많이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며,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므로 제품의 무게가 경감되고 양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Shoes with complex elastic body}
본 발명은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발목에 작용하는 다양한 방향의 운동에너지를 흡수, 상쇄할 수 있도록 한 복합탄성체가 장착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발목에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각도에서 크고 작은 힘이 주어진다. 그러므로 주로 신발의 뒷굽 부분에 에어쿠션을 설치하여서 발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시키고 있다.
그런데 신발의 에어쿠션은 고탄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탄성의 수명이 길지 못하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쿠션기능이 점차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에어쿠션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 바닥에 산업용 코일스프링(1)을 내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산업용 코일스프링(1)은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및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 상쇄하는데 매우 유용하나, 수직방향 외의 여러 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 및 충격을 흡수 상쇄하기에는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인체의 다양한 운동성 때문에 발목에는 수직하중 외에 다양한 각도의 하중 및 충격이 발생된다. 그런데 코일스프링(1)은 측력에 매우 취약하며, 코일스프링(1)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측력이 작용하면 옆으로 쉽게 밀려나면서 파손되거나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코일스프링(S)에 측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시키고 상하방향으로만 작용하도록 하부가이드판(LP) 및 상부가이드판(UP)이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 코일스프링(S)을 내장하여서 상부가이드판(UP)이 하부가이드판(LP)을 따라 승강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신발은 코일스프링(S)이 측력에 대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되는 구조이지만, 수직방향으로만 충격을 흡수할 뿐, 측력을 흡수하는 구조가 아니며, 운동시 여러 방향의 측력이 발생될 시 발목 꺽임이 발생되어서 부상의 위험이 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발에 코일스프링(S)만 내장된 구조나, 코일스프링(S) 보호용 하부가이드판(LP), 상부가이드판(UP)이 함께 내장된 구조로는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발목을 제대로 보호할 수 없다.
한편, 판스프링은 측력에는 강한 장점이 있지만 측력을 흡수, 상쇄시키려면 유연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판스프링의 구조상 너무 유연한 탄성 재질로 만들면 수직력에 대하여 너무 쉽게 형태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그 결과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 및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목에 작용하는 다양한 방향의 운동에너지를 흡수, 상쇄할 수 있도록 한 복합스프링이 장착된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은, 수직압 및 측압에 대해 탄성 변형되면서 발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하도록 신발의 뒷굽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다방향충격흡수체가 내장되되, 다방향충격흡수체는, 하부 및 상부가 내부공간의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곡률을 이루며,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수직압 또는 측압이 발생될 시 가해진 압력의 방향에 따라 다방향충격흡수체가 탄성변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다른 특징은, 다방향충격흡수체는, 탄력을 갖는 중공형 구의 일부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직압 또는 측압이 발생될 시 가해진 압력의 방향에 따라 다방향충격흡수체가 변형되도록 둘레에 변형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방향충격흡수체는 중공형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변형공간부는 다방향충격흡수체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변형홀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방향충격흡수체는, 다방향충격흡수체의 하부 둘레에 외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하부리브가 연장되어서 신발의 내부공간 하면에 지지되고, 다방향충격흡수체의 상부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상부리브가 연장되어서 신발의 내부공간 상면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방향충격흡수체는, 다방향충격흡수체의 하부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하부리브가 연장되어서 신발의 내부공간 하면에 지지되고, 다방향충격흡수체의 상부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상부리브가 연장되어서 신발의 내부공간 상면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하부리브 및 신발의 내부공간 하면 사이에는 다방향충격흡수체의 하부를 내부공간의 하면에 지지하도록 하판이 결합되어 있고, 상부리브 및 신발의 내부공간 상면 사이에는 다방향충격흡수체의 상부를 내부공간의 상면에 지지하도록 상판이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방향충격흡수체의 중앙 부분에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이 코일스프링의 하단 및 상단은 신발의 내부공간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와 함께 뒷굼치 및 발목에 전달되는 수직압을 흡수, 상쇄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방향충격흡수체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복수의 다리들로 이루어지고, 다리들의 하부에는 각각 신발의 내부공간 하면에 지지되도록 하부리브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리들의 상부에는 다리들을 연결하고 신발의 내부공간 상면에 지지되도록 상부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다리 및 우측다리와 뒷굽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전방다리 및 후방다리로 이루어져서 사방으로 배치되어 있고, 하부리브는, 좌측다리, 우측다리, 전방다리, 후방다리의 하단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는, 좌측다리, 우측다리, 전방다리, 후방다리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다리 및 우측다리와 뒷굽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다리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는, 좌측다리, 우측다리, 후방다리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는, 좌측다리, 우측다리, 후방다리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다리 및 우측다리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는, 좌측다리, 우측다리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는, 좌측다리, 우측다리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 및 한쌍의 우측다리와 뒷굽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전방다리 및 후방다리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우측다리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전방다리 및 후방다리의 하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부리브는, 좌측다리, 우측다리, 전방다리, 후방다리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 및 한쌍의 우측다리와 뒷굽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다리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우측다리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후방다리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한쌍의 우측다리, 후방다리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 및 한쌍의 우측다리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우측다리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한쌍의 우측다리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 및 한쌍의 우측다리와 뒷굽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전방다리 및 후방다리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한쌍의 우측다리, 전방다리, 후방다리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중 하나의 좌측다리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 중 하나의 우측다리 상단부와 전방다리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한쌍의 좌측다리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 상단부와 후방다리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 및 한쌍의 우측다리와 뒷굽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다리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한쌍의 우측다리, 후방다리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중 하나의 좌측다리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 중 하나의 우측다리 상단부와 전방다리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한쌍의 좌측다리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 상단부와 후방다리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 및 한쌍의 우측다리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한쌍의 우측다리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중 하나의 좌측다리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 중 하나의 우측다리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한쌍의 좌측다리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 및 한쌍의 우측다리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좌측다리 및 한쌍의 우측다리는 원형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한쌍의 우측다리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부리브는, 한쌍의 좌측다리 중 하나의 좌측다리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 중 하나의 우측다리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한쌍의 좌측다리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은, 수직압 및 측압에 대해 탄성 변형되면서 발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하도록 신발의 뒷굽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다방향충격흡수체가 내장되되, 다방향충격흡수체는, 내부공간의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부탄성부 및 상부탄성부가 구비되고, 양측에는 하부탄성부 및 상부탄성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양측이 서로 수렴되도록 경사진 측면탄성부들이 연결되어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다른 특징은, 다방향충격흡수체는, 내부공간의 전후방 및 좌우측 사방에 배열되어 있고, 측면탄성부들에는 비틀림스프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코일스프링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방향충격흡수체는, 내부공간의 전후방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측면탄성부들에는 비틀림스프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코일스프링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또 다른 특징은, 다방향충격흡수체는, 내부공간의 전후방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하부탄성부, 상부탄성부, 측면탄성부의 이음부위인 네 모서리에는 비틀림스프링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코일스프링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발목에 발생하는 수직하중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므로써 발목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고, 에어쿠션에 비해 고탄성을 장기간 유지시키므로 연장자나 운동을 즐기는 사람, 걷고 뛰기를 많이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며,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므로 제품의 무게가 경감되고 양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방향충격흡수체는, 내부공간의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부탄성부 및 상부탄성부가 구비되고, 양측에는 하부탄성부 및 상부탄성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양측이 서로 수렴되도록 경사진 측면탄성부들이 연결되어서 구비되며, 내부공간의 전후방 또는 사방에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탄성부들 또는 하부탄성부, 상부탄성부, 측면탄성부를 연결하는 네 모서리 부분에 비틀림스프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분에는 코일스프링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탄성부, 상부탄성부, 측면탄성부에 의해 발목에 발생하는 수직하중 및 다양한 각도의 하중이 흡수, 상쇄된다. 또한, 측면탄성부 또는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비틀림스프링부에 의해 수직하중 및 여러 각도의 하중이 2차로 흡수, 상쇄되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의 성능 및 내구성이 그만큼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코일스프링 내장된 신발의 문제점을 보인 개략적 단면도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단면도들
도 3은 복합탄성체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수직력 및 측력에 대한 복합탄성체의 탄성변형을 보인 단면도들
도 6은 도 5의 복합탄성체가 작동되는 원리를 사다리꼴 형태의 링크장치를 이용하여서 설명한 개략도
도 7은 복합탄성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사시도 및 단면도
도 8 내지 도 17은 복합탄성체의 여러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들
도 18 내지 도 20은 복합탄성체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코일스프링 내장된 신발의 문제점을 보인 개략적 단면도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단면도들이며, 도 3은 복합탄성체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수직력 및 측력에 대한 복합탄성체의 탄성변형을 보인 단면도들이며, 도 6은 도 5의 복합탄성체가 작동되는 원리를 사다리꼴 형태의 링크장치를 이용하여서 설명한 개략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은, 수직압 및 측압에 대해 탄성 변형되면서 발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하도록 신발(1)의 뒷굽(2)에 형성된 내부공간(3)에 다방향충격흡수체(10)가 내장된다.
이 다방향충격흡수체(10)는, 하부 및 상부가 내부공간(3)의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곡률을 이루며,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수직압 또는 측압이 발생될 시 가해진 압력의 방향에 따라 다방향충격흡수체(10)가 탄성변형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다방향충격흡수체(10)는, 탄력을 갖는 중공형 구의 일부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직압 또는 측압이 발생될 시 가해진 압력의 방향에 따라 다방향충격흡수체(10)가 변형되도록 둘레에 변형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다방향충격흡수체(10)는 중공형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변형공간부는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변형홀(11)들로 이루어진다.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하부 둘레에는 외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13)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하부리브(12)가 연장되어서 신발(1)의 내부공간(3) 하면에 지지된다.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상부 둘레에는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15)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상부리브(14)가 연장되어서 신발(1)의 내부공간(3) 상면에 지지된다.
하부리브(12) 및 신발(1)의 내부공간(3) 하면 사이에는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하부를 내부공간(3)의 하면에 지지하도록 하판(16)이 결합되어 있다.
상부리브(14) 및 신발(1)의 내부공간(3) 상면 사이에는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상부를 내부공간(3)의 상면에 지지하도록 상판(17)이 결합되어 있다.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중앙 부분에는 코일스프링(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코일스프링(18)의 하단 및 상단은 신발(1)의 내부공간(3)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10)와 함께 뒷굼치 및 발목에 전달되는 수직압을 흡수, 상쇄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방향충격흡수체(10)가 속이 비어 있는 반구형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즉 방사상으로 다수의 변형공간부인 변형홀(11)들이 형성된 반구방사형 판스프링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반구방사형 판스프링인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가운데에는 운동에너지 흡수가 강하고 탄성이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18)이 배치되어 있다.
하판(16)의 상면 및 상판(17)의 저면에는 코일스프링(18)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원추형돌기(16a)(17a)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18)을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중앙 부분에 배치시키고 하판(16) 및 상판(17)을 하부리브(12) 및 상부리브(14)에 안착시키면 코일스프링(18)의 양단이 하판(16)의 원추형돌기(16a) 및 상판(17)의 원추형돌기(17a)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반구방사형 판스프링인 다방향충격흡수체(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다리꼴 링크장치의 장점을 응용한 것이다.
사다리꼴 링크장치는 AD축이 바닥에 고정된 상태이고 AB축은 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이며, CD축은 D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이고, BC축은 B 또는 C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AB축 방향으로 측력이 작용하면 AB축이 A를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CD축도 D를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며, 그 결과 B부분은 하측으로 눌리고 C부분은 상측으로 들리게 되므로 BC축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목에 경사하중이 발생했을 때에도 상판(17)이 기울어지면서 발목이 꺽이지 않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은, 발목에 주어지는 다양한 각도의 하중에서 발생되는 측력을 코일스프링(18) 주변의 반구방사형 판스프링인 다방향충격흡수체(10)가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그리고 상술한 구조의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중앙에 코일스프링(18)이 배치되므로 코일스프링(18) 측으로 여러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여도 코일스프링(18)이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측으로 심하게 휘어지지 않도록 하며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18)의 고유한 유연성을 잃지 않게 한다.
따라서 뒷굼치를 지지하는 상판(17)이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지고 이러한 상태의 상판(17)에 수직하중이 작용하여도 심하게 휘어지지 않은 코일스프링(18)이 수직방향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목이 효율적으로 보호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은 발목에 발생하는 수직하중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므로써 발목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은 에어쿠션에 비해 고탄성을 장기간 유지시키므로 연장자나 운동을 즐기는 사람, 걷고 뛰기를 많이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발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플라스틱 및 금속재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로 인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무게가 경감되고 양산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방향충격흡수체(10)가,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하부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13)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하부리브(12)가 연장되어서 신발(1)의 내부공간(3) 하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상부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15)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상부리브(14)가 연장되어서 신발(1)의 내부공간(3) 상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중앙 부분에도 코일스프링(18)이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하부리브(12)가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하부 둘레에서 그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도 발목에 발생하는 수직하중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므로써 발목을 확실하게 보호한다.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충격흡수체(20)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들이다.
보통 발목의 구조상 전후 방향으로는 비교적 자유롭게 구부러지므로 좌우방향으로는 자유롭게 구부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발목은 전후방향으로는 자유롭게 구부러지므로 보행시 아무런 불편없이 보행이 가능하지만, 단턱이나 돌부리를 밟게 되면, 또는 운동시 착지가 불완전하여서 발목의 좌우측 방향으로 체중이 실리게 되면 발목에 무리한 하중이 작용하면서 손상된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17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발목에 좌우방향으로 측력이 작용할 시 발목이 좌우측으로 꺽이지 않도록 하여 발목을 보호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도 8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복수의 다리들로 이루어지고, 다리들의 하부에는 각각 신발(1)의 내부공간(3) 하면에 지지되도록 하부리브(25)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리들의 상부에는 다리들을 연결하고 신발(1)의 내부공간(3) 상면에 지지되도록 상부리브(2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와 뒷굽(2)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로 이루어져서 사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부리브(25)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 전방다리(23),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리브(26)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 전방다리(23),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가 사방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발목에 좌우로 작용하는 측력 및 전후로 작용하는 측력을 효과적으로 흡수, 상쇄한다. 또한 상부리브(26)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판(17)에 수직 충격이 작용하여도 코일스프링(18)이 이를 확실하게 흡수, 상쇄한다.
도 9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들이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와 뒷굽(2)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다리(24)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25)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26)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9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도 8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가 생략된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목은 좌우방향에 비해 전후방향으로는 비교적 원활하게 구부러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를 생략하여도 발목을 보호하는데 큰 무리가 없다.
도 10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들이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25)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26)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0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도 8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가 생략된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목은 좌우방향에 비해 전후방향으로는 비교적 원활하게 구부러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를 생략하여도 무리없이 발목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1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들이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와 뒷굽(2)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로 이루어진다.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우측다리(22)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리브(26)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 전방다리(23),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가 사방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발목에 좌우로 작용하는 측력 및 전후로 작용하는 측력을 효과적으로 흡수, 상쇄한다. 또한 상부리브(26)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판(17)에 수직 충격이 작용하여도 코일스프링(18)이 이를 확실하게 흡수, 상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발목을 보호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가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로 이루어진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에 비해 한쌍으로 이루어진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는 탄성복원력이 더 우수하다. 또한, 응력이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에 고르게 분산되어서 작용하므로 어느 한 부분에 무리한 충격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20)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도 12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들이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와 뒷굽(2)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다리(24)로 이루어진다.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우측다리(22)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2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도 11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가 생략된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목은 좌우방향에 비해 전후방향으로는 비교적 원활하게 구부러지는 구조이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를 생략하여도 발목을 보호하는데 큰 무리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가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지므로 탄성복원력이 뛰어나고, 충격이 작용할 시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에 고르게 분산되어서 작용하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20)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가 생략되므로 고가의 재료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절감된다.
도 13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들이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로 이루어진다.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우측다리(22)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3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도 11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가 생략된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목은 좌우방향에 비해 전후방향으로는 비교적 원활하게 구부러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를 생략하여도 무리없이 발목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가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지므로 탄성복원력이 뛰어나고, 충격이 작용할 시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에 고르게 분산되어서 작용하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20)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가 생략되므로 고가의 재료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절감된다.
도 14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들이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와 뒷굽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로 이루어진다.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 전방다리(23),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22) 중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와 전방다리(23)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와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4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가 사방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발목에 좌우로 작용하는 측력 및 전후로 작용하는 측력을 효과적으로 흡수, 상쇄한다. 또한 상부리브(26)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판(17)에 수직 충격이 작용하여도 코일스프링(18)이 이를 확실하게 흡수, 상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발목을 보호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가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로 이루어진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에 비해 한쌍으로 이루어진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는 탄성복원력이 더 우수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하나의 좌측다리(21), 하나의 우측다리(22) 및 전방다리(23)와,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 후방다리(24)로 양분되어 있다.
따라서 다방향충격흡수체(20)가 전후로 양분되어 있으므로 일체형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 비해 자유롭게 탄성 변형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의 측력을 흡수, 상쇄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
도 15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들이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와 뒷굽(2)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다리(24)로 이루어진다.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22) 중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와 전방다리(23)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와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5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도 14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가 생략된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목은 좌우방향에 비해 전후방향으로는 비교적 원활하게 구부러지는 구조이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를 생략하여도 발목을 보호하는데 큰 무리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가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지므로 탄성복원력이 뛰어나고, 충격이 작용할 시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에 고르게 분산되어서 작용하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20)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가 생략되므로 고가의 재료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절감된다.
도 15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하나의 좌측다리(21), 하나의 우측다리(22)와,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 후방다리(24)로 양분되어 있다. 따라서 다방향충격흡수체(20)가 전후로 양분되어 있으므로 일체형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 비해 자유롭게 탄성 변형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의 측력을 흡수, 상쇄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
도 16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들이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로 이루어진다.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22) 중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6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도 14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가 생략된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목은 좌우방향에 비해 전후방향으로는 비교적 원활하게 구부러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를 생략하여도 무리없이 발목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가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지므로 탄성복원력이 뛰어나고, 충격이 작용할 시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에 고르게 분산되어서 작용하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20)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가 생략되므로 고가의 재료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절감된다.
도 16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하나의 좌측다리(21), 하나의 우측다리(22)와,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로 양분되어 있다. 따라서 다방향충격흡수체(20)가 전후로 양분되어 있으므로 일체형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 비해 자유롭게 탄성 변형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의 측력을 흡수, 상쇄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
도 17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다리들이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는 원형봉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22) 중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7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도 14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가 생략된 구조이다. 발목은 좌우방향에 비해 전후방향으로는 비교적 원활하게 구부러지는 구조이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를 생략하여도 무리없이 발목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가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지므로 탄성복원력이 뛰어나고, 충격이 작용할 시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에 고르게 분산되어서 작용하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20)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또한,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서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가 생략되므로 고가의 재료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하나의 좌측다리(21), 하나의 우측다리(22)와,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로 양분되어 있다. 따라서 다방향충격흡수체(20)가 전후로 양분되어 있으므로 일체형 다방향충격흡수체(20)에 비해 자유롭게 탄성 변형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의 측력을 흡수, 상쇄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
도 17의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가 원형봉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판형태의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에 비해 고강도의 탄력을 가지며, 이에 따라 큰 사이즈의 신발에 내장시켜서 몸무게가 큰 사람을 지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복합탄성체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들이다.
도 18은 수직압 및 측압에 대해 탄성 변형되면서 발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하도록 신발(1)의 뒷굽(2)에 형성된 내부공간(3)에 다방향충격흡수체(30)가 내장된다.
이 다방향충격흡수체(30)는, 내부공간(3)의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부탄성부(31) 및 상부탄성부(32)가 구비되고, 양측에는 하부탄성부(31) 및 상부탄성부(3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양측이 서로 수렴되도록 경사진 측면탄성부(33)들이 연결되어서 구비된다.
이러한 다방향충격흡수체(30)는, 내부공간(3)의 전후방 및 좌우측 사방에 배열되어 있고, 측면탄성부(33)들에는 비틀림스프링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코일스프링(18)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탄성부(31), 상부탄성부(32), 측면탄성부(33)에 의해 발목에 발생하는 수직하중 및 다양한 각도의 하중이 흡수, 상쇄된다.
또한, 측면탄성부(33) 또는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비틀림스프링부(34)에 의해 수직하중 및 여러 각도의 하중이 2차로 흡수, 상쇄되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30)의 성능 및 내구성이 그만큼 향상된다.
비틀림스프링부(34)는 한번 감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두번 이상 감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9의 다방향충격흡수체(30)는, 내부공간(3)의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부탄성부(31) 및 상부탄성부(32)가 구비되고, 양측에는 하부탄성부(31) 및 상부탄성부(3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양측이 서로 수렴되도록 경사진 측면탄성부(33)들이 연결되어서 구비된다.
이러한 다방향충격흡수체(30)는, 내부공간(3)의 전후방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측면탄성부(33)들에는 비틀림스프링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코일스프링(18)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탄성부(31), 상부탄성부(32), 측면탄성부(33)에 의해 발목에 발생하는 수직하중 및 다양한 각도의 하중이 흡수, 상쇄된다. 또한, 측면탄성부(33) 또는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비틀림스프링부(34)에 의해 수직하중 및 여러 각도의 하중이 2차로 흡수, 상쇄되므로 다방향충격흡수체(30)의 성능 및 내구성이 그만큼 향상된다. 그리고 도 18에 비해 다방향충격흡수체(30)의 부품수가 절감되므로 제조단가가 절감된다.
도 20의 다방향충격흡수체(30)는, 내부공간(3)의 전후방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하부탄성부(31), 상부탄성부(32), 측면탄성부(33)의 이음부위인 네 모서리에 비틀림스프링부(34)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코일스프링(18)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방향충격흡수체()는 측면탄성부(33)의 이음부위인 네 모서리에 비틀림스프링부(34)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직하중 및 다양한 각도의 하중에 대한 흡수력이 그만큼 향상된다.
1 : 신발 2 : 뒷굽
3 : 내부공간 10,20,30 : 다방향충격흡수체
11 : 변형홀 12,25 : 하부리브
13,15 : 결합구멍 14,26 : 상부리브
16 : 하판 16a,17a : 원추형돌기
17 : 상판 18 : 코일스프링
21 : 좌측다리 22 : 우측다리
23 : 전방다리 24 : 후방다리
31 : 하부탄성부 32 : 상부탄성부
33 : 측면탄성부 34 : 비틀림스프링부

Claims (22)

  1. 수직압 및 측압에 대해 탄성 변형되면서 발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하도록 신발(1)의 뒷굽(2)에 형성된 내부공간(3)에 다방향충격흡수체(10)(20)가 내장되되,
    다방향충격흡수체(10)(20)는, 하부 및 상부가 내부공간(3)의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곡률을 이루며,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수직압 또는 측압이 발생될 시 가해진 압력의 방향에 따라 다방향충격흡수체(10)(20)가 탄성변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10)는,
    탄력을 갖는 중공형 구의 일부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직압 또는 측압이 발생될 시 가해진 압력의 방향에 따라 다방향충격흡수체(10)가 변형되도록 둘레에 변형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10)는 중공형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변형공간부는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변형홀(11)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10)는,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하부 둘레에 외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13)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하부리브(12)가 연장되어서 신발(1)의 내부공간(3) 하면에 지지되고,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상부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15)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상부리브(14)가 연장되어서 신발(1)의 내부공간(3)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5. 청구항 3에 있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10)는,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하부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13)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하부리브(12)가 연장되어서 신발(1)의 내부공간(3) 하면에 지지되고,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상부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15)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상부리브(14)가 연장되어서 신발(1)의 내부공간(3)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6. 청구항 4에 있어서,
    하부리브(12) 및 신발(1)의 내부공간(3) 하면 사이에는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하부를 내부공간(3)의 하면에 지지하도록 하판(16)이 결합되어 있고,
    상부리브(14) 및 신발(1)의 내부공간(3) 상면 사이에는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상부를 내부공간(3)의 상면에 지지하도록 상판(17)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7. 청구항 3에 있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10)의 중앙 부분에는 코일스프링(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코일스프링(18)의 하단 및 상단은 신발(1)의 내부공간(3)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10)와 함께 뒷굼치 및 발목에 전달되는 수직압을 흡수, 상쇄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2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복수의 다리들로 이루어지고, 다리들의 하부에는 각각 신발(1)의 내부공간(3) 하면에 지지되도록 하부리브(25)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리들의 상부에는 다리들을 연결하고 신발(1)의 내부공간(3) 상면에 지지되도록 상부리브(2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9. 청구항 8에 있어서,
    다리들은, 뒷굽의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와 뒷굽(2)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로 이루어져서 사방으로 배치되어 있고,
    하부리브(25)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 전방다리(23),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26)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 전방다리(23),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다리들은,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와 뒷굽(2)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다리(24)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25)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26)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다리들은,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다리(21) 및 우측다리(22)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25)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26)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다리들은,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와 뒷굽(2)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우측다리(22)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부리브(26)는, 좌측다리(21), 우측다리(22), 전방다리(23),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13. 청구항 8에 있어서,
    다리들은,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와 뒷굽(2)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다리(24)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우측다리(22)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14. 청구항 8에 있어서,
    다리들은,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우측다리(22)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15. 청구항 8에 있어서,
    다리들은,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와 뒷굽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전방다리(23) 및 후방다리(24)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 전방다리(23),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22) 중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와 전방다리(23)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와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16. 청구항 8에 있어서,
    다리들은,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와 뒷굽(2)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다리(24)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 후방다리(24)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22) 중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와 전방다리(23)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와 후방다리(24)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17. 청구항 8에 있어서,
    다리들은,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로 이루어지고,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22) 중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18. 청구항 8에 있어서,
    다리들은, 뒷굽(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좌측다리(21) 및 한쌍의 우측다리(22)는 원형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리브(25)는, 한쌍의 좌측다리(21), 한쌍의 우측다리(22)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부리브(26)는,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한쌍의 우측다리(22) 중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한쌍의 좌측다리(21) 중 나머지 하나의 좌측다리(21) 상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하나의 우측다리(22)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19. 수직압 및 측압에 대해 탄성 변형되면서 발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하도록 신발(1)의 뒷굽(2)에 형성된 내부공간(3)에 다방향충격흡수체(30)가 내장되되,
    다방향충격흡수체(30)는, 내부공간(3)의 하면 및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부탄성부(31) 및 상부탄성부(32)가 구비되고, 양측에는 하부탄성부(31) 및 상부탄성부(3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양측이 서로 수렴되도록 경사진 측면탄성부(33)들이 연결되어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30)는,
    내부공간(3)의 전후방 및 좌우측 사방에 배열되어 있고, 측면탄성부(33)들에는 비틀림스프링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코일스프링(18)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30)는,
    내부공간(3)의 전후방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측면탄성부(33)들에는 비틀림스프링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코일스프링(18)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다방향충격흡수체(30)는,
    내부공간(3)의 전후방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하부탄성부(31), 상부탄성부(32), 측면탄성부(33)의 이음부위인 네 모서리에는 비틀림스프링부(34)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코일스프링(18)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KR1020120062109A 2012-05-14 2012-06-11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KR201301273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3988 2012-05-14
KR2020120003988 2012-05-14
KR1020120057234 2012-05-30
KR20120057234 2012-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341A true KR20130127341A (ko) 2013-11-22

Family

ID=4985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109A KR20130127341A (ko) 2012-05-14 2012-06-11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73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1747A (zh) * 2019-12-10 2020-03-17 江西省东鹏鞋业有限公司 一种消防鞋及其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1747A (zh) * 2019-12-10 2020-03-17 江西省东鹏鞋业有限公司 一种消防鞋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8809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US8732984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JP7413457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US20130055593A1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KR101166466B1 (ko)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KR102097381B1 (ko) 충격흡수 및 보행추진 기능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WO2006025675A1 (en) Multiple structure-shock absorbing members
CN102349726B (zh) 减震防扭伤鞋底
KR20130127341A (ko) 복합탄성체가 내장된 신발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CN112674427B (zh) 一种3d打印的功能单元以及应用该功能单元的鞋底
KR101217094B1 (ko) 충격흡수 신발
JP7115860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CN102429397A (zh) 一种鞋底的减震平衡部件
CN207054976U (zh) 一种轻薄型嵌套式减震单元及轻薄型减震鞋底
KR100368619B1 (ko) 운동화용 신발창
KR101758779B1 (ko) 신발용 프레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발창
CN205432352U (zh) 一种具有循环减震功能的鞋底和鞋
KR102024770B1 (ko)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N214904220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鞋底
KR101176052B1 (ko)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KR101451377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100885066B1 (ko) 벌집형 충격흡수층이 중창에 구비된 신발
CN209983589U (zh) 一种缓冲减震鞋垫
KR101354529B1 (ko) 기능성 신발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