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906A - Battery management device - Google Patents

Battery managem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906A
KR20130125906A KR1020120049527A KR20120049527A KR20130125906A KR 20130125906 A KR20130125906 A KR 20130125906A KR 1020120049527 A KR1020120049527 A KR 1020120049527A KR 20120049527 A KR20120049527 A KR 20120049527A KR 20130125906 A KR20130125906 A KR 20130125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anagement
battery pack
management module
sens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세훈
장승수
이윤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906A/en
Publication of KR2013012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9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battery pack including multiple battery cells; a battery management module managing the battery pack through information,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pack, about the temperature and voltage of each battery cell; and a sensing line connecting the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BCB). [Reference numerals] (110,AA,BB,CC,DD) Battery cell;(200) Battery management module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장치{Battery Management Device}Battery Management Device {Battery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과 배터리 관리 모듈을 연결하는 센싱 선로로 FPCB가 구비되어 배터리 관리 장치의 부피를 줄이도록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for reducing a volume of a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by providing an FPCB as a sensing line connecting a battery pack and a battery management module.

최근 들어 공해 발생을 줄이며,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전기 자동차 등과 같이, 모터 구동을 할 때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출력 이차 전지는 복수 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or hybrid vehicles that reduce pollution and use renewable energy is being actively made. At this time, a high output secondary battery has been developed that can be used in a device that requires a large power when driving a motor, such as an electric vehicle, such a high output secondary battery to configure a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y by connecting a plurality in series. Can be.

이와 같이, 전지 자동차용 배터리(이하 '배터리'라 함)의 경우, 통상적으로 대용량 이차 전지를 복수 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복수 개의 대용량 이차 전지가 충전과 방전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가 정상적인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such, in the case of a battery vehicle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ttery),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e typically connected in seri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performs charging and discharging. Normal operating state can be maintained.

이를 위해, 배터리에 대한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모듈, 즉,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구비하게 되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배터리의 전압, 전류 및 온도 등을 검출하여 배터리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를 연산하여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토대로 자동차의 연료 소비 효율이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To this end, a battery management module, that is,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that manages the overall state of the battery, is provided, and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detects the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and the like. The remaining capacity (SOC) may be calculated and estimated, and the fuel consumption efficiency of the vehicle may be increased based on the estimated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대용량 이차 전지, 즉, 배터리 셀로 이루어진 배터리 팩과 배터리 관리 모듈을 연결하는 센싱 선로에 있어서, 연결되는 배터리 팩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센싱 선로가 차지하는 부피도 증가하여 장착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의 수에 한계가 있는 점에 착안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nsing line connecting a plurality of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ies, that is, a battery pack consisting of battery cells and a battery management module, as the number of battery packs connected increases, the volume occupied by the sensing line also increases. Note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number of battery packs present.

한국 공개 특허 2011-0071343호 ("하이브리드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 관리 장치", 이하 선행기술 1)에서는 단지 배터리 팩과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모듈의 배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이를 통해서 통신용 와이어를 적게 사용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며, 선행기술 1은 통신용 와이어 자체의 두께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1-0071343 ("Hybrid Vehicle High Voltage Battery Managemen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discloses a structure that uses less communication wires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battery pack and the slave battery management module. Prior Art 1 makes no mention of the thickness of the communication wire itself.

한국 공개 특허 2011-0071343호 (공개일자 2011.06.29)Korean Unexamined Patent 2011-0071343 (Published date 2011.06.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 팩과 배터리 관리 모듈을 연결하는 센싱 선로를 FPCB를 이용함으로써, 센싱 선로의 생산 원가 절감뿐만 아니라, 배터리 관리 장치의 생산 원가 절감, 무게 절감 및 부피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FPCB sensing line connecting the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as well as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sensing line, the production cost of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It is to provide a battery management device that can save weight and volume.

또한, 센싱 선로 자체의 부피가 절감됨으로써, 줄어든 센싱 선로의 잉여 공간에 배터리 팩을 추가하여 장착 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sensing line itself, it is to provide a battery management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by adding a battery pack to the reduced space of the reduced sensing line.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Cel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Battery Pack),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 정보를 통해서 상기 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 팩 및 배터리 관리 모듈을 연결하며,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지는 센싱 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battery pack (Battery P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ell), the battery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the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emperature and voltage information of each battery cell transferred from the pack, and includes a sensing line formed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t is composed.

상기 센싱 선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 및 온도가 센싱되는 커넥터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배터리 관리 모듈의 센싱 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nsing line includes at least two input units or output units, wherein the input unit is connected to a connector for sensing the voltage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and the output unit is connected to the sensing connector of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 팩과 배터리 관리 모듈을 연결하는 센싱 선로가 FPCB로 이루어짐으로써, 배터리 관리 장치의 원가 절감, 무게 절감 및 부피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line connecting the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is made of FPCB, thereby reducing the cost, weight, and volume of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아울러, 센싱 선로 자체의 부피가 절감되어, 배터리 관리 장치 내부에서 배터리 팩의 개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sensing line itself is reduced, so that the number of battery packs can be easily increased in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 선로에 대해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briefly showing a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briefly showing a sensing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관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conve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Further,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1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배터리 팩(100), 배터리 관리 모듈(200) 및 센싱 선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ttery pack 100, a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and a sensing line 300.

배터리 팩(100)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Cell)(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배터리 팩(100)은 전기 자동차용(xEV 용) 리튬 이온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The battery pack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and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battery pack 100. In this case, the battery pack 100 may be configured as a lithium ion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xEV), which is ju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배터리 팩(10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배터리 관리 모듈(200)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각각의 배터리 셀(110)과 배터리 관리 모듈(200)간의 센싱 선로(300)의 길이 차에 따른 전압 강하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팩(100)의 정확한 전압 및 온도가 배터리 관리 모듈(200)로 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100 may be connected in series and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by the same distance. Through this, the voltage drop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sensing line 300 between each battery cell 110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is minimized so that the correct voltage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100 are controlled by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Can be delivered.

배터리 관리 모듈(200)은 배터리 팩(100)으로부터 전달되는 배터리 팩(100)의 온도 및 전압, 즉, 각각의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의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배터리 팩(100)을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배터리 관리 모듈(200)은 모니터링한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을 토대로 배터리 팩(100)의 잔존용량, SOC(State Of Charge)를 연산할 수 있으며, 연산한 배터리 팩(100)의 잔존용량에 의해서 배터리 팩(100)의 충전과 방전을 번갈아가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연료 소비 효율이 가장 높아질 수 있도록 배터리 팩(100)을 제어할 수도 있다.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may manage the battery pack 100 by monitoring the temperature and voltage of the battery pack 100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pack 100, that is, the temperature and voltage information of each battery cell. . In other words,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may calculate a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100 and a state of charge (SOC)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voltage of the monitored battery cell, and the remaining battery pack 100 may be calculated. The battery pack 100 may be alternately charged and discharged by the capacity. In addition, the battery pack 100 may be controlled to maximize the fuel consumption efficiency of the vehicl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00)과 배터리 관리 모듈(200)은 센싱 선로(300)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팩(100)을 추가 장착할 경우, 단순히, 센싱 선로(300)를 통해서 배터리 관리 모듈(200)에 추가하여 연결함으로써, 추가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battery pack 100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may be connected in series by the sensing line 300. When the battery pack 100 is additionally installed, the battery pack 10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by simply connecting to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through the sensing line 300.

또한, 특정 배터리 팩(10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문제가 발생한 배터리 팩(100)만을 교체 또는 제거함으로써 배터리 관리 장치가 배터리 팩(100) 및 배터리 관리 모듈(200)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problem occurs in a specific battery pack 100,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may easily manage the battery pack 100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by replacing or removing only the battery pack 100 in which the problem occurs. .

이때, 배터리 팩(100)과 배터리 관리 모듈(200)은 센싱 선로(300)에 의해서 배터리 팩(100)의 온도 및 전압을 배터리 관리 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ttery pack 100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may transmit the temperature and voltage of the battery pack 100 to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by the sensing line 300.

즉, 다시 말하자면, 센싱 선로(300)는 배터리 팩(100) 및 배터리 관리 모듈(200)을 연결할 수 있으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선로(30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0.5mm 이내의 두께와 50mm 이내의 폭 및 450mm 이내의 길이를 가지는 얇은 판상형태로써, 두께가 0.5mm 이하가 되어 상대적으로 좁은 구간을 쉽게 통과할 수도 있다.
That is, in other words, the sensing line 300 may connect the battery pack 100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and may be formed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as shown in FIG. 3A. . In addition, the sensing lin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in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of less than 0.5mm, a width of less than 50mm and a length of less than 450mm, as shown in B) of FIG. Is less than 0.5mm can easily pass through a relatively narrow section.

일반적으로 FPCB란, 연성 인쇄 회로 기판, 즉, 연성 재료인 Polyester(PET) 또는 Polyimide(PI)와 같은 내열성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여, 복잡한 회로를 유연한 절연 필름 위에 형성한 판형 형태의 회로 기판을 의미한다.In general, FPCB refers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at is, a plate-shaped circuit board formed by forming a complex circuit on a flexible insulating film using a heat-resistant plastic film such as a flexible material such as polyester (PET) or polyimide (PI). .

종래에는 차량의 내부에서 이용되는 신호선이 대부분 10개 미만이며, 길이도 500mm를 넘기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센싱 선로로 FPCB를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했다. 하지만, 최근들어 xEV를 비롯하여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 전자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xEV용 배터리의 경우에는, 신호선 4~50가닥이 한 묶음으로 제작되고, 또한,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적용 가능한 구간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prior art, since the number of signal lines us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mostly less than 10, and the length is also more than 500 mm, it is difficult to use the FPCB as a sensing line. However, in recent years, in the case of xEV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the electronics are accelerating, and in the case of xEV batteries, four to 50 signal lines are manufactured in a bundle, and a relatively short length of applicable sections is increasing. There is a situa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센싱 선로(300)를 통해서 배터리 팩(100)과 배터리 관리 모듈(20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센싱 선로(30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된 크기 내에서 즉, 0.5mm 이내의 두께, 50mm 이내의 폭 및 450mm 이내의 길이를 가지는 얇은 판상 형태의 크기 내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입력부는 배터리 팩(100)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전압 및 온도를 센싱하는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출력부는 배터리 관리 모듈(200)의 센싱 커넥터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nect the battery pack 100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through the sensing line 300, and the sensing line 300 is shown in FIG. 3B. As shown in FIG. 2, at least two inputs and outputs may be provided within a limited size, that is, within a thin plate-like size having a thickness within 0.5 mm, a width within 50 mm, and a length within 450 mm. In this case, the input unit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or for sensing the voltage and temperatur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100, and the output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connector of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센싱 선로(300)를 FPCB를 이용함으로써, 센싱 선로(300)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본 발명인 배터리 관리 장치가 전반적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할 수 있다.By using the FPCB for the sensing line 300, the sensing line 300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and thus,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in general.

또한, 센싱 선로(300) 부분이 소형화가 됨으로써, 본 발명의 배터리 관리 장치 내부의 남는 잉여 공간에 배터리 팩(100)을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더불어,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센싱 선로(300)를 FPCB를 이용함으로써, 센싱 선로(300)의 연속 생산방식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배터리 관리 장치의 생산에 있어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탁월하다.
In addition, since the sensing line 300 is reduced in size, the battery pack 10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remaining surplus space inside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sensing line 300 by using the sensing line 300 FPCB, thereby reducing the cost in the production of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The effect is excellent.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센싱 선로(300)를 FPCB, 즉, 연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배선의 오류가 없고, 휨, 겹침, 접힘, 말림 및 꼬임 등이 유연성 때문에 입체적인 3차원 배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sensing line 300 as an FPCB, that i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so that there is no wiring error and flexibility in bending, overlapping, folding, curling, and twisting is possibl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ree-dimensional wiring is possible.

더불어, 종래의 공지된 기술로 배터리 팩(100) 및 배터리 관리 모듈(200)을 연결한다는 가정하에, 예를 들면, 10cell 1temp로 구성되는 배터리 팩이 있다고 할 때, 13 가닥의 배선이 배터리 팩으로부터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배선 굵기는 배선 굵기가 0.3sq 전선을 사용한다고 해도 최소 7phi의 외경을 가지는 번들이 형성되게 된다. 하지만, 이때, 전선에 흐르는 전류는 1mA 이하 이기 때문에 0.3sq 전선이 아니라 0.01sq 전선을 사용해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선로(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B를 이용함으로써 0.5mm 이내의 두께, 50mm 이내의 폭 및 450mm 이내의 길이를 가지는 얇은 판상 형태로써, 즉, 두께가 0.5mm 이하가 되어 상대적으로 좁은 구간을 쉽게 통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 battery pack 100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are connected by a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 for example, a battery pack composed of 10 cell 1temp, 13 strands of wires from the battery pack It should be connected to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etc. The wire thickness for this will be formed even if the wire thickness is 0.3sq wire bundle having a minimum diameter of 7phi. However, at this time, since the current flowing in the wire is 1 mA or less, even if the 0.3sq wire is used instead of the 0.3sq wire, it can be sufficiently endured. In other words, the sensing lin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n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within 0.5 mm, a width within 50 mm, and a length within 450 mm by using the FPCB, as shown in FIG. 3. That is, the thickness is less than 0.5mm has the effect that can easily pass through a relatively narrow section.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배터리 팩(100) 및 배터리 관리 모듈(200)을 연결하여 배터리 팩(100)의 전압 및 온도 등을 배터리 관리 모듈(200)로 전달하여, 배터리 팩(100)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팩(100) 및 배터리 관리 모듈(200)을 연결하는 센싱 선로(300)를 FPCB로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FPCB로 이루어지는 센싱 선로(300)를 통해서, 배터리 관리 장치를 생산하기 위한 원가 절감뿐만 아니라, 센싱 선로(300)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배터리 관리 장치의 중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센싱 선로(300)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배터리 관리 장치 자체의 부피를 절감하거나 또는, 배터리 관리 장치 내부에서 센싱 선로(300)가 차지하는 부피를 절감하여, 배터리 관리 장치 내부에서 남는 잉여 공간에 배터리 팩(100)을 추가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That is, in other words,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battery pack 100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to convert the voltage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100 into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By transferring, the battery pack 100 may be managed. In this case, the sensing line 300 connecting the battery pack 100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200 may be configured as an FPCB. In addition, through the sensing line 300 made of FPCB, in addition to reducing the cost for producing a battery management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ensing line 3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the sensing Since the line 300 can be miniaturized, the volume of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itself can be reduced, or the volume of the sensing line 300 can be reduced within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thereby remaining the battery pack in the surplus space remaining in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It can also be equipped with 1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배터리 팩(Battery Pack)
110 : 배터리 셀(Battery Cell)
200 : 배터리 관리 모듈
300 : 센싱 선로
100: Battery Pack
110: battery cell
200: battery management module
300: sensing track

Claims (2)

복수 개의 배터리 셀(Cel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Battery Pack);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 정보를 통해서 상기 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 팩 및 배터리 관리 모듈을 연결하며,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지는 센싱 선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At least one battery pack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battery management module managing the battery pack through temperature and voltage information of each battery cell transferred from the battery pack; And
A sensing line connecting the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the sensing line compri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선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 및 온도가 센싱되는 커넥터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배터리 관리 모듈의 센싱 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track
Including at least two inputs or outputs,
The input unit is connected to a connector for sensing the voltage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The output unit is a batter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ensing connector of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KR1020120049527A 2012-05-10 2012-05-10 Battery management device KR201301259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27A KR20130125906A (en) 2012-05-10 2012-05-10 Battery manage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27A KR20130125906A (en) 2012-05-10 2012-05-10 Battery management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532A Division KR101936576B1 (en) 2018-03-21 2018-03-21 Battery Managemen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906A true KR20130125906A (en) 2013-11-20

Family

ID=4985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527A KR20130125906A (en) 2012-05-10 2012-05-10 Battery managem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590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642A (en)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Connecting board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O2019035596A1 (en) * 2017-08-18 2019-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Customized bms module and design method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642A (en)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Connecting board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O2019035596A1 (en) * 2017-08-18 2019-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Customized bms module and design method therefor
KR20190019614A (en)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Customized bms module and method for designing thereof
CN110447144A (en) * 2017-08-18 2019-11-12 株式会社Lg化学 The BMS module and its design method of customiz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9327B1 (en) Battery module equalization apparatus, and battery pack and automobile including same
KR101104667B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slave battery management module oh the battery management
JP6428107B2 (en) Power storage device, electronic device, electric vehicle and power system
US9018905B2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of high voltage battery for hybrid vehicle
US8878492B2 (en) Power source apparatus, vehicle and power storage system using the power source apparatus
US8603663B2 (en) Battery pack
CN107305972A (en) Battery module with integrated RF communications and unit senses plate
CN103038091A (en) Battery power source device
US11018391B2 (en) Battery cell,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3563209A (en) Power storage device, power storage system using same, and method for configuring power storage system
CN110466387B (en) Integrated power battery management system
JP2013051857A (en) Power storage device, electronic apparatus,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power system
KR20170059226A (en) Battery sensing module
EP2800229A1 (en) Cell system
CN104081617A (en) Battery management unit having a plurality of monitoring ic chips
KR20130053501A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pack prote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3096431A1 (en) Battery management unit and method for setting identifier by using frequency modulation
JP6284063B2 (en)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form a daisy-chain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distinguishing input connectors and output connectors
KR20130125906A (en) Battery management device
JP2014032949A (en) Power storage device storage and bus bar unit
KR101936576B1 (en) Battery Management Device
CN202839877U (en) Batter pack for electric automobile and electric automobile containing same
WO2015126225A1 (en) Battery management unit and method for setting identifier by using frequency modulation
WO2021225202A1 (en) Parallel coupling-type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JPWO2018061507A1 (en) Power storage module, power storage system, electric vehicle and po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