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768A - 내연기관의 캠축 조정기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캠축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768A
KR20130125768A KR1020137012235A KR20137012235A KR20130125768A KR 20130125768 A KR20130125768 A KR 20130125768A KR 1020137012235 A KR1020137012235 A KR 1020137012235A KR 20137012235 A KR20137012235 A KR 20137012235A KR 20130125768 A KR20130125768 A KR 20130125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gear
adapter
camshaft
gear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012B1 (ko
Inventor
아르민 브라운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12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5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bevel or epicyclic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16H1/1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one of the members being internally toot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two central gears coupled by intermeshing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랭크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동 기어(33)와, 이 구동 기어에 대하여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내접 출력 기어(1)와, 출력 기어(1)의 내주(3)에 배치되고 출력 기어(1)를 캠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13)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31)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어댑터(13)는 내치(5)에 의해 출력 기어(1)의 내주(3)에 고정된다. 그러한 고정은 가능한 한 적은 제작 경비 및 그에 상응하게 경감된 비용으로 캠축 조정기(31)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캠축 조정기{CAMSHAFT ADJUS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크랭크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동 기어와, 구동 기어에 대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내접 출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내주에 배치되고 출력 기어를 캠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캠축 조정기는 내연기관에서 캠축과 크랭크축 사이의 위상 위치를 의도한 대로 조정하는 데 이용되고, 엔진 부하와 엔진 회전수에 근거하여 밸브 타이밍의 최적화된 조정을 가능케 한다. 이로써 연료 소비와 배기 가스 배출의 현저한 감소 및 엔진의 출력 향상이 달성될 수 있다.
경제적인 저공해 내연기관의 개발 과정에서 유압식 캠축 조정기에 대한 대안으로서 전자기계식 캠축 조정기도 이용된다. 전기식 캠축 조정기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조정축에 구동 연결된 전기식 조정 모터가 소위 조정 부재로서 이용된다. 이를 위해 기어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3축 기어가 사용된다. 이 경우 구동은 캠축에 고정된 구동 기어와 구동축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출력은 출력축과 캠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출력 기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조정 출력은 전기식 조정 모터로부터 조정축을 지나 3축 기어에 결합되어 구동 기어에 대한 출력 기어의 상대 회전을 야기한다. 양 기어의 상대 회전에 의해 크랭크축과 캠축 사이의 위상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DE 10 2008 019 586호에는 전술한 유형의 캠축 조정기가 캠축 조정 장치의 일부로서 공지되어 있다. 캠축 조정 장치 또는 캠축 조정기는 구동 기어와 출력 기어를 포함하고, 이들 기어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구동 기어는 링 기어로서 형성되며, 링 기어 안에 출력 기어가 끼워진다. 출력 기어의 내주는 내치 및 내치에 인접한 환형 수용 섹션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수용 섹션은 어댑터의 수용 및 위치 선정에 이용되고, 어댑터에 의해 출력 기어가 캠축과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어댑터는 출력 기어 안에 삽입되고 거기에서 수용 섹션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용접된다.
이러한 구성은 어댑터의 확실한 위치 선정을 가능하게 하지만, 어댑터에 요구되는 수용 섹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출력 기어의 내주가 복잡하게 가공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가능한 한 적은 수고를 들여 제조될 수 있는,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캠축 조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가 크랭크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동 기어와, 구동 기어에 대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내접 출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내주에 배치되고 출력 기어를 캠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를 포함함으로써 해결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어댑터는 내치에 의해 출력 기어의 내주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캠축 조정기의 고장 없는 작동을 위해 구동부와 출력부 사이에 신뢰성 있는 토크 전달이 보장되어야 하는 점이 고려된다. 이를 위해 전자기계식 조정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구동 기어가 출력 기어에 지지되고, 출력 기어는 다시 어댑터에 의해 캠축과 연결된다.
이 경우 어댑터 자체는 통상 출력 기어 내에서 출력 기어의 내주에 배치되며, 이를 위해 지금까지는 별도로 제공된 수용 섹션이 내주에 제공되고 있다. 이는 제조와 관련한 경비 및 수반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가 놀랍게도 출력 기어의 내치에 의해 출력 기어의 내주에 어댑터를 고정함으로써 극복되는 점을 인지하였다. 그로 인해 어댑터를 고정하기 위해 지금껏 필요했던, 출력 기어의 내주의 추가 가공이 생략될 수 있다. 어댑터는 이를 위한 별도의 수용 섹션이 출력 기어의 내주에 제공될 필요 없이 출력 기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출력 기어의 기능에 필요한 기존의 특징, 즉 출력 기어 내주에 제공된 내치가 어댑터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구동 기어는 특히 링 기어로서 형성되고 내치를 가지며, 상기 내치는 구동 기어의 내주에 부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기어의 구동은 크랭크축과의 회전 불가능한 연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기어는 예를 들어 체인 휠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체인에 의해 크랭크축과의 회전 불가능한 연결이 달성된다. 대안으로서 출력 기어는 벨트 풀리로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상응하게 벨트 드라이브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동 기어의 내주에 일반적으로 출력 기어가 배치되며, 이 경우 구동 기어는 출력 기어에 지지될 수 있다.
출력 기어 역시 바람직하게 링 기어로서 형성되며 내치를 갖는다. 내치는 소위 브로칭(broaching) 공정을 이용하여 출력 기어를 제조할 때 내주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그에 상응하는 윤곽을 가진 브로치가 출력 기어에 형성된 보어를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된다. 이런 경우 브로치의 횡단면은 브로칭 가공 후 출력 기어의 내주에 형성된 내치의 윤곽에 상응한다. 이러한 내치는 내장된 상태에서 출력 기어의 내치와 함께 조정 기어 장치를 형성할 수 있고, 이 조정 기어 장치는 예를 들어 축 기어의 스퍼 기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런 경우 이를 위해 출력 기어의 내치의 일부만이 이용되는데, 그 이유는 조립된 상태에서 출력 기어의 내주에 어댑터가 배치되기 때문이다.
어댑터의 위치 선정을 위해, 어댑터는 출력 기어의 내경에 맞춰진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예를 들어 어댑터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가 출력 기어 안으로 슬라이딩되어 거기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어댑터의 외주가 출력 기어의 내주에 또는 거기에 형성된 내치에 인접한다. 대안으로서, 출력 기어의 내치에 맞물려 어댑터를 포지셔닝하는 대응 치형부를 갖도록 어댑터를 형성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어댑터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평한 밀폐 커버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 커버는 바람직하게 중앙 보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 중앙 보어를 통해 캠축 조정기의 개별 부재들의 고정을 위한 중앙 나사가 안내될 수 있다. 어댑터는, 캠축 조정기의 조립 시 보어 내에 중앙 나사가 고정됨으로써 캠축의 단부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는 캠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해, 캠축의 정면 쪽 단부에 형성된 고정 부재들이 맞물릴 수 있는 리세스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유리한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출력 기어의 내치의 이끝원에 압입된다. 이끝원 직경은 기어휠의 경우에 전형적으로 휠의 외경, 즉 기어이들의 단부들에 의해 제공되는 직경을 말한다. 이끝원에 어댑터를 압입하면 출력 기어의 내주에 어댑터가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내치에 의해 수용 섹션 또는 압입 섹션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댑터를 위한 압입 섹션의 압입 직경은 내치의 이끝원 직경에 상응한다. 압입 섹션의 가공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댑터의 외경은 출력 기어의 이끝원 직경과 거의 같다.
압입에 의해 형성된 연결은 기본적으로 고정형일 수도 있고 가동형일 수도 있다. 이런 연결의 작용면들, 즉 기어이 단부들과 어댑터 외주 사이의 접촉 지점들에 의해 캠축 조정 장치의 작동 시 발생하는 작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내치의 이끝원에 어댑터를 압입하는 경우 기어이들과 어댑터 사이에 빈 공간이 남는다. 이들 빈 공간은 기어이의 윤활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내치가 출력 기어에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된다. 내치의 연속적인 기하구조는 내치를 용이하게 제조하고 출력 기어의 내주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어댑터를 위한 별도의 수용 섹션 또는 압입 숄더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내치를 제공할 때 내주에 확장된 브로칭 길이가 생긴다. 그러므로 사용되는 브로치의 안전한 가이드가 보장된다.
추가로 이러한 구성을 통해 어댑터의 제조 시 재료가 절약될 수 있다. 내치를 통한 고정 및 이에 수반되는 별도의 수용 섹션의 생략에 의해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어댑터가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경은 대략 출력 기어의 이끝원 직경에 상응하므로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어댑터에 비해 더 작다.
또한, 내치의 연속적인 형성에 의해 내치의 지지 영역이 확대되고, 이런 점 때문에 예를 들어 수명이 연장된다. 내치가 출력 기어의 전체 내주에 형성되기 때문에, 기어휠 출구는 그에 상응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축방향 단부쪽으로 어댑터 뒤에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가 출력 기어와 용접되며, 그 결과 양 부재의 확실한 연결이 달성된다. 어댑터와 출력 기어는 특히 기어이 단부들과 어댑터 외주 사이의 접촉 지점들에서 구역별로 용접되므로, 치간 공간들은 용접 후에도 윤활제를 위해 이용된다. 이 경우 특히 레이저 용접이 고려되는데, 레이저 용접은 빠른 용접 속도, 좁은 용접 시임 형상 및 적은 열적 변형에 기반하여 부재들의 연결 시 요구되는 정밀도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가 밀폐 커버로서 형성된다. 밀폐 커버로 형성됨으로써 어댑터는 내장된 상태에서 캠축과 크랭크축 사이의 토크 전달에 추가하여, 조정 기어 장치를 축방향으로 캠축을 향하는 쪽에서 밀폐할 수 있다. 캠축 조정기는 예를 들어 불순물과 같은 외부 영향뿐만 아니라 누출로부터도 보호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기어는 링 기어로서 형성되며 출력 기어에 지지된다. 이 경우 특히, 상호 상대 운동하는 양 부재들이 직접 접촉되어 있는 미끄럼 베어링이 적합하다. 상기 양 부재는 미끄럼 마찰에 의해 야기된 저항에 대항하여 슬라이딩한다. 이런 저항은 예를 들어 저마찰 재료 쌍의 선택에 의해 또는 윤활에 의해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미끄럼 베어링이 고려되는 이유는, 추가적인 설치 공간이 제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캠축을 위한 정지 부재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지 부재는 축방향으로 구동 기어에 대향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정지 부재는 캠축을 위한 정지면을 포함하는 스톱 링으로서 형성된다. 정지면은 예컨대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돌출부에 캠축의 정면에 있는 리세스가 맞물릴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정지면이 출력 기어 자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정지면에 의해, 어댑터를 이용해 캠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출력 기어와 구동 기어 사이의 회전각 제한이 달성된다.
부재들 상호 간의 확실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 정지 부재와 구동 기어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즉 특히 카운터 베어링의 영역에서 서로 용접된다. 이런 고정을 통해 정지 부재는 구동 기어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코킹 또는 나사 체결과 같은 다른 고정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기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술한다.
도 1은 출력 기어를 삼차원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출력 기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출력 기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 기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 기어의 일 섹션에 관한 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출력 기어와 어댑터, 그리고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캠축 조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는 삼차원으로 표현된 출력 기어(1)가 도시되어 있다. 출력 기어(1)는 링 기어로서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내주(3)에 내치(5)를 갖는다. 조립 상태에서 어댑터는 내치(5)에 의해 출력 기어(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에서 찾을 수 있다.
내치(5)는 출력 기어(1)의 내주(3)에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그리고 전체 내주(3)에 걸쳐 환형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브로칭 가공을 이용해 내치(5)를 출력 기어(1)의 내주(3)에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연속적인 기하구조가 생긴다. 어댑터를 위한 별도의 수용 섹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내치(5)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내주(3)에는 브로칭에 이용되는 브로치의 확실한 가이드를 가능케 하는, 확장된 브로칭 길이가 제공된다.
브로칭 가공 시, 내치(5)의 제공을 위해 대응 윤곽을 가진 브로치가 출력 기어(1) 내 보어를 통해 인입된다. 이 경우 브로치가 가지는 횡단면은 브로칭 가공 후 내주(3)에 형성되는, 출력 기어(1)의 내치(5)의 윤곽(5)에 상응한다.
브로칭 가공 후 형성된 내치(5)는 원주를 따라 서로 인접하는 다수의 기어이(7)로 형성된다. 출력 기어(1)로부터 안쪽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어이(7)의 단부들(9)에 의해 내치(5)의 이끝원(11)의 직경이 사전 설정된다. 기어이들(7)은 출력 기어(1)에서 내주(3)로부터 모두 같은 폭으로 방사 방향으로 안쪽으로 연장된다.
도 2에는 도 1에 따른 출력 기어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고하면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즉 출력 기어(1)의 축방향 전체 폭(12)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내치(5)를 잘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 가능한 이유는, 어댑터의 설치 또는 고정을 위해 별도의 수용 섹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댑터의 고정을 위해 제공된 영역에서의 외경은 내치(5)의 이끝원(11)의 직경에 상응한다. 그럼으로써, 내치(5)의 제공에 이용되는 브로치는 출력 기어(1)의 축방향 전체 폭(12)에 걸쳐 확실하게 가이드된다.
도 3에서는 어댑터(13)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구동 기어(1)의 종단면도를 볼 수 있다. 어댑터(13)는 원형의 평평한 밀폐 커버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내치(5)에 의해 출력 기어(1)의 내주(3)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어댑터(13)의 외경(14)은 출력 기어(1)의 이끝원(11)의 직경과 거의 같다.
출력 기어(1)의 브로칭 가공 후 어댑터(13)는 내치(5)의 이끝원(11)에 압입된다. 압입 섹션(15), 즉 출력 기어의 내주(3)에서 어댑터(13)가 위치되는 섹션은 기존의 내치(5)에 의해 제공되므로, 어댑터(13)를 위한 압입 섹션(15)의 직경은 내치(5)의 이끝원(11)의 직경과 같다.
압입 후 출력 기어(1)와 어댑터(13)는 서로 용접된다. 이와 같은 용접에 의해 양 부재들은 서로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용접은 방사방향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기어이(7)의 단부들(9)이 어댑터(13)의 외주(14)와 접촉하는 지점들에서 이루어진다. 용접 후 남겨지는, 기어이들(7)과 어댑터(13) 외주 사이의 치간 공간들(17)은 유압액으로 내치(5)를 윤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에 따른 어댑터(13)를 포함하는 출력 기어(1)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기어이들(7)과 어댑터(13)의 외주 사이에 있는 치간 공간(17)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어댑터(13) 자체는, 대략 출력 기어(1)의 내치(5)의 이끝원(11)의 직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별도의 압입 섹션의 생략에 근거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댑터(13)의 제조 시에 재료가 절약될 수 있다.
어댑터(13)의 중심부에 중앙 보어(19)가 형성되며, 조립을 위해 이 중앙 보어를 관통하여 중앙 나사가 가이드될 수 있다. 그 후 중앙 나사는 캠축 정면에 있는 나사산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어댑터(13)는 회전 불가능하게 캠축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관통 보어(21, 23)를 가진 어댑터(13)가 형성되며, 이들 관통 보어는 조립된 상태에서 캠축 조정기 또는 조정 기어 장치의 윤활제 공급에 이용된다.
도 5에서는 도 3의 출력 기어(1)와 용접된 어댑터(13)의 상세도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상세도를 참고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연속적 형성으로 인해 내치(5)의 지지 영역이 특히 크다는 것이다. 내치(5)가 출력 기어(1)의 전체 내주(3)에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 상태에서 기어휠 출구측(25)은 축방향 단부쪽으로 이끝원(11)에 압입된 어댑터(13) 뒤에 위치한다.
도 6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어댑터(13)와 출력 기어(1)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 장치(31)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출력 기어(1)뿐만 아니라 어댑터(13)도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를 참조한다.
캠축 조정기(31)는 출력 기어(1)와 어댑터(13) 외에도 구동 기어(33)를 가지며, 구동 기어는 출력 기어(1)처럼 링 기어로서 형성된다. 구동 기어(33)는 미끄럼 베어링(35)에 의해 출력 기어(1)에 지지된다. 양 부재들은 서로에 대하여 공통의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다.
캠축 조정기(31)의 구동은 작동 동안 구동 기어(33)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크랭크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구동 기어(33)는 체인 휠(38)로서 형성되며, 체인에 의해 크랭크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토크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조정 모터에 의해 구동 기어(33)와 출력 기어(1)에, 그리고 캠축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캠축과 크랭크축 사이의 위상 위치의 의도한 조정이 달성된다.
추가로 캠축 조정 장치(31)는 스톱 링으로서 형성된 정지 부재(39)를 가지며, 정지 부재는 구동 기어(33)에 대향 지지된다. 정지 부재(39)는 캠축을 위한 정지면(41)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구동 기어(33)와 어댑터(13)에 의해 캠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출력 기어(1) 사이의 회전각 제한이 달성된다. 정지 부재(39)는 그의 축방향 접촉면(43)에서 구동 기어(33)와 용접됨으로써 구동 기어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끝으로, 캠축 조정 장치(31)의 개별 부재들은 중앙 나사(45)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이때 중앙 나사(45)는 어댑터(13)의 중앙 보어(19)를 통해서도 연장된다.
1 출력 기어
3 내주
5 내치
7 기어이
9 기어이 단부
11 이끝원
12 축방향 폭
13 어댑터
14 외주
15 압입 섹션
17 치간 공간
19 중앙 보어
21 관통 보어
23 관통 보어
25 지지 영역
31 조정 장치
33 구동 기어
35 미끄럼 베어링
37 회전축
38 체인 휠
39 정지 부재
41 정지면
43 접촉면
45 중앙 나사

Claims (8)

  1. 크랭크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동 기어(33)와, 이 구동 기어에 대하여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내접 출력 기어(1)와, 출력 기어(1)의 내주에 배치되고 출력 기어(1)를 캠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13)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31)에 있어서,
    어댑터(13)는 내치(5)에 의해 출력 기어(1)의 내주(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어댑터(13)는 내치(5)의 이끝원(11)에서 출력 기어(1) 안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치(5)는 출력 기어(1)에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13)는 출력 기어(1)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13)는 밀폐 커버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기어(33)는 링 기어로서 형성되어 출력 기어(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캠축을 위한 정지 부재(39)가 포함되며, 이 정지 부재는 구동 기어(33)에 축방향으로 대향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
  8. 제8항에 있어서, 정지 부재(39)와 구동 기어(3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
KR1020137012235A 2010-11-11 2011-08-23 내연기관의 캠축 조정기 KR101831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51051A DE102010051051A1 (de) 2010-11-11 2010-11-11 Nockenwellenverstell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10051051.3 2010-11-11
PCT/EP2011/064479 WO2012062492A1 (de) 2010-11-11 2011-08-23 Nockenwellenverstell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768A true KR20130125768A (ko) 2013-11-19
KR101831012B1 KR101831012B1 (ko) 2018-02-21

Family

ID=4450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235A KR101831012B1 (ko) 2010-11-11 2011-08-23 내연기관의 캠축 조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80484A1 (ko)
EP (1) EP2638256B1 (ko)
KR (1) KR101831012B1 (ko)
CN (1) CN103201468B (ko)
DE (1) DE102010051051A1 (ko)
WO (1) WO2012062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21192A1 (de) 2014-10-20 2016-04-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8127858B3 (de) * 2018-11-08 2020-03-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ellgetrieb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ellgetrieb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7186A (en) * 1993-06-28 1995-05-23 Clemson University Dual-acting apparatus for variable valve timing and the like
DE10248355A1 (de) * 2002-10-17 2004-04-29 Ina-Schaeffler Kg Nockenwellenversteller mit elektrischem Antrieb
DE10323705B4 (de) * 2003-05-22 2017-03-16 Daimler Ag Vorrichtung zum geregelten Verstellen der relativen Drehlage zwischen einer Kurbelwelle und einer Nockenwelle
DE102004009128A1 (de) * 2004-02-25 2005-09-15 Ina-Schaeffler Kg Elektrischer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05018956A1 (de) * 2005-04-23 2006-11-23 Schaeffler Kg Vorrichtung zur Nockenwellenverstell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5059884A1 (de) * 2005-12-15 2007-07-05 Schaeffler Kg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08019586A1 (de) 2008-04-18 2009-10-22 Schaeffler Kg Nockenwellenverstellvorrichtung
US8424500B2 (en) * 2009-08-06 2013-04-23 Delphi Technologies, Inc. Harmonic drive camshaft phaser with improved radial stability
DE102009037403B4 (de) * 2009-08-13 2018-01-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lektrischer Nockenwellenverste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01468B (zh) 2015-07-01
CN103201468A (zh) 2013-07-10
EP2638256B1 (de) 2014-07-16
EP2638256A1 (de) 2013-09-18
WO2012062492A1 (de) 2012-05-18
KR101831012B1 (ko) 2018-02-21
US20130180484A1 (en) 2013-07-18
DE102010051051A1 (de)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5504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KR101612653B1 (ko) 감속 장치
JP2006503213A (ja) 電気的な駆動部を備えたカム軸調節装置
US20120291729A1 (en) Axially compact coupling for a camshaft phaser actuated by electric motor
WO2012014069A1 (en) Roller bearing with seal integral with cage and camshaft apparatus having such a roller bearing
KR20130125768A (ko) 내연기관의 캠축 조정기
US9840942B2 (en) Camshaft adjuster
US8479695B2 (en) Device for varying the angular position of a camshaft with respect to a crankshaf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569893A1 (en) Chain tensioner
US9556759B2 (en) Valve timing controller
US20130220248A1 (en) Camshaft adjuster
US8371973B2 (en) Chain tensioner
JP6904219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CN111479641B (zh) 组装式凸轮轴及用于制造组装式凸轮轴的方法
EP3376075B1 (en) Scissor gear oil supplying structure
JP2009108705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WO2022190569A1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WO2023013321A1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WO2023101003A1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WO2022181017A1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6736023B1 (en) Torque transmitting device
WO2020162016A1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CN211737289U (zh) 可变压缩比驱动结构
CN211737291U (zh) 可变压缩比驱动结构
JP2009036104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