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112A -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112A
KR20130126112A KR1020120049936A KR20120049936A KR20130126112A KR 20130126112 A KR20130126112 A KR 20130126112A KR 1020120049936 A KR1020120049936 A KR 1020120049936A KR 20120049936 A KR20120049936 A KR 20120049936A KR 20130126112 A KR20130126112 A KR 2013012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hangul
korean
consonan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661B1 (ko
Inventor
김철수
황두건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66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감적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조합시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면에 표시된 가상 자판에 한글 자음들을 표시하는 자음표시단계; 상기 표시된 한글 자음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선택될 경우, 선택된 자음의 상하 또는 좌우에 각각 모음 'ㅣ' 및 모음 'ㅡ'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각각의 모음 주위에 1점 및 2점을 표시하는 모음표시단계; 상기 자음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 및 모음 '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1점 또는 2점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경우 선택된 해당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을 형성하는 한글형성단계; 및 상기 한글형성단계에서 조합된 상기 한글을 화면에 표시하는 한글표시단계를 포함하여, 터치된 한글 자음의 주변에 상하 좌우방향에 따라 선택가능한 모음을 표시하여 직감적으로 용이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한 번의 터치 동작으로 신속하게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조합시켜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METHOD FOR HANGUL INPUTTING ON CYBER KEYBOARD}
본 발명은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한글 단어를 직감적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휴대폰, PDA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안되고 있고, 또한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점차 소형화 및 첨단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향상되면서 문자전송이나 무선 인터넷의 사용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음에 따라 한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예컨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입력 시스템을 살펴보면, 국내 공개특허 제1999-243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입력모드에서 자음들 또는 모음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킨 다음 커서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된 자음들 또는 모음들 중에서 원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한글입력 시스템에 있어서는, 자음 또는 모음을 빈번하게 디스플레이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기 위하여 커서를 움직이는 것이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997-2558호에는 소위 천지인 모음 입력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 시스템에 따르면, 3개의 모음 키를 순차적으로 눌러 모음을 입 력하고, 또한 각 자음입력 키에 다수의 자음(자음군)을 배열하여 특정 키를 누른 횟수에 따라 당해 키에 배열된 자음군의 자음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2000-42231호 등에는 형태상으로 기본이 되는 자음들만을 각각 하나의 키에 배치하고 하나 또는 다수의 기능키에 의해 키에 배치되지 않은 형태상 같은 군에 속하는 자음을 선택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모음의 경우에도 하나의 키에 다수의 모음을 배치하고 그 누르는 횟수 또는 모음 키들의 조합에 의해 모음을 선택하는 시스템도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선행기술들에 의하면, 자음들 또는 모음들을 디스플레이시키고 자음 또는 모음을 커서를 이동하여 선택하는 시스템에 비해서는 신속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한글 자모의 배치가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일정한 규칙에 의하여 이루어져 있지 않고 막연하게 그룹을 지어 놓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판의 키들에 배열된 한글 자모의 위치를 완전하게 기억할 수 있을 정도로 외워놓지 않으면 한글 자모의 위치를 일일이 확인하면서 키를 눌러 한글을 입력할 수밖에 없고, 실질적으로 한글 자모의 위치를 쉽게 기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글 자모의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에, 한글입력시간을 단축시킬 수 없으며 더욱이, 각각의 입력장치마다 그 자판의 한글 배열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이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1999-24320호(1999.04.06) 국내 공개특허 제1997-2558호(1997.01.28) 국내 공개특허 제2000-42231호((2000.07.1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된 한글 자음의 주변에 상하 좌우 방향에 따라 각각 선택 및 조합 가능한 모음을 표시하여 직감적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조합시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한글 자판 배열에 관계없이 한 번의 터치 앤 드래그 동작으로 신속하게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조합시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은, 화면에 표시된 가상 자판에 한글 자음들을 표시하는 자음표시단계; 상기 표시된 한글 자음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선택될 경우, 선택된 자음의 상하 또는 좌우에 각각 모음 'ㅣ' 및 모음 'ㅡ'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각각의 모음 주위에 1점 및 2점을 표시하는 모음표시단계; 상기 자음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 및 모음 '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1점 또는 2점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경우 선택된 해당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을 형성하는 한글형성단계; 및 상기 한글형성단계에서 조합된 상기 한글을 화면에 표시하는 한글표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음표시단계는; 상기 모음 'ㅣ' 및 모음 'ㅡ'의 사방 모서리에 각각 1점 및 2점을 표시하되, 상기 모음 'ㅣ'의 상측 좌우방향에 각각 상기 1점을 표시하고, 하측 좌우방향에 각각 상기 2점을 표시하고, 상기 모음 'ㅡ'의 좌측 상하방향에 각각 상기 1점을 표시하고, 우측 상하방향에 각각 상기 2점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모음 'ㅣ'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의 상측 좌우방향의 상기 1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각각 모음 'ㅏ' 또는 'ㅓ'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1점을 선택하여 상기 모음 'ㅏ' 또는 'ㅓ'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를 다시 선택할 경우, 각각 모음 'ㅐ' 또는 'ㅔ'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모음 'ㅣ'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의 하측 좌우방향의 상기 2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모음 'ㅑ' 또는 'ㅕ'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2점을 선택하여 상기 모음 'ㅑ' 또는 'ㅕ'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를 다시 선택할 경우, 각각 모음 'ㅒ' 또는 'ㅖ'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모음 'ㅡ'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의 우측 상하방향의 상기 1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각각 모음 'ㅜ' 또는 'ㅗ'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1점을 선택하여 상기 모음 'ㅜ' 또는 'ㅗ'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를 다시 선택할 경우, 각각 모음 'ㅟ' 또는 'ㅚ'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모음 'ㅡ' 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의 좌측 상하방향의 상기 2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모음 'ㅠ' 또는 'ㅛ'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음 및 모음의 선택은; 상기 화면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앤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의하면, 터치된 한글 자음의 주변에 상하 좌우의 각각의 방향에 따라 선택 및 조합 가능한 모음을 표시하여 직감적으로 용이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글 자판 배열에 관계없이 한 번의 터치 앤 드래그 동작으로 신속하게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조합시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음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음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자음키 위에 모음을 표시한 도면.
도 5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조합을 나타낸 도면.
도 6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조합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면에 표시된 가상 자판에 한글 자음들을 표시하는 자음표시단계(S01); 상기 표시된 한글 자음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선택될 경우, 선택된 자음의 상하 또는 좌우에 각각 모음 'ㅣ' 및 모음 'ㅡ'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각각의 모음 주위에 1점 및 2점을 표시하는 모음표시단계(S02); 상기 자음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 및 모음 '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1점 또는 2점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경우 선택된 해당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을 형성하는 한글형성단계(S03); 및 상기 한글형성단계에서 조합된 상기 한글을 화면에 표시하는 한글표시단계(S04)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음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음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자음키 위에 모음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음표시단계에서는 화면에 표시된 가상 자판에 한글 자음들을 표시하고, 본 발명의 상기 모음표시단계에서는, 상기 모음 'ㅣ' 및 모음 'ㅡ'를 상기 자음키의 상하 방향에 각각 표시하고, 표시된 해당 모음의 주위 사방에 1점 및 2점을 표시한다.
즉, 상기 모음 'ㅣ' 및 모음 'ㅡ'의 사방 모서리에 각각 1점 및 2점을 표시하되, 상기 모음 'ㅣ'의 상측 좌우방향에 각각 상기 1점을 표시하고, 하측 좌우방향에 각각 상기 2점을 표시하고, 상기 모음 'ㅡ'의 좌측 상하방향에 각각 상기 1점을 표시하고, 우측 상하방향에 각각 상기 2점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1점 또는 2점은 작은 동그라미 모양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1점 또는 2점의 위치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바뀌어 표시되는 것도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예로서, 상기 한글형성단계에서 상기 자음의 상측 모음 'ㅣ'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 'ㅣ'의 상측 좌우방향의 상기 1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각각 모음 'ㅏ' 또는 'ㅓ'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글형성단계에서 상기 1점을 선택하여 상기 모음 'ㅏ' 또는 'ㅓ'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를 다시 선택할 경우, 모음 'ㅏ' 또는 'ㅓ'에 모음 'ㅣ'가 더해져 각각 모음 'ㅐ' 또는 'ㅔ'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글형성단계에서 상기 모음 'ㅣ'를 선택하고, 해당 모음의 하측 좌우방향의 상기 2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모음 'ㅑ' 또는 'ㅕ'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글형성단계에서 상기 2점을 선택하여 상기 모음 'ㅑ' 또는 'ㅕ'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를 다시 선택할 경우, 각각의 모음 'ㅑ' 또는 'ㅕ'에 모음 'ㅣ'가 더해져 각각 모음 'ㅒ' 또는 'ㅖ'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글형성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자음의 하측 방향의 상기 모음 'ㅡ'를 선택하고, 해당 모음의 좌측 상하방향의 상기 1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각각 모음 'ㅜ' 또는 'ㅗ'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글형성단계에서 상기 모음 'ㅡ' 를 선택하고, 해당 모음의 좌측 상하방향의 상기 2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모음 'ㅠ' 또는 'ㅛ'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모음표시단계에서 상기 모음 'ㅣ' 및 모음 'ㅡ'를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의 상하 방향에 배치하지 않고,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좌우 방향에 배치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자음 및 모음의 선택은; 통상의 화면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앤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터치 동작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마우스나 손가락을 사용하여 하나의 프로그램에 존재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동작이고, 드래그는 터치 후, 마우스 또는 손가락의 끌기 작업(드래그)에 따라 프로그램의 다른 위치 또는 다른 프로그램으로 마우스를 이동하는 동작을 말한다.
도 5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표시단계에서 화면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자판의 자음 'ㅂ'을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동작으로 선택하면, 이후 모음표시단계에서, 상기 모음 'ㅣ' 및 모음 'ㅡ'를 상기 자음 'ㅂ'의 상하 방향에 각각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자음 'ㅂ'의 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상기 모음 'ㅣ' 를 선택하면 자음 'ㅂ'에 모음 'ㅣ'가 더해져 한글 '비'자가 조합된다(도 5b 참조).
한편, 상기와 같이 한글 '비'가 선택된 상태에서, 다시 손가락을 화면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떼지 않고 계속 접촉한 상태로 모음 'l'의 상측 좌우방향에 표시된 각각의 1점 또는 하측 좌우방향에 표시된 각각의 2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좌측방향에 표시된 1점을 선택할 경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버'자가 조합되고,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좌측방향에 표시된 2점을 선택할 경우 한글 '벼'자가 조합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 한글 '벼'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화면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떼지 않고 계속 접촉한 상태로 다시 상기 모음 'ㅣ'를 선택할 경우, 한글 '벼'에 모음 'l'가 조합되어 한글 '볘'가 표시된다(도 5e 참조).
한편, 한글 'ㅂ'이 선택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화면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떼지 않고 계속 접촉한 상태로, 상측 우측방향에 표시된 1점을 선택할 경우,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바'자가 조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 글자가 조합되어 완성될 때까지 터치 앤 드래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터치를 해제할 경우 즉 화면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손가락을 뗄 경우에 비로소 그때까지 선택된 자음과 모음을 모두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 글자를 완성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도 6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ㅂ'이 선택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화면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떼지 않고 계속 접촉한 상태로, 상측의 모음 'l'를 거쳐 상측 우측방향에 표시된 1점을 선택하고, 이어서 손가락을 화면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떼지 않고 계속 접촉한 상태로 다시 상기 모음 'ㅣ'를 선택할 경우, 자음 'ㅂ'에 모음 'ㅏ'와 'l'가 조합되어 한글 '배'가 조합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ㅂ'이 선택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화면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떼지 않고 계속 접촉한 상태로, 상측의 모음 'l'를 거쳐 아래쪽 우측방향에 표시된 2점을 선택하고, 이어서 손가락을 화면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떼지 않고 계속 접촉한 상태로 다시 상기 모음 'ㅣ'를 선택할 경우, 자음 'ㅂ'에 모음 'ㅑ'와 'l'가 조합되어 한글 'ㅂㅒ'가 조합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자음 받침을 입력할 경우에는 도 6c 및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ㅂ'이 선택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화면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떼지 않고 계속 접촉한 상태로, 상측의 모음 'l'를 거쳐 한글 '비'를 조합하고, 다시 아래쪽의 한글 'ㅂ'을 선택하여 받침을 입력함으로써 한글 '빕'이 조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자음을 입력할 경우에는, 도 6e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ㅂ'이 선택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화면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떼지 않고 계속 접촉한 상태로 일정 시간을 경과하거나, 아니면 2번 터치한 후, 상측의 모음 'l'를 거쳐 우측의 1점을 선택함으로써 한글 '빠'가 조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0)

  1. 화면에 표시된 가상 자판에 한글 자음들을 표시하는 자음표시단계;
    상기 표시된 한글 자음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선택될 경우, 선택된 자음의 상하 또는 좌우에 각각 모음 'ㅣ' 및 모음 'ㅡ'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각각의 모음 주위에 1점 및 2점을 표시하는 모음표시단계;
    상기 자음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 및 모음 '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1점 또는 2점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경우 선택된 해당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을 형성하는 한글형성단계; 및
    상기 한글형성단계에서 조합된 상기 한글을 화면에 표시하는 한글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표시단계는;
    상기 모음 'ㅣ' 및 모음 'ㅡ'의 사방 모서리에 각각 1점 및 2점을 표시하되,
    상기 모음 'ㅣ'의 상측 좌우방향에 각각 상기 1점을 표시하고, 하측 좌우방향에 각각 상기 2점을 표시하고,
    상기 모음 'ㅡ'의 좌측 상하방향에 각각 상기 1점을 표시하고, 우측 상하방향에 각각 상기 2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모음 'ㅣ'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의 상측 좌우방향의 상기 1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각각 모음 'ㅏ' 또는 'ㅓ'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1점을 선택하여 상기 모음 'ㅏ' 또는 'ㅓ'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를 다시 선택할 경우, 각각 모음 'ㅐ' 또는 '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모음 'ㅣ'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의 하측 좌우방향의 상기 2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모음 'ㅑ' 또는 'ㅕ'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2점을 선택하여 상기 모음 'ㅑ' 또는 'ㅕ'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를 다시 선택할 경우, 각각 모음 'ㅒ' 또는 'ㅖ'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모음 'ㅡ'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의 우측 상하방향의 상기 1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각각 모음 'ㅜ' 또는 'ㅗ'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1점을 선택하여 상기 모음 'ㅜ' 또는 'ㅗ'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를 다시 선택할 경우, 각각 모음 'ㅟ' 또는 'ㅚ'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성단계는;
    상기 모음 'ㅡ' 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의 좌측 상하방향의 상기 2점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방향에 따라 모음 'ㅠ' 또는 'ㅛ'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및 모음의 선택은;
    상기 화면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앤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20120049936A 2012-05-10 2012-05-10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371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936A KR101371661B1 (ko) 2012-05-10 2012-05-10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936A KR101371661B1 (ko) 2012-05-10 2012-05-10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112A true KR20130126112A (ko) 2013-11-20
KR101371661B1 KR101371661B1 (ko) 2014-03-10

Family

ID=4985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936A KR101371661B1 (ko) 2012-05-10 2012-05-10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6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0304A (zh) * 2007-01-30 2010-09-2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终端上输入字符的装置和方法
KR20090025610A (ko) * 2007-09-06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처리 방법 및 한글 입력장치
KR20100121218A (ko) * 2009-05-08 2010-11-17 박성진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661B1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626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1167352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3309457A (zh) 一种输入法面板的设置方法及系统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KR101189112B1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KR101248752B1 (ko) 터치스크린의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101371661B1 (ko) 가상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110098477A (ko) 원형자판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261128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157084B1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US10423328B2 (en)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two cursors within a virtual keyboard according to setting of movement by a single key at a time or a plurality of keys at a time
KR20160014329A (ko) 휴대폰을 포함한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에서의 키보드 ui
JP2014140236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101567046B1 (ko)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13033553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2011013570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550140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372898B1 (ko)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방법
KR101105210B1 (ko) 휴대단말기의 태국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JP5402797B2 (ja) 情報処理装置
KR20210091979A (ko) 공용모음버튼이 포함된 모바일장치용 한글 문자판과 이를 이용한 모음 입력 방법
EP2763382B1 (en) Hybrid Keyboard For Mobile Device
KR101228079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