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052B1 -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 Google Patents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052B1
KR101176052B1 KR1020110010392A KR20110010392A KR101176052B1 KR 101176052 B1 KR101176052 B1 KR 101176052B1 KR 1020110010392 A KR1020110010392 A KR 1020110010392A KR 20110010392 A KR20110010392 A KR 20110010392A KR 101176052 B1 KR101176052 B1 KR 10117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elastic device
rebound
rebound elastic
spr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155A (ko
Inventor
김준희
Original Assignee
김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희 filed Critical 김준희
Priority to KR102011001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0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6Restraining en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이 신발을 싣고 보행을 함으로서, 발생되는 보행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보행충격을 흡수시켜 보행충격으로부터 발목이나 무릎 등을 보호하고 또한, 보행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충격흡수장치의 반발탄성으로 인해 착지감이나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조 시 제조 단가와 제조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생산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과 효율적인 보행으로 인해 뛰어난 착지감과 착용감을 동시에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행 시 발생되는 보행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코팅부(30)가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의 외부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상부탄성체(10)와 하부탄성체(20)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탄성체(10)의 상부몸체(10a)는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10d)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상부몸체(10a)의 외주연에는 굴곡진 연장부(10b)에 고정편(10c)이 연결 형성되며, 상기 하부탄성체(20)의 하부몸체(20a)는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20d)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하부몸체(20a)의 외주연에는 굴곡진 연장부(20b)에 고정편(20c)이 연결 형성되며, 상기 굴곡진 연장부(10b)(20b)에 연결 형성된 고정편(10c)(20c)에는 삽입구(11)와 삽입돌기(21)가 각각 형성되어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Shoe hav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ing resilience device of leaf spring structure}
본 발명은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 시 지면과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보행충격을 완화및 흡수시켜 착용자의 발목이나 무릎 등을 보호하는 한편, 충격흡수장치의 반발탄성으로 인해 보행추진력을 향상시키고 착지감이나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생활수준가 높아지고 삶에 여유가 생김으로 인해 생활패턴이 높아져 보다 더 좋은 생활용품을 선호하게 되고, 이러한 생활용품 중에서도 신발은 남의 눈을 의식하거나 자기의 생활수준을 보여주는 바로미터로 작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생활수준이 높아짐과 동시에 자신을 더욱 더 돋보이기 위해 단순한 기능이 가미된 신발을 벗어나 다양한 인체공학적 설계를 바탕으로 한 신발을 선호하게 되었다.
앞에서와 같이 인체공학적 설계를 통한 다양한 신발 중에 쿠션기능을 한차원 업그레이드시켜 보행 시 지면과 가장 먼저 닿게 되는 신발의 뒷굽에 가해지는 보행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착지감을 개선시키고,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신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충격을 완화시키는 신발은 단순히 신발의 뒷굽에 다수의 코일스프링을 수직으로 장착시켜 사용하는 등 단순한 탄성을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프링이 장착된 신발은 신축거리가 제한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인해 충분한 쿠션기능을 발휘하지 못함과 동시에 상기의 코일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해선 상당히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많은 부품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제조원가가 높이지고 부품이 많아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동시에 그로 인한 제품단가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신발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코일스프링에 모래와 같은 이물질들이 끼임으로서 제대로 작용을 하지 못해 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의 후방 하측에 형성되는 뒷굽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에 판스프링형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를 장착하여 충격흡수 효율을 높이고 반발탄성을 발생시켜 보행추진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는 생산효과의 증대와 비용단가 및 제조원가를 줄임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내구성 및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착지감과 착용감이 향상되어 발목이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보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는 보행 시 착용자의 보행충격을 흡수하고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코팅부가 외부 전체에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된 충격흡수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흡수장치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몸체의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이 형성되고 굴곡진 연장부와 고정편이 사방으로 형성된 상부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충격흡수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몸체의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이 형성되고 굴곡진 연장부와 고정편이 사방으로 형성된 하부탄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충격흡수장치의 상부탄성체와 하부탄성체는 상.하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탄성체와 하부탄성체에 형성된 고정편에는 삽입구와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고정되고,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는 신발의 뒷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발용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는 판스프링형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시 제조 단가와 제조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생산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과 착용자가 보행 시 발생하는 보행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발목이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효율적인 보행으로 인해 뛰어난 착지감과 착용감 및 보행추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를 도시한 A-A선 측단면도.
도 4의 (가),(나),(다)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의 상용상태도.
도 8의 (가),(나)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을 도시한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의 사용상태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8 실시예를 도시한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는 보행 시 발생되는 보행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보행충격을 흡수시켜 충격흡수장치의 반발탄성으로 인해 착지감이나 착용감을 제공하는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도시된 도 1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측단면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작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코팅부(30)가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의 외부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상부탄성체(10)와 하부탄성체(20)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탄성체(10)의 상부몸체(10a)는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10d)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상부몸체(10a)의 외주연에는 굴곡진 연장부(10b)에 고정편(10c)이 연결 형성되며, 상기 하부탄성체(20)의 하부몸체(20a)는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20d)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하부몸체(20a)의 외주연에는 굴곡진 연장부(20b)에 고정편(20c)이 연결 형성되며, 상기 굴곡진 연장부(10b)(20b)에 연결형성된 고정편(10c)(20c)에는 삽입구(11)와 삽입돌기(21)가 각각 형성되어 삽입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보행 시 지면과 가장 먼저 닿게 되는 부분이 신발의 뒤꿈치 부분인데 이때, 발생되는 외력은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외력은 압축력이 되어 상당한 충격으로 작용하는 데, 상기와 같은 상당한 충격이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그대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당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도 1 및 도 4의 (가),(나),(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탄성체와 하부탄성체로 구성되어 서로 상.하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상부에서 압축력이 전달되면 일단 상기 상부탄성체의 상부몸체의 상부에 전해지고 상부몸체에 가해진 압력은 상부몸체의 외주연으로 확장 연결된 다수개의 굴곡진 연장부에 전해지며, 다수개의 굴곡진 연장부로 인해 한 방향으로 가해진 압력은 다수개의 방향으로 분산된다.
상기와 같이 한 방향에서 다수개의 방향으로 분산됨으로 인해 강한 압력은 다소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줄어든 압력은 굴곡진 연장부에 연결 형성된 고정편으로 전달되게 되고 고정편에 분산된 압력은 또 다시 하부몸체에 연결 형성된 하부 고정편으로 전해지며, 상기 하부몸체의 고정편으로 전해진 압력은 하부몸체의 굴곡진 연장부에 전해지면서 분산된 압력은 또 다시 작은 압력으로 분산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발생되는 압력은 도 4의 (가),(나),(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탄성체와 하부탄성체는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압력이 가해지는 강도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옴과 동시에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강한 압력을 분산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강한 압력(충격)을 분산(완화)시킨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반발력에 의해 원상태로 되돌아간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반복적으로 시행함으로써 보행충격을 완전히 흡수하면 서 반발력이 발생되어 착지감과 착용감을 동시에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도시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은 측단면이고, 도 7은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는 상.하로 이단으로 형성되고 외부 전체에 코팅부(3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의 충격흡수장치가 하나로 형성되어 보행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때보다 충격흡수장치가 상.하로 이단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개체보다 두 개의 개체로 이루어져 보다 더 많은 보행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보다 더 좋은 착지감이나 착용감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행충격으로 인해 충격흡수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도시된 도 8의 (가) 및 (나)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의 (가)는 평면도이고 (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굴곡진 띠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10)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굴곡 형성된 연장부(10b)가 형성되고, 연장부(10b)의 양단은 삽입구(11)가 형성된 고정편(10c)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20)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굴곡 형성된 연장부(20b)가 형성되고, 연장부(20b)의 양단은 삽입돌기(21)가 형성된 고정편(20c)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는 상.하부가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고 외부 전체에 코팅부(3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효율이 높고, 이로 인한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증대되어 보행충격으로부터 발생되는 파손의 우려도 없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도시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이루어져 서로 상.하로 대응되게 고정되고 외부 전체에는 코팅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몸체(10)(20)는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10d) (20d)이 형성되고 굴곡으로 형성된 연장부(10b)(20b)에는 고정편(10c)(20c)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10c)(20c)에는 삽입구(11)와 삽입돌기(21)가 각각 형성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10b)(20b)는 6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는 보행 시 발생되는 보행충격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압력이 작용하는데,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부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을 다수의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서, 과중한 하중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형성되어 안전한 보행을 보장하고 착지감과 착용감이 뛰어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도시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이루어져 서로 상.하로 대응되게 고정되고 외부 전체에는 코팅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몸체(10)(20)는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10d,20d)이 형성되고 굴곡으로 형성된 연장부(10b)(20b)에는 고정편(10c)(20c)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10c)(20c)에는 삽입구(11)와 삽입돌기(21)가 각각 형성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장부(10b)(20b)는 6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연장부(10b)(20b)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는 보행 시 보행방향은 발뒤꿈치부터 지면에 닿고 발의 외측에서 엄지발가락 쪽으로 즉, 지그재그형식으로 보행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보행으로 인해 신발의 외측에 보다 더 많은 보행충격이 가해지는 데, 본 발명을 상기의 보행충격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흡수하기 위해 내측보다 외측에 형성된 굴곡연장부 부분의 폭을 넓게 형성하여 외측으로 발생되는 압력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가 보행시 안정적인 보행을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편안하고 쾌적한 보행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도시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이루어져 서로 상.하로 대응되게 고정되고 외부 전체에는 코팅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몸체(10)(20)는 "王"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는 좌우 양측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발생되는 보행충격의 압력을 좌우 양측으로 균일하게 분산, 흡수할 수 있어서 보다 더 효과적으로 보행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도시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신발밑창(50)의 후방에 형성된 충격흡수장치삽입공간부(40)에 장착되는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중앙에 살빼기홈(10d) (20d)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다수개의 굴곡연장부(10b)(20b)와 다수개의 고정편(10c)(20c)이 연결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의 형상은 충격흡수장치삽입공간부(40)의 평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예는 신발밑창의 후방 하측에 형성된 충격흡수장치삽입공간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보행 시 발생되는 보행충격을 적절하게 흡수 및 분산시키므로 보다 더 편안한 보행을 실시할 수 있으며, 착지감이나 착용감이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도시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8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각각의 고정편(10c)(20c)이 맞닿는 부분의 외주연을 따라 용접으로 서로 고정되고 굴곡진 연장부(10b)(20b)가 맞닿는 내측 부분에는 실링부(6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 8 실시예는 용접으로 상,하부 몸체를 서로 고정시켜 더욱 더 견고하게 구성되고 또한, 본 발명의 내측부분에 실링부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작은 모래나 이물질로부터 본 발명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보장할수 있으며, 그로 인해 소비자의 소비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10 : 상부탄성체 11a, 21a : 삽입구
20 : 하부탄성체 11b, 21b : 삽입돌기
10a : 상부몸체 20a : 하부몸체
10b, 20b : 연장부 10c, 20c : 고정편
10d, 20d : 살빼기홈 30 : 코팅부
40 : 충격흡수장치삽입공간부 50 : 신발밑창
60 : 실링부 100 : 충격흡수장치

Claims (8)

  1.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코팅부(30)가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의 외부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상부탄성체(10)와 하부탄성체(20)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탄성체(10)의 상부몸체(10a)는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10d)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상부몸체(10a)의 외주연에는 굴곡진 연장부(10b)에 고정편(10c)이 연결 형성되며,
    상기 하부탄성체(20)의 하부몸체(20a)는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20d)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하부몸체(20a)의 외주연에는 굴곡진 연장부(20b)에 고정편(20c)이 연결 형성되며,
    상기 굴곡진 연장부(10b)(20b)에 연결 형성된 고정편(10c)(20c)에는 삽입구(11)와 삽입돌기(21)가 각각 삽입 고정되는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신발의 뒷굽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상.하로 이단으로 형성되고 외부 전체에 코팅부(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굴곡진 띠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10)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굴곡 형성된 연장부(10b)가 형성되고, 연장부(10b)의 양단은 삽입구(11)가 형성된 고정편(10c)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20)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굴곡 형성된 연장부(20b)가 형성되고, 연장부(20b)의 양단은 삽입돌기(21)가 형성된 고정편(20c)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는 상.하부가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고 외부 전체에 코팅부(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이루어져 서로 상.하로 대응되게 고정되고 외부 전체에는 코팅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몸체(10)(20)는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10d)(20d)이 형성되고 굴곡으로 형성된 연장부(10b)(20b)에는 고정편(10c)(20c)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10c)(20c)에는 삽입구(11)와 삽입돌기(21)가 각각 형성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장부(10b)(20b)는 6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이루어져 서로 상.하로 대응되게 고정되고 외부 전체에는 코팅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몸체(10)(20)는 중앙에 원형의 살빼기홈(10d)(20d)이 형성되고 굴곡으로 형성된 연장부(10b)(20b)에는 고정편(10c)(20c)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10c)(20c)에는 삽입구(11)와 삽입돌기(21)가 각각 형성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장부(10b)(20b)는 6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연장부(10b)(20b)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이루어져 서로 상.하로 대응되게 고정되고 외부 전체에는 코팅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몸체(10)(20)는 "王"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7. 제1항에 있어서 중앙에 살빼기홈(10d)(20d)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다수개의 굴곡연장부(10b)(20b)와 다수개의 고정편(10c)(20c)이 연결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의 외부 전체에는 코팅부(30)가 형성되고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의 형상은 충격흡수장치삽입공간부(40)의 평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100)는,
    각각의 고정편(10c)(20c)이 맞닿는 부분의 외주연을 따라 용접으로 서로 고정되고 굴곡진 연장부(10b)(20b)가 맞닿는 내측 부분에는 실링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KR1020110010392A 2011-02-05 2011-02-05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KR10117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392A KR101176052B1 (ko) 2011-02-05 2011-02-05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392A KR101176052B1 (ko) 2011-02-05 2011-02-05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155A KR20120090155A (ko) 2012-08-17
KR101176052B1 true KR101176052B1 (ko) 2012-08-31

Family

ID=4688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392A KR101176052B1 (ko) 2011-02-05 2011-02-05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791B1 (ko) * 2022-02-18 2023-01-26 구남서 선택적 탄성 기능이 구비된 판 스프링형 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63Y1 (ko) 2000-10-09 2001-03-15 안우형 탄력을 갖는 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63Y1 (ko) 2000-10-09 2001-03-15 안우형 탄력을 갖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155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651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US9370221B1 (en) Shock absorbing and pressure releasing damper apparatus for footwear
KR101166466B1 (ko)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CN102349726B (zh) 减震防扭伤鞋底
KR101176052B1 (ko) 판스프링 구조의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장치가 구비된 신발
CN109330098A (zh) 一种减震鞋底
CN201263431Y (zh)
KR101217094B1 (ko) 충격흡수 신발
TWM523324U (zh) 具有減震功能的鞋底結構
CN207995976U (zh) 一种前掌高弹及后跟缓冲减震的鞋垫
KR20110045439A (ko) 다방향으로의 충격 흡수가 가능한 신발창
CN202354498U (zh) 弓形减震高跟鞋
CN201436877U (zh) 三维双重减震鞋底
CN205106549U (zh) 一种改良减震鞋
KR20130117104A (ko)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CN211241912U (zh) 一种缓震鞋底
KR20020015927A (ko) 운동화용 신발창
KR200396794Y1 (ko) 신발깔창
CN202680703U (zh) 弹性结构
KR101451377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CN203087740U (zh) 一种新型运动鞋鞋底
CN215270890U (zh) 运动鞋及其中底系统
KR200471925Y1 (ko) 구두굽
KR101123478B1 (ko) 공기 순환식 충격흡수 구두
CN107149208B (zh) 能够提供渐进式减震及运动控制的鞋底结构和鞋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